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607B1 - 동요완구 - Google Patents
동요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0607B1 KR101840607B1 KR1020170137187A KR20170137187A KR101840607B1 KR 101840607 B1 KR101840607 B1 KR 101840607B1 KR 1020170137187 A KR1020170137187 A KR 1020170137187A KR 20170137187 A KR20170137187 A KR 20170137187A KR 101840607 B1 KR101840607 B1 KR 1018406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herical
- ball body
- arrangement
- tower
- b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8—Chain-reaction games with toppling pieces; Dispensers or positioning devic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6—Balancing games, i.e. bringing elements into or out of balan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A63F7/2409—Apparatus for projecting the balls
- A63F7/249—Apparatus for projecting the balls projecting the playing bodies through the air, e.g. with a jump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0—Details of the playing surface, e.g. obstacles; Goal posts; Targets; Scoring or pocketing devices; Playing-body-actuated sensors, e.g. switches; Tilt indicators; Means for detecting misuse or erro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18—Toy swinging chairs; Rocking-figure t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동요하여 밸런스를 잃은 경우의 액션이, 종래보다도 더욱 즐거운 동요완구를 제공한다.
동요완구(10)는, 접지하는 부위가 천이 가능한 베이스 부재(20)와,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세워지는 통형상의 타워 부재(10)와, 볼체(50)가 배치되는 볼체 배치부(40)와, 구체(80)가 배치되는 구체 배치부(61, 71)와 볼체(50)가 부딪치는 볼체 타당부(62, 72)를 구비하는 구체 배치 부재(60, 70)를 가지며, 구체 배치 부재(60, 70)는 타워 부재(10)에 요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볼체(50)는, 베이스 부재(20)의 접지 상태에 응하여 볼체 배치부(40)로부터 이탈하여 타워 부재(10)의 내부를 통과한다.
동요완구(10)는, 접지하는 부위가 천이 가능한 베이스 부재(20)와,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세워지는 통형상의 타워 부재(10)와, 볼체(50)가 배치되는 볼체 배치부(40)와, 구체(80)가 배치되는 구체 배치부(61, 71)와 볼체(50)가 부딪치는 볼체 타당부(62, 72)를 구비하는 구체 배치 부재(60, 70)를 가지며, 구체 배치 부재(60, 70)는 타워 부재(10)에 요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볼체(50)는, 베이스 부재(20)의 접지 상태에 응하여 볼체 배치부(40)로부터 이탈하여 타워 부재(10)의 내부를 통과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요완구(動搖玩具)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하면을 구면형상(球面狀)으로 형성한 베이스의 위에 타워 등의 구조물을 세우고, 탁상 등에 재치하여 흔들어 움직여서 놀 수 있는 동요완구가 개시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동요완구는, 베이스의 위에 타워를 마련하고, 이 타워의 외주에 환형상(環狀)의 구체(駒體) 재치부가 형성된다. 이 동요완구는, 복수의 사용자가 차례로 구체 재치부의 임의의 위치에 구체를 재치하고, 어느 하나의 사용자의 순번인 때에 재치한 구체가 동요완구로부터 굴러 떨어지면 당해 사용자의 패배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베이스상의 구조물이 산형상(山狀)으로 형성되고, 이 산형상의 부위에, 구체를 재치하기 위한 평탄부를 계단식밭형상(段段畑狀)으로 형성한 동요완구가 개시된다. 특허문헌 3에는, 베이스상의 타워에 구체를 매다는 매담편(片)이 복수 형성된 동요완구가 개시된다. 특허문헌 4에는, 베이스상에 형성한 타워가, 밸런스를 잃으면 좌우로 분할하여 쓰러짐에 의해, 재치된 구체를 떨어뜨리는 동요완구가 개시된다.
종래의 동요완구는, 베이스상의 구조물의 동요에 의해 구체가 떨어지거나, 베이스상의 구조물이 동작하거나 한다. 그렇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동요완구가 동요하고 밸런스를 잃음에 의해, 더욱 큰 액션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요하여 밸런스를 잃은 경우의 액션이, 종래보다도 더욱 즐거운 동요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관한 동요완구는, 접지하는 부위가 천이(遷移) 가능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세워지는 통형상의 타워 부재와, 볼체(ball體)가 배치된 볼체 배치부와, 구체(駒體)가 배치된 구체 배치부와 상기 볼체가 부딪치는 볼체 타당부(打當部)를 구비하는 구체 배치 부재를 가지며, 상기 구체 배치 부재는, 상기 타워 부재에 요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상기 볼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접지(接地) 상태에 응하여 상기 볼체 배치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타워 부재의 내부를 통과한다.
상기한 양태에 의하면, 동요완구의 동요에 의해 볼체가 이동하여 구체가 튀어오르는 액션을 하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더욱 즐거운 동요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의 타워 부재의 일부인 상부 원통과, 접속 링과, 제2 중간 원통과, 1개의 구체 배치 부재를 도시하는 타워 부재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의 도 1의 Ⅳ-Ⅳ 단면에서 타워 부재(상부 원통, 접속 링, 제2 중간 원통)의 일부와 구체 배치 부재를 단면(斷面)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의 구체 배치 부재의 볼체 타당부에 볼체가 부딪치는 양상을 도시하는, 도 4에 상당하고, 타워 부재(상부 원통, 접속 링, 제2 중간 원통)의 일부와 구체 배치 부재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의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의 볼체 배치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의 타워 부재의 일부인 상부 원통과, 접속 링과, 제2 중간 원통과, 1개의 구체 배치 부재를 도시하는 타워 부재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의 도 1의 Ⅳ-Ⅳ 단면에서 타워 부재(상부 원통, 접속 링, 제2 중간 원통)의 일부와 구체 배치 부재를 단면(斷面)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의 구체 배치 부재의 볼체 타당부에 볼체가 부딪치는 양상을 도시하는, 도 4에 상당하고, 타워 부재(상부 원통, 접속 링, 제2 중간 원통)의 일부와 구체 배치 부재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의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동요완구의 볼체 배치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동요완구(10)는, 개략 접시형상(皿狀)으로 형성되고 하면을 구면형상(球面狀)으로 하는 베이스 부재(20)와, 이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세워지는 개략 원통형상(圓筒狀)의 타워 부재(30)와, 볼체(50)가 배치되는 볼체 배치부(40)를 구비한다. 타워 부재(30)의 외주에는, 인형(人形)을 모방한 인형형상(人形狀)의 본체(81)와 원판형상(圓板狀)의 저면 플레이트(82)를 구비하는 구체(80)가 배치 가능한 복수의 구체 배치 부재(60, 70)가 요동 자유롭게 마련된다.
