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598B1 -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598B1
KR101838598B1 KR1020170164167A KR20170164167A KR101838598B1 KR 101838598 B1 KR101838598 B1 KR 101838598B1 KR 1020170164167 A KR1020170164167 A KR 1020170164167A KR 20170164167 A KR20170164167 A KR 20170164167A KR 101838598 B1 KR101838598 B1 KR 101838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nd
forming
concrete layer
wate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제이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제이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제이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16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들이 골프장 코스 내에 조성된 연못에 빠지더라도 스스로 쉽게 나올 수 있는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은, 터파기단계; 계단식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 형성단계; 바닥에 급수배관과 출수배관을 각각 설치하는 배관 설치단계; 상기 바닥을 진동머신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다짐하는 바닥 다짐단계; 상기 바닥 다짐단계에서 다짐된 상기 바닥에 전체적으로 부직포를 설치하는 부직포 설치단계; 상기 부직포 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부직포 위에 방수매트를 설치하는 방수매트 설치단계; 상기 방수매트 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방수매트 위에 전체적으로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층 형성단계;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층 위에 전체적으로 바인더와 자갈이 혼합된 바닥재를 타설하여 바닥층을 형성하는 바닥 형성단계; 상기 바닥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바닥층에 수생식물 조성을 위한 수생식물 조성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수생식물 조성부에 흙과 수생식물을 배치하는 환경 조성단계; 및 상기 환경 조성단계 이후, 상기 급수배관을 통해 취수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연못 내에 물을 채우는 급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Golf Course Pond}
본 발명은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장 코스(골프 코스) 내의 장애물 중 하나인 인공 생태 연못(이하 '연못'이라 한다)을 시공하는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장에는 잔디가 깔린 필드(골프 코스)를 따라 나무, 벙커, 언덕 및 연못 등과 같은 장애물이 다양하게 배치되고, 이러한 장애물에 의해 각각의 골프 코스에 따라 다른 재미를 주도록 조성된다.
그러나 골프장에서는 많은 사람(이하 '플레이어'라 한다)들이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강한 바람 등의 영향으로 골프공이 코스를 벗어나거나 또는 코스 상의 연못에 근접하여 자주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플레이어는 타수의 손해를 감수하고 다시 샷을 치거나 또는 연못 근처로 떨어진 공의 낙하지점으로 이동하여 다음 타(打)를 준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플레이어가 공의 위치와 다음 타에 집중한 나머지 연못 주변의 급한 경사에 의해 무게 중심을 잃고 자주 넘어지고, 심지어 연못에 빠지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가 연못에 빠지면, 연못의 미끄러운 바닥으로 연못 내에서 넘어질 수 있고, 또한 연못의 경사로 인해 연못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면서 추가로 부상을 입을 수 있으며, 연못의 수심이 깊은 경우에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던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골프장 코스 내에 연못을 시공함에 있어서, 연못의 바닥이 미끄럽지 않으면서 플레이어가 연못에 빠지더라도 플레이어가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연못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997-0062208 A (1997. 09. 12.) KR 10-2009-0045490 A (2009. 05. 08.) KR 10-1050916 B1 (2011. 07. 14.) KR 10-2004-0102931 A (2004. 12. 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골프장 내의 코스 상에 시공되는 연못을 안전성을 높이고, 플레이어가 연못의 위치를 쉽게 확인하고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조성된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은, 연못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지면을 소정 깊이로 굴토하는 터파기단계; 굴토된 상기 바닥의 내측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를 가지는 계단식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 형성단계; 상기 단차 형성단계에서 상기 계단식 단차가 형성된 상기 바닥에 급수배관과 출수배관을 각각 설치하는 배관 설치단계; 상기 배관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바닥을 진동머신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다짐하는 바닥 다짐단계; 상기 바닥 다짐단계에서 다짐된 상기 바닥에 전체적으로 부직포를 설치하는 부직포 설치단계; 상기 부직포 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부직포 위에 방수매트를 설치하는 방수매트 설치단계; 상기 방수매트 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방수매트 위에 전체적으로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층 형성단계;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층 위에 전체적으로 바인더와 자갈이 혼합된 바닥재를 타설하여 바닥층을 형성하는 바닥 형성단계; 상기 바닥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바닥층에 수생식물 조성을 위한 수생식물 조성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수생식물 조성부에 흙과 수생식물을 배치하는 환경 조성단계; 및 상기 환경 조성단계 이후, 상기 급수배관을 통해 취수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연못 내에 물을 채우는 급수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가, 유동화제가 첨가된 유동화콘크리트를 상기 바닥과 상기 계단식 단차에 전체적으로 타설한 다음, 소정 시간 양생하여 1차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1차 콘크리트층 형성단계; 