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578B1 -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578B1
KR101837578B1 KR1020170108718A KR20170108718A KR101837578B1 KR 101837578 B1 KR101837578 B1 KR 101837578B1 KR 1020170108718 A KR1020170108718 A KR 1020170108718A KR 20170108718 A KR20170108718 A KR 20170108718A KR 101837578 B1 KR101837578 B1 KR 101837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ushion
upper sheet
lower sheet
poly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Priority to KR102017010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유동성 화장료가 채워지는 화장품 용기 내에 삽입되는 흡수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배출공이 배열 형성되도록 제직된 상부시트와, 고정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유입공이 배열 형성되도록 제직된 하부시트 및 고탄성의 쿠션사를 통해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이격 연결되게 한 쿠션시트를 형성하여, 상기 쿠션시트에 대한 절단 및 융착을 통해 흡수부재를 제작함에 따라,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충분한 량의 유동성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유동성 화장료의 손실 없이 많은 량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고, 다각형상의 배출공을 통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많은 량이 빠르게 배출되므로 화장이 더욱 빠르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고장력사 및 고탄성 쿠션사는 흡수부재가 잦은 압력에도 변형되거나 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수명이 매우 긴 것이고,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의 발수 작용으로 인해 유동성 화장료가 흡수부재 표면에 잔류하여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고른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Liquidity cosmetic absorption memb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유동성 화장료가 채워지는 화장품 용기 내에 삽입되는 흡수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고탄성의 쿠션사에 의해 수직으로 조밀하게 연결 형성한 쿠션시트를 절단 및 융착 형성하여 다양한 화장품 용기 내에 삽입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계층과 연령에서 널리 사용되는 화장품은 다양한 형태와 종류 및 특성을 갖고 제조되는 것으로서, 파운데이션이나 메이크업 베이스 및 메이크업 커버 또는 파우더나 트웨이 케익 그리고 파우더 팩트와 스킨 커버 및 썬 블럭 등은 오일리 한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 제형을 내부접시 내에 주입한 후 이를 프레스에 의해 가압 성형하여 고형으로 만들어지거나, 액상이나 크림 또는 겔 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특성 및 성상을 갖고 만들어지는 화장품은 별도의 내부용기 또는 외부용기에 충전되거나 결합 사용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튜브 또는 펌핑 용기를 이용하여 제품화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화장품에 있어 고형의 화장품은 단단한 형태로 압축 생산되므로 외부 유출에 대한 우려가 적어 노출 및 개방형 용기에 주로 적용되는 것이고, 액상이나 크림 형태의 화장료는 유동성으로 인한 유출의 우려가 커서 튜브나 토출 용기에 주로 적용되는 제한성을 갖게 된다.
여기서, 액상 또는 크림 형태의 화장료는 대부분 별도의 마개를 갖고 있는 튜브 혹은 토출용기에 주입되어 제품화가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종류의 화장품은 사용시 반드시 마개를 분리 및 개방시킨 상태에서 이를 별도의 퍼프에 짜거나 배출시켜 필요 부위에 대한 화장이 하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화장료를 피부에 고르게 도포하기 위한 퍼프를 한 손에 잡거나 끼운 상태에서 상기의 화장료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마개를 열거나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동작이 나머지 한 손으로 이루어지기에는 번거로운 점이 있어 대부분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퍼프에 화장료를 묻힌 후 다시 퍼프를 쥐거나 손가락에 끼워 화장을 하게 되므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액상 또는 크림 형태의 화장료는 마개를 분리 및 개방시킨 상태에서 사용을 하게 되므로 화장품 용기를 쓰러트리거나 부주의하게 취급하는 경우 내용물이 과도하게 배출되거나 유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마개와 용기 몸체 간의 결합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내용물의 유출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폴리우레탄 발포 폼 또는 스펀지와 같은 흡수부재에 액상의 유동성 화장료를 투입 및 충전시켜 기존의 개방형 화장품 용기와 같은 형태로 퍼프를 흡수부재에 대고 눌러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사례가 있는 것으로 이는 유동성 화장료를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화장료가 흘러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퍼프를 이용한 간편한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펀지 구조로 된 흡수부재의 경우 스펀지 조직에 대한 화장료의 충전량이 부족한 경우 화장료의 원활한 배출 사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고 스펀지에 대한 화장료의 충전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화장료의 유동성으로 인해 용기 외부로 화장료가 유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스펀지 구조의 흡수부재는 공극이 비교적 커서 많은 량의 화장료를 머금고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충격이나 기울어진 상태에서 머금고 있던 화장료가 일측으로 몰리면서 유출되거나 균일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고, 흡수부재 전체에 고르게 화장료가 흡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 시간에 따라 상부는 마르고 하부는 과도하게 고여있는 형태를 연출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우레탄 발포 폼에 의한 흡수부재는 상대적으로 작은 다공성 조직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흡수된 화장료를 효과적으로 머금고 있는 것은 물론 내부에 일정량의 화장료를 가두어 둘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는데 반하여 이러한 우레탄 흡수부재는 흡수율이 떨어져 초기 제품을 제조하는데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부득이 주사기 같은 주입기구를 이용하여 흡수부재 내에 화장료를 강제 주입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이 지극히 비효율적인 것은 물론 생산공정의 추가로 인해 경제적으로도 지극히 불합리한 것이다.
