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854B1 -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854B1
KR101838854B1 KR1020170093850A KR20170093850A KR101838854B1 KR 101838854 B1 KR101838854 B1 KR 101838854B1 KR 1020170093850 A KR1020170093850 A KR 1020170093850A KR 20170093850 A KR20170093850 A KR 20170093850A KR 101838854 B1 KR101838854 B1 KR 101838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main body
drainage
vortex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철
Original Assignee
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철 filed Critical 허철
Priority to KR1020170093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10)의 배수 유로를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하는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10)의 배수구(12)에 설치되고, 복수의 안내공(22)을 구비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측으로 안내축(32)을 개재하여 상하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30); 상기 안내공(22)에 안내축(32)과 연계하도록 설치되고, 마개(30)의 교번적 개폐운동을 유발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마개(30)의 하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도록 와류날개(45)를 구비하는 보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세면대 등의 배수 유로를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함에 있어서 유로 단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막힘을 배제하고 원활한 배수와 더불어 배수 소음을 경감하여 편의성과 쾌적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One-touch drai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clogging}
본 발명은 원터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면대 등에 설치되어 배수 유로를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하는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세면대에 설치되는 레버식 배수장치는 외부로 연결되는 상부로 노출되고 외부로 연결되는 레버들의 구성이 복잡화되기 때문에 별다른 레버를 배제하고 배수구 상의 마개를 눌러 승하강 교번운동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원터치 방식이 선호되기도 한다. 다만 원터치 작동을 위한 구성품이 배수 유로상에 배치되어 배수성이 약화되는 점을 보완해야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를 반영하는 원터치 배수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69801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91478호(선행문헌 2)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승하강 유도홈을 지닌 몸체; 몸체에 삽입되는 상하 이동기어; 상하 이동기어의 상하 이동시 경사면을 통해 돌출턱을 교대로 이동하는 회전기어; 물마개의 하부 가압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몸체 하부와 체결되는 와류발생기;를 포함한다. 이에, 물의 배수속도가 빨라지고 이물질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배수구와 배수관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관; 가이드부에 끼워넣을 경우 탄성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재; 지지 부재가 하부에 걸려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지닌 개폐 밸브; 등을 포함한다. 이에, 배수 면적이 커서 통수 능력이 좋고, 이물질 제거와 청소가 용이하며, 와류 형성으로 배수 속도를 증대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원터치 작동용 몸체는 물론 선행문헌 2의 개폐 밸브도 배수 유로 상에 위치하여 관로를 좁히므로 막힘 방지에 의한 배수 원활성을 유지하는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를 보이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69801호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 (공개일자 : 2016.06.2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91478호 "원터치 팝업식 배수구 개폐 장치" (공개일자 : 2014.05.0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대 등에 설치되어 배수 유로를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함에 있어서 유로 단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막힘을 배제하고 원활한 배수와 더불어 배수 소음을 경감하는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면대의 배수 유로를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하는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의 배수구에 설치되고, 복수의 안내공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안내축을 개재하여 상하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 상기 안내공에 안내축과 연계하도록 설치되고, 마개의 교번적 개폐운동을 유발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마개의 하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도록 와류날개를 구비하는 보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는 배수구에 의한 유로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안내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마개는 테프론 수지로 코팅된 오링을 환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은 마개의 누름에 교번하여 마개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도록 노크식 필기구의 구조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마개는 본체의 상면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패킹, 가동패킹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도록 개재되는 탄성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와류날개는 중심축의 하단에 지지대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중심축은 마개의 중심에 나선운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상단에 강제적 회전을 위한 구동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면대 등의 배수 유로를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함에 있어서 유로 단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막힘을 배제하고 원활한 배수와 더불어 배수 소음을 경감하여 편의성과 쾌적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본체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마개 하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마개 상승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세면대(10)의 배수 유로를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하는 배수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세면대(10)의 배수구(12)에 설치되는 원터치 개폐 기구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세면대(10)는 배수구(12)의 상단에 다소 큰 직경의 안착구(15)를 동심으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안내공(22)을 구비하는 본체(20)가 상기 세면대(10)의 배수구(12)에 설치된다. 