양생된 상기 1차 콘크리트층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소정 두께의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하여 2차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2차 콘크리트층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가, 골프장내 잔디와 연못의 경계부분을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흙 무너짐을 방지하는 경계부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환경 조성단계가, 상기 연못과 골프장내 잔디의 경계부분을 따라 LED조명을 설치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환경 조성단계가, 상기 LED조명에 전원을 인가하는 태양광모듈을 설치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장의 코스 내에 연못을 시공함에 있어서, 연못 바닥이 폴리우레탄 바인더와 자갈로 구성된 바닥재로 바닥층이 시공되므로 자갈의 굴곡에 의해 미끄럽지 않고, 플레이어가 연못에 빠지더라도 계단식 단차를 이용하여 쉽고 안전하게 연못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포콘크리트에 형성된 기포로 폴리우레탄 바인더가 침투되면서 골재와 기포콘크리트가 서로 강건하게 접착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연못의 경계부분을 따라 LED조명이 설치되므로 플레이어가 연못의 위치를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의 예를 도시한 시공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파기단계와 단차 형성단계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설치단계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설치단계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매트 설치단계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층 형성단계의 예를 도시한 시공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층 형성단계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형성단계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조성단계 및 급수단계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플레이어가 골프장 코스 내에 조성된 연못에 빠지더라도 스스로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는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파기단계(S10), 단차 형성단계(S20), 배관 설치단계(S30), 바닥 다짐단계(S40), 부직포 설치단계(S50), 방수매트 설치단계(S60),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0), 바닥 형성단계(S80), 환경 조성단계(S90) 및 급수단계(S100)를 포함한다.
(1) 터파기단계(S10)
이 단계는 굴착 장비를 이용하여 골프장의 코스 상에 연못(1)을 시공하기 위한 위치에 맞추어 지면을 소정 깊이로 굴토하는 것으로, 이러한 터파기단계(S10)에서는 미리 연못(1)의 크기에 맞추어 터를 잡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못(1)의 바닥(10)을 이루는 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양 측면이 하향 만곡지게 호 형상으로 굴토된다.
그리고 굴토된 연못(1)의 경계부분(pond edge)은 잔디가 식재된 지면을 향하여 소정 폭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A)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A)에 후술하는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0)의 경계부 시공단계(S73)에 의해 경계부 콘크리트가 시공된다.
(2) 단차 형성단계(S20)
이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파기단계(S10)에서 소정 깊이로 굴토된 연못(1)의 바닥(10)에 소정 폭과 높이의 계단식 단차(20)를 양 측면에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단차 형성단계(S20)에 의해 형성되는 계단식 단차(20)는, 연못(1)에 빠진 플레이어가 발을 디디면서 연못(1)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 있게 하는 발판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부엽식물(floating leaved plant)과 같이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은 곳에서 사는 수생식물이 식재되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계단식 단차(20)는 연못(1)의 양 측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3) 배관 설치단계(S30)
이 단계는 단차 형성단계(S20)에서 연못(1)의 내부 양측을 따라 계단식 단차(20)가 형성된 상태에서 되고 나면, 취수된 물을 연못(1)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연못(1)의 물을 배출(또는 순환)하기 위한 배관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관 설치단계(S3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못(1)의 상부 일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30)이 설치되고, 바닥(10)에 연못(10의 물이 배출되는 출수배관(40)이 설치된다.
이때 급수배관(30)과 출수배관(40)은 후술하는 부직포(50), 방수매트(60), 콘크리트층(70) 및 바닥층(80)의 높이를 고려하여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급수배관(30)에는 취수된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거나 또는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배관(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고, 급수배관(30)이 급수탱크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저장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된다.
또한, 출수배관(40)에는 급수탱크와 연결되어 연못(1)에서 배출된 물이 급수탱크에 저장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출수배관(40) 또는 급수탱크에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펌프를 가동하여 연못(1)의 물을 출수배관(40)을 통해 급수탱크로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급수탱크의 물을 급수배관(30)을 통해 연못(1)으로 공급하면서, 연못(1)의 물이 정수필터를 경유하도록 순환되고, 이에 의해 연못(1)의 물이 장기간에 걸쳐 저류되어 수질이 악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연못(1)의 물이 급수배관(30), 출수배관(40) 및 급수탱크를 따라 순환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연못(1)에 수위계(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이 수위계를 통해 연못(1)에 적정 수위의 물이 유지되도록 펌프의 동작이 자동 제어되도록 설치된다.
