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152B1 - 콘트롤 체크 밸브 - Google Patents

콘트롤 체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152B1
KR100578152B1 KR1020030083081A KR20030083081A KR100578152B1 KR 100578152 B1 KR100578152 B1 KR 100578152B1 KR 1020030083081 A KR1020030083081 A KR 1020030083081A KR 20030083081 A KR20030083081 A KR 20030083081A KR 100578152 B1 KR100578152 B1 KR 100578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heck valve
fluid
valve sea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152A (ko
Inventor
이영순
김정애
이상설
Original Assignee
김주옥
박재오
이상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옥, 박재오, 이상설 filed Critical 김주옥
Priority to KR102003008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152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모랜스키 체크 밸브(SMOLENSKY check valves)의 구조를 개선하여 강제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면서도 선택적으로 체크 밸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단속하는 유체가 밸브시트에서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콘트롤 체크 밸브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콘트롤 체크 밸브(1)는 유체 압력에 따라 유체통수공(3)상에서 개폐될 수 있는 체크 밸브 기능과 인위적으로 유체통수공(3)을 개폐할 수 있도록 밸브시트(8)는 밸브몸체(2)상에 형성된 유체통수공(3)의 일측으로 고정된 가이드링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버퍼(11)상으로 축봉(9)이 스프링(12)으로 탄력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밸브시트(8)가 디스크가이더(13)상에 탄력연접되면서 유체 압력에 따라 밸브시트(8)가 유체통수공(3)을 개방 내지는 폐쇄토록 구성된 콘트롤 체크 밸브(1)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수공(3)이 형성되는 밸브 몸체(2)상에는 유체통수공(3)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축(4a) 결합되는 핸들(4) 하단의 연결플랜지(5)는 결합공(6)과 연결부(7b)를 가진 개략 크랭크형의 승강슬라이더(7)와 연결하고, 상기 승강슬라이더(7)는 좌우 단부에는 경사면(7a)을 형성하여 밸브시트(8)와 연결된 축봉(9)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좌우에 경사면(7a)에 대응하는 경사면(10a)을 가진 슬라이드공(10)에 결합시켜 밸브시트(8)의 개폐를 임의 단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각종 유체를 단속할 수 있는 일반적인 스모랜스키 체크 밸브 기능 에 유체를 강제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유체가 밸브시트(8)에서 고착화되는 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밸브 개폐 작동상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시트(8)의 개방 정도에 따라 유체의 이송량 조절은 물론 일반 밸브 기능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체크 밸브 기능 및 강제 개폐 작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유체 이송분야에 호환성 있게 사용될 수 있고, 체크 밸브가 기능을 상실했을 시에 밸브를 폐쇄작동으로 전환시킨 후 누수없이 매립조치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콘트롤 체크 밸브, 스모랜스키 체크 밸브, 밸브시트, 승강슬라이더, 슬라이드공

