KR20200022720A -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 - Google Patents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720A
KR20200022720A KR1020180098701A KR20180098701A KR20200022720A KR 20200022720 A KR20200022720 A KR 20200022720A KR 1020180098701 A KR1020180098701 A KR 1020180098701A KR 20180098701 A KR20180098701 A KR 20180098701A KR 20200022720 A KR20200022720 A KR 2020002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enstrual
discharge pipe
cup body
impla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의
Original Assignee
이신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의 filed Critical 이신의
Priority to KR102018009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720A/ko
Publication of KR2020002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placed in the vagina, e.g. for catamen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2005/4415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venting by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형 생리컵에 관한 것으로, 삽입형 생리컵은 컵 본체 및 이와 연통되어 한 쌍의 개폐 돌기를 포함하는 배출관을 갖되, 컵 본체에 응고된 생리혈이나 신체의 분비물이 생리혈과 함께 배출관을 향해 컵 본체에서부터 이동하는 경우에 생리혈만 선택적으로 배출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홈 및/또는 걸림 돌기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INSERTION TYPE MENSTRUATION CUP FOR EASILY DISCHARGING MENSTRUAL BLOOD}
본 발명은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동 시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생리혈을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는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에 관한 것이다.
현대 여성들이 사용하고 있는 일회용 생리용품으로서 생리대나 탐폰은 화학 약품 종이, 흡수지 부직포, 비닐 등으로 제조되고 있는 있어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이들의 포장재 또한 비닐, 즉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쓰레기양이 막대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일회용 생리용품의 사용은, 쓰레기 처리를 위한 비용이 많이 들고, 쓰레기 처리 시에 발생하는 공해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폐기방법으로 인해 하수구와 변기의 막힘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생리용품은 여성들의 생활필수품이지만,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가계의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사용 여성의 60% 이상이 생리혈이 새는 경험으로 수면 시, 운동, 수영, 등산 등의 옥외 활동 시 누출의 염려를 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 질은 질 내에 죽은 세포나 박테리아를 자동으로 씻어내는 기능이 있어 항상 청결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생리대나 탐폰과 같은 생리용품을 사용하는 경우에 이들이 생리혈을 흡수해버리므로 질 내 수분공급을 저하시키게 되고, 개인에 따라서 알레르기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특히, 탐폰의 사용은 자칫 생명까지 앗아 가는 매우 심각한 독성 쇼크 증후군(Toxic Shock Syndrome)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일회용 생리대와 탐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일 수단으로서, 생리혈을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 생리컵이 제안된 바 있다.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생리컵은 생리혈을 저장할 수 있고, 반복사용이 가능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종래의 생리컵은 신축성이 있어 생리혈의 수용공간이 어느 정도 확보될 수 있기는 하지만, 한계가 있으므로 수시로 생리혈을 비워줘야 한다. 생리혈이 담겨진 상태에서 생리컵을 탈착하고 비우는 과정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생리혈을 엎지르거나 흘리게 되는 경우가 많아 생리컵의 사용을 기피하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의 일회용 생리용품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피부 가려움, 짓무름, 흡수성분에 의한 불쾌한 냄새 등을 방지하는 동시에 종래의 생리컵의 사용상 불편함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생리용품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973524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리혈의 외부로의 누출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용이하게 생리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삽입형 생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삽입형 생리컵은 상단 개구보다 외경이 작은 하단 개구가 측벽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생리혈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측벽의 