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549B1 -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549B1
KR102215549B1 KR1020200070439A KR20200070439A KR102215549B1 KR 102215549 B1 KR102215549 B1 KR 102215549B1 KR 1020200070439 A KR1020200070439 A KR 1020200070439A KR 20200070439 A KR20200070439 A KR 20200070439A KR 102215549 B1 KR102215549 B1 KR 10221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able
iron core
fixing
coi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주)건창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창기술단 filed Critical (주)건창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7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는 건축물 콘크리트 바닥면, 벽면, 또는 천정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상에 형성되어 전원이 입력됨에 따라 자화되어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력 발생부; 상기 전자력 발생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단면에 통신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통신케이블 안착대; 및 상기 전자력 발생부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극성에 따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여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의 안착홈에 안착된 통신케이블을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는 통신케이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고정 스위치의 조작으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통신케이블을 고정시키고, 반대로 해제 스위치의 조작으로 발생하는 반대극성의 자력에 의해 통신케이블의 고정을 해제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통신케이블의 고정과 해제 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MULTI FIXING DEVICE FOR COMMUNICATION CABL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통신케이블이 배선될 때, 꼬이거나 흐트러짐 없이 가지런히 배선될 수 있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상주하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통신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통신케이블이 건축물에 배선되게 되는데, 특히 통신사마다 자사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통신케이블을 건축물에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자사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분별하게 설치하는 통신케이블들이 서로 꼬이고 흐트러져 주변을 어지럽히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통신케이블들이 서로 꼬이면서 피복이 벗겨지거나 균열이 발생하면서 내부로 이물질들이 들어가 통신신호가 끊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통신사마다 건축물로 들어가는 통신케이블이 가지런히 배선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 통신케이블의 꼬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신신호 끊김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0432호(2018. 03. 1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자력 발생부를 구비시켜 초기 전원에 의해 안착홈에 안착된 통신케이블을 고정시키고, 이후 전원공급을 차단하더라도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통신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안착홈과 고정홈의 크기를 변경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진 통신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는 건축물 콘크리트 바닥면, 벽면, 또는 천정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상에 형성되어 전원이 입력됨에 따라 자화되어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력 발생부; 상기 전자력 발생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단면에 통신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통신케이블 안착대; 및 상기 전자력 발생부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극성에 따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여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의 안착홈에 안착된 통신케이블을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는 통신케이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의 전자력 발생부는 세로방향 철심과 가로방향 철심으로 구성된 십자형 철심; 상기 가로방향 철심을 기준으로 세로방향 철심 상부에 권선된 고정코일; 상기 가로방향 철심을 기준으로 상기 세로방향 철심 하부에 권선된 해제코일; 상기 고정코일과 상기 해제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고정코일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고정 스위치;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해제코일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상기 해제 스위치; 및 상기 십자형 철심, 고정코일, 및 해제코일가 내장되고, 상기 세로방향 철심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코일은 전원을 인가받아 자화되어 자기장을 생성하고, 상기 해제코일은 상기 고정코일이 생성하는 자기장과 반대극성의 자기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의 통신케이블 고정수단은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 중앙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개방되게 노출된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와 대향하는 영구자석; 및 상기 로드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에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구조의 고정홈이 형성된 통신케이블 고정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하여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고정코일로 공급되면,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와 상기 영구자석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해당 영구자석이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로드가 당겨지면서 타단에 연결된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도 함께 당겨져 상기 고정 스위치의 오프 상태에서도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통신케이블을 상기 고정홈이 고정시키고, 상기 해제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하여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해제코일로 공급되면,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와 상기 영구자석 간에 척력이 작용하여 해당 영구자석이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로드가 밀리면서 타단에 연결된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도 함께 밀려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통신케이블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는 고정 스위치의 조작으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통신케이블을 고정시키고, 반대로 해제 스위치의 조작으로 발생하는 반대극성의 자력에 의해 통신케이블의 고정을 해제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통신케이블의 고정과 해제 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는 통신케이블이 고정되는 안착홈과 고정홈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직경을 가진 통신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해당 효과로 인해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파급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의 단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에 통신케이블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에 상이한 직경의 통신케이블이 고정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의 통신케이블 고정대와 안착모듈의 교체가 가능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의 단면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치 고정장치는 베이스부(100), 전자력 발생부(200), 통신케이블 안착대(300), 및 통신케이블 고정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최저부에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가 콘크리트 바닥면, 벽면, 또는 천정면에 앙카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자력 발생부(200)는 십(╋)자형 철심(210), 고정코일(220), 해제코일(230), 전원부(240), 고정 스위치(250), 해제 스위치(260), 및 하우징(270)을 포함한다.