이 동요완구(10)에 의한 놀이 방식은, 예를 들면, 복수인의 사용자가 차례로 구체(80)를 구체 배치 부재(60, 70)에 태운다. 그러면, 구체(80)의 배치의 밸런스에 응하여 동요완구(10)가 동요한다. 그리고, 동요완구(10)가 크게 경사하면, 볼체 배치부(40)에 재치되어 있는 볼체(50)가 타워 부재(30)의 내부에 낙하한다. 볼체(50)가 타워 부재(30)의 내부로 낙하하면, 구체 배치 부재(60, 70)의 후술하는 볼체 타당부(62, 72)에 볼체(50)가 부딪치고, 구체 배치 부재(60, 70)의 후술하는 구체 배치부(61, 71)가 튀어올라, 구체(80)가 날려진다. 이와 같이 하여, 구체 배치 부재(60, 70)에 재치된 구체(80)를 날린 사용자가 패배하게 된다.
다음에, 동요완구(10)의 각 부분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 부재(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면에 볼록구면형상(凸球面狀)의 천이접지부(遷移接地部)(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천이접지부(21)는, 동요완구(10)가 흔들려 움직임에 따라, 탁상 등의 설치면과 접지하는 부위가 천이접지부(21)의 면상에서 천이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이접지부(21)에 대응하는 베이스 부재(20)의 상면은 오목부로 되어 있고, 그 오목부의 외주연에는 C환형상(環狀)으로 구체 재치면(22)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80)는, 구체 재치면(22)에 재치하여 둘 수 있다. 또한, C환형상의 구체 재치면(22)의 잘린 곳에는, 볼체 배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볼체 배출부(23)는, 베이스 부재(20)의 중앙측으로 내려가는 경사면(2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타워 부재(30)의 볼체 배출구(31)로부터 배출된 볼체(50)가 스무스하게 배출된다.
베이스 부재(20)의 상면의 중앙에는, 볼체 배출 부재(90)가 고정되어 있다. 볼체 배출 부재(90)는, 개략 원통형상의 타워 부재(3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방부터 낙하하는 볼체(50)를 받을 수 있다. 볼체 배출 부재(90)의 상면에는, 2개의 리브형상의 볼체 배출 가이드(91)가 형성된다. 볼체 배출 가이드(91)는, 외방향측이 아래가 되도록 경사하고, 이 경사 방향이 볼체 배출부(23)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볼체 배출 가이드(91)에 받아진 볼체(50)는, 볼체 배출구(31)를 통하여 볼체 배출부(23)를 향하여 유도된다. 또한, 볼체 배출 가이드(91)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추(錘)가 마련되어 있어서, 동요완구(10)가 용이하게 쓰러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베이스 부재(20)의 개략 중앙에는, 개략 원통형상의 타워 부재(30)가 세워져 있다. 타워 부재(30)는, 복수의 통체(筒體)인 원통형상의 부재(하부 원통(32), 제1 중간 원통(34), 제2 중간 원통(35), 상부 원통(36), 도입 부재(37))나 중간 링(접속 링(33a, 33b, 33c))이 고정적으로 접속하여 조합되어 형성된다. 베이스 부재(20)에는, 볼체 배출 부재(90)의 외주에 베이스 부재(20)의 상면에서 C환형상으로 타워 기부(基部)(24)가 세워져 있다. 최하단의 하부 원통(32)은, 타워 기부(24)와 접속하여 고정되어 있다. 타워 기부(24)의 C환형상의 잘린 곳과, 하부 원통(32)의 측면의 개구부에 의해, 볼체 배출구(31)가 형성된다.
하부 원통(32)은, 하부 원통(32)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1 중간 원통(34)과 접속 링(33a)을 통하여 접속된다. 제1 중간 원통(34)은, 제1 중간 원통(34)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 중간 원통(35)과 접속 링(33b)을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제2 중간 원통(35)은, 제2 중간 원통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원통(36)과 접속 링(33c)을 통하여 접속된다. 상부 원통(36)은, 상부 원통(36)의 상방에 위치하여, 유발(乳鉢)형상으로 상방으로 확경되는 도입 부재(37)가 접속된다. 이 도입 부재(37)에 의해, 볼체 배치부(40)를 이탈하는 볼체(50)를 타워 부재(30)의 중심에 유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원통(36)의 통본체(筒本體)(36a)의 하단에는, 통본체(36a)보다도 축경한 축경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축경부(36b)에는, 상부 원통(36)과 하측에서 접속되는 접속 링(33c)의 후술하는 지점 지지부(33c3)에 대응한 노치부(36b1)가 형성된다. 노치부(36b1)의 상방의 통본체(36a)에는, 노치부(36b1)와 연속한 노치 홈부(36a1)가 형성된다. 축경부(36b)는, 접속 링(33c)의 내측에 감입(嵌入)되어, 통본체(36a)와 축경부(36b)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부(段部)(36a2)와 접속 링(33c)의 상단이 당접(當接)한다. 그리고, 이에 의해 상부 원통(36)은 접속 링(33c)에 고정하여 접속된다. 또한, 접속 링(33c)의 하단에는 확경된 확경부(33c1)와, 단부(33c2)가 형성된다. 이 확경부(33c1)의 내측에 제2 중간 원통(35)의 상부가 감입되어, 단부(33c2)에 제2 중간 원통(35)의 상단이 당접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제2 중간 원통(35)은 접속 링(33c)에 대해 고정하여 접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접속 링(33c)에 대해 상부 원통(36) 및 제2 중간 원통(35)이 접속하는 접속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접속 링(33c)에는, 4개소에 지점 지지부(33c3)가 형성되어 있다. 4개소의 지점 지지부(33c3)는, 위에서 볼 때(上面視) 방사형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지점 지지부(33c3)에 대응하여, 노치부(36b1) 및 노치 홈부(36a1)도 4개소에 형성된다.