내측벽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배출홈이 형성된 컵 본체 및 상기 컵 본체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상기 컵 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내주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개폐 돌기가 구비되며, 개폐 돌기가 접촉하는 경우 폐쇄되고 이격되는 경우 개방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홈은 상기 컵 본체의 내측 벽면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 돌기가 이격되어 배출관이 개방되는 경우에 생리혈이 상기 컵 본체의 내측벽면으로부터 배출관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삽입형 생리컵은 상단 개구보다 외경이 작은 하단 개구가 측벽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생리혈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히고, 서로 마주하는 측벽의 내측벽면의 각각에서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구비된 한 쌍의 걸림 돌기가 형성된 컵 본체 및 상기 컵 본체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상기 컵 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내주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개폐 돌기가 구비되며, 개폐 돌기가 접촉하는 경우 폐쇄되고 이격되는 경우 개방되는 배출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배출되는 생리혈이 의도치 않게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생리컵에 수용된 생리혈을 외부로 배출하고자 할 때 배출관을 컵 본체의 반대 방향으로, 즉, 신체에서 먼쪽으로 당기기만 하면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생리혈에 응고가 발생하거나 생체의 분비물이 함께 포함되더라도,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배출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생리컵에서 생리혈을 더욱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생리컵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3의 삽입형 생리컵의 컵 본체가 내측으로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생리컵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 구조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삽입형 생리컵의 컵 본체가 내측으로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생리컵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 라인을 따라 전단한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생리컵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삽입형 생리컵(10)은 생리혈이 수용 되도록 내부 공간인 저장부(102)를 갖는 컵 본체(100)와, 컵 본체(100)의 하단부와 연결된 배출관(110)을 포함하되, 컵 본체(100)의 내부에 배출홈(103)이 구비되고, 배출관(110)은 개폐 돌기(120)를 포함한다.
컵 본체(10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개구되어 컵 본체(100)를 이루는 측벽이 저장부(102)를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컵 본체(100)는 상단 개구(101)의 외경보다 하단부의 외경이 작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컵 본체(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단 개구를 통해서 배출관(110)이 연결되고, 배출관(110)을 컵 본체(100)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에 컵 본체(100)의 저장부(102)에 수용된 생리혈이 컵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컵 본체(100)에서 배출관(110)을 향하는 종방향을 따라, 컵 본체(100)의 상단 개구(101)와 하단부 사이에 제1 절곡부(ST1)가 구비되어 컵 본체(100)는 제1 마디부(100A)와 제2 마디부(100B)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 마디부(100A)와 제2 마디부(100B)의 경계가 제1 절곡부(ST1)가 되고, 제1 절곡부(ST1)에 해당하는 컵 본체(100)의 측벽 두께는 제1 마디부(100A)와 제2 마디부(100B) 각각에 해당하는 컵 본체(100)의 측벽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디부(100B)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컵 본체(100)의 외경의 감소율이, 제1 마디부(100A)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컵 본체(100)의 외경의 감소율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컵 본체(100)의 최하단부와 배출부(110)의 연결 부분에 제2 절곡부(ST2)가 구비되고, 제2 절곡부(ST2) 또한 제1 절곡부(ST1)와 같이 제1 마디부(100A)와 제2 마디부(100B)에 해당하는 컵 본체(100)의 측벽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곡부(ST1)가 제1 마디부(100A)에서부터 배출관(1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고, 제2 절곡부(ST2)는 제1 절곡부(ST1)의 절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2 마디부(100B)에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절곡부(ST1, ST2)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생리혈 배출 시에 컵 본체(100) 측으로 가압되면 제1 절곡부(ST1)에 