(4) 바닥 다짐단계(S40)
이 단계는 배관 설치단계(S30)에서 급수배관(30)과 출수배관(40)이 설치되고 나면, 연못(1)의 바닥(10)과 계단식 단차(20)를 따라 진동머신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땅을 다짐하여 견고하게 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 의해 후술하는 부직포 설치단계(S50)를 진행하는 동안 흙이 쉽게 무너지지 않으면서 형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5) 부직포 설치단계(S50)
이 단계는 바닥 다짐단계(S40)에서 바닥(10)과 계단식 단차(20)가 진동머신 등에 의해 강건하게 다짐되고 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0)과 계단식 단차(20)에 전체적으로 부직포(50)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부직포(50)에 의해 후술하는 방수매트 설치단계(S60)에서 설치되는 방수매트(60)가 지중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에 의해 들뜨거나 부풀어 오르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부직포(50)를 설치할 때에는 터파기 된 연못(1)의 크기보다 더 크게 설치되고, 연못(1)의 경계부분(pond edge)에서 흙이나 돌 등으로 고정된다.
(6) 방수매트 설치단계(S60)
이 단계는 부직포 설치단계(S50)에서 부직포(50)가 설치되고 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50) 위에 방수매트(60)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수매트(60)에 의해 연못(1)의 물이 지중으로 흡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방수매트(60)는 비닐, 벤토나이트(bentonite, montmorillonite)를 주재로 한 매트(벤토나이트 매트 또는 시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시공된다.
이때 방수매트(60)는 못 등의 고정쇠를 이용하여 바닥이나 구조물에 고정된다.
(7)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0)
이 단계는 방수매트 설치단계(S60)에서 연못(1)의 바닥(10)에 방수매트(60)가 설치되고 나면, 방수매트(60) 위에 소정 두께로 콘크리트층(70)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0)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트층(70)에 의해 방수매트(60)가 유동되거나 훼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1), 2차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2) 및 경계부 시공단계(S73)를 포함한다.
1차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1)는, 바닥(10)과 계단식 단차(20)에 유동화제가 첨가된 유동화콘크리트(fluidized concret)를 전체적으로 타설하여 소정 두께로 1차 콘크리트층(71)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1차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1)에 의해 형성되는 1차 콘크리트층(71)은 후술하는 2차 콘크리트층(72)을 강건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기초콘크리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동화콘크리트에 의해 1차 콘크리트층(71)이 형성될 때에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높아 연못(1)의 바닥(10)과 계단식 단차(20)에 맞추어 전체적으로 콘크리트를 쉽게 타설할 수 있는 반면, 양생 과정에서 양 측면에 타설된 유동화콘크리트가 상대적 저점인 바닥(10)을 향하여 흘러내리면서 양 측면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바닥의 두께가 더 두껍게 양생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양 측면의 1차 콘크리트층(71)에 균열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동화콘크리트에 경화제가 첨가되어 사용되고, 이에 의해 바닥(10)에 타설된 유동화콘크리트가 더욱 빠르게 경화되면서 균일하게 양생되게 한다.
이때 1차 콘크리트층(71)의 경화시간을 더욱 단축하기 위해 온풍기(블로워) 등을 이용하여 타설된 유동화콘크리트가 건조될 수 있다.
2차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2)는, 1차 콘크리트층(71) 위에 기포콘크리트(aerated concrete)를 타설하여 2차 콘크리트층(72)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포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속에 수많은 기포를 만들어 무게를 경량화한 특수 콘크리트로 잔골재를 대신하여 시멘트에 발포제가 혼합된다.
상기와 같은 2차 콘크리트층(72)은, 후술하는 바닥 형성단계(S80)에서 바닥층(8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바인더가 타설될 때, 이 바인더가 2차 콘크리트층(72)의 기포 속으로 적절하게 침투되게 하여 바닥층(80)과 2차 콘크리트층(72)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경계부 시공단계(S73)는, 골프장내 잔디와 연못의 경계부분을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흙 무너짐을 방지하는 경계부 콘크리트(73)를 시공하는 것으로, 이때 경사면(A)에는 자갈이나 돌 등의 석재가 연못(1)의 경계부분을 따라 미리 배치된 다음, 이 석재 위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그리고 경계부 콘크리트(73)에는 후술하는 환경 조성단계(S90)에서 LED조명(100)이 연못(1)의 경계부분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된다.