하부 원통(32) 및 제1 중간 원통(34)과 접속 링(33a)과의 접속 구조, 제1 중간 원통(34) 및 제2 중간 원통(35)과 접속 링(33b)과의 접속 구조는, 전술한 상부 원통(36) 및 제2 중간 원통(35)과 접속 링(33c)과의 접속 구조와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그리고, 접속 링(33a, 33b)에는, 지점 지지부(33a3, 33b3)가 각각 3부분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링(33c)의 지점 지지부(33c3)와 마찬가지로, 각 3개소의 지점 지지부(33a3, 33b3)는, 위에서 볼 때 방사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 원통(36)의 상부에는, 원통 내면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계지(係止) 오목부(36c)가 방사형상으로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입 부재(37)의 하단에는, 원통형상으로 삽입부(37a)가 형성되고, 삽입부(37a)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계지 볼록부(37b)가 계지 오목부(36c)에 대응하여 4개소에 형성된다. 도입 부재(37)는, 계지 오목부(36c)에 계지 볼록부(37b)를 삽입하여, 상부 원통(36)에 고정된다. 그리고, 볼체 배치부(40)가 부착된 상태의 도입 부재(37)는, 상부 원통(36)에 대한 둘레방향의 위치를 90°마다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를 변경함에 의해, 게임 시작 전의 동요완구(10)가 개략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원통(32), 제1 중간 원통(34), 제2 중간 원통(35) 및 상부 원통(36)에는, 각각 계지 볼록부(예를 들면, 도 3에서의 부호 36b2나 35b2)가 형성된다. 또한, 접속 링(33a, 33b, 33c)에는, 각 계지 볼록부(부호 36b2 등)에 대응하여 계지 오목부(예를 들면, 도 3에서의 부호 33c4)가 형성된다. 이들의 각 계지 볼록부(부호 36b2 등)는, 각 계지 오목부(부호 33c4)와 계지하여, 원통(32∼36)과 접속 링(33a∼33c)과의 둘레 방향의 회전멈춤이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타워 부재(30)에 요동 자유롭게 마련된 구체 배치 부재(60, 7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구체 배치 부재(60)와 구체 배치 부재(70)는, 구체 배치부(61, 71)의 형상이 다를 뿐이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구체 배치 부재(7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구체 배치 부재(70)의 단측(端側)에는, 지점(支點)(73)을 끼우고 원판형상의 구체 배치부(71)와 볼체 타당부(72)가 형성된다. 볼체 타당부(72)는, 타워 부재(30)의 내부를 낙하하는 볼체(50)가 부딪친다. 구체 배치부(71)와 볼체 타당부(72)는, 판형상의 접속판(7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지점(73)은, 이 접속판(74)의 하면에, 폭방향 양측으로 축이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볼체 타당부(72)는, 접속판(74)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하여 형성된다. 볼체 타당부(72)의 상면에는, 세로 리브(75a)가 형성된다. 세로 리브(75a)는, 옆에서 볼 때(側面視) 원호형상으로에 형성된다. 접속판(74)의 상면에는, 구체 배치 부재(70)의 길이 방향으로 연설(延設)되어 세로 리브(75a)와 연속하는 상면 보강 리브(75b)가 형성된다.
그리고, 구체 배치부(71)와 접속판(74)의 경계 부근의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연설된 규제 리브(75c)가 형성된다. 또한, 구체 배치부(71)로부터 접속판(74)에 걸치는 하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회동 규제 리브(76)가 폭방향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구체 배치부(71)의 상면에는, 선단부에 돌기(77a)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구체 배치부(71)의 폭방향의 연부 부근에는, 돌기(77b, 77c)가 형성된다.
또한, 구체 배치 부재(60)에서도 마찬가지로, 구체 배치 부재(60)는, 사각판형상의 구체 배치부(61), 볼체 타당부(62), 지점(63), 접속판(64), 세로 리브(65a), 상면 보강 리브(65b), 규제 리브(65c), 회동 규제 리브(66), 돌기(67a, 67b, 67c)를 구비한다(도 4 참조).
