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432B1 -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432B1
KR101840432B1 KR1020170162312A KR20170162312A KR101840432B1 KR 101840432 B1 KR101840432 B1 KR 101840432B1 KR 1020170162312 A KR1020170162312 A KR 1020170162312A KR 20170162312 A KR20170162312 A KR 20170162312A KR 101840432 B1 KR101840432 B1 KR 10184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mmunication cable
ceiling plate
li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삼
Original Assignee
(유)전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전일기술단 filed Critical (유)전일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162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신케이블을 감아 고정하는 드럼의 권취면을 외부로 노출시켜 여러 방향에서 통신케이블을 감아 고정하고 통신케이블을 외부의 비산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는, 둘레부에 통신케이블(1)이 감겨 배선되는 드럼(10)과; 저부의 좌우가 개방되도록 곡선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저부에 상기 드럼이 힌지 연결되며 지주에 고정되는 천정판(20)과; 상기 천정판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상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저부의 일측을 덮는 제1덮개(30)와; 상기 제1덮개의 반대쪽에서 상단부가 상기 천정판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타측을 덮는 제2덮개(40)와; 상기 제1,2덮개를 연결하는 연결판(50)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통신케이블이 감기는 권취면 및 상기 권취면의 양쪽에 평평한 주벽이 구비되면서 지름이 상기 천정판보다 큰 원통형으로서, 상기 주벽 중 일측이 상기 천정판에 전후방향의 축핀을 통해 힌지 연결되어 상기 권취면이 상하 종방향 또는 좌우 횡방향을 향하도록 회동되며, 상기 제1덮개는 반원형의 판재로서 상단부가 상기 천정판에 축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막아 보호하거나 상기 드럼의 위쪽으로 접혀 상기 드럼이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덮개는 곡선형의 띠로서 상단부가 상기 천정판에 축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드럼의 위쪽으로 접혀 상기 드럼이 눕혀지도록 하며, 상기 연결판은 일측이 상기 제1덮개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덮개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2덮개를 연결하면서 상기 드럼의 저부에 상기 통신케이블의 인입과 인출을 위한 제1,2배선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2덮개가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2덮개를 연결하도록 제1,2록킹부(51,5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MULTI FIXING CLAMP FOR 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케이블을 감아 고정하는 드럼의 권취면을 외부로 노출시켜 여러 방향에서 통신케이블을 감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신케이블을 보호하는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로 연결되는 통신케이블은 주로 지하통신관로를 경유해서 지상으로 인출된 다음 다수의 지주(전주)를 건너 공중에 설치된 후 지주에서 다시 수용가 쪽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배선되고 있으며, 배선 과정에서 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791406호)은 전주 사이에서 인장력을 받는 인장부와 밑으로 늘어뜨려 접속하는 이완부를 갖고, 전주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 통신케이블를 감기 위한 중공스풀; 중공스풀의 한쪽 단부에 형성되는 원반헤드; 중공스풀의 단부 상하부에서 원반헤드를 향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직선형의 상부슬롯과 하부슬롯; 중공스풀의 외주에 끼워져서 중공스풀에 감긴 통신케이블을 원반헤드를 향해 가압하며, 통신케이블을 옆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케이블통로가 한쪽 측면에 형성된 C자 모양의 스페이서; 중공스풀의 외주에 끼워져서 중공스풀에 감긴 통신케이블을 스페이서를 향해 가압하는 압박링; 스페이서와 압박링의 중심에 각각 형성되고, 중공스풀의 중심에 위치되는 제 1스프링시트와 제 2스프링시트; 스페이서와 압박링의 상하부 내주면으로부터 상부슬롯과 하부슬롯을 지나서 제 1스프링시트와 제 2스프링시트에 각각 연결되고, 상부슬롯과 하부슬롯에 걸려서 축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제 1스포크와 제 2스포크; 제 1스프링시트와 제 2스프링시트의 사이와, 제 1스프링시트와 원반헤드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링; 제 1스프링시트와 제 2스프링시트 및 원반 헤드의 중심에 서로 중심이 일치되게 형성되는 관통구멍; 관통구멍을 통과해서 반대편에 위치된 너트와 결합되고, 제 2스프링시트와 원반헤드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해서 통신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볼트; 원반헤드와 압박링에 방사형으로 각각 형성되어 통신케이블의 국부를 가압하는 풀림방지돌기; 스페이서의 양쪽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걸림홈; 원반헤드와 압박링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원반헤드와 압박링의 중심에서 어긋난 편심축; 한쪽은 편심축에 끼워져 걸리고, 다른 쪽은 