상기 ╋자형 철심(210)은 세로방향 철심(┃)과 가로방향 철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로방향 철심(━)을 기준으로 세로방향 철심(┃) 상부에 상기 고정코일(220)이 권선되어 있고, 세로방향 철심(┃) 하부에 상기 해제코일(230)이 복수회 권선되어 있다.
상기 고정코일(220)은 전원을 인가받아 자화되어 자기장을 생성하고, 상기 해제코일(230) 역시 전원을 인가받아 자화되어 상기 고정코일(220)이 생성하는 자기장과 반대극성의 자기장을 생성한다.
상기 전원부(240)는 상기 고정 스위치(250) 및 상기 해제 스위치(26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코일(220)과 해제코일(230)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하우징(270)은 상기 ╋자형 철심(210), 고정코일(220), 및 해제코일(230)을 포함하고, 상기 ╋자형 철심(210)의 세로방향 철심(┃)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300)는 상기 전자력 발생부(200)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단면에 통신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안착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300)는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와 연통할 수 있는 공간(320)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공간(320) 양측으로 상기 안착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수단(400)은 로드(410), 영구자석(420), 및 통신케이블 고정대(430)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력 발생부(200)의 자력발생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 한다.
상기 로드(410)는 영구자석(420), 및 통신케이블 고정대(43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일단에 영구자석(420)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영구자석(420)은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300) 중앙에 형성된 공간(320)으로 삽입되어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부 단면과 접촉할 수 있게 대향하고 있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420)의 하단면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부 단면 사이에는 스프링(500)이 개재되는데, 상기 스프링(500)은 상기 영구자석(420)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부 단면 사이의 접촉해제를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여 통신케이블을 상기 안착홈(310)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는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300)에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고정홈(43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홈(431)은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300)의 안착홈(310)과 대응되게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의 하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10)에 놓인 통신케이블을 위에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300)의 안착홈(310)에 통신케이블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 스위치(250)를 온(ON)으로 조작하면, 상기 전원부(240)의 전원은 상기 고정코일(22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고정코일(220)은 자화되어 자기장을 생성하고, 생성된 자기장의 극성에 따라 상기 ╋자형 철심(210)의 세로방향 철심(┃) 상단부가 상기 영구자석(420)과 반대극성이 되게하여 인력(引力)에 의해 해당 영구자석(420)이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로 당겨지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420)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로드(410)가 당겨지면서 타단에 연결된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도 함께 당겨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가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300)로 당겨짐에 따라 안착홈(310)의 통신케이블을 상기 고정홈(431)이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420)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가 인력에 의해 접촉된 후, 상기 영구자석(420)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는 상기 고정 스위치(250)를 오프(OFF)로 조작해도 상기 영구자석(420)의 자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420)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420)의 자력에 의해 상기 통신케이블은 상기 안착홈(310)과 고정홈(431)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통신케이블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해제 스위치(205)를 온(ON)으로 조작하면, 상기 전원부(240)의 전원은 상기 해제코일(23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해제코일(230) 역시 자화되어 자기장을 생성하는데, 이때 생성된 자기장의 극성은 상기 고정코일(220)이 자화될 때 생성된 자기사기장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자형 철심(210)의 세로방향 철심(┃) 상단부가 상기 영구자석(420)과 동일극성이 되게되어 척력(斥力)에 의해 해당 영구자석(420)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과 서로 밀어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420)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과 서로 밀어냄에 따라 상기 로드(410)가 밀리면서 타단에 연결된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도 함께 밀리게 된다.