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440B1 -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 - Google Patents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440B1
KR101839440B1 KR1020160079612A KR20160079612A KR101839440B1 KR 101839440 B1 KR101839440 B1 KR 101839440B1 KR 1020160079612 A KR1020160079612 A KR 1020160079612A KR 20160079612 A KR20160079612 A KR 20160079612A KR 101839440 B1 KR101839440 B1 KR 101839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zyme solution
crude enzyme
proteolytic activity
islandicu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813A (ko
Inventor
이동우
박선영
강남주
이용직
남개원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더블유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더블유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더블유바이오
Publication of KR2017000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KCTC04680) 또는 이의 조효소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범위한 pH 및 온도 조건과 계면활성제 존재 하에서도 케라틴에 대한 특이적인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어 화장료, 세제, 유기폐기물 분해용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적합한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or crude enzymes thereof having proteolytic activity at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은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분해효소란 단백질 또는 아미노산의 결합인 펩티드에 작용하여 펩티드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서 기질특이성으로 단백질의 특정 아미노산 서열을 인식하여 작용하는 경우와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인식하여 작용하는 경우 등 그 정도와 기작이 다양하다. 기질특이성과 기질 촉매 기작의 차이에 의해 분류하면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serine protease)는 활성부위에 세린 잔기를 가지는 그룹으로 세린의 -OH 기가 활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분해효소이다. 이에 속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는 트립신, 키모트립신 등의 동물기원 단백질 분해효소와 미생물 기원은 바실러스속이 생산하는 서브틸리신(subtilisin), 알칼리 단백질 분해효소 등이 있다.
황화수소(sulfohydryl) 단백질 분해효소는 활성부위에 -SH기를 가지는 그룹이며, 이들은 주로 식물기원의 단백질 분해효소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파파인, 브로멜라닌, 피신 등이 있으며, 산화제나 중금속류에 의해 저해를 받는다.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는 활성이 효소에 결합되어 있는 금속 보결분자족의 유무에 의해 결정되는 그룹이다. 이들은 EDTA나 시안화물(cyanide) 등의 착염 형성제에 의해 저해를 받는다. 보결 분자족으로 발견되는 금속 이온들은 Cu2+, Zn2+ 등의 2가 양이온들이 대부분이다. 작용 최적 pH에 따라 산성, 중성, 알카리성 단백질 분해효소로 나누기도 하며, 이들 이외에도 각기 특이한 기질에 따라서 콜라게나아제, 엘라스타아제, 케라티네이즈, 젤라티네이즈로 세분하고 있다.
피부표면의 죽은 세포층인 각질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피부의 대사에 대하여 알아보면 피부는 전신을 덮고 있고, 외부로부터의 여러 가지 자극이나 장해 또는 건조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성인은 전신에서 약 1.6㎡의 면적을 지니고 있다. 피부 두께는 연령, 성별, 부위에 따라 차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남성의 피부는 여성보다 두껍다. 또한 일반적으로 눈 주위는 매우 얇고 손바닥, 발바닥은 매우 두껍다. 피부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3층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표피의 가장 중요한 생리기능은 여러 가지의 외계로부터의 자극, 예를 들면 건조, 자외선, 그 외 다른 물리적, 화학적 자극에 대한 방어벽이 되는 적절한 외피, 즉 각질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표피는 기저세포, 유극세포, 과립세포와 순차 형태적으로 특징이 있는 세포로 변화하면서 표층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각질세포가 된다는 설이 있는데, 이 표피세포의 분화과정을 각화라 부르고 있다.
각질세포는 차례차례로 계속 만들어지지만 최외층의 오래된 각질세포가 때로서 탈리하기 때문에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처럼 항상 새로운 세포층이 위치 변화하는 것을 턴오버(turn over)라 하고, 부위나 연령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정상의 피부에서는 이 표피의 턴오버는 약 4주간 소요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박리되지 않고 피부표면에 남아있게 되면 각질층은 두꺼워지고 얼굴빛은 칙칙하고 어두워진다. 피부표면이나 모발의 모낭에 남아있는 불순물은 산소나 미생물에 의해 산화되거나 분해되고 이러한 물질은 염증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일으킨다. 이러한 불순물 가운데 케라틴이 주요 죽은 세포의 성분이고 세포가 죽고 난 후에도 피부 표면에 남아있게 되며 땀 속의 단백질도 땀을 흘린 후에 피부 표면에 남게 된다.