전주에 연결되는 회전고리를 포함하는 통신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의 중심과 인장부의 중심이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것이며, 통신케이블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지 못하고 단일 방향에서만 배선 작업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79140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케이블을 감아 고정하는 드럼의 권취면을 외부로 노출시켜 여러 방향에서 통신케이블을 감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신케이블을 외부로부터 충돌하는 비산물로부터 보호하는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는, 둘레부에 통신케이블이 감겨 배선되는 드럼과; 저부의 좌우가 개방되도록 곡선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저부에 상기 드럼이 힌지 연결되며 지주에 고정되는 천정판과; 상기 천정판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상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저부의 일측을 덮는 제1덮개와; 상기 제1덮개의 반대쪽에서 상단부가 상기 천정판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타측을 덮는 제2덮개와; 상기 제1,2덮개를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지름이 상기 천정판보다 큰 원통형으로서, 원주의 권취면의 양쪽 주벽 중 일측이 상기 천정판에 전후방향의 축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권취면이 상하 종방향 또는 좌우 횡방향을 향하도록 회동되며, 상기 제1덮개는 반원형의 판재로서 상단부가 상기 천정판에 축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막아 보호하거나 상기 드럼의 위쪽으로 접혀 상기 드럼이 눕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덮개는 곡선형의 띠로서 상단부가 상기 천정판에 축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드럼의 위쪽으로 접혀 상기 드럼이 눕혀지도록 하며, 상기 연결판은 일측이 상기 제1덮개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덮개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2덮개를 연결하면서 상기 드럼의 저부에 상기 통신케이블의 인입과 인출을 위한 제1,2배선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2덮개가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2덮개를 연결하도록 제1,2록킹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을 링 형상으로 하고 내부에 다른 통신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는 보조 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에 의하면, 통신케이블을 드럼에 감아 고정하고 천정판과 제1,2덮개를 통해 드럼에 감긴 통신케이블을 고정함으로써 주변에서 낙하하는 비산물에 의한 통신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드럼을 천정판과 제1,2덮개의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로 전환하면서 모든 권취면을 외부로 노출시켜 통신케이블을 넓은 작업 공간에서 감아 고정함으로써 통신케이블의 고정과 보수 작업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조 드럼의 적용을 통해 통신케이블을 용이하게 추가로 배선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의 정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의 작용 상태도로서,
도 4는 통신케이블이 드럼에 감겨 고정된 상태이고,
도 5는 통신케이블을 드럼에 감기 위한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에 보조 드럼이 적용된 예를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는, 통신케이블(1)이 감기는 드럼(10), 드럼(10)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천정판(20), 천정판(20)에 조립되며 드럼(10)의 양쪽을 덮어 보호하는 제1,2덮개(30,40), 제1,23덮개(30,40)를 연결하는 연결판(50)으로 구성되며, 드럼(10)은 천정판(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구성이고, 눕혀진 상태에서 천정판(20)과 제1,2덮개(30,40)의 간섭을 받지 않고 통신케이블(1)의 배선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배선 완료 후 세워진 상태에서 천정판(20)과 제1,2덮개(30,40)의 보호를 받는 구성이다.
드럼(10)은 원통형의 권취면과 상기 권취면 양쪽의 주벽을 갖는 원통형이며 상기 권취면의 양쪽 가장자리에 통신케이블(1)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턱이 구성될 수 있다.
드럼(10)은 상기 주벽 중 일측 이상에 힌지보스(11)가 형성되고, 힌지보스(11)와 천정판(20)에 축핀(12)이 설치됨으로써 천정판(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축핀(12)은 드럼(10)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핀이다.
드럼(10)은 통신케이블(1)을 감기 위하여 눕혀질 때 둘레부가 천정판(20)의 양쪽으로 돌출되는 크기{지름이 천정판(20)의 폭보다 큼}로 이루어짐으로써 천정판(20)의 간섭없이 통신케이블(1)의 권취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드럼(10)은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서만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축핀(12)의 둘레면으로서 드럼(10)이 세워진 상태와 눕혀진 상태와 대응하는 2곳에 각각 제1,2정렬홈(12a,12b)이 구성되고 힌지보스(11)에는 제1,2정렬홈(12a,12b)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정렬볼(13)이 구성될 수 있다.