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가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300)로부터 밀려남에 고정홈(431)이 안착홈(310)에서 이격되게 되어 사이에 고정되어 있던 통신케이블의 고정이 해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420)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 사이에는 스프링(500)이 개재되어 상기 해제 스위치(250)를 오프(OFF)로 조작해도 상기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영구자석(420)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가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500)의 탄성력이 상기 영구자석(420)의 자력보다 강해 상기 고정 스위치(250)를 온(ON)으로 조작하지 않는한 자력에 의해 영구자석(420)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가 접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420)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영구자석(420)의 자력이 압축된 상기 스프링(500)의 탄성력보다 강해 해제 스위치(260)를 온(ON)으로 조작하지 않는한 탄성력에 의해 영구자석(420)과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가 이격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300)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310)과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431)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이한 크기의 통신케이블을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다양한 크기의 통신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케이블의 크기에 맞는 고정홈(431)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는 교체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가 형성되는 상기 로드(410)의 일단에 볼트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의 중앙에 너트홀(432)이 형성되어,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가 상기 로드(410)에 볼트너트 결합과 결합해제로 분리되거나 결합되어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로드(410)의 일단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홀(432)의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와 상기 로드(410)가 볼트너트 결합 또는 결합해제가 가능해 진다.
교체되는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430)과 함께 변경되는 고정홈(431)에 대응되도록 상기 안착홈(310)의 변경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300)는 안착 베이스(320)와 안착모듈(3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안착 베이스(320)는 하광상협 구조의 체결홈(3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모듈(330)은 상기 체결홈(321)과 대응되는 구조의 체결돌기(331)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안착모듈(330)은 상기 체결돌기(331)가 상기 체결홈(32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고 체결 해제됨으로써, 교체되는 통신케이블 고정대(430)의 고정홈(431)과 대응되는 안착홈(310)을 가진 안착모듈(331)로 교체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안착 베이스(320)와 안착모듈(330)은 슬라이딩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너트 방식과 같은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3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베이스부
200 : 전자력 발생부
210 : 십(╋)자형 철심 220 : 고정코일
230 : 해제코일 240 : 전원부
250 : 고정 스위치 260 : 해제 스위치
270 : 하우징
300 : 통신케이블 안착대
310 : 안착홈 320 : 안착 베이스
330 : 안착모듈
400 : 통신케이블 고정수단
410 : 로드 411 : 볼트부
420 : 영구자석 430 : 통신케이블 고정대
431 : 고정홈 432 : 너트홀
500 : 스프링

Claims (4)

  1. 건축물 콘크리트 바닥면, 벽면, 또는 천정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상에 형성되어 전원이 입력됨에 따라 자화되어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력 발생부;
    상기 전자력 발생부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단면에 통신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통신케이블 안착대; 및
    상기 전자력 발생부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극성에 따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여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의 안착홈에 안착된 통신케이블을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는 통신케이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력 발생부는
    세로방향 철심과 가로방향 철심으로 구성된 십자형 철심;
    상기 가로방향 철심을 기준으로 세로방향 철심 상부에 권선된 고정코일;
    상기 가로방향 철심을 기준으로 상기 세로방향 철심 하부에 권선된 해제코일;
    상기 고정코일과 상기 해제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고정코일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고정 스위치;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해제코일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해제 스위치; 및
    상기 십자형 철심, 고정코일, 및 해제코일가 내장되고,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코일은 전원을 인가받아 자화되어 자기장을 생성하고, 상기 해제코일은 상기 고정코일이 생성하는 자기장과 반대극성의 자기장을 생성하되,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수단은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 중앙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개방되게 노출된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와 대향하는 영구자석; 및
    상기 로드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통신케이블 안착대에 대향하는 대향면으로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구조의 고정홈이 형성된 통신케이블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하여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고정코일로 공급되면,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와 상기 영구자석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해당 영구자석이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로드가 당겨지면서 타단에 연결된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도 함께 당겨져 상기 고정 스위치의 오프 상태에서도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통신케이블을 상기 고정홈이 고정시키고,