다음에, 구체 배치 부재(60, 70)가 타워 부재(30)에 지지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 각 구체 배치 부재(60, 70)는, 같은 구조로 타워 부재(30)에 지지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원통(36)과 접속 링(33c)에 의해 지지되는 구체 배치 부재(60)를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Ⅳ-Ⅳ 단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체 배치 부재(60)는, 지점(63)의 축이 지점 지지부(33c3)에 요동 자유롭게 축지(軸支)된다. 지점 지지부(33c3)의 상방부터는, 상부 원통(36)의 노치부(36b1)가 덮여서, 구체 배치 부재(60)의 상방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세로 리브(65a)는, 노치 홈부(36a1)(도 3 참조)에 의해 통본체(36a)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따라서, 상부 원통(36)과 접속 링(33c)의 접속 후에 구체 배치 부재(60)를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조립의 편리성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정상 상태에서는, 지점 지지부(33c3)의 외측면(33c5)과, 회동 규제 리브(66)의 배면이 당접하여, 도 4에서의 지점(63)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방향의 회동(환언하면, 구체 배치부(61)의 하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도 4의 정상 상태에서는, 구체 배치부(61)는, 옆에서 볼 때 수평면부터 하방으로 각도(α)로 경사하여 있다. 구체적으로는, α는, 2도∼3도 정도의 각도가 된다. 따라서, 구체 배치부(61)에 구체(80)를 재치한 경우에는, 구체(80)가 타워 부재(30)에 대해 외방향으로 약간 경사하여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체 배치 부재(60, 70)는, 볼체 타당부(62, 72)가 타워 부재(30)의 통형상 내부에 배치되고, 구체 배치부(61, 71)가 타워 부재(30)의 외부에 배치된다.
또한, 구체 배치부(61)에 배치된 구체(80)는, 돌기(67a, 67b, 67c)에 구체(80)의 저면 플레이트(82)가 당접 가능하다. 따라서, 구체 배치부(61)로부터 구체(80)가 미끄러 떨어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규제 리브(65c)에 저면 플레이트(82)가 당접 가능함에 의해, 구체 배치부(61)에 배치된 구체(80)가 타워 부재(30)측으로 이동하여 버리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도 1, 도 2와, 주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구체 배치 부재(60, 70)는, 접속 링(33c)에 4개 배치되어 제1 구체 배치 부재층(100)을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구체 배치 부재(60, 70)는, 접속 링(33b)에 3개 배치되어 제2 구체 배치 부재층(110)을 형성하고, 접속 링(33a)에 3개 배치되어 제3 구체 배치 부재층(120)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구체 배치 부재(60, 70)(구체 배치부(61, 71)(도 1 참조))는, 위에서 볼 때 겹쳐지지 않는다. 환언하면, 제2 구체 배치 부재층(110)은, 제1 구체 배치 부재층(100)보다도 볼체(50)의 이동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로부터 아래)에서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제1 구체 배치 부재층(100)에서 구체 배치 부재(60, 7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체 배치 부재(60, 70)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3 구체 배치 부재층(120)은 제2 구체 배치 부재층(110)보다도 볼체(50)의 이동 방향에서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제3 구체 배치 부재층(120)의 구체 배치 부재(60, 70)는, 제1 구체 배치 부재층(100) 및 제2 구체 배치 부재층(110)에서의 구체 배치 부재(60, 7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체 배치 부재(60, 70)가 배치된다. 따라서 각 구체 배치 부재(60, 70)에 배치되는 구체(80)가 날려져도, 상측의 구체 배치 부재(60, 70)에 맞아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타워 부재(30)의 상단부(도입 부재(37)의 상부)에는, 볼체 배치부(40)가 마련된다. 볼체 배치부(4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입 부재(37)의 언저리(緣)에 삽입하기 위한 상하 각 2개소의 슬릿부(41a, 41b)가 기부(基部)(41)에 형성된다. 슬릿부(41a, 41b)는, 각각 폭방향으로 넓어지는 3장의 판(판(41-1, 41-2, 41-3)) 사이에 의해 형성된다. 볼체 배치부(40)는, 도입 부재(37)의 언저리 내측의 상하 방향으로 연설된 삽입 가이드(37c)에 기부(41)의 판(41-2) 또는 판(41-3)의 양측이 가이드됨과 함께, 슬릿부(41a, 41b)의 어느 하나가 도입 부재(37)의 언저리에 삽입되어, 도입 부재(37)에 부착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슬릿부(41a, 41b)의 선택에 의해, 게임 시작 전의 동요완구(10)가 개략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먼저 이 조정을 행하고 나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볼체 배치부(40)가 부착된 상태의 도입 부재(37)의 위치를 변경하여 다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의 슬릿부(41a, 41b)의 경계에는, 3장의 판(41-1, 41-2, 41-3)과 수직하게 폭방향으로 넓어지는 횡판(45)이 형성되어 있다. 도입 부재(37)의 언저리에 어느 하나의 슬릿부(41a) 또는 슬릿부(41b)에 삽입되면, 도입 부재(37)의 상단과 횡판(45)이 당접한다. 그리고, 이 기부(41)로부터는, 단면(斷面) H형상의 들보형상부(梁狀部)(42)가 타워 부재(30)의 내방향(즉, 도입 부재(37)의 내방향)을 향하여 연설된다. 들보형상부(42)에서의 단면 H형상으로 형성된 중앙의 홈 부분에는,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보강 리브(42a, 42b)가 형성된다. 그리고, 들보형상부(42)의 선단부에는, 상하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개략 원주형상(圓柱狀)의 볼체 지지부(43)가 형성된다.
볼체 지지부(43)는, 도 7에서의 상측에 제1 볼체 지지부(43a)가 형성되고, 하측에 제2 볼체 지지부(43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볼체 지지부(43a)의 지지면(43a1)은, 오목면형상(凹面狀)(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구면형상(凹球面狀))으로 형성된다. 이 지지면(43a1)에 볼체(50)가 재치됨에 의해, 동요완구(10)가 어느 정도 기울어져도 볼체(50)가 낙하하지 않는다. 한편, 제2 볼체 지지부(43b)는, 도 7의 P방향에서 본 위도(圍圖)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외주가 환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환(43b1)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볼체 지지부(43b)는, 제1 볼체 지지부(43a)보다도 지름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볼체 지지부(43b)는, 제1 볼체 지지부(43a)보다도 안정적으로 볼체(5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어느 하나의 슬릿부(41a, 41b)를 도입 부재(37)의 언저리에 삽입함에 의해, 제1 볼체 지지부(43a)에 볼체(50)를 재치하는지, 제2 볼체 지지부(43b)에 볼체(50)를 재치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게임의 난이도(볼체의 지지의 안정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볼체 지지부(43a)에 볼체(50)를 재치한 경우에는, 볼체(50)가 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게임이 어려워진다. 제2 볼체 지지부(43b)에 볼체(50)를 재치한 경우에는, 볼체(50)가 떨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게임이 쉽게 된다.