본체(20)는 배수구(21)를 지닌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세면대(10)의 안착구(15)에 긴밀하지만 분리 용이하게 수용된다. 본체(20)의 배수구(21)는 세면대(10)의 배수구(12)보다 직경을 같게 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20)는 배수구(21)에 의한 유로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안내공(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2개의 안내공(22)이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물론 안내공(22)이 3개 이상으로 배치되어도 무방하지만 그만큼 배수 유로가 축소되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어느 경우에나 안내공(22)이 배수구(21)와 이격되므로 배수구(21)의 유로 단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30)가 상기 본체(20)의 상측으로 안내축(32)을 개재하여 상하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에서 마개(30)의 저면에 2개의 안내축(32)이 본체(20)의 안내공(22)과 대응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마개(30)는 본체(20)의 상측에서 원터치 방식으로 상하운동하며 세면대(10)의 배수구(12)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마개(30)는 테프론 수지로 코팅된 오링(31)을 환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마개(30)의 측면에 1개의 오링(31)을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다. 오링(31)은 높은 수밀성, 탄성, 내모성, 내열성 외에 상하운동의 원활성을 위해 테프론 수지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다만, 후술하는 것처럼 별도의 패킹이 부가된다면 오링(31)의 기능성은 다소 경감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마개(30)는 본체(20)의 상면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패킹(35), 가동패킹(35)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도록 개재되는 탄성체(3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가동패킹(35)이 본체(20)의 상면에 접촉하여 수밀하는 상태이고, 도 4는 가동패킹(35)이 마개(30)와 함께 상승하여 본체(20)에서 이격된 상태이다. 가동패킹(35)은 오링(31)보다 동등 이상의 물성으로 형성하고, 마개(30)의 저면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가동패킹(35)의 상단에는 동일한 환형의 탄성체(37)를 결합하여 긴밀하게 부착한다. 도 3에서 마개(30)를 누르면 탄성체(37)가 압축되면서 가동패킹(35)이 상승하므로 누름 작동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한편, 도 3과 같이 마개(30)의 하강 상태에서 배수를 차단하는 동안에 본체(20)의 상면과 다소의 이격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마개(30)의 누름 동작에 의한 하강 직후에 도 4의 상태로 상승하여 배수를 허용하는 원터치 동작의 원활성을 고려함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30)의 교번적 개폐운동을 유발하는 구동수단이 상기 안내공에 안내축과 연계하도록 설치된다. 구동수단은 전술한 원터치 방식의 동작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은 마개(30)의 누름에 교번하여 마개(30)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도록 노크식 필기구의 구조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크식 필기구는 상단의 버튼을 누를 때마다 심재의 상하운동(출입)을 유발하는 방식이다. 본체(20)의 안내공(22)과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노크식 필기구를 적용하는 것이 선호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내공(22)의 내벽에는 톱니홈(23)과 장홈(24)이 형성되며, 장홈(24)은 2개의 톱니홈(23)마다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안내축(32)의 하단에는 치형홈(33)이 형성되고, 그 하측에 가압대(25)가 설치된다. 가압대(25)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편(26)을 구비하고, 돌편(26)은 상단 경사면을 구비한다. 가압대(25)의 하단에는 스프링(28)이 설치되어 항시 가압대(25)의 상승력을 발생한다.
이에, 마개(30)의 누름에 의하여 안내축(32)이 하강하면서 가압대(25)의 하강을 유발하고, 마개(30)의 누름을 해제하면 가압대(25)의 돌편(26)이 톱니홈(23)을 활주하여 항시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돌편(26)이 톱니홈(23)의 상단 또는 장홈(24)에 교번하여 걸리면서 도 3 및 도 4의 상태가 교번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수단(40)이 상기 마개(30)의 하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도록 와류날개(45)를 구비한다. 보조수단(40)은 세면대(10)의 배수구(12)를 통과하는 물이 원활하게 진행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하고 소음을 경감하는 역할도 한다. 와류날개(45)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를 지닌 구조로서 중심축(41)을 개재하여 마개(30)의 저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와류날개(45)는 중심축(41)의 하단에 지지대(43)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와류날개(45)의 중심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중심축(41)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중심축(41)의 하단에 구비된 지지대(43)는 와류날개(45)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원활한 회전을 허용한다.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와류날개(45)의 상단부가 부분적으로 본체(20)의 배수구(21)에 걸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4처럼 마개(30)가 상승되어 물이 본체(20)의 배수구(21)를 통하여 와류날개(45)를 지나는 동안 와류 형태로 낙하되므로 전술한 보조수단(40)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와류날개(45)의 회전 구조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뭉치거나 고착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중심축(41)은 마개(30)의 중심에 나선운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상단에 강제적 회전을 위한 구동편(4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물질의 뭉침이나 고착이 심화되어 마개(30)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도 5의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심축(41)은 마개(30)에 고정하지 않고 상단을 관통하여 나선운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중심축(41)의 상단에 고정된 구동편(47)은 드라이버 공구를 위한 일자홈 또는 십자홈, 렌치 공구를 위한 육각돌기 등을 구비한다.