제1,2정렬홈(12a,12b)은 드럼(10)의 회동 각도에 맞춰 9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2정렬홈(12a,12b)과 정렬볼(13)은 축방향을 따라 1개 이상이 적용된다.
정렬볼(13)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정렬홈(12a,12b)에 끼워지는 형태이다.
정렬볼(13)은 전술한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힌지보스(12)의 내주면 2곳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반구형의 돌기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제1,2정렬홈(12a,12b)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정렬홈을 추가함으로써 드럼(10)을 다양한 각도로 맞출 수 있다.
천정판(20)은 드럼(10)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주(전주, 통신케이블 전용 지주 모두 가능함)에 고정을 위한 행거링이 구성될 수 있다.
천정판(20)은 예를 들어 드럼(10)의 권취면 중 절반 상부{축핀(12)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를 덮는 반원형의 곡선형 단면이며, 좌우 양쪽은 도면에서처럼 모두가 개방될 수 있고 또는 드럼(10)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는 한 쪽은 폐쇄되고 반대쪽은 개방될 수 있다.
천정판(20)은 서로 대향되는 양쪽에 축핀(12)의 체결을 위한 보스가 각각 형성된다.
제1덮개(30)는 천정판(20)의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드럼(10)의 하부를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 반원형의 판재이며 상단부가 천정판(20)에 축핀을 통해 회동(절첩) 가능하게 조립되며, 즉, 도 4와 같이 통신케이블(1) 드럼(10)에 감겨 설치되는 경우 드럼(10)의 옆에 배치되고, 도 5와 같이 드럼(10)에 통신케이블(1)을 감는 작업을 할 경우 드럼(10) 상부쪽으로 접혀 드럼(10)의 절반 하부{축핀(12)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드럼(10)을 도면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제1덮개(30)는 드럼(10)이 세워진 상태에서 회동하지 않도록 드럼(10)을 지지하는 회전방지핀(31)이 구성된다.
제1덮개(30)는 연결판(50)의 일측이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보스(32)가 구성된다. 이 때, 제1,2덮개(30,40)가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 모두에서 연결판(50)을 사용하도록 힌지보스(32)는 장공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덮개(30)는 상부로 접힌 상태에서 드럼(10)의 절반 하부를 간섭하지 않는 구조이다.
제2덮개(40)는 상단부가 천정판(20)에 축핀{드럼(1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중앙부를 피하여 좌우 양쪽에 짧게 형성}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드럼(10)의 절반 하부에 배치되어 제1덮개(30)와 함께 조립됨으로써 드럼(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보호하고 드럼(10)의 위쪽으로 접혀 드럼(10)에 통신케이블(1)을 감을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제2덮개(40)는 드럼(10)의 절반 상부가 회전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반원형의 띠 형태이다.
연결판(50)은 제1,2덮개(30,40)의 취약부인 저부에서 제1,2덮개(30,40)를 연결하여 단일화를 통해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하며 제1,2덮개(30,40)가 흔들리는 것도 막아주고, 일측은 제1덮개(30)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의 자유단부는 제2덮개(40)에 조립된다. 또한, 연결판(50)은 제1,2덮개(30,40)가 상부로 접힌 상태에서도 제1,2덮개(30,40)를 연결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2덮개(40)는 외측과 내측의 면에 각각 제1,2록킹홈(41,42)이 구성된다.
연결판(50)은 전체적으로 판의 형태이면서 일측이 제1덮개(30)의 힌지보스(32)에 축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의 자유단부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2록킹부(51,52)가 형성된다.
제1록킹부(51)는 제2덮개(40)의 제1록킹홈(41)에 끼움 결합되어 제1,2덮개(30,4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제2록킹부(52)는 제2덮개(40)의 제2록킹홈(42)에 끼움 결합되어 제1,2덮개(30,4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1,2록킹부(51,52)는 연결판(50)의 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각각 제2덮개(40)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덮으면서 제1,2록킹홈(41,42)에 끼움 결합되는 록킹돌기가 구성된다.