또한, 도입 부재(37)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기부(41)의 상측의 슬릿부(41a)에는, 도안 등이 기재된 종이제 등의 시트(48)의 하부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각 슬릿부(41a)의 배면의 판(41-1)으로부터 폭방향에 넓어지는 시트 지지판(44)의 전면(前面)에 형성되는 2개의 돌기(44a)와, 슬릿부(41a)와 슬릿부(41b) 사이의 판(41-2)으로 시트(48)가 끼여지지된다. 따라서, 확실하게 시트(48)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동요완구(10)의 동작은,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차례로 구체(80)를 구체 배치 부재(60, 70)의 구체 배치부(61, 71)에 배치한다. 그러면, 구체 재치면(22)에 배치된 구체(80)를 포함하는 구체(80)의 배치의 상황에 응하여, 동요완구(10)가 동요한다. 그리고, 동요완구(10)의 균형이 깨져서 크게 기울어지면, 볼체(50)가 볼체 배치부(40)로부터 이탈한다. 그러면, 볼체(50)는, 도입 부재(37)에 의해 타워 부재(30)의 중심으로 유도된다.
타워 부재(30)의 내측 중심에 유도된 볼체(50)는, 타워 부재(30) 내를 낙하(통과)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체(50)가 낙하하면, 구체 배치 부재(60(70))의 볼체 타당부(62(72))에 볼체(50)가 부딪치고, 구체 배치 부재(60(70))는 지점(63(73))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볼체 타당부(62(72))는 하방으로 내려가고, 구체 배치부(61(71))는 상방으로 올라간다. 그러면, 구체 배치부(61(71))에 배치된 구체(80)는, 타워 부재(30)의 외측의 상방을 향하여 튀어 날아간다.
또한, 낙하하는 볼체(50)는, 구체 배치 부재(60(70))의 세로 리브(65a(75a))에 의해, 타워 부재(30)의 중심으로 낙하하도록 가이드된다. 세로 리브(65a(75a))는, 볼체(50)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같은 세로 리브를 타워 부재(30) 내부에 고정한 경우에 비하여, 볼체(50)의 낙하의 세력을 약하게 하여 버리는 것이 저감된다. 그리고, 구체 배치 부재(60(70))는, 제1 구체 배치 부재층(100)에 4개 배치되고, 제2 구체 배치 부재층(110) 및 제3 구체 배치 부재층(120)에 3개 배치된다. 볼체(50)는, 구체 배치 부재(60(70))의 볼체 타당부(62(72))에 부딪치면 볼체(50)에서의 위치 에너지로부터 변환된 운동 에너지의 일부가 소비되기 때문에, 볼체(50)가 하방으로 갈수록 운동 에너지가 작아짐과 함께, 한번에 부딪히는 구체 배치 부재(60(70))의 수가 많을수록 볼체(50)의 운동 에너지가 소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층의 구체 배치 부재(60(70))의 수를 상층보다도 적게 함에 의해, 상층에서 운동 에너지의 일부를 소비한 볼체(50)라도, 하층에 배치된 구체(80)를 날리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기한 양태의 동요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의 양태에 관한 동요완구는, 접지하는 부위가 천이 가능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세워지는 통형상의 타워 부재와, 볼체가 배치되는 볼체 배치부와, 구체가 배치되는 구체 배치부와 상기 볼체가 부딪치는 볼체 타당부를 구비하는 구체 배치 부재를 가지며, 상기 구체 배치 부재는, 상기 타워 부재에 요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상기 볼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접지 상태에 응하여 상기 볼체 배치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타워 부재 내부를 통과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체를 구체 배치 부재에 배치하여 동요완구를 동요시켜서 볼체 배치부로부터 볼체를 이탈시키고, 이 이탈시킨 볼체에 의해 구체 배치 부재의 볼체 타당부에 볼체가 부딪쳐서, 구체 배치 부재의 구체 배치부를 올리기 때문에, 구체를 힘차게 날릴 수 있다. 따라서, 동요완구의 동요의 액션에 또한 구체를 날리는 액션이 추가되어, 더욱 재미가 증가한 동요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의 양태에 관한 동요완구는, 상기 볼체 배치부는, 상기 타워 부재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타워 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볼체가 배출되는 볼체 배출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방에 배치되는 볼체를 낙하시키는 구성의 동요완구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는 동요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3의 양태에 관한 동요완구는, 복수의 상기 구체 배치 부재가 방사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구체 배치 부재층과, 상기 제1 구체 배치 부재층보다도 상기 볼체의 이동 방향에서의 하류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구체 배치 부재층에서의 상기 구체 배치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상기 구체 배치 부재가 배치되는 제2 구체 배치 부재층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층에 배치된 제2 구체 배치 부재층으로부터 날려진 구체가, 상층에 배치된 제1 구체 배치 부재층의 구체 배치 부재에 맞아 버리는 것이 저감된다.
제4의 양태에 관한 동요완구는, 상기 제1 구체 배치 부재층에 마련되는 상기 구체 배치 부재의 수는, 상기 제2 구체 배치 부재층에 마련되는 구체 배치 부재보다도 많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볼체는, 제1 구체 배치 부재층의 구체 배치 부재에 부딪침에 의해 운동 에너지가 감소한 상태에서, 다음의 제2 구체 배치 부재층의 구체 배치 부재에 부딪히지만, 제1 구체 배치 부재층보다도 제2 구체 배치 부재층에서 소비하는 운동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제2 구체 배치 부재층의 구체를 날리기 쉽게 할 수 있다.