특히, 상기의 스펀지 흡수부재 및 우레탄 흡수부재 모두 탄력 복원성이 만족스럽지 못하므로 반복 사용시 눌림 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어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지 않은 것은 물론 반복 눌림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공극 또는 조직구조가 변형되면서 균일한 화장료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퍼프에 과도하게 많은 량이 스며들거나 전혀 화장료가 스며들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64761호와 같이 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주입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가압시 화장료가 배어나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화장용기 내에 안착되는 제1수용 구조부와 이 제1수용 구조부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되어 제1수용 구조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주입공간을 형성하되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는 공극이 형성되어 가압시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주입된 화장료를 상기 공극을 통해 유출하게 되는 제2수용 구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69211호와 같이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의 화장료가 니들에 의해 주입되는 공간을 구비하되, 화장료 주입공간이 항시 유지됨과 아울러 가압시에만 화장료가 주입공간으로부터 화장료 수용체의 표면으로 배어나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료 주입공간을 일정한 형태로 확보 및 유지함으로써 화장료 수용체 내의 화장료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하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화장료 수용체는 비어 있는 내부 공간으로 유동성 화장료를 채운 상태에서 공극이나 주입공간을 통해 배어나오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 화장료 수용체를 퍼프에 의해 가압하는 경우 상기 내부 공간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인해 유동성 화장료가 공극이나 주입공간으로 배어나오지 못하고 개방된 하부를 통해 수용체와 용기 사이의 틈새로 일시에 대량 배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유동성 화장료는 공극이나 주입공간을 통해 배출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점성을 갖는 화장료 또는 유동성이 약한 겔이나 크림 형태로 된 화장료의 경우 공극이나 주입공간을 통해 충분히 배어나오지 못하므로 퍼프에 묻는 량이 적어 화장이 매우 답답하고 번거로운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 폴리우레탄 발포 폼에 의한 흡수부재 또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화장료 수용체 모두 만족스러운 효과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충분한 유동성 화장료를 머금고 있는 동시에 빠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흡수부재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4761호 (2013.01.10.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9211호 (2013.09.23.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배출공이 배열 형성되도록 제직된 상부시트와, 고정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유입공이 배열 형성되도록 제직된 하부시트 및 고탄성의 쿠션사를 통해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이격 연결되게 한 쿠션시트를 형성하여, 상기 쿠션시트에 대한 절단 및 융착을 통해 흡수부재를 제작함에 따라,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사이에 극대화된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많은 량의 유동성 화장료가 수용되는 것은 물론 상부시트의 배출공을 통해 유동성 화장료가 빠르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며, 고장력사와 고탄성 쿠션사는 잦은 가압시에도 흡수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뛰어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배출공이 반복 배열 형성된 상부시트와,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유입공이 반복 배열 형성된 하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상,하로 이격되도록 이들을 연결 형성하는 고탄성의 쿠션사와, 상기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의 끝단이 서로 융착되게 한 접합부로 구성된 화장료 흡수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배출공이 반복 배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시트 생산공정과;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유입공이 반복 배열 형성되도록 하는 하부시트 생산공정과; 고탄성의 쿠션사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가 수직방향으로 이격 연결되도록 하는 쿠션시트 성형공정과; 생산된 쿠션시트에 대하여 화장품 용기에 따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쿠션패드 절단공정과; 절단된 쿠션패드의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는 절단부 융착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충분한 량의 