의해 제2 마디부(100B)가 컵 본체(10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제2 절곡부(ST2)에 의해 배출관(110)이 컵 본체(100)의 저장부(102) 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생리컵(10)을 착용하는 경우의 배출관(110)이 폐쇄되는 과정과, 이와 반대로 배출관(110)을 다시 개방시켜 생리혈을 배출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컵 본체(100)에서, 배출홈(103)은 배출관(110)으로 생리혈이 배출될 때 생리혈이 컵 본체(100)에서 배출관(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생리혈을 가이드하면서, 생리혈이 응고되거나 인체의 분비물에 의해서 배출관(1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배출홈(103)은 제2 마디부(100B)에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배출홈(103)은 서로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배출홈(103)이 두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총 4개의 배출홈(103)이 제2 마디부(100B)의 내측벽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배출홈(103)의 개수나 배치는 여기에 언급한 것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배출홈(103)은 제1 마디부(100A)의 하단부의 내측벽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홈(103)은 제1 마디부(100A)의 하단부의 내측벽면에 음각으로 형성되는데,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홈을 형성하는 공간이 렌티큘러 렌즈 형태(정점이 라운드진 프리즘 형태)이거나, 프리즘 형태일 수 있다. 배출홈(103)의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02)에 수용된 생리혈이 제1 마디부(100A)의 내측벽을 타고 제2 마디부(100B)에 도달하는데, 배출홈(103)의 제1 단부(SP)는 제1 마디부(100A)의 하단부이고, 제1 단부(SP)의 타측 단부인 제2 단부(EP)는 제1 마디부(100A)의 최하단부이기 때문에, 배출홈(103)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생리혈의 일부가 배출홈(103)의 제1 단부(SP)로 유입되어 배출홈(103)의 연장방향을 따라 유동한 후 제2 단부(EP)에 도달하게 된다. 제2 단부(EP)에 도달한 생리혈은 제2 단부(EP)를 통해서 제2 절곡부(ST2)의 절곡된 방향을 따라 배출관(110)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배출홈(103)이 없는 경우에는, 오직 컵 본체(110)의 하단 개구가 저장부(102)에서 배출관(110)으로 생리혈을 배출할 수 있는 메인 배출경로인데, 생리혈의 응고체나 인체에서 배출된 분비물이 컵 본체(100)의 하단 개구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막게 되면 저장부(102)에서 배출관(110)으로 생리혈을 배출하는데 문제가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배출홈(103)을 포함하는 경우, 컵 본체(110)의 하단 개구가 적어도 일부 막히더라도, 배출홈(103)의 제2 단부(EP)가 배출관(110)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리혈은 저장부(102)에서 배출관(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생리혈의 배출 시에 컵 본체(100)의 하단 개구에서 생리혈의 응고체나 분비물에 의해서 막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배출홈(103)을 통해서 저장부(102)에서 배출관(110)으로의 배출 경로가 완전히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관(110)은 컵 본체(100)의 하단부에 연통되고, 소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배출관(110)은 저장부(102)에 수용된 생리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공을 갖는 튜브 형태이고, 제2 절곡부(ST2)를 통해서 배출관(110)이 컵 본체(100)와 연결된다. 배출홈(103)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생리혈이 제2 단부(EP)를 통해서 제2 절곡부(ST2)의 절곡된 방향을 따라 배출관(110)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개폐 돌기(120)는 배출관(110)의 내주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데, 개폐 돌기(120)는 배출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호 근접하는 제1 영역(121), 제1 영역(121)으로부터 배출관(110)의 하단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개폐 돌기(120)가 최대로 근접하는 제2 영역(122), 및 제2 영역(122)으로부터 배출관(110)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제3 영역(123)을 포함한다.
개폐 돌기(120)는 배출관(11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배출관(110)의 외 부로부터 컵 본체(100)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절곡부들(ST1, ST2)가 각각 절곡됨으로써 배출관(110)이 컵 본체(100)의 저장부(102) 측으로 밀려들어감과 동시에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개폐 돌기(120)는 근접하다가 최종적으로는 서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배출관(110)이 폐쇄된다. 개폐 돌기(120)에 의한 배출관(110)의 폐쇄라 함은, 저장부(102)에 저장되는 생리혈 등이 배출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배출관(110)이 외력에 의해 컵 본체(100) 측으로 가압되기 전에는 배출관(110)에서부터 개폐 돌기(120) 사이를 통해 컵 본체(100) 측으로 공기의 입출이 가능하지만, 가압된 후에는 개폐 돌기(120) 사이의 이격 공간이 없어져 개폐 돌기(120)의 폐쇄 상태로 인해 배출관(110)이 폐쇄될 수 있는 것이다.