케라틴은 표피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세포간 섬유상 연결 단백질로서 인간의 표피에는 약 20여종의 케라틴이 발견되고 있다. 케라틴은 분자량이 크며 시스틴 이황화결합(cystine disulfide bonds)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기에, 불용성이며 잘 분해되지 않고 분자량이 크기에 세제 단독으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백질 불순물들을 작게 분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단백질 분해효소는 이러한 효과를 지닌 물질로써 여겨지며 안정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표면에 부착된 케라틴 층을 제거하고 더 부드러운 피부로 만들어 준다고 보고하고 있다(J.S.C.C. 27(3), 1993).
최근 기능성 화장품이 중시되고 있는 가운데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류의 직접 화장품 응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던 단백질 분해효소는 대부분 식물기원의 단백질 분해효소인 파파야 추출물 유래의 파파인, 파인애플 추출물 유래의 브로멜라닌 등이며, 이들은 낮은 기질특이성과 천연물질 추출 시 추출조건에 의해 활성을 소실하여 제품내에서 직접적인 기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최근 피부를 밝아지게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과일산 유래의 α-하이드록시 엑시드는 낮은 pH로 인한 피부에서의 부작용, 자외선에 노출 시 불안전하여 안전성 등의 문제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현재 단백질 분해효소 생산 미생물로는 바실러스 속, 방선균 등이 알려져 있으나, 화장품 원료로 사용 시 열안정성, 계면활성제 안정성 등의 문제로 인해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기에 제한이 많았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0-0022684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130837호
본 발명은 열안정성이 낮은 기존의 단백질 분해효소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은 온도 및 pH 조건에서 단백질 분해활성을 가질 뿐 아니라 내열성, 내산성 및 계면활성제 저항성을 가지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세제 또는 유기폐기물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포함하는 유기 폐기물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온 환경에서의 단백질 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은 광범위한 pH 및 온도 조건과 계면활성제 존재 하에서도 케라틴에 대한 특이적인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며, 내열성, 내산성 및 계면활성제 저항성을 가져 화장료, 유기폐기물 분해용, 세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의 단백질 분해활성에 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도이다. 도 1에서 (A)는 탄소원으로 포도당이 첨가된 배지를, (B)는 질소원으로 천연 닭털이 첨가된 배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의 단백질 분해활성에 pH가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도이다. 도 2에서 (A)는 탄소원으로 포도당이 첨가된 배지를, (B)는 질소원으로 천연 닭털이 첨가된 배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의 열에 대한 안정성을 관찰한 도이다. 도 3에서 (A)는 탄소원으로 포도당이 첨가된 배지를, (B)는 질소원으로 천연 닭털이 첨가된 배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의 단백질 분해활성에 계면활성제가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도이다. 도 4에서 (A)는 탄소원으로 포도당이 첨가된 배지를, (B)는 질소원으로 천연 닭털이 첨가된 배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의 기질특이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5에서 (A)는 기질로 천연 닭털을, (B)는 머리카락을, (C)는 손톱을 기질로 한 결과이며, (D)는 조효소액 단독 결과이다.
도 6은 탄소원으로 포도당이 첨가되거나 질소원으로 천연 닭털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으로부터 전사체분석(RNA seq.)을 위한 total RNA를 추출한 후 전기영동으로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케라틴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탐색을 위한 전사체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전사체분석 결과로부터 천연 닭털이 첨가된 배지에서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들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넓은 범위의 pH, 온도 조건에서도 높은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며, 계면활성제에 대한 저항성 또한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포함하는 고온 환경 단백질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은 수탁번호 KFCC11115 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된 미생물이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KCTC04680 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된 미생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25~95℃의 온도에서 최적의 단백질 분해 활성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80~95℃의 온도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에서 최대의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낸다. 즉,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pH 4.1~9.4에서 최적의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pH 5~8.5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6.7에서 최대의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전술한 pH, 온도 조건에서 계면활성제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 효소활성유지 및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다. 일예로,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계면활성제가 1%(v/v) 첨가된 조건에서도 오랜시간, 바람직하게 96시간 동안 높은 단백질 분해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세제 용도로 사용하기에 매우 접합한 활성을 갖는다.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은 단백질 분해효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단백질 분해효소는 닭털, 양털, 머리털, 깃털 등의 주성분인 케라틴을 분해하는 케라티나아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세린프로데이즈(serine protease), 엔도글루카네이즈(endoglucanase), ClpB 프로테이즈(chaperone protein ClpB), M55 메탈로 펩티데이즈(peptidase M55), S8 세린 펩티데이즈(peptidase S8), C15 시스테인 펩티데이즈(peptidase C15) 등일 수 있다.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0.1~5% 탄소원 또는 0.1~5%의 질소원을 포함하는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thermotoga fervidobacterium)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오즈, 자일로즈, 수크로즈, 락토즈, 프락토즈, 말토즈, 전분, 셀룰로즈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원은 배지에 0.