유동성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유동성 화장료의 손실 없이 많은 량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고, 다각형상의 배출공을 통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많은 량이 빠르게 배출되므로 화장이 더욱 빠르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고장력사 및 고탄성 쿠션사는 흡수부재가 잦은 압력에도 변형되거나 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수명이 매우 긴 것이고,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의 발수 작용으로 인해 유동성 화장료가 흡수부재 표면에 잔류하여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고른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제조과정을 보인 전체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상부시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상부시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하부시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하부시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쿠션사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쿠션시트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쿠션시트 절단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쿠션시트 융착 과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융착 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쿠션시트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부재의 제조과정을 보인 전체 블럭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란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는 기존과 같이 우레탄 발포 폼 등을 이용하여 일체 형태로 성형하여 제작하거나 발포 시트를 중첩시켜 융착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제직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 및 이들 상,하로 이격시키는 쿠션사(30)(30')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 및 고탄성의 쿠션사(30)(30')에 의해 만들어진 대형의 쿠션시트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단일 개체로 쿠션패드화 시킨 상태에서 상기 쿠션패드에 대한 가장자리의 융착을 통해 본 발명의 흡수부재가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상부시트(10)는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제직되는 것으로, 제직된 상부시트(10)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반복된 다각형상의 배출공(1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배출공(11)(11')이 형성된 상태로 제직된 상부시트(10)는 표면 전체에 도 3의 도시와 같이 발수코팅층(12)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직 상태의 상부시트(10)에 형성된 미세 틈새로 유동성 화장료가 침투하여 화장료가 손실되거나 화장료가 표면에 잔류하여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하부시트(20) 역시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제직되는 것으로, 제직된 하부시트(20)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반복된 다각형상의 유입공(2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유입공(21)(21')이 형성된 상태로 제직된 하부시트(20)는 표면 전체에 도 5의 도시와 같이 발수코팅층(22)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직 상태의 하부시트(20)에 형성된 미세 틈새로 유동성 화장료가 침투하거나 표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부시트(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11)(11')은 화장품 용기 내에 삽입된 본 발명의 흡수부재가 유동성 화장료를 머금고 있는 상태에서 퍼프 등을 이용하여 상기 흡수부재를 가압하는 경우 흡수부재 내의 유동성 화장료가 상기의 배출공(1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빠르고 신속하면서도 고른 면적으로 유동성 화장료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하부시트(20)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공(21)(21')은 상기 배출공(21)(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고 있는 것으로, 흡수부재에 퍼프 등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흡수부재 내의 유동성 화장료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배출공(11)(11')으로 우선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유입공(21)(21')으로는 지연 배출되는 작용을 연출하게 되므로, 상기 유입공(21)(21')으로 인해 흡수부재 내에 압력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압력에 의해 흡수부재로부터 용기 내부로 배출된 유동성 화장료가 상기 유입공(21)(21')을 통해 다시 흡수부재 내부로 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고장력사라 함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폴리아미드는 고기능수지(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한 가지로 분자 중에 아미드결합을 가지는 합성고분자 재료이다.