개폐 돌기(120)가 폐쇄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컵 본체(100) 및 배출관(110)은 유연성을 갖는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연성을 갖는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배출관(110)이 외력에 의해 컵 본체(100) 측으로 수축되는 과정에서 배출관(110)이 외력에 의해 수축되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해 개폐 돌기(120)가 상호 근접하게 되므로 폐쇄되게 된다.
배출관(110)을 컵 본체(100) 측으로 가압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컵 본체(100)의 제1 및 제2 마디부(100A, 100B)와 배출관(110)의 원활한 절곡 작동을 위해서, 개폐 돌기(120)를 제2 절곡부(ST2)보다 하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절곡부(ST2)의 하부에 개폐 돌기(120)의 제1 내지 제3 영역들(121, 122, 12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제2 영역(122)의 간격(d)이 이루는 횡단면 형상은 타원형 또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배출관(110)에 외력이 작용하면 소정의 탄성 변형을 일으키며 개폐 돌기(120)의 폐쇄 작동이 원활하게 된다.
배출관(11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논슬립 부재(130)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논슬립 부재(130)는 배출관(110)의 왕복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 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배출관(110)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가압하는 과정에서 배출관(1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1 내지 3의 삽입형 생리컵의 손잡이부가 내측으로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도 1 내지 3과 함께 참조하면, 도 4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삽입형 생리컵(10)을 질 내에 삽입하고자 할 때에, 배출관(110)의 외주면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컵 본체(100) 측으로 가압하면 배출관(110)이 컵 본체(100) 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2 마디부(100B)가 제1 절곡부(ST1)을 중심으로 컵 본체(100)의 저장부(102) 측으로 절곡된다. 이때, 제2 절곡부(ST2)에 의해 배출관(110)의 상측이 제2 마디부(100B)의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배출관(110)의 상측이 컵 본체(100)의 저장부(102) 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2 마디부(100B)의 내측으로의 회전력에 의해 배출관(110) 의 외주면에 소정 외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배출관(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폐 돌기(120)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종국에는 개폐 돌기(120)의 제2 영역(121)이 형성하는 간격(d)이 0으로 수렴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관(110)의 상승에 따라 제2 마디부(100B)로부터 가해지는 내측 가압력에 의해 개폐 돌기(120)가 서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배출관(110)이 폐쇄되고, 컵 본체(100)의 저장부(102)에 수용된 생리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신체에 삽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컵 본체(100)의 저장부(102)에 수용된 생리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저장부(102)에 수용된 생리혈을 외부로 배출하고 생리컵(10)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컵 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배출관(110)을 컵 본체(100)의 반대측, 즉, 신체에서 먼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의 역순에 따라 개폐 돌기(120)가 개방되어 배출관(110)이 개방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상태가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저장부(102)에 수용된 생리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개폐 돌기(12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컵 본체(110)의 하단 개구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막히더라도, 컵 본체(110)에 구비된 배출홈(103)의 제2 단부(EP)가 배출관(110)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리혈은 저장부(102)에서 개방된 상태의 배출관(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생리혈 배출 시, 컵 본체(100)의 하단 개구에서 생리혈의 응고체나 분비물에 의해서 막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배출홈(103)을 통해서 배출홈(103)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생리혈이 제2 단부(EP)를 통해서 제2 절곡부(ST2)의 절곡된 방향을 따라 배출관(110)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되므로, 저장부(102)에서 배출관(110)으로의 배출 경로가 완전히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삽입형 생리컵(10)을 사용 시에는 저장부(102)에 수용된 생리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컵 본체(100)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출관(110)을 당기기만 하면 개폐 돌기(120)가 개방되어 배출관(120)을 통해서 최종적으로는 생리혈이 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간편한 작동이 가능해진다. 이때, 컵 본체(100)에 형성된 배출홈(103)이 저장부(102)에서 배출관(110)으로의 배출 경로가 완전히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생리컵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 구조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의 삽입형 생리컵(11)은, 배출홈(103)이 없고 걸림 돌기(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의 삽입형 생리컵(11)의 사시도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였으며, 차이가 있는 구조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a)는 걸림 돌기가 한 쌍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두 쌍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생리컵(11)은 상단 개구(101)를 통해 생리혈이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인 저장부(102)를 갖는 컵 본체(100)와, 컵 본체(100)의 하단부와 연결된 배출관(110)을 포함하되, 컵 본체(100)의 내부에 걸림 돌기(113)가 구비되고, 배출관(110)은 개폐 돌기(120)를 포함한다.
