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001B1 - 프리캐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01B1
KR101839001B1 KR1020170088569A KR20170088569A KR101839001B1 KR 101839001 B1 KR101839001 B1 KR 101839001B1 KR 1020170088569 A KR1020170088569 A KR 1020170088569A KR 20170088569 A KR20170088569 A KR 20170088569A KR 101839001 B1 KR101839001 B1 KR 101839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winch
guide
rail
rai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기
Original Assignee
이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기 filed Critical 이춘기
Priority to KR102017008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프리캐스팅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프리캐스팅 장치는,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들의 프리캐스트 성형을 위한 측부 및 하부 성형폼들을 구비한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 측에서 프리캐스트된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이 상기 하부 성형폼 측에 놓여진 상태로 교량 시공 지점으로 이송 운반되기 위한 레일 구간을 형성하는 이송 레일과 이 이송 레일의 레일 구간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윈치 와이어의 당김 동작으로 견인력을 발생하는 이송 윈치를 구비한 이송부, 그리고 상기 이송부의 레일 구간 내에서 상기 이송 윈치 측과 상기 하부 성형폼 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 윈치의 작동과 연계하여 레일 구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하부 성형폼의 이송 방향을 탄력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팅 장치{PRECASTING EQUIPMENT}
본 발명은 교량 상판 구조물의 프리캐스트 작업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교량들은 상판 구조물들이 서로 인접 배열되는 상태로 연결 고정 지지되면서 교량 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시공된다.
이러한 교량 시공에 사용되는 대형의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들은 대부분 별도의 성형공장 등에서 프리캐스트(precast)된 후, 운송 수단 등을 통해서 교량 시공 지점 측으로 운반되는 방식으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교량 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특히 프리캐스트된 대형의 상판 구조물들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반 공급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작업 환경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와 부합하는 장치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07-290442호의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조장치(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제조장치는 블록의 프리캐스트 성형은 물론이거니와, 프리캐스트된 블록이 대차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송(운반)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 구조상 블록의 이송 중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프리캐스트된 블록이 하판 측에 놓여진 상태로 대차 측에 옮겨 싣는 과정을 매번 진행해야 하므로, 블록을 옮겨 싣는 작업 중에 비(非) 정상적인 접촉 충격이나, 압력 등이 블록 측에 전달될 수 있고, 이는 프리캐스트 블록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프리캐스트 블록들은 교량의 시공 안전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구성부 이므로, 시공 안전성 확보 차원에서 블록의 프리캐스트 및 운반 작업시 블록 측에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작업 공정들은 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량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블록들은 대형의 중량 콘크리트 구조물이므로, 이들 블록들을 옮겨 싣는 작업 방식의 장치 구조로는, 만족할 만한 이송 운반 안전성 및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07-290442호의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조장치는 프리캐스트 성형 작업과 연계하여 블록들을 프리캐스트 상태로 이송 운반할 때 만족할 만한 이송 운반 안전성 및 효율성을 기대하기에는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橋梁)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들의 프리캐스트 작업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프리캐스트된 상태의 상판 구조물들을 교량 시공 지점 측으로 간편하게 운반 공급할 수 있는 프리캐스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들의 프리캐스트 성형을 위한 측부 및 하부 성형폼들을 구비한 성형부;
상기 성형부 측에서 프리캐스트된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이 상기 하부 성형폼 측에 놓여진 상태로 교량 시공 지점으로 이송 운반되기 위한 레일 구간을 형성하는 이송 레일과, 이 이송 레일의 레일 구간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윈치 와이어의 당김 동작으로 견인력을 발생하는 이송 윈치를 구비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레일 구간 내에서 상기 이송 윈치 측과 상기 하부 성형폼 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 윈치의 작동과 연계하여 레일 구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하부 성형폼의 이송 방향을 탄력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교량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들을 프리캐스트 상태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프리캐스트된 상태의 상판 구조물들을 교량 시공 지점 측으로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운반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팅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팅 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팅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팅 장치는, 성형부(2), 이송부(4), 및 연결 가이드부(6)를 포함한다.