    상기 해제 스위치를 온으로 조작하여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해제코일로 공급되면,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와 상기 영구자석 간에 척력이 작용하여 해당 영구자석이 상기 세로방향 철심의 상단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로드가 밀리면서 타단에 연결된 상기 통신케이블 고정대도 함께 밀려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통신케이블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20200070439A 2020-06-10 2020-06-10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2215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439A KR102215549B1 (ko) 2020-06-10 2020-06-10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439A KR102215549B1 (ko) 2020-06-10 2020-06-10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549B1 true KR102215549B1 (ko) 2021-02-15

Family

ID=7456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439A KR102215549B1 (ko) 2020-06-10 2020-06-10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5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647A (ja) * 1999-08-31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ケーブル保持具
KR100968462B1 (ko) * 2010-01-07 2010-07-08 (주)에마텍 영구자석을 이용한 조작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구동 장치
KR100997716B1 (ko) * 2008-09-26 2010-12-02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전자기력을 이용한 작동기
KR101840432B1 (ko) 2017-11-29 2018-03-20 (유)전일기술단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CN107834471A (zh) * 2017-12-15 2018-03-23 南京中研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拼接功能的宽带安装用网线固定装置
CN208209429U (zh) * 2018-04-28 2018-12-07 厦门科方圆工贸有限公司 一种输变电线路电线固定装置
KR20190054218A (ko) * 2017-11-13 2019-05-22 신성에스앤티 주식회사 지하철 플렛폼 스크린도어의 전선정리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647A (ja) * 1999-08-31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ケーブル保持具
KR100997716B1 (ko) * 2008-09-26 2010-12-02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전자기력을 이용한 작동기
KR100968462B1 (ko) * 2010-01-07 2010-07-08 (주)에마텍 영구자석을 이용한 조작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구동 장치
KR20190054218A (ko) * 2017-11-13 2019-05-22 신성에스앤티 주식회사 지하철 플렛폼 스크린도어의 전선정리용 고정구
KR101840432B1 (ko) 2017-11-29 2018-03-20 (유)전일기술단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CN107834471A (zh) * 2017-12-15 2018-03-23 南京中研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拼接功能的宽带安装用网线固定装置
CN208209429U (zh) * 2018-04-28 2018-12-07 厦门科方圆工贸有限公司 一种输变电线路电线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9548B2 (en) Adapter for mounting a faceplate of a first style to an electrical outlet cavity of a second style
US10982827B2 (en) Modular assembled outdoor light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light pole structure
US11196216B2 (en) Disconnecting and supporting quick release electrical fixtures
AU2003243498A1 (en) Antenna mounting apparatuses and methods
WO2004036115A1 (ja) 電力通電ワイヤー、ワイヤーグリップ、電気機器吊下装置及び電気機器吊り下げ方法
KR101969494B1 (ko) 전자 장치를 지지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조립체
KR102215549B1 (ko)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US11856374B2 (en) Acoustic and illuminating recessed assembly
US10291007B2 (en) Active cover plates
CN108697237A (zh) 包括可电气地且机械地连接的模块家具部件的模块化家具装置
US10027099B1 (en) Square to octagon electrical adapter for a square electrical junction box
US10381774B2 (en) Easily installed versatile electrical access system using magnetic electrical connectors
KR101842508B1 (ko) 가공전선 고정용 배전애자를 갖춘 전주
US10959316B2 (en) Electronic lighting apparatus with wireless connectability to a bas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secure mounting with loaded spring for easy connection and release
KR101621351B1 (ko)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CN110499867A (zh) 一种集成有水管、强电与弱电电线的墙板系统
JP4494176B2 (ja) 表示装置
KR102175109B1 (ko)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US7251886B1 (en) System for installing a cord in a cavity
KR19990002616A (ko) 형광등의 내진 행거장치
CN205811468U (zh) 一种辅助系统屏柜顶部桥架开孔结构
EP3587692A2 (en) System for partitioning a space
JP2003188549A (ja) ネットワーク集線装置の取付方法、取付器具及び取付システム
TW201838263A (zh) 結構電力分配系統
JP2020042198A (ja) ダクトレール用dc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