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2.0중량%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질소원으로는 닭털, 오리털, 깃털, 우모분, 카제인, 탈지분유, 유청, 면실박, 대두박, 펩톤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질소원은 배지에 0.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2.0중량%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배지에서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케라틴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포함하여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케라틴에 대한 특이적인 단백질 분해활성 뿐 아니라 내열성, 내산성 및 계면활성제 저항성을 가져 화장료, 세제, 유기폐기물 분해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인간표피세포 유래의 죽은 세포층 성분인 케라틴 분해활성을 가져 각질제거에 효과적이며, 피부 노후조직을 분해하여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화장품의 경피흡수 촉진을 통한 영양성분의 흡수를 도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피부 각질층을 용해 제거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 효과 또한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모발, 손톱 등에 대한 뛰어난 기질특이성을 가져 각질제거용, 모발탈색용 또는 손발톱 상태 개선용 화장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함량이 0.00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첨가로 인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계면활성제에 대해 안정성을 가지는 바, 세제 조성물 첨가제로 적합하다.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세제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함량이 0.00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 세정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질, 일예로 계면활성제, 세정보조기제, pH 조정제, 천연보습성분 및 천연 식물성 오일 등의 보습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방부제, 용제, 착향료 및 색소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효과를 유지하고, 인체에 자극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인 항균 물질 또는 살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 조성물이란 냉수 및 온수에서 적당한 기포력을 가지고, 피부 표면에 부착된 유성 및 수성오염이나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성물로, 최근에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함과 동시에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보습효과를 부여하거나, 피부 유연성을 증대시키거나, 피지 제거능을 증대시키는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세제 조성물의 피부 저자극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세제로의 기능 이외에 상기와 같은 추가적인 기능이 모두 부가된 세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세정제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암모늄 라우릴 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코코일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등이 있으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예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솔베이트 80,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이 있으며,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예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칼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있으며,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일예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이 있다. 상기 pH 조정제는 일예로 시트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글리콜산 등의 유기산, 염산, 황산, 인산, 질산 등이거나 이들 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 등을 조합한 것일 수 있으며, 트리에탄올아민, 소듐클로라이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등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보습용도로 사용되는 통상의 오일, 일예로 식물성 오일 또는 유동파라핀이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콜라겐 등일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일예로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 등일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일예로 정제수, 에탄올, 트윈 20, 사이클로메치콘, 미네랄오일 또는 디메치콘일 수 있고, 상기 착항제 및 색소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의 선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세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은 그 자체만으로 세제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통상의 세제 성분에 첨가되는 세제 첨가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 조성물은 액상, 고형의 비누 또는 분말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기폐기물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기폐기물은 일반 및 산업 폐기물 중에서도 주로 유기폐기물을 주체로 하는 폐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기폐기물을 가공 또는 분해하기 위한 공지의 방법에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을 첨가하여 실시하는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특히, 상기 유기폐기물은 가금류의 깃털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닭, 오리, 거위, 칠면조, 기러기, 비둘기 등의 깃털일 수 있다.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은 유기폐기물 분해용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함량이 0.00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 유기폐기물 분해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F. islandicum ) AW-1 조효소액이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최적 온도 조건 선별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Thermotoga Fervidobacterium) 배지를 변형하여 탄소원으로 0.5% 포도당(glucose)을 첨가한 배지와, 질소원으로 0.8% 천연 닭털(native feather)을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호열균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배양하였다. 