Description

콘트롤 체크 밸브{A control check valv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콘트롤 체크 밸브의 강제 폐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콘트롤 체크 밸브의 일반 체크
밸브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콘트롤 체크 밸브의 강제 개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축봉을 보인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승강슬라이더를 보인 발췌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콘트롤 체크) 밸브 2: 밸브 몸체
3: 유체통수공 4: 핸들
4a: 축 5: 연결플랜지
6: 결합공 7: 승강슬라이더
7a: 경사면 8: 밸브시트
9: 축봉 10: 슬라이드공
10a: 경사면 11: 버퍼
12: 스프링 13: 디스크가이더
본 발명은 콘트롤 체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스모랜스키 체크 밸브(SMOLENSKY check valves)의 구조를 개선하여 강제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면서도 선택적으로 체크 밸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단속하는 유체가 밸브시트에서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콘트롤 체크 밸브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체크 밸브는 유체통수공을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밸브시트에 가해지면 일측으로 밸브시트가 각운동하면서 유체통수공이 개방되고, 압력이 저하되면 밸브시트가 각운동 폐쇄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체크 밸브는 유체를 일방향으로 단속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밸브시트에 유체가 고착화되는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이의 개선이 절실히 요망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 체크 밸브가 갖는 제 기능을 발휘하면서, 필요에 따라 밸브를 강제로 개방 및 폐쇄작동 시킬 수 있는 콘트롤 가능한 체크 밸브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밸브시트를 체크 밸브 가동범위내에서 일정 폭 슬라이드 개폐 작동이 유체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일반적인 체크 밸브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고, 선택적으로 핸들을 이용하여 밸브시트를 강제로 개방 및 폐쇄작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콘트롤 체크 밸브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내지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콘트롤 체크 밸브(1)의 강제 폐쇄, 체크밸브 기능 수행상태, 강제 개방 상태를 각각 보인 단면 구성도이며, 도 4,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콘트롤 체크 밸브(1)는 통상의 스모랜스키 체크 밸브의 밸브 몸체(2)상에 형성되는 유체통수공(3)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축(4a) 결합되는 핸들(4)의 하단에 연결플랜지(5)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플랜지(5)에 끼움고정되는 결합공(6)을 가진 개략 크랭크형의 승강슬라이더(7)를 연결한다.
상기 승강슬라이더(7)는 좌우 단부에는 경사면(7a)을 형성하여 밸브시트(8)와 연결된 축봉(9)상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슬라이드공(10)에 결합시켜 상하로 승강토록 하되, 상기 슬라이드공(10)의 좌우에도 상기 경사면(7a)에 대응하는 경사면(10a)을 형성한다. 상기 승강슬라이더(7)상에 형성되는 좌우 경사면(7a) 상간의 상하 연결부(7b) 간격(t1)은 축봉(9)의 직경(Ф) 보다 약간 넓게 하고, 상하 연결부(7b)의 폭(t2)은 슬라이드공(10)의 폭(t3) 보다 짧게 하되, 슬라이드공(10)의 폭(t3)에서 연결부(7b)의 폭(t2)을 뺀 간격이 밸브시트(8)의 좌우 슬라이드 개폐 폭 정도가 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시트(8)는 밸브몸체(2)상에 형성된 유체통수공(3)의 일측으로 고정된 가이드링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버퍼(11)상으로 축봉(9)을 스프링(12)으로 탄력지지되도록 결합하여 밸브시트(8)가 디스크가이더(13)상에 탄력 연접되면서 유체 압력에 따라 밸브시트(8)가 유체통수공(3)을 개방 내지는 폐쇄토록 되어 있다.
도면중의 부호 14는 핸들 설치용 고정캡, 15는 고정너트, 16은 승강슬라이더(7)를 승강 시 안내하는 가이더, 17은 숫나사, 18은 암나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콘트롤 체크 밸브(1)는 일반적으로 체크 밸브의 기능을 요할 경우에는 핸들(4)을 중립 상태로 두고, 강제적으로 개방이나 폐쇄를 원할 시에는 개방, 폐쇄위치로 핸들(4)을 회전시켜 밸브(1)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설정하여 유체의 공급여부를 임의 단속할 수 있는 것인바, 이의 작용 등에 대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밸브(1)의 핸들(4)을 중립상태에 두게 되면, 핸들(4)의 축(4a) 하단부에 연결된 승강슬라이더(7)가 슬라이드공(10)의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때 축봉(9)과 연결되어 유체통수공(3)을 폐쇄하고 있는 밸브시트(8)는 유체 압력에 따라 유체통수공(3)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운동하여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일반적인 체크 밸브와 동일한 상태로 기능을 하게 되며, 이때 승강슬라이더(7)는 축봉(9)의 슬라이드공(10)상에 연결부(7b)만 개재된 상태에서 연결부(7b)의 도면상 우측단부 까지는 축봉(9)이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밸브시트(8)가 받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슬라이드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4)을 돌려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면 승강슬라이더(7)가 하강하면서 승강슬라이더(7)의 상측 경사면이 축봉(9)의 슬라이드공(10) 상부 경사면(10a)에 접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유체의 압력이 밸브시트(8)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밸브시트(8)와 연결된 축봉(9)이 상하 슬라이더(7)에 의해 도면(도 1 참조)상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게 되어 밸브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4)을 돌려 개방상태로 전환시키면 승강슬라이더(7)가 상승하면서 승강슬라이더(7)의 하측 경사면이 축봉(9)의 슬라이드공(10) 하부 경사면(10a)에 접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축봉(9)을 도면(도 3 참조)상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키게 되고, 그로 인하여 축봉(9)과 연결된 밸브시트(8)가 좌측으로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콘트롤 체크 밸브(1)는 각종 유체를 단속할 수 있는 일반적인 스모랜스키 체크 밸브 기능에 유체를 강제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유체가 밸브시트(8)에서 고착화되는 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밸브 개폐 작동상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시트(8)의 개방 정도에 따라 유체의 이송량 조절은 물론 일반 밸브 기능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체크 밸브 기능 및 강제 개폐 작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유체 이송분야에 호환성 있게 사용될 수 있고,
체크 밸브가 기능을 상실했을 시에 밸브를 폐쇄작동으로 전환시킨 후 누수없이 매립조치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2)