(8) 바닥 형성단계(S80)
이 단계는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0)에서 콘크리트층(70)이 형성되고 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층(70) 위에 바인더와 자갈이 혼합된 바닥재를 전체적으로 타설하여 바닥층(80)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연못(1)의 바닥(10)과 계단식 단차(20)가 바인더에 의해 콘크리트층(70)에 고정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자갈에 의해 불규칙하게 형성되면서 미끄러움이 방지된다.
이러한 바닥 형성단계(S80)에서는 폴리우레탄 바인더와 크기가 서로 다른 골재(자갈)가 교반기 등에 의해 적절하게 혼합된 바닥재가 사용된다.
(9) 환경 조성단계(S90)
이 단계는 바닥 형성단계(S80)에서 바닥층(80)이 형성되고 나면, 바닥층(80) 위에 수생식물 조성을 위한 흙을 부분적으로 담아 수생식물 조성부(90)를 형성한 다음, 수생식물 조성부(90)에 적절하게 수생식물을 배치하는 것으로, 이때 배치되는 수생식물은 물에 떠서 사는 부유식물과 수면에 잎과 꽃을 피우는 부엽식물과 잎과 줄기가 물 밖으로 자라는 정수식물 및 전 식물체가 물에 잠겨서 자라는 침수식물 등이 적절하게 선택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환경 조성단계(S90)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못(1)의 경계부분(경계부 콘크리트(73))을 따라 LED조명(100)이 설치되고, 설치된 LED조명(100)에 전원을 인가하는 태양광모듈(110)이 설치된다.
이때 LED조명(100)은 LED 빛에 의해 플레이어의 눈이 부시지 않도록 눈부심방지판이 설치되거나 또는 연못(1) 방향으로 조명 빛이 60~70°로 상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LED조명(100)에 의해 흐린 날씨나 저녁에도 연못(1)으로 접근하는 플레이어가 연못(1)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안전사고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10) 급수단계(S100)
이 단계는 환경 조성단계(S90)에서 적절하게 연못(1)의 환경이 조성되고 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취수된 물을 연못(1) 내로 공급하여 적정 수위로 물을 채우는 것으로, 이러한 급수단계(S100)를 통해 연못(1)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못 바닥이 자갈을 포함하는 바닥재로 시공되어 미끄럼이 방지되고, 또한 연못의 측면에 형성된 계단식 단차를 이용하여 연못에 빠지더라도 쉽게 빠져나올 수 있으며, 연못의 경계부분을 따라 설치된 LED조명에 의해 플레이어가 게임 중에도 연못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연못 10: 바닥
20: 계단식 단차 30: 급수배관
40: 출수배관 50: 부직포
60: 방수매트 70: 콘크리트층
71: 1차 콘크리트층 72: 2차 콘크리트층
73: 경계부 콘크리트 80: 바닥층
90: 수생식물 조성부 100: LED조명
110: 태양광모듈 A: 경사면

Claims (5)

  1. 골프장내 연못(1)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못(1)의 바닥(10)을 형성하기 위해 지면을 소정 깊이로 굴토하는 터파기단계(S10);
    굴토된 상기 바닥(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를 가지는 계단식 단차(20)를 형성하는 단차 형성단계(S20);
    상기 단차 형성단계(S20)에서 상기 계단식 단차(20)가 형성된 상기 바닥(10)에 급수배관(30)과 출수배관(40)을 각각 설치하는 배관 설치단계(S30);
    상기 배관 설치단계(S30) 이후에 상기 바닥(10)을 진동머신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다짐하는 바닥 다짐단계(S40);
    상기 바닥 다짐단계(S40)에서 다짐된 상기 바닥(10)에 전체적으로 부직포(50)를 설치하는 부직포 설치단계(S50);
    상기 부직포 설치단계(S50)에서 설치된 상기 부직포(50) 위에 방수매트(60)를 설치하는 방수매트 설치단계(S60);
    상기 방수매트 설치단계(S60)에서 설치된 상기 방수매트(60) 위에 전체적으로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층(7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0);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0)에서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층(70) 위에 전체적으로 바인더와 자갈이 혼합된 바닥재를 타설하여 바닥층(80)을 형성하는 바닥 형성단계(S80);
    상기 바닥 형성단계(S80)에서 형성된 상기 바닥층(80)에 수생식물 조성을 위한 수생식물 조성부(90)를 형성한 다음, 상기 수생식물 조성부(90)에 흙과 수생식물을 배치하는 환경 조성단계(S90); 및
    상기 환경 조성단계(S90) 이후, 상기 급수배관(30)을 통해 취수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연못(1) 내에 물을 채우는 급수단계(S100);
    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0)는,
    유동화제가 첨가된 유동화콘크리트를 상기 바닥(10)과 상기 계단식 단차(20)에 전체적으로 타설한 다음, 소정 시간 양생하여 1차 콘크리트층(71)을 형성하는 1차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1);
    양생된 상기 1차 콘크리트층(71)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소정 두께의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하여 2차 콘크리트층(72)을 형성하는 2차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72);
    골프장내 잔디와 연못의 경계부분을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흙 무너짐을 방지하는 경계부 시공단계(S73);