성형부(2)는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S, 이하 "상판 구조물"이라고 함.)을 프리캐스트할 수 있는 성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이송부(4) 측과 연계되어 도 1에서와 같이 교량 시공구간(L) 측으로 상판 구조물(S)이 원활하게 운반 공급될 수 있도록 시공구간(L)의 인근 지점에 배치된다.
성형부(2)는 상판 구조물(S)의 성형과 부합하는 측부 성형폼(F1) 및 하부 성형폼(F2)을 구비하고,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이송부(4)의 레일 구간 내에서 상판 구조물(S)의 성형이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다.
측부 성형폼(F1) 및 하부 성형폼(F2)들은 예를 들어,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K)들에 의해 각각 전, 후진 또는 회전되는 상태로 움직이면서 성형 또는 탈형 위치로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측부 성형폼(F1)들 중에서 일부는 상판 구조물(S)이 성형된 상태로 이송부(4)의 레일 구간을 따라 타측으로 이송 운반될 때, 접촉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도 2에서와 같이 이송부(4)의 레일 구간 아래쪽을 향하여 업, 다운 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부 성형폼(F2)은 이송부(4)의 레일 구간 상에 놓여져서 수평하게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즉, 하부 성형폼(F2)은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판 구조물(S)의 하부 성형과 부합하는 폼 형태를 가지며 이송부(4)의 레일 구간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놓여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판 구조물(S)의 성형은 물론이거니와, 상판 구조물(S)이 성형된 상태로 레일 구간을 따라 운반될 수 있도록 이송 가능하게 받쳐주는 일종의 받침대 역할도 한다.
한편, 이송부(4) 및 연결 가이드부(6)는 성형부(2) 측에서 프리캐스트 성형된 상판 구조물(S)을 교량 시공구간(L) 측으로 원활하게 옮길 수 있는 이송 운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송부(4)는 이송 레일(R)과 이송 윈치(W)를 구비하고, 상판 구조물(S)을 이송 운반하기 위한 레일 구간 및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이송 레일(R)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두 개의 레일이 서로 평행하게 간격을 띄운 상태로 성형부(2) 측과 교량 시공구간(L)의 일단 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연장된 레일 구간을 이루도록 셋팅된다.
이송 레일(R)은 "I"자(또는 "T"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금속빔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판 구조물(S)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레일 구간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지면 상에 형성된 별도의 지지대(A) 측에 놓여져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이송 윈치(W)는 하부 성형폼(F2) 측을 당겨서 이 하부 성형폼(F2) 상에 배치된 상판 구조물(S)을 이송 레일(R)의 레일 구간을 따라 이송 운반하기 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송 윈치(W)는 유압 윈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2에서와 같이 성형부(2) 측이 이송 레일(R)의 레일 구간 일단 지점에 배치될 때 레일 구간 반대편 측에 배치되고, 구동드럼(W1) 측에 감겨진 와이어(W2)의 끝단(자유단) 측이 후술하는 이송가이드부(6) 측에 연결되는 상태로 셋팅된다.
이송 윈치(W)는 구동 드럼(W1)의 일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드럼 둘레부 측에 와이어(W2)가 감겨지는 상태로 당김 동작되면서 상판 구조물(S)의 이송 운반과 부합하는 상태로 하부 성형폼(F2) 측을 견인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당김 동작시 유동되지 않도록 지면 측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된다.
연결 가이드부(6)는 이송부(4) 측과 연계하여 상판 구조물(S)의 운반 안전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상태로 하부 성형폼(F2)의 이송 방향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연결 가이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연결 가이드부(6)는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이송부(4)의 이송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이드홈(G1)이 형성된 가이드대(G)와, 이 가이드대(G)의 가이드홈(G1)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블록(B)과, 이 슬라이드 블록(B) 상부 측에 세워진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부 성형폼(F2) 및 이송 윈치(W) 측과 연결되기 위한 제1 연결구(C1) 및 제2 연결부(C2)가 형성된 회전 가이드구(C)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대(G)는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이송레일(R) 사이(폭 방향)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연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로 상부 측에 가이드홈(G1)이 형성된다.