연결판(50)은 드럼(10)의 원주의 절반보다 작은 면적으로서, 연결판(50)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에는 통신케이블(1)의 인입과 인출을 위한 제1,2배선부(53,54)가 개방 구성되며, 따라서, 통신케이블(1)은 제1배선부(53)를 통해 인입된 후 드럼(10)에 감기고 제2배선부(54)를 통해 인출되는 형태로 배선될 수 있고, 연결판(50)에 의해 통신테이블(1)이 인입과 인출 부분에서 서로 엉키지 않아 통신케이블(1)의 단선 등을 막을 수 있다.
제1,2덮개(30,4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지만, 이물질은 제1,2배선부(53,54)를 통해 밑으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의 쌓이는 것을 막고 이로 인한 오염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통신케이블 고정 상태(도 4 참고).
드럼(10)의 둘레부인 권취면에는 통신케이블(1)이 감겨 있으며, 통신케이블(1)의 인입과 인출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배선부(53,54)에서 이루어진다. 이 때, 드럼(10)은 정렬볼(13)은 제1정렬홈(12a) 안에 삽입되어 축핀(12)의 회전을 구속한다.
제1,2덮개(30,40)는 연결판(50)을 통해 자유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흔들리지 않는다.
연결판(50)은 제1록킹부(51)가 제2덮개(40)의 제1록킹홈(41)에 록킹되어 있다.
2. 통신케이블 배선 작업(도 5참고).
통신케이블(1)을 드럼(10)에 배선하기 위해서는 제1,2덮개(30,40)를 각각 상부로 접고, 연결판(50)을 제2덮개(40)쪽으로 접어 제2록킹부(52)를 제2덮개(40)의 제2록킹홈(42)에 록킹되도록 한다. 따라서, 드럼(10)의 회전 방향에는 드럼(10)의 회전을 구속하는 장애물이 없다. 뿐만 아니라, 드럼(10)의 모든 권취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는 드럼(10)의 어느 곳에서든 통신케이블(1)을 감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드럼(10)을 도 4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도 5와 같이 눕혀지게 되고, 이 때, 정렬볼(13)이 제2정렬홈(12b)에 삽입 결합되어 드럼(10)은 눕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드럼(10)은 축핀(12)이 드럼(10)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쪽에 배치되어 있어 둘레부가 천정판(10)의 저부에 배치된다. 즉, 드럼(10)의 권취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천정판(20)과 제1,2덮개(30,40)의 간섭을 받지 않는 상태이다.
작업자는 넓은 외부 공간을 이용하여 드럼(10)의 권취면에 통신케이블(1)을 감아 배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케이블(1)의 배선을 완료한 후 드럼(10)을 도 4의 상태로 반대로 회전시키고, 제1,2덮개(30,40)를 하부로 펼친 후, 연결판(40)의 제1록킹부(51)를 제2덮개(40)의 제1록킹부(41)에 록킹한다. 이로써, 통신케이블(1)의 배선 작업을 완료한다. 이 때, 통신케이블(1)의 인입과 인출을 제1,2배선부(53,54)에 맞추는 것도 가능하지만, 필요한 경우 제1,2덮개(30)의 위쪽에 개방되는 공간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드럼(10)의 각도를 90도 각도 안에서 자유롭게 맞출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최적의 자세로 통신케이블(1)을 배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드럼(30)에 통신케이블을 배선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른 통신케이블(1-1)을 추가로 배선할 수 있도록 드럼(30)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간에 보조 드럼(60)이 설치된다.
보조 드럼(60)은 배선 작업이 용이하도록 드럼(30)에 회전(자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조 드럼(60)은 하나 이상이 적용 가능하다.