    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형성단계(S80)에서는,
    상기 바인더가 폴리우레탄 바인더가 사용되면서 크기가 서로 다른 골재를 교반기에 넣고 적절하게 혼합한 다음, 상기 양생된 2차 콘크리트층(72) 위에 타설하여 상기 2차 콘크리트층(72)에 형성된 기포 속으로 상기 폴리우레탄 바인더가 침투되게 하여 상기 2차 콘크리트층(72)과 상기 바닥층(80)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환경 조성단계(S90)에서는,
    상기 바닥층(80) 위에 부분적으로 흙을 담아 수생식물을 배치하여 상기 수생식물 조성부(90)가 조성되고,
    상기 연못(1)과 골프장내 잔디의 경계부분을 따라 LED조명(100)이 설치되되, 플레이어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LED조명(100)의 빛이 상기 연못(1) 방향으로 60~70°로 상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성단계(S90)는,
    상기 LED조명(100)에 전원을 인가하는 태양광모듈(110)을 설치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
KR1020170164167A 2017-12-01 2017-12-01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 KR101838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167A KR101838598B1 (ko) 2017-12-01 2017-12-01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167A KR101838598B1 (ko) 2017-12-01 2017-12-01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598B1 true KR101838598B1 (ko) 2018-04-27

Family

ID=6208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167A KR101838598B1 (ko) 2017-12-01 2017-12-01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5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316A (ja) * 1998-12-21 2000-07-04 Nagoya Seiren:Kk 遮水シ―ト
JP2000273843A (ja) * 1999-03-25 2000-10-03 Kumagai Gumi Co Ltd 遮水層の施工方法及び遮水材料
KR20100093311A (ko) * 2009-02-16 2010-08-25 박공영 인공 연못 정원 조성 방법
KR20110066680A (ko) * 2009-12-11 2011-06-17 김종환 골프장용 엘이디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316A (ja) * 1998-12-21 2000-07-04 Nagoya Seiren:Kk 遮水シ―ト
JP2000273843A (ja) * 1999-03-25 2000-10-03 Kumagai Gumi Co Ltd 遮水層の施工方法及び遮水材料
KR20100093311A (ko) * 2009-02-16 2010-08-25 박공영 인공 연못 정원 조성 방법
KR20110066680A (ko) * 2009-12-11 2011-06-17 김종환 골프장용 엘이디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8032B1 (en) Sand trap with liner assembly
HUT74233A (en) Structure of a walking surface for horses, in particular for a riding area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9235365A (zh) 一种自锁式生态护坡砖施工方法
KR101038060B1 (ko) 인공생태연못 및 그 조성방법
KR101838598B1 (ko) 골프장내 연못 시공방법
KR101662690B1 (ko)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근고공 일체형 친환경 식생호안 및 그 시공방법
US2006005116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sand erosion in golf course bunkers
CN211006526U (zh) 一种适合于生态敏感区的公路土质边坡绿色生态防护结构
US20100105492A1 (en) Shock absorbing, wheelchair accessible, recreational surface area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20190136561A1 (en) Preformed swimming pool body having a built-in pit
JP2007043978A (ja) 植物保護構造
JP5270748B2 (ja) 植栽用基盤の構造
CN210529625U (zh) 一种生态网格砌块结构
KR101245252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시공방법 및 석축 시공을 위한 시공석 유닛
CN106544940B (zh) 一种园路桩基式汀步结构及施工工艺
KR100951635B1 (ko)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KR100711643B1 (ko)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구조
KR101279945B1 (ko) 옹벽조경물의 시공방법
JP4301983B2 (ja) 水場の敷設工法
KR100748933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184150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석벽 구조물 시공방법
CN110593292A (zh) 一种基础垫层结构及施工方法
KR100579820B1 (ko)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0925400B1 (ko) 경사면 표층재 시공방법
JP4908063B2 (ja) 植栽用基盤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