가이드대(G)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에는 레일홈(G2)이 각각 형성되며, 이 레일홈(G2)은 두 개의 이송 레일(R)의 상부 측에 끼워져서 가이드대(G) 측이 레일 구간 상에 받쳐진 상태로 레일 구간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레일홈(G2)은 이송 레일(R)의 상부 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레일 구간의 측 방향(좌,우측)으로 벗어나지 않는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려질 수 있는 홈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드 블록(B)은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가이드대(G)의 가이드홈(G1) 내측에 배치되며, 특히 두 개의 이송 레일(R)의 레일 구간 내에서 임의의 가이드 기준선(Q) 지점에 탄력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여기서 임의의 가이드 기준선(Q)은 레일 구간 내에서 이송 윈치(W)의 윈치 와이어(W2) 측과 연계되어 가이드 동작되는 슬라이드 블록(B)의 바람직한 위치를 도면 상에 표시한 것이다.
즉, 슬라이드 블록(B)은 두 개의 이송 레일(R)의 레일 구간 내에서 레일 폭 방향 중간 지점에 위치되는 상태로 가이드 동작되도록 가이드대(G) 측에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가이드홈(G1) 내측에서 슬라이드 블록(B)을 사이에 두고 탄성부재(B1, 예: 압축 코일 스프링)가 각각 배치되고, 이 탄성부재(B1)들의 미는 힘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B)이 가이드홈(G1) 내측에서 임의의 가이드 기준선(Q) 지점에 탄력적으로 위치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구(C)는 슬라이드 블록(B) 측과 연계하여 가이드대(G) 측에서 직선 이동 및 회동되는 상태로 이송 방향의 가이드 동작이 가능하게 셋팅된다.
회전 가이드구(C)는 예를 들어, 대략 "T"자 분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수직부(E1) 측은 슬라이드 블록(B)의 상부 측에 세워진 상태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고, 수평부(E2) 측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1 연결부(C1)와 제2 연결부(C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가이드구(C)는 이송 윈치(W) 측과 하부 성형폼(F2) 사이를 견인력 작용이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된다.
즉,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1 연결부(C1) 측은 별도의 연결바(H)에 의해 하부 성형폼(F2) 측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C2) 측은 이송 윈치(W)의 윈치 와이어(W2) 단부(자유단) 측과 연결된 상태로 셋팅된다. 이때, 연결바(H)의 바 일단은 하부 성형폼(F2) 측에 일체(비회전)로 연결 고정되고, 제1 연결부(C1)와 제2 연결부(C2)의 연결 지점들은 수평 방향으로 연결 상태가 전환(꺾임 동작)될 수 있는 연결 구조(예: 핀 결합)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 가이드구(C)는 요구되는 가이드 동작 여건에 따라 이와 부합하도록 제1 연결부(C1)의 위치(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1 연결부(C1) 측이 회전 가이드구(C)의 수평부(E1) 측에 암,수 나사부 결합으로 연결된 조절 이음부(C3)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조절 이음부(C3)의 정,역 방향 회전 조작시 회전 가이드구(C)의 회전 지점(수직부)으로부터 제1 연결부(C1)의 연결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가이드부(6)의 구조에 의하면, 성형부(2) 측에서 프리캐스트된 상판 구조물(S)을 이송부(4)의 이송 윈치(W) 및 이송 레일(R)을 이용하여 견인하는 방식으로 이송 운반할 때 운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상판 구조물(S)이 놓여진 하부 성형폼(F2) 측이 레일 구간을 이탈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로 이송 방향이 유도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윈치 와이어(W2)가 연결되는 회전 가이드구(C)는 가이드대(G) 측에서 임의의 가이드 기준선(Q) 지점에 탄력적으로 위치되는 슬라이드 블록(B) 측에 고정 설치되므로,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윈치 와이어(W2)가 이송 레일(R) 측과 서로 평행한 상태로 하부 성형폼(F2)을 당겨서 레일 구간을 따라 운반할 때, 하부 성형폼(F2)이 레일 구간 측방으로 벗어나더라도 회전 가이드구(C) 측이 임의의 가이드 기준선(Q) 지점에 탄력적으로 위치되려는 작용에 의해 하부 성형폼(F2)의 이송 방향이 정상적인 상태로 보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 가이드부(6)는 하부 성형폼(F2) 측이 이송 레일(R)의 레일 구간을 따라 이송 방향이 안정적으로 유도되는 상태로 상판 구조물(S)이 운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가이드부(6)는 이송 윈치(W)의 윈치 와이어(W2)가 이송 레일(R) 측과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태로 견인 동작될 때에도 하부 성형폼(F2) 측이 레일 구간 측방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이송 방향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이송 윈치(W)가 이송 레일(R)의 끝단 지점 측에서 측방 어느 한쪽으로 벗어난 상태로 견인 작동되면, 회전 가이드구(C)는 윈치 와이어(W2)의 당기는 힘에 의해 도 9에서와 같이 가이드대(G)의 가이드홈(G1) 구간 내에서 슬라이드 블록(B)과 함께 임의의 가이드 기준선(Q) 지점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탄력적으로 벗어나는 상태로 직선 이동됨과 아울러, 수평부(E2) 측이 윈치 와이어(W2) 측과 서로 직선의 배열을 이루도록 수직부(E1)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면서 수평부(E2) 측의 제1 연결부(C1) 측이 임의의 가이드 기준선(Q) 지점에 근접되는 상태로 가이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 가이드부(6)는 이송 윈치(W)의 설치 위치에 따라 회전 가이드구(C) 측이 임의의 가이드 기준선(Q) 지점을 벗어나더라도 회전 가이드구(C) 중에서 하부 성형폼(F2) 측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C1) 측이 임의의 