이때, 천연 닭털을 첨가한 배지는 분해된 닭털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균주 배양액을 0.8㎛ 거름종이로 걸러낸 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체를 회수하였으며, 포도당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균체는 여과과정 없이 균체를 원심분리를 통하여 회수하였다.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의 단백질 분해활성에 미치는 최적 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탄소원으로 0.5% 포도당이 첨가된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 배지와 질소원으로 0.8% 천연 닭털이 첨가된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 배지에서 각각 배양한 배양액(1L)을 원심분리(10,000×g, 20분, 4℃)하여 균체만을 모으고, 150mM NaCl이 포함된 50mM Tris-HCl(pH 7.0) 5mL에 현탁시켰다. 이어서, 4℃에서 2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세포를 완전히 파쇄한 다음, 원심분리(10,000×g, 20분, 4℃)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여, 효소반응온도를 20~95℃ 범위로 조정하여 단백질 분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단백질 분해활성은 단백질의 유리 아미노산이 측정가능한 쿠니치반응(Kunitz) 분석방법을 통하여 280㎚ 파장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원으로 0.5%의 포도당 또는 질소원으로 0.8% 천연 닭털을 첨가한 서모토가 퍼비도박레티움 배지에서 배양한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은 모두 25~95℃의 반응온도에서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90℃의 반응온도에서 최대의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었고, 95℃ 이상에서도 활성이 80% 이상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보고된 퍼비도박테리움 페니보란스(Fervidobacterium pennivorans)가 생산하는 케라티나아제(keratinase)의 경우 최적온도가 80℃인 점을 감안하다면,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은 10℃ 정도 더 높은 온도에서도 높은 단백질 분해활성을 가지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도 단백질 분해활성을 유지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F. islandicum ) AW-1 조효소액이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최적 반응 조건 pH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의 단백질 분해활성에 미치는 최적 pH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탄소원으로 0.5% 포도당이 첨가된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 배지와 질소원으로 0.8% 천연 닭털이 첨가된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 배지에서 각각 배양하여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 islandicum) AW-1의 조효소액을 얻었다. 50mM 초산나트륨 버퍼(pH 4~6), 50mM 인산칼슘 버퍼(pH 6~8), 50mM 붕산염 버퍼(pH8~10) 및 50mM 탄산수소나트륨 버퍼(pH 9~11)를 이용하여 각 pH 별로 반응액을 만들고, 상기 조효소액을 가하여 80℃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단백질 분해활성을 측정하였다. 활성측정은 쿠니치 반응을 사용하였고, 쿠니치 반응은 상기 조효소액이 최종 0.1㎎/mL 농도, 기질이 최종 0.2% 카제인, 최종 50mM 버퍼(pH 4, 5, 6, 7, 8, 9, 10, 11)에 0.5mL가 되도록 만들어 상기 실기예 1의 결과에 따라 90℃의 워터배스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키고, 0.5mL의 10%(w/v) TCA를 첨가한 후 섞어 얼음에 냉각시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은 탄소원으로 0.5%의 포도당 또는 질소원으로 0.8% 천연 닭털을 첨가한 서모토가 퍼비도박레티움 배지에서 배양한 실험군 모두 pH 6.7에서 최대의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포도당 첨가 배지와 천연 닭털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균체에서 얻은 조효소액 모두 pH 4.1~9.4의 범위에서 최대 활성의 50%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기존에 보고된 케라티나아제의 경우 최대 활성을 나타내는 pH가 8.0인 점을 감안한다면,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은 pH 4.1~9.4로 더 넓은 범위의 pH에서 높은 단백질 분해활성을 유지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F. islandicum ) AW-1 조효소액의 열 안정성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의 열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탄소원으로 0.5% 포도당이 첨가된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 배지와 질소원으로 0.8% 천연 닭털이 첨가된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 배지에서 각각 배양하여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 islandicum) AW-1의 조효소액을 얻었다. 상기 조효소액을 최종 50mM 인산칼륨 버퍼(pH 7.0)에 현탁하여 최종 0.1㎎/mL의 농도가 되도록 반응액을 제조하고, 이 반응액을 25~80℃의 온도범위에서 0~96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0, 3, 6, 12, 24, 48, 72 및 96시간 단위로 잔존활성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은 탄소원으로 0.5%의 포도당 또는 질소원으로 0.8% 천연 닭털을 첨가한 서모토가 퍼비도박레티움 배지에서 배양한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 모두 60℃에서 96시간이 지나도 90% 이상의 단백질 분해활성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80℃에서는 포도당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균체의 조효소액의 경우 45시간이 지나도 50% 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으며, 천연 닭털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균체의 조효소액의 경우 70시간이 지나도 50% 이상의 활성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써모토가 마리티마(Thermotoga maritima)의 프로테아제의 경우 95℃에서 반감기(half-life)가 33분 정도 된다고 보고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은 써모토갈 목(Thermotogale order)에서 가장 열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실시예 4: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F. islandicum ) AW-1 조효소액의 계면활성제에 대한 안정성 확인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탄소원으로 0.5% 포도당이 첨가된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 배지와 질소원으로 0.8% 천연 닭털이 첨가된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 배지에서 각각 배양한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 islandicum) AW-1의 조효소액을 얻었다.