제5의 양태에 관한 동요완구는, 상기 구체 배치 부재는, 지점이 상기 타워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볼체 타당부가 상기 타워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체 배치부가 상기 타워 부재의 외부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구체 배치부는, 옆에서 볼 때 수평면부터 하방으로 경사하여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체 배치 부재에 배치된 구체가 타워 부재에 대해 외방향으로 경사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볼체가 볼체 타당부에 부딪침으로써 구체가 날려진 때에, 외방향을 향하여 구체를 날릴 수 있다. 따라서, 날려진 구체가 타워 부재에 맞아 버리는 것이 저감된다.
제6의 양태에 관한 동요완구는, 상기 볼체 타당부는, 하방으로 경사하여 형성됨과 함께, 상기 볼체 타당부에는, 옆에서 볼 때 원호형상의 세로 리브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방사형상으로 배치된 구체 배치 부재의 중심에 볼체를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략 균일하게 구체 배치 부재에 볼체를 부딪치게 할 수가 있어서, 배치된 구체를 거의 균일하게 날릴 수 있다.
제7의 양태에 관한 동요완구는, 상기 볼체 배치부는, 상기 타워 부재의 상단 언저리로부터 내방향을 향하여 연설된 들보형상부와, 상기 들보형상부의 단부에 마련된 볼체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볼체 지지부는, 제1 볼체 지지부와, 제2 볼체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2 볼체 지지부는, 상기 제1 볼체 지지부보다도 안정적으로 상기 볼체를 지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볼체의 지지의 안정 정도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게임의 난이도를 선택하여, 사용자에 응한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는 동요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8의 양태에 관한 동요완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하면이 구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무스하게 동요하는 동요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9의 양태에 관한 동요완구는,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접시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언저리에는, 상기 구체가 재치된 구체 재치면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체 배치 부재에 아직 배치하지 않은 구체를 동요완구의 동요의 동작에 영향을 주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게임성을 높인 동요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0의 양태에 관한 동요완구는, 상기 타워 부재는, 복수의 통 부재와, 상기 구체 배치 부재의 지점을 지지하는 지점 지지부를 구비하는 중간 링을 가지며, 상기 중간 링은, 상기 통형상 사이에 끼여지지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구체 배치 부재를 배치하기 쉬운 동요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워 부재(30)를 개략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통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타워 부재(30)는,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수직하게 마련하도록 형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중에 루프나 나선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0)의 천이접지부(21)는, 볼록구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정상부(頂部) 등에 평탄부를 마련하고, 동요완구의 뉴트럴 상태에서의 직립성을 높일 수도 있고, 다수의 면을 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타워 부재(30)는, 일부품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볼체(5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형상으로 하였지만, 럭비 볼이나 다면체 등의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구체(80)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구체 배치 부재(60, 70)에 재치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매다는 등의 다른 배치의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볼체 배치부(40)는, 볼체(50)가 재치에 의해 배치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배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10 : 동요완구
20 : 베이스 부재
21 : 천이접지부
22 : 구체 재치면
23 : 볼체 배출부
23a : 경사면
24 : 타워 기부
30 : 타워 부재
31 : 볼체 배출구
32 : 하부 원통
33a : 접속 링
33a3 : 지점 지지부
33b : 접속 링
33b3 : 지점 지지부
33c : 접속 링
33c1 : 확경부
33c2 : 단부
33c3 : 지점 지지부
33c4 : 계지 볼록부
33c5 : 외측면
34 : 제1 중간 원통
35 : 제2 중간 원통
35b2 : 계지 볼록부
36 : 상부 원통
36a : 통본체
36a1 : 노치 홈부
36a2 : 단부
36b : 축경부
36b1 : 노치부
36b2 : 계지 볼록부
36c : 계지 오목부
37 : 도입 부재
37a : 삽입부
37b : 계지 볼록부
37c : 삽입 가이드
40 : 볼체 배치부
41 : 기부
41-1, 41-2, 41-3 : 판
41a : 슬릿부
41b : 슬릿부
42 : 들보형상부
43 : 볼체 지지부
43a : 제1 볼체 지지부
43a1 : 지지면
43b : 제2 볼체 지지부
44 : 시트 지지부
44a : 돌기
48 : 시트
50 : 볼체
60 : 구체 배치 부재
61 : 구체 배치부
62 : 볼체 타당부
63 : 지점
64 : 접속판
65a : 세로 리브
65b : 상면 보강 리브
65c : 규제 리브
66 : 회동 규제 리브
67a : 돌기
67b : 돌기
67c : 돌기
70 : 구체 배치 부재
71 : 구체 배치부
72 : 볼체 타당부
73 : 지점
74 : 접속판
75a : 세로 리브
75b : 상면 보강 리브
75c : 규제 리브
76 : 회동 규제 리브
77a : 돌기
77b : 돌기
77c : 돌기
80 : 구체
81 : 본체
82 : 저면 플레이트
90 : 볼체 배출 부재
91 : 볼체 배출 가이드
100 : 제1 구체 배치 부재층
110 : 제2 구체 배치 부재층
120 : 제3 구체 배치 부재층
20 : 베이스 부재
21 : 천이접지부
22 : 구체 재치면
23 : 볼체 배출부
23a : 경사면
24 : 타워 기부
30 : 타워 부재
31 : 볼체 배출구
32 : 하부 원통
33a : 접속 링
33a3 : 지점 지지부
33b : 접속 링
33b3 : 지점 지지부
33c : 접속 링
33c1 : 확경부
33c2 : 단부
33c3 : 지점 지지부
33c4 : 계지 볼록부
33c5 : 외측면
34 : 제1 중간 원통
35 : 제2 중간 원통
35b2 : 계지 볼록부
36 : 상부 원통
36a : 통본체
36a1 : 노치 홈부
36a2 : 단부
36b : 축경부
36b1 : 노치부
36b2 : 계지 볼록부
36c : 계지 오목부
37 : 도입 부재
37a : 삽입부
37b : 계지 볼록부