컵 본체(100)에서, 걸림 돌기(113)는 배출관(110)으로 생리혈이 배출될 때 생리혈 응고체나 인체의 분비물에 의해서 배출관(1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생리혈이 컵 본체(100)에서 배출관(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생리혈을 가이드할 수 있다.
걸림 돌기(113)는 컵 본체(100)의 내측벽면에 연결된 고정부로부터 저장부(102)를 향하도록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컵 본체(1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각 걸림 돌기(113)의 걸림부들끼리 서로 마주하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된다. 서로 마주하는 걸림 돌기(113)들의 걸림부들 사이의 거리는, 컵 본체(100)의 하단 개구의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이보다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관(120)의 내측벽의 표면이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 돌기(113)의 걸림부와 상하방향으로 일치할 수 있다.
걸림 돌기(113)의 걸림부는 저장부(102)에서 공중에 떠 있게 되는데, 배출관(110)으로 생리혈이 배출될 때 생리혈은 한 쌍의 걸림 돌기(113) 사이를 지나서 배출관(110)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생리혈 응고체나 인체의 분비물은 서로 마주하는 걸림 돌기(113) 상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 돌기(113)가 생리혈 응고체나 인체의 분비물의 배출관(110)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게 되고, 배출관(1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걸림 돌기(113) 각각의 걸림부는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타단이 서로 이격된 2 이상의 미세판들로 구성된다. 1개의 걸림부에서, 미세판들은 2 내지 4개일 수 있다. 미세판들은 걸림 돌기(113)의 고정부에서 걸림부를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걸림부가 서로 이격된 미세판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걸림부에는 생리혈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미세판들 사이로 생리혈이 통과할 수 있고, 미세판들이 전체적으로 걸림 돌기(113)의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걸림부의 미세판들의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개발되어 있는 형태인, 빗(comb) 형태, 갈퀴형태 또는 포크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판들이 걸림부를 형성하는 걸림 돌기(113)가 컵 본체(100)의 내측벽면에 형성됨으로써 생리혈 배출 시에 생리혈 응고체나 인체의 분비물이 저장부(102)에서 배출관(110)을 향하더라도, 컵 본체(100)의 하단 개구를 막기 전에 걸림 돌기(113)가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미세판들의 이격 공간 사이로 생리혈이 통과할 수 있어 배출관(1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마디부들(100A, 100B)을 포함하는 컵 본체(100)에서 걸림 돌기(113)는 제2 마디부(100B)에 구비될 수 있다. 걸림 돌기(113)는 지면으로부터 경사져 있는 제2 마디부(100B)의 측벽에서부터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고정부가 제2 마디부(100B)에 고정되되, 제2 마디부(100B)의 측벽과는 이격 공간을 형성하므로, 제1 마디부(100A)에서부터 제2 마디부(100B)의 상단부 측벽으로 이동한 생리혈이 미세판들 사이로 통과한 후, 다시 제2 마디부(100B)의 하단부 측벽을 따라 배출관(110)으로 용이하게 흘러들어가게 된다. 비록, 생리혈 응고체나 인체의 분비물이 저장부(102)에서 배출관(110)을 향하더라도, 생리혈이 미세판들 사이로 통과한 후, 다시 제2 마디부(100B)의 하단부 측벽을 따라 배출관(110)으로 용이하게 흘러들어갈 수 있다.