어느 경우에나 도 5처럼 구동편(47)을 돌려 중심축(41)을 상승시키는 동안 와류날개(45)가 동반하여 상승하면서 이물질의 파괴와 낙하를 유발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세면대 12: 배구수
15: 안착구 20: 본체
21: 배수구 22: 안내공
23: 톱니홈 24: 장홈
25: 가압대 26: 돌편
28: 스프링 30: 마개
31: 오링 32: 안내축
33: 치형홈 35: 가동패킹
37: 탄성체 40: 보조수단
41: 중심축 43: 지지대
45: 와류날개 47: 구동편

Claims (7)

  1. 세면대(10)의 배수 유로를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하는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10)의 배수구(12)에 설치되고, 복수의 안내공(22)을 구비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측으로 복수의 안내축(32)을 개재하여 상하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30);
    상기 복수의 안내공(22)에 안내축(32)과 연계하도록 설치되고, 마개(30)의 교번적 개폐운동을 유발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마개(30)의 하측으로 와류를 형성하도록 와류날개(45)를 구비하는 보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20)는 배수구(21)에 의한 유로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안내공(22)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마개(30)의 누름에 교번하여 마개(30)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도록 노크식 필기구의 구조를 적용하며,
    상기 마개(30)는 본체(20)의 상면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패킹(35), 가동패킹(35)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도록 개재되는 탄성체(37)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와류날개(45)는 중심축(41)의 하단에 지지대(43)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중심축(41)은 마개(30)의 중심에 나선운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상단에 강제적 회전을 위한 구동편(4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30)는 테프론 수지로 코팅된 오링(31)을 환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93850A 2017-07-25 2017-07-25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 KR101838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50A KR101838854B1 (ko) 2017-07-25 2017-07-25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50A KR101838854B1 (ko) 2017-07-25 2017-07-25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854B1 true KR101838854B1 (ko) 2018-03-14

Family

ID=6166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850A KR101838854B1 (ko) 2017-07-25 2017-07-25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56506A (zh) * 2023-08-11 2023-10-10 绍兴博美佳厨卫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防堵塞水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533A (ja) * 1999-03-31 2000-10-10 Inax Corp 排水栓
KR101669801B1 (ko) * 2015-07-03 2016-10-27 채효덕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533A (ja) * 1999-03-31 2000-10-10 Inax Corp 排水栓
KR101669801B1 (ko) * 2015-07-03 2016-10-27 채효덕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56506A (zh) * 2023-08-11 2023-10-10 绍兴博美佳厨卫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防堵塞水槽
CN116856506B (zh) * 2023-08-11 2024-01-09 绍兴博美佳厨卫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防堵塞水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9351A3 (de) Brühvorrichtung für eine Kaffeemaschine
HUE025410T2 (en) Mixer mixer insert
KR101838854B1 (ko) 막힘 방지용 원터치 배수장치
US20180127961A1 (en) Simplified drain plug with overflow release
CN204139265U (zh) 一种洗涤盆旋转式台控排水器
TWI647397B (zh) Water saving valve
JP5988654B2 (ja) ガス栓
JP2007032271A (ja) 水栓装置
GB2373182A (en) Waste plug
US1048823A (en) Waste-operating mechanism for basins and the like.
KR200444411Y1 (ko)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JP5988633B2 (ja) ガス栓
US1965085A (en) Operating mechanism for lavatory pop-up waste valves
CN108488406A (zh) 一种限位闸阀
US9677259B2 (en) Dual valve water discharge system
US1025584A (en) Waste connection.
ITMI992643A1 (it) Valvola a scarico tarabile per cassette idrosanitarie di wc
KR100578152B1 (ko) 콘트롤 체크 밸브
US1668455A (en) Valve
US993912A (en) Flushometer.
US1166303A (en) Waste-pipe stopper.
TW200848639A (en) Water valve apparatus
CN101603322B (zh) 导向定位磁吸下水塞件
US184279A (en) Improvement in faucets
JP2018009362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