37c : 삽입 가이드
40 : 볼체 배치부
41 : 기부
41-1, 41-2, 41-3 : 판
41a : 슬릿부
41b : 슬릿부
42 : 들보형상부
43 : 볼체 지지부
43a : 제1 볼체 지지부
43a1 : 지지면
43b : 제2 볼체 지지부
44 : 시트 지지부
44a : 돌기
48 : 시트
50 : 볼체
60 : 구체 배치 부재
61 : 구체 배치부
62 : 볼체 타당부
63 : 지점
64 : 접속판
65a : 세로 리브
65b : 상면 보강 리브
65c : 규제 리브
66 : 회동 규제 리브
67a : 돌기
67b : 돌기
67c : 돌기
70 : 구체 배치 부재
71 : 구체 배치부
72 : 볼체 타당부
73 : 지점
74 : 접속판
75a : 세로 리브
75b : 상면 보강 리브
75c : 규제 리브
76 : 회동 규제 리브
77a : 돌기
77b : 돌기
77c : 돌기
80 : 구체
81 : 본체
82 : 저면 플레이트
90 : 볼체 배출 부재
91 : 볼체 배출 가이드
100 : 제1 구체 배치 부재층
110 : 제2 구체 배치 부재층
120 : 제3 구체 배치 부재층
Claims (10)
- 접지하는 부위가 천이 가능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세워지는 통형상의 타워 부재와,
볼체가 배치되는 볼체 배치부와,
구체가 배치되는 구체 배치부와 상기 볼체가 부딪치는 볼체 타당부를 구비하는 구체 배치 부재를 가지며,
상기 구체 배치 부재는, 상기 타워 부재에 요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상기 볼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접지 상태에 응하여 상기 볼체 배치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타워 부재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체 배치부는, 상기 타워 부재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타워 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볼체가 배출되는 볼체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완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구체 배치 부재가 방사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구체 배치 부재층과,
상기 제1 구체 배치 부재층보다도 상기 볼체의 이동 방향에서의 하류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구체 배치 부재층에서의 상기 구체 배치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상기 구체 배치 부재가 배치되는 제2 구체 배치 부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완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체 배치 부재층에 마련되는 상기 구체 배치 부재의 수는, 상기 제2 구체 배치 부재층에 마련되는 상기 구체 배치 부재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완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 배치 부재는, 지점이 상기 타워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볼체 타당부가 상기 타워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체 배치부가 상기 타워 부재의 외부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구체 배치부는, 옆에서 볼 때 수평면부터 하방으로 경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완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체 타당부는, 하방으로 경사하여 형성됨과 함께,
상기 볼체 타당부에는, 옆에서 볼 때 원호형상의 세로 리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완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체 배치부는, 상기 타워 부재의 상단연으로부터 내방향을 향하여 연설된 들보형상부와, 상기 들보형상부의 단부에 마련된 볼체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볼체 지지부는, 제1 볼체 지지부와, 제2 볼체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2 볼체 지지부는, 상기 제1 볼체 지지부보다도 안정적으로 상기 볼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완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하면이 구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완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접시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언저리에는, 상기 구체가 재치되는 구체 재치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완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부재는, 복수의 통 부재와, 상기 구체 배치 부재의 지점을 지지하는 지점 지지부를 구비하는 중간 링을 가지며,
상기 중간 링은, 상기 통 부재 사이에 끼여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207654 | 2016-10-24 | ||
JP2016207654A JP6099230B1 (ja) | 2016-10-24 | 2016-10-24 | 動揺玩具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0607B1 true KR101840607B1 (ko) | 2018-03-20 |
Family
ID=5836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7187A KR101840607B1 (ko) | 2016-10-24 | 2017-10-23 | 동요완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500478B2 (ko) |
JP (1) | JP6099230B1 (ko) |
KR (1) | KR101840607B1 (ko) |
CN (1) | CN107970598B (ko) |
DE (1) | DE102017124831B4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254635B (en) * | 2017-09-18 | 2021-05-31 | Shoshana Menkes | Vertebrates stand, join and fall apart |
US11534697B2 (en) * | 2020-02-10 | 2022-12-27 | Mattel, Inc. | Toy vehicle playset with interactive features |
JP1717573S (ja) * | 2021-11-08 | 2022-06-16 | 城おもちゃ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58306A (en) | 1945-01-04 | 1949-01-04 | Schneider Joseph | Game |
US3402929A (en) * | 1965-03-16 | 1968-09-24 | Marvin Glass & Associates | Balancing game apparatus |
US3559989A (en) * | 1968-02-08 | 1971-02-02 | Marvin Glass & Associates | Water balancing game |
US3578320A (en) * | 1968-02-19 | 1971-05-11 | Adolph E Goldfarb | Game structure and method |
US3589724A (en) * | 1968-12-05 | 1971-06-29 | Marvin Glass & Associates | Game with tower and crane |