효소 활성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를 효소액에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효소의 잔존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조효소액을 최종 0.1㎎/mL의 농도가 되도록 최종 0.25%(w/v) SDS를 첨가하여 최종 50mM 인산칼륨 버퍼(pH 7.0)에 희석하였다. 제조한 반응액을 25℃ 및 40℃의 온도에서 0~96시간 동안 방치한 후, 0, 3, 6, 12, 24, 48, 72 및 96시간 단위로 수집한 반응액을 쿠니치 반응을 수행하여 계면활성제에 대한 조효소액의 잔존활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은 탄소원으로 0.5%의 포도당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 시, 25℃ 및 40℃에서 96시간이 지나도 90% 이상의 단백질 분해활성을 유지하였으며, 질소원으로 0.8% 천연 닭털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조효소액은 40℃에서 96시간이 지나도 90% 이상의 단백질 분해활성을 유지하였으며, 25℃에서는 80% 이상의 단백질 분해활성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에 보고된 케라티나아제의 경우 1.0%(w/v) SDS를 첨가하고 90℃에서 1시간 동안 쿠니치 반응 시 25%의 활성을 나타낸 점을 감안한다면,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은 더 오랜시간 동안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높은 안정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높은 단백질 분해활성을 유지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F. islandicum ) AW-1 조효소액의 기질 특이성 확인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탄소원으로 0.5% 포도당이 첨가된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 배지와 질소원으로 0.8% 천연 닭털이 첨가된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 배지에서 각각 배양한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 islandicum) AW-1의 조효소액을 얻었다.
상기 조효소액의 기질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천연 닭털, 머리카락, 및 손톱을 기질로 사용하여 효소활성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기질(천연 닭털, 머리카락, 손톱) 0.2%(W/V)에 조효소액(0.1㎎/mL) 및 50mM 인산칼륨 버퍼(pH 7.0)를 혼합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75℃에서 반응시키고, 0, 3, 5, 8, 11, 14일 마다 반응액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반응액으로 닌하이드린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A)는 천연닭털을, (B)는 머리카락을, (C)는 손톱을 기질로 한 결과를 나타내며, (D)는 조효소액 단독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연 닭털, 머리카락 및 손톱의 기질과 함께 환원제인 디티오쓰레이톨(Dithiothreitol, DTT)이 첨가된 각각의 반응액에서 효소활성에 의해 분해(유리)된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조효소액은 케라틴 분해능이 우수한 단백질 분해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전사체 분석(RNA seq.)을 통한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F. islandicum ) AW-1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 탐색
닭털에는 케라틴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닭털 분해 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 예컨데 케라틴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탐색하기 위하여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을 상기와 같이 탄소원으로 0.5% 포도당이 첨가된 배지와 질소원으로 0.8% 천연 닭털이 첨가된 배지에서 각각 배양한 배양액(1L)을 원심분리(10,000×g, 20분, 4℃)하여 균체만을 모으고, 균체를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급속 냉동시킨 후 막자사발로 분쇄하여 세포파쇄분을 회수하였다.
세포파쇄분에서 RNeasy Mini Kit(QIAGEN, U.S)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으며, 도 6에 추출결과를 나타내었다. 전사체 분석은 ChunLab, Inc.에 의뢰하여 수행하였으며 전사체 분석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균주의 1,928개의 유전자에서 전사체 분석을 통하여 닭털이 첨가된 배지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량이 증가(2 fold 이상, p-value 0.05 이하)하는 390개의 유전자를 확인하였으며, 이중 총 6개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확인하고, 이를 도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 조효소액에는 닭털과 같은 기질을 분해하기 위한 다양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화장료 제제의 제조
유연화장수 제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 0.1중량%, 1,3-부틸렌글리콜 5.2중량%, 올레일알코올 1.5중량%, 에탄올 3.2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중량%, 벤조페논-9 2.0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글리세린 3.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밀크로션 제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 0.1중량%, 글리세린 5.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2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중량%, 유동파라핀 4.6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0중량%, 스쿠알란 3.1중량%,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6중량%,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중량%, 프로필파라벤 0.6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영양크림 제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2.1중량%, 유동파라핀 5.3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6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중량%, 폴리솔베이트 60 3.2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마사지크림 제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유동파라핀 24.0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1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중량%, 폴리솔베이트 60 2.4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세정용 바디클렌저 제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조효소액 1g, 음이온계면활성제 18g, 비이온계면활성제 5g, 글리세린 7g, 소듐클로라이드 3g, 천연올리브액상비누 1.5g, 향료 1g 및 물 100g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세정용 바디클렌저를 제조하였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04680 20141028

Claims (11)

  1. 0.1~5중량% 탄소원 또는 0.1~5중량%의 질소원을 포함하는 서모토가 퍼비도박테리움(Thermotoga-Fervidobacterium)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되고,
    세린프로테이즈(serine protease), 엔도글루카네이즈(endoglucanase), ClpB 프로테이즈(chaperone protein ClpB), M55 메탈로 펩티데이즈(peptidase M55), S8 세린 펩티데이즈(peptidase S8) 및 C15 시스테인 펩티데이즈(peptidase C15)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포함하고,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의 조효소액.