가이드 기준선(Q) 지점에 근접되는 상태로 위치가 변화되도록 가이드 동작되면서 레일 구간을 따라 이송 방향이 안정적으로 유도되는 상태로 상판 구조물(S)이 운반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연결 가이드부(6)의 탄력적인 가이드 작용에 의하면, 윈치 와이어(W2)가 이송 레일(R) 측과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태로 당김 동작될 때, 이송 레일(R)의 레일 구간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대(G) 측에 전달되는 비틀림 방향의 스트레스를 회전 가이드구(C) 및 이 회전 가이드구(C) 측과 연계하여 작동되는 슬라이드 블록(B) 및 탄성부재(B1)에 의해 적절하게 완충시키는 상태로 이송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작동 안정성 및 내구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연결 가이드부(6)의 회전 가이드구(C)는 조절 이음부(C3)의 조작에 의해 제1 연결부(C1) 측의 연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송 윈치(W)의 설치 위치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상태로 제1 연결구(C1) 측의 동작 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가이드 조작성 및 호환성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형부(2) 측에서 프리캐스트된 상판 구조물(S)을 이송부(4) 및 연결 가이드부(6)를 이용하여 레일 구간을 따라 옮기는 방식으로 교량 시공 지점 측으로 안전하게 운반 공급할 수 있으므로, 교량 시공을 위한 상판 구조물(S)들의 프리캐스트 작업은 물론이거니와, 이와 연계하여 구조물의 운반 공급 작업을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2: 성형부 4: 이송부 6: 연결 가이드부
S: 상판 구조물 R: 이송 레일 W: 이송 윈치
W2: 윈치 와이어 B: 슬라이드 블록 C: 회전 가이드구

Claims (8)

  1.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들의 프리캐스트 성형을 위한 측부 및 하부 성형폼들을 구비한 성형부;
    상기 성형부 측에서 프리캐스트된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이 상기 하부 성형폼 측에 놓여진 상태로 교량 시공 지점으로 이송 운반되기 위한 레일 구간을 형성하는 이송 레일과, 이 이송 레일의 레일 구간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윈치 와이어의 당김 동작으로 견인력을 발생하는 이송 윈치를 구비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레일 구간 내에서 상기 이송 윈치 측과 상기 하부 성형폼 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 윈치의 작동과 연계하여 레일 구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하부 성형폼의 이송 방향을 탄력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부의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대와, 이 가이드대의 가이드홈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이 슬라이드 블록의 상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하부 성형폼 및 상기 이송 윈치의 윈치 와이어 측과 연결되기 위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가 형성된 회전 가이드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프리캐스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의 하부 성형폼은,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의 하부 성형과 부합하는 폼 형태를 가지며 상기 이송부의 레일 구간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놓여진 상태로 배치되어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의 성형은 물론이거니와, 콘크리트 상판 구조물이 성형된 상태로 레일 구간을 따라 운반될 수 있도록 이송 가능하게 받쳐줄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프리캐스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두 개의 이송 레일이 서로 간격을 띄우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레일 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 레일의 레일 구간 일측 단부 지점과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이송 윈치가 배치되어 레일 구간 방향으로 견인력을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되는 프리캐스팅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이송 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연결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홈이 연장 형성되는 프리캐스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상기 가이드대의 가이드홈 내측에서 홈부 연장 구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의 홈부 연장 구간 내에서 상기 이송부의 레일 구간 폭 방향 가운데 지점에 탄력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셋팅되는 프리캐스팅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구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상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세워진 상태로 상기 수직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부 성형폼과 상기 이송 윈치의 윈치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가 상기 수평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프리캐스팅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구는,
    상기 이송 윈치의 구동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측이 상기 윈치 와이어 측과 서로 직선을 배열을 이루도록 상기 수직부를 중심으로 상기 수평부 측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상태로 가이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장치.