도 6의 (a)와 같이 걸림 돌기(113)가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제2 마디부(100B)에 구비될 수 있고, (b)와 같이 걸림 돌기(113)가 두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총 4개의 걸림 돌기(113)가 제2 마디부(100B)의 내측벽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걸림 돌기(113)의 개수나 배치는 여기에 언급한 것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도 5의 삽입형 생리컵의 컵 본체가 내측으로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되, 도 5의 삽입형 생리컵(11)에서 개폐 돌기(120)의 접촉에 의한 배출관(110)의 폐쇄는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살펴본 삽입형 생리컵(11)에 따르면, 컵 본제(102)의 내부에 걸림 돌기(113)를 구비함으로써, 생리혈 배출 시에 생리혈 응고체나 인체의 분비물이 저장부(102)에서 배출관(110)을 향하더라도, 컵 본체(100)의 하단 개구를 막기 전에 걸림 돌기(113)가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걸림 돌기(113)의 미세판들의 이격 공간 사이로 생리혈이 통과할 수 있어 배출관(1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생리컵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C 라인을 따라 전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의 삽입형 생리컵(12)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배출홈(103)과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걸림 돌기(113)를 모두 구비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시한 도면으로, 걸림 돌기(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삽입형 생리컵(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8 및 도 9에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삽입형 생리컵(12)의 컵 본체(102)에서, 저장부(102)에 수용된 생리혈을 배출시킬 때, 제1 마디부(100A)에서부터 제2 마디부(100B)의 상단부 측벽으로 이동한 생리혈이 걸림 돌기(113)의 미세판들 사이로 통과한 후, 다시 제2 마디부(100B)의 하단부 측벽을 따라 배출관(110)으로 용이하게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때, 제2 마디부(100B)의 측벽을 따라 생리혈이 흐를 때, 배출홈(103)이 그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는 동시에, 생리혈 응고체나 인체의 분비물이 저장부(102)에서 배출관(110)을 향하더라도, 걸림 돌기(113)가 이들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고, 생리혈은 배출홈(103)과 걸림 돌기(113)의 미세판들 사이로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관(1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걸림 돌기(113) 및 배출홈(103)에 의해서 생리혈의 배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 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 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컵 본체 101: 컵 본체 상단 개구
102: 저장부 103: 배출홈
SP, EP: 제1, 제2 단부 112: 배출구
110: 배출관 120: 개폐 돌기
121, 122, 123: 제1, 제2, 제3 영역
130: 논슬립 부재

Claims (19)

  1. 상단 개구보다 외경이 작은 하단 개구가 측벽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생리혈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측벽의 내측벽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배출홈이 형성된 컵 본체; 및
    상기 컵 본체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상기 컵 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내주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개폐 돌기가 구비되며, 개폐 돌기가 접촉하는 경우 폐쇄되고 이격되는 경우 개방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홈은 상기 컵 본체의 내측 벽면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 돌기가 이격되어 배출관이 개방되는 경우에 생리혈이 상기 컵 본체의 내측벽면으로부터 배출관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에 응고된 생리혈이나 신체의 분비물이 생리혈과 함께 상기 배출관을 향해 상기 컵 본체에서부터 이동하는 경우,
    응고된 생리혈이나 신체의 분비물이 상기 컵 본체의 하단 개구를 막더라도 생리혈은 상기 배출홈을 따라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외부로부터 상기 컵 본체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배출관이 상기 컵 본체 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상기 배출관에 구비된 한 쌍의 개폐 돌기가 서로 접촉하여 상기 배출관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4. 제1항에 있어서,
    2 이상의 배출홈들은 상기 컵 본체의 내측벽면에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5. 제1항에 있어서,
    2 이상의 배출홈들은 상기 컵 본체의 중심부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 돌기는,
    상기 배출관의 상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호 근접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배출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돌기가 상호 최대로 근접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배출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돌기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를 상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마디부로 구획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컵 본체의 제2 마디부와 배출관 사이에 구비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홈은 상기 제2 마디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2 절곡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2 마디부가 상기 배출관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도 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부의 절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 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 절곡부는 상기 제1 및 제2 마디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벽면에서 각각에서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구비된 한 쌍의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11. 제10항에 있어서,
    두 쌍의 배출홈이 상기 컵 본체에 구비된 경우,
    한 쌍의 배출홈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걸림 돌기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12. 제10항에 있어서,