  2. 제1항에 있어서,
    25~95℃ 온도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의 조효소액.
  3. 제1항에 있어서,
    pH 4.1~9.4 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의 조효소액.
  4.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에 대한 효소활성유지 및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의 조효소액.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의 조효소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각질제거용, 모발 탈색용 또는 손발톱 상태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의 조효소액을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의 조효소액을 포함하는 유기 폐기물 분해용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의 조효소액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온 환경에서의 단백질 분해 방법.
KR1020160079612A 2015-06-24 2016-06-24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 KR101839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801 2015-06-24
KR20150089801 2015-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13A KR20170000813A (ko) 2017-01-03
KR101839440B1 true KR101839440B1 (ko) 2018-04-26

Family

ID=5779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612A KR101839440B1 (ko) 2015-06-24 2016-06-24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91B1 (ko) * 2019-08-14 2019-10-25 신화건설(주) 초고온 미생물에 의한 가축사체처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9515A1 (en) 2008-07-25 2010-01-28 Applimex Systems Pty Ltd Enzyme hydrolysis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7354B1 (en) 1998-09-18 2003-07-01 Duane B. Kutsch Telecommunication assembly
KR20090130837A (ko) 2008-06-16 2009-12-2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케라틴 분해 효소의 생산방법 및 그 효소의 각질 제거제로서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9515A1 (en) 2008-07-25 2010-01-28 Applimex Systems Pty Ltd Enzyme hydrolysis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 Microbiol, 2002, Vol. 178, No. 6, pp. 538-54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13A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04920A1 (en)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Health and Methods of Using Same
TWI785077B (zh) 用於改善皮膚、頭髮及頭皮健康之基於酵母菌之膜
EP0845972A1 (de) Verwendung von mutierter subtilisin-protease in kosmetischen produkten
KR101589002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Z273599A (en) Skin care preparation containing thiol proteases
US11759544B2 (en) Therapeutic compositions for enhanced healing of wounds and scars
JP2005501805A (ja) Thermus科の微生物の発酵によるタンパク質の生成のためのプロセス、このようにして得られたタンパク質の混合物、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美容用組成物
US20100189709A1 (en) Elastase inhibitor
KR20160099163A (ko)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신규한 크리세오박테리움 속 p1-3 균주 및 이의 이용방법
KR20130048164A (ko) 해파리 콜라겐 펩티드 혼합물
KR101839440B1 (ko) 고온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갖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 또는 이의 조효소액
JP2012087091A (ja) 化粧料
CN110872568A (zh) 包括短小芽孢杆菌菌株或其培养液的用于预防或改善老化的组合物
KR102394644B1 (ko) 케라틴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미생물 크리세오박테리움 카멜리아에 돌송이-ht1 및 이의 용도
JP2007039394A (ja) 老化予防改善皮膚外用剤
KR100329962B1 (ko) 피부표면의 케라틴층을 분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와 이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그 배양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643683B1 (ko) 식충식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미생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질제거용 조성물
JP2746691B2 (ja) 界面活性剤の製造方法と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102260080B1 (ko) 탈지미세조류 효소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NZ273328A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stratum corneum cathepsin-d-like enzyme(s)
Gupta 10 Role of microbial oxidative enzymes in the cosmetic industry
JP2001220342A (ja) 化粧品
WO2023196762A1 (en)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health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07045747A (ja) 皮膚老化関連成分の産生調整剤、及びその皮膚老化関連成分の産生調整剤を配合した皮膚老化防止用外用剤
JP2005192403A (ja) プロテアーゼ、および該プロテアーゼを含む皮膚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