KR1020170088569A 2017-07-12 2017-07-12 프리캐스팅 장치 KR101839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569A KR101839001B1 (ko) 2017-07-12 2017-07-12 프리캐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569A KR101839001B1 (ko) 2017-07-12 2017-07-12 프리캐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001B1 true KR101839001B1 (ko) 2018-03-15

Family

ID=6165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569A KR101839001B1 (ko) 2017-07-12 2017-07-12 프리캐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0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19A (ja) 1998-08-01 2000-02-22 Sumitomo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床版の形成方法及び上路式吊構造橋の構築方法
JP2009287312A (ja) 2008-05-30 2009-12-10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橋梁の架設装置
JP5470220B2 (ja) 2010-10-25 2014-04-16 大成建設株式会社 移送方向を転換させながら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を移送して敷設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19A (ja) 1998-08-01 2000-02-22 Sumitomo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床版の形成方法及び上路式吊構造橋の構築方法
JP2009287312A (ja) 2008-05-30 2009-12-10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橋梁の架設装置
JP5470220B2 (ja) 2010-10-25 2014-04-16 大成建設株式会社 移送方向を転換させながら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を移送して敷設す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4465B2 (ja) ロングレールを搬送しかつ降ろすための搬送車両および方法
CN107558314B (zh) 利用轨道夹持器转运轨道的方法
US9121140B2 (en) Low profile material handling system
CN105431607A (zh) 用于操纵钻柱部件的装置及凿岩钻机
KR101839001B1 (ko) 프리캐스팅 장치
JP2009166935A (ja) 滑り荷台利用の搬送装置
JP2007205090A (ja) 重量物の移送方法及び装置
JP2008144472A (ja) 橋桁連結時の位置調整方法及び装置
JP2009185564A (ja) 橋梁の送り出し工法
JP2012219324A (ja) 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加熱炉の改修方法及び製造方法
CN112008642B (zh) 一种带式输送机胶带更换方法
JP2007113239A (ja) 重量物の搬送載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11976424B2 (en) Railroad maintenance systems and methods
JP4414806B2 (ja) 橋梁部材の吊持治具、橋梁部材の運搬据付け装置及び橋梁部材の運搬据付け方法
CN107971702B (zh) 板单元制作工艺以及工艺装备
KR101761780B1 (ko) 코너에 각을 맞추도록 전기 배선용 케이블을 공급하는 장치
JP2003328322A (ja) 床版の架設工法および架設装置
CN208216708U (zh) 加气混凝土摆渡车行走机构
JP2003286739A (ja) 管搬送台車
JP2007038788A (ja) 連結装置
JP4065445B2 (ja) 筒状ブロックの搬送・据付用台車
CN220163859U (zh) 一种洞内钢管运输台车
US202400918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joining elements of underwater pipe for transporting fluids
JP2018087437A (ja) 走行台車
JP3437076B2 (ja) 二重構造スライド式運搬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