보조 드럼(60)이 적용더라도 축핀(12)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드럼(10)과 제1,2덮개(30,40)는 큰 변형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1 : 통신케이블,
10 : 드럼, 20 : 천정판
30 : 제1덮개, 31 : 회전방지핀
40 : 제2덮개, 50 : 연결판
51,52 : 제1,2록킹돌기, 53,54 : 제1,2배선부
60 : 보조 드럼,

Claims (3)

  1. 둘레부에 통신케이블(1)이 감겨 배선되는 드럼(10)과;
    저부의 좌우가 개방되도록 곡선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저부에 상기 드럼이 힌지 연결되며 지주에 고정되는 천정판(20)과;
    상기 천정판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상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저부의 일측을 덮는 제1덮개(30)와;
    상기 제1덮개의 반대쪽에서 상단부가 상기 천정판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타측을 덮는 제2덮개(40)와;
    상기 제1,2덮개를 연결하는 연결판(50)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지름이 상기 천정판보다 큰 원통형으로서, 원주의 권취면의 양쪽 주벽 중 일측이 상기 천정판에 전후방향의 축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권취면이 상하 종방향 또는 좌우 횡방향을 향하도록 회동되며,
    상기 제1덮개는 반원형의 판재로서 상단부가 상기 천정판에 축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막아 보호하거나 상기 드럼의 위쪽으로 접혀 상기 드럼이 눕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덮개는 곡선형의 띠로서 상단부가 상기 천정판에 축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드럼의 위쪽으로 접혀 상기 드럼이 눕혀지도록 하며,
    상기 연결판은 일측이 상기 제1덮개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덮개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2덮개를 연결하면서 상기 드럼의 저부에 상기 통신케이블의 인입과 인출을 위한 제1,2배선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2덮개가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2덮개를 연결하도록 제1,2록킹부(51,5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는 상기 드럼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회전방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공간에 보조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조 드럼을 통해 통신케이블을 배선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KR1020170162312A 2017-11-29 2017-11-29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KR10184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12A KR101840432B1 (ko) 2017-11-29 2017-11-29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12A KR101840432B1 (ko) 2017-11-29 2017-11-29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432B1 true KR101840432B1 (ko) 2018-03-20

Family

ID=61910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312A KR101840432B1 (ko) 2017-11-29 2017-11-29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4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09B1 (ko) 2020-05-29 2020-11-05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2215549B1 (ko) 2020-06-10 2021-02-15 (주)건창기술단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2289A (en) * 1943-09-03 1946-06-18 Cleveland Pneumatic Tool Co Hoist drum cover
JP2000502981A (ja) * 1996-01-03 2000-03-14 ジーティーイー エアフォー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コードリールアセンブリ
JP2013100177A (ja) * 2011-11-09 2013-05-23 Sony Corp ケーブル巻取装置
KR101552549B1 (ko) * 2015-02-05 2015-09-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이중 케이블 릴 장치
KR101791406B1 (ko) * 2017-07-03 2017-11-01 (주)지정보통신 통신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2289A (en) * 1943-09-03 1946-06-18 Cleveland Pneumatic Tool Co Hoist drum cover
JP2000502981A (ja) * 1996-01-03 2000-03-14 ジーティーイー エアフォー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コードリールアセンブリ
JP2013100177A (ja) * 2011-11-09 2013-05-23 Sony Corp ケーブル巻取装置
KR101552549B1 (ko) * 2015-02-05 2015-09-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이중 케이블 릴 장치
KR101791406B1 (ko) * 2017-07-03 2017-11-01 (주)지정보통신 통신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09B1 (ko) 2020-05-29 2020-11-05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2215549B1 (ko) 2020-06-10 2021-02-15 (주)건창기술단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3979B1 (ko) 케이블 내장형 lcd모니터 스탠드
KR101840432B1 (ko)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US7359611B1 (en) Slack cable storage box with adjustable height spools
US9512824B2 (en) Mounting system
US6199784B1 (en) Automatically rewindable wire device
US8238707B2 (en) Locking spool for telecommunications cable and method
KR101092839B1 (ko) 추락방지 안전맨홀
KR102305799B1 (ko) 전신주용 지선 보호커버
KR101663856B1 (ko) 호스 릴 프레임 및 가이드 암
JPS58138887A (ja) ブラインド又はスクリーン用の引っ張り装置
KR102383569B1 (ko) 케이블 권취 장치
CN210418810U (zh) 一种折叠移动式卷线装置
KR101337009B1 (ko)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KR101558888B1 (ko) 스피커 및 연결잭 수납이 가능한 이어폰 권취기
KR101155371B1 (ko) 케이블 수납장치
CN106957021B (zh) 把手式驱动装置
KR102334208B1 (ko)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KR200320788Y1 (ko) 여장 케이블용 함체
KR101116830B1 (ko) 링크 커버, 링크동작구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링크
KR200362783Y1 (ko) 전선 권취용 릴
US6226381B1 (en) Telephone line box that prevents tangles of the extension and retraction of a cable
KR20080102761A (ko) 케이블 배선용 보조장치
KR101889966B1 (ko) 빨래건조대용 역회전방지 장치
JPH0216024Y2 (ko)
KR102396576B1 (ko) 케이블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