  1. 유체 압력에 따라 유체통수공(3)상에서 개폐될 수 있는 체크 밸브 기능과 인위적으로 유체통수공(3)을 개폐할 수 있도록 밸브몸체(2)상에 형성된 유체통수공(3)의 일측으로 고정된 가이드링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버퍼(11)상으로 밸브시트(8)가 연결된 축봉(9)이 스프링(12)에 의해 디스크가이더(13)측으로 탄력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축봉(9)에 연결된 밸브시트(8)가 디스크가이더(13)상에 탄력연접되면서 유체 압력에 따라 유체통수공(3)을 개방 내지는 폐쇄토록 구성된 통상의 콘트롤 체크 밸브(1)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수공(3)이 형성되는 밸브 몸체(2)상에는 유체통수공(3)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축(4a) 결합되는 핸들(4) 하단의 연결플랜지(5)는 결합공(6)과 연결부(7b)를 가진 개략 크랭크형의 승강슬라이더(7)와 연결하고,
    상기 승강슬라이더(7)는 좌우 단부에는 경사면(7a)을 형성하여 밸브시트(8)와 연결된 축봉(9)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좌우에 경사면(7a)에 대응하는 경사면(10a)을 가진 슬라이드공(10)에 결합시켜 밸브시트(8)의 개폐를 임의 단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체크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슬라이더(7)상에 형성되는 좌우 경사면(7a) 상간의 상하 연결부(7b) 간격(t1)은 축봉(9)의 직경(φ) 보다 약간 넓게 하고, 상하 연결부(7b) 의 폭(t2)은 슬라이드공(10)의 폭(t3) 보다 짧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체크 밸브.
KR1020030083081A 2003-11-21 2003-11-21 콘트롤 체크 밸브 KR100578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081A KR100578152B1 (ko) 2003-11-21 2003-11-21 콘트롤 체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081A KR100578152B1 (ko) 2003-11-21 2003-11-21 콘트롤 체크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152A KR20030096152A (ko) 2003-12-24
KR100578152B1 true KR100578152B1 (ko) 2006-05-15

Family

ID=3238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081A KR100578152B1 (ko) 2003-11-21 2003-11-21 콘트롤 체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73B1 (ko) * 2010-08-16 2013-08-09 국방과학연구소 자동 밀폐형 급속 유로전환 밸브
KR102167502B1 (ko) * 2017-09-29 2020-10-19 현대위아 주식회사 스로틀 기능을 구비한 체크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152A (ko)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6382C (en) Bath drain closure assembly
US10865552B2 (en) Simplified drain plug with overflow release
WO2007010284A3 (en) Automatic fluid flow control device
KR200355151Y1 (ko) 가스실린더의 밸브핀 승강용 케이블형 개폐부재
CN104976352A (zh) 水温可调按压式控制阀
KR20090027623A (ko) 플러쉬 밸브를 위한 안티 사이펀 장치
KR101589625B1 (ko) 마그네틱 밸브를 이용한 직수형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코크
KR100578152B1 (ko) 콘트롤 체크 밸브
KR20110073954A (ko) 체크밸브
DE102017129887A1 (de) Mechanisch druckbetätigte Schalter-Ventilpatrone
EP1719847A3 (d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Spülkastenablaufventil
KR100738973B1 (ko) 미세유량조절밸브
US10920406B2 (en) Leak-proof device for water inlet valve
CN104948817A (zh) 流量可调按压式控制阀
KR101520604B1 (ko) 밸브 조립체
JP7109591B2 (ja) 吐水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加湿器
CN208619720U (zh) 流量可调节按压阀芯
JP3978343B2 (ja) ポペット弁
CN107725820B (zh) 无泄漏电磁球阀
KR200444411Y1 (ko)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US10883612B2 (en) Control valve having hollow piston for controlling flow of fluid
CN216643091U (zh) 一种带锁定的截止止回阀
CN217762166U (zh) 一种法兰球阀
KR20190065892A (ko) 유로를 밀착 폐쇄하는 게이트밸브
KR100645444B1 (ko) 일자형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