US3610628A (en) * | 1969-10-02 | 1971-10-05 | Edward R Promin | Drop ball chance device having plural rotatable pathway members |
US3614106A (en) * | 1970-08-06 | 1971-10-19 | Marvin Glass & Associates | Balancing puzzle device |
US3785647A (en) * | 1971-10-06 | 1974-01-15 | M Bender | Balancing device |
US3973774A (en) * | 1975-10-02 | 1976-08-10 | Marvin Glass & Associates | Projecting catapults and view obstructing cylinder |
US4087090A (en) * | 1976-05-07 | 1978-05-02 | Goldberg Burton D | Amusement device with vertical projectile launching and catching means |
US4358110A (en) * | 1980-10-16 | 1982-11-09 | Youkstetter Frank O | Balancing game apparatus |
US4522403A (en) * | 1983-12-27 | 1985-06-11 | Maciorowski Michael W | Balance toy |
DE8621625U1 (de) | 1986-08-12 | 1986-10-09 | Renz, Alfred, 7798 Pfullendorf | Gesellschaftsspiel |
JPH0450075Y2 (ko) * | 1987-06-23 | 1992-11-25 | ||
JPH0525670Y2 (ko) * | 1988-05-25 | 1993-06-29 | ||
JPH0453830Y2 (ko) * | 1988-07-18 | 1992-12-17 | ||
JPH0527987Y2 (ko) * | 1988-08-10 | 1993-07-16 | ||
US5197735A (en) * | 1990-02-09 | 1993-03-30 | Land Larry D | Game piece randomizer |
US5240260A (en) * | 1993-01-13 | 1993-08-31 | Hasbro, Inc. | Toy game apparatus |
US5954340A (en) * | 1998-08-13 | 1999-09-21 | Mattel, Inc. | Multiple tier token balance game |
US6318726B1 (en) * | 1999-10-22 | 2001-11-20 | Paul Kenneth Nicholls | Pivoting board game |
US20060091604A1 (en) * | 2004-09-20 | 2006-05-04 | Mark Sargent | Rescue board game |
CN2794580Y (zh) | 2005-03-25 | 2006-07-12 | 马达伟 | 宝塔型对色玩具 |
US20060220314A1 (en) | 2005-03-31 | 2006-10-05 | Chung Fai S A | Board game apparatus and method of play |
CN201150789Y (zh) | 2007-12-25 | 2008-11-19 | 陈钡铯 | 一种做静平衡游戏用的玩具 |
US7819404B2 (en) * | 2008-08-08 | 2010-10-26 | Hasbro, Inc. | Board game with tower and collapsing stairs |
US7874560B1 (en) * | 2009-02-23 | 2011-01-25 | Hasbro, Inc. | Suspended game piece construction game |
CA2781690C (en) * | 2009-11-23 | 2015-09-15 | Wilmer David Walker, Jr. | Waist-mounted tethered ball and target |
US8403327B2 (en) * | 2010-02-14 | 2013-03-26 | Mattel, Inc. | Collapsible game |
US8864137B2 (en) * | 2010-08-27 | 2014-10-21 | Mattel, Inc. | Action game apparatus and method |
US8196927B2 (en) * | 2010-09-07 | 2012-06-12 | Michael Marantz | Gambling game |
US9199160B2 (en) * | 2012-03-01 | 2015-12-01 | Mattel, Inc. | Toy game apparatus and method of playing |
US20140110902A1 (en) * | 2012-10-01 | 2014-04-24 | Jonathan Thomas Thompson | Leverage and fulcrum block removal, addition, appraisal, and balancing game |
DE102015004952B4 (de) | 2015-04-17 | 2019-05-23 | Drägerwerk AG & Co. KGaA | Griff sowie Außenteil eines Griffs für ein Medizingerät |
-
2016
- 2016-10-24 JP JP2016207654A patent/JP6099230B1/ja active Active
-
2017
- 2017-10-20 US US15/788,986 patent/US10500478B2/en active Active
- 2017-10-23 KR KR1020170137187A patent/KR1018406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0-24 CN CN201711003825.9A patent/CN107970598B/zh active Active
- 2017-10-24 DE DE102017124831.5A patent/DE102017124831B4/de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500478B2 (en) | 2019-12-10 |
CN107970598A (zh) | 2018-05-01 |
CN107970598B (zh) | 2019-05-03 |
DE102017124831A1 (de) | 2018-04-26 |
US20180111044A1 (en) | 2018-04-26 |
JP2018068341A (ja) | 2018-05-10 |
JP6099230B1 (ja) | 2017-03-22 |
DE102017124831B4 (de) | 2019-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0607B1 (ko) | 동요완구 | |
EP3195911B1 (en) | Toy top | |
JP3154824U (ja) | 跳ねコマ玩具 | |
US6217408B1 (en) | Self righting pet toy | |
US20020102907A1 (en) | Toy tops | |
US8029389B2 (en) | Ball-hitting trainer | |
US20080064578A1 (en) | Balance Device Having Height Adjustable Function | |
JP2002536139A (ja) | ボールトラック形式のゲーム | |
JP5033373B2 (ja) | 弾球遊技機用役物 | |
US9352237B1 (en) | Tumbling toy vehicle with a directional bias | |
WO2015062433A1 (zh) | 一种防御性强的玩具陀螺 | |
US7874560B1 (en) | Suspended game piece construction game | |
JP2006000321A (ja) | 遊技球誘導部材 | |
JP2007111144A (ja) | コマ玩具 | |
JP6334757B1 (ja) | コマ玩具 | |
US6419587B1 (en) | Reversible slide/climber playground equipment | |
JP2006288840A (ja) | 起上り玩具 | |
US20060151945A1 (en) | Nozzle for a random selection machine | |
KR101090732B1 (ko) | 트위스팅트램플린 | |
JP3505504B2 (ja) | 遊技機用風車 | |
JP3234321U (ja) | 室内用鯉のぼり | |
CN220714796U (zh) | 一种可发声的不倒翁 | |
JP3242379U (ja) | 玩具 | |
JP3225668U (ja) | マレットゴルフ用ホールカップ | |
JP4540408B2 (ja) | 遊技球誘導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