    각 걸림 돌기는 컵 본체의 내측벽면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컵 본체의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생리혈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틈을 형성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미세틈을 형성하도록 상기 걸림 돌기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되, 각각의 일단부들이 서로 하나로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들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걸림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빗형(comb typ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에 응고된 생리혈이나 신체의 분비물이 생리혈과 함께 상기 배출관을 향해 상기 컵 본체에서부터 이동하는 경우, 생리혈은 걸림부의 미세틈을 통해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응고된 생리혈이나 신체의 분비물은 상기 걸림부의 상부에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16. 상단 개구보다 외경이 작은 하단 개구가 측벽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생리혈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히고, 서로 마주하는 측벽의 내측벽면의 각각에서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구비된 한 쌍의 걸림 돌기가 형성된 컵 본체; 및
    상기 컵 본체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상기 컵 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내주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개폐 돌기가 구비되며, 개폐 돌기가 접촉하는 경우 폐쇄되고 이격되는 경우 개방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삽입형 생리컵.
  17. 제16항에 있어서,
    각 걸림 돌기는 컵 본체의 내측벽면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컵 본체의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생리혈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틈을 형성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미세틈을 형성하도록 상기 걸림 돌기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되, 각각의 일단부들이 서로 하나로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들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2 이상의 걸림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 돌기는,
    상기 배출관의 상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호 근접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배출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돌기가 상호 최대로 근접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배출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개폐돌기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의 외부로부터 상기 컵 본체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배출관이 상기 컵 본체 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상기 배출관에 구비된 한 쌍의 개폐 돌기가 서로 접촉하여 상기 배출관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KR1020180098701A 2018-08-23 2018-08-23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 KR20200022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01A KR20200022720A (ko) 2018-08-23 2018-08-23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01A KR20200022720A (ko) 2018-08-23 2018-08-23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20A true KR20200022720A (ko) 2020-03-04

Family

ID=6978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701A KR20200022720A (ko) 2018-08-23 2018-08-23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7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501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길이 조절형 생리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24B1 (ko) 2009-07-27 2010-08-02 (주)그린실리콘 삽입형 생리 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24B1 (ko) 2009-07-27 2010-08-02 (주)그린실리콘 삽입형 생리 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501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오렌지메딕스 길이 조절형 생리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7115B2 (ja) オストミー器具
KR100973524B1 (ko) 삽입형 생리 컵
KR101186770B1 (ko) 신체 분비물 포착 물품
EP3613390A1 (en) Menstrual cup capable of being easily removed
US5687429A (en) Urinal
RU2387430C2 (ru)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EP3200734A1 (en) Hygiene device
EP1695680A1 (en) A tampon applicator
JP2016523151A (ja) 尿を収集するためのバッグ
CN202908901U (zh) 月经杯
CN103705331B (zh) 月经杯
KR101961471B1 (ko) 생리컵용 역류방지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컵
KR20200022720A (ko)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
CN103705332B (zh) 卫生杯
KR101841438B1 (ko)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TWM593251U (zh) 月亮杯、月亮杯輔助裝置及月亮杯的組合
US9592166B2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fluid distributing structure
KR101938996B1 (ko) 삽입형 생리컵
KR102268427B1 (ko)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한 밀봉형 생리컵
KR200481718Y1 (ko)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KR20200022892A (ko)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
KR101991669B1 (ko) 생리혈 수용부와 배출부의 결합구조
JP2012152391A (ja) 男性用排泄補助物品
US20240033121A1 (en) Menstrual cup
KR102453409B1 (ko) 생리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