또한,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대표적인 것은 미국 듀폰의 상품명인 나일론이고, 자기 윤활성에 풍부하고 마찰계수가 작으며 내마모성의 뛰어난 재료로 알려져 있다. 특히,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하고 내약품성에도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상부시트(10) 혹은 하부시트(20)의 경우 폴리아미드계 고장력사가 아닌 일반적인 섬유사를 사용하여 제직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사(絲) 혹은 나일론사, 폴리아미드사, 폴리에스터사, 면사 등 어느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고 이들은 고강력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고강력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력 및 발수력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섬유사의 표면에 발수코팅층(12)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인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발수코팅층(12)을 위한 발수 코팅 조성물은 불소폴리실라잔과 폴리실록산 및 알콕시실란, 알콕시실록산, 알콕시드 및 용제가 혼합된 것을 사용함이 적합한 것으로, 상기의 발수 코팅 조성물은 각종 섬유사에 대하여 접착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를 상,하로 이격 연결시키기 위한 고탄성의 쿠션사(30)(30')가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의 쿠션사(30)(30')는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조밀하게 연결 형성되어 있어 상기 쿠션사(30)(30')로 인해 흡수부재 전체에 탄력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쿠션사(30)(30') 사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성 화장료를 공간 손실없이 최대한 많은 량으로 머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탄성의 쿠션사(30)(30')는 폴리우레탄 탄성섬유가 적합한 것으로, 상기의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경우 폴리에테르 디올과 폴리카보네이트 디올을 혼합시킨 장쇄디올과 제3급 아미노기를 최소한 1개 이상 지닌 폴리올을 과잉의 유기이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예비중합하여 용제와 일정비율로 혼합시킨 후, 쇄성장제인 디아민 화합물을 사용하여 쇄성장시키고 쇄정지제인 모노아민을 첨가하여 얻어진 수평균 분자량 15,000~25,000의 저분자량 중합물을 얻은 후 이를 방사중에 용제와 함께 모노아민을 휘발시키고 디아민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분자량의 실이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쿠션사(30)(30')에 대한 탄성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쿠션사(30)(30')의 꺽임을 방지하기 위해 쿠션사(30)(30')의 표면에 대하여 도 6의 도시와 같이 탄성코팅층(31)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의 탄성코팅층(31)은 실리콘 코팅액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상기의 실리콘 코팅액은 연성 및 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수 및 발수 특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실리콘 코팅액은 액상의 실리콘(S) 100중량%에 대하여 경화제 10중량%와 색소와 무광제 20중량%, 증점제 10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에 대한 제직공정이 이루어진 후,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에 대한 코팅공정을 각기 수행하며, 이와는 별도로 고탄성의 쿠션사(30)(30')에 대한 코팅공정을 수행하여,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 및 쿠션사(30)(30')를 각기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탄성의 쿠션사(30)(30')를 이용하여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가 서로 이격되도록 연결하는 쿠션시트 성형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의 쿠션사(30)(30')는 수직 방향으로 조밀하게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쿠션사(30)(30')로 인해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의 연결에 의한 쿠션시트(50)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쿠션사(30)(30')의 길이에 상응하는 두께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쿠션사(30)(30')로 인해 뛰어난 탄성력을 갖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쿠션시트(50)를 원하는 크기 혹은 모양으로 절단하는 쿠션패드 절단공정을 도 8의 도시와 같이 수행하고, 절단된 쿠션패드(60)(60')는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열압착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장자리 끝단부를 융착시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 간의 접합부(4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절단부 융착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본 발명의 흡수부재가 완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측에는 상부시트(10)에 의한 배출공(11)(11')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하부시트(20)에 의한 유입공(21)(21')이 반복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의 사이에는 고탄성의 쿠션사(30)(30')가 조밀하게 수직방향으로 세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의 사이에는 쿠션사(30)(30')의 체적을 제외한 전체 공간으로 유동성 화장료가 채워질 수 있으므로 더욱 많은 량의 화장료를 채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흡수부재 자체로의 화장료 손실량이 거의 없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또한,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에 형성되어 있는 발수코팅층(12)(22)은 내부의 유동성 화장료가 흡수부재가 표면으로 누출되어 있는 것을 억제하므로 유동성 화장료가 흡수부재의 표면에서 건조되어 파우더 형태로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동성 화장료 본래의 성상 그대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더욱 고르고 효과적인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고장력사로 제직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는 퍼프 등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가압시에도 변형되거나 훼손 혹은 찢김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시트 손상으로 인한 불사용 혹은 내용물 유출 등의 문제점이 거의 없는 것이고, 고탄성의 쿠션사(30)(30')는 흡수부재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탄성력을 제공 및 유지시켜 줄 수 있어 흡수부재 원래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탄성의 쿠션사(30)(30')를 이용하여 쿠션시트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쿠션사(30)(30')가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의 사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의 사이에 5~20°의 각도를 갖고 경사상으로 지그재그 반복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경사상의 쿠션사(30)(30')로 인해 전체적으로 더욱 우수한 탄성력을 연출할 수 있도록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쿠션사(30)(30')의 경사각이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가압시 쿠션사(30)(30')의 휨 보다는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하여 오히려 탄성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5~20°정도의 각도로만 지그재그 형태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탄력성 및 쿠션감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는 흡수부재로 인한 유동성 화장료의 손실율이 극히 적은 것은 물론 충전된 화장료에 대한 배출 및 회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뛰어난 탄성력과 더불어 유동성 화장료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효율성 및 경제성이 매우 탁월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상부시트 11,11' : 배출공
12 : 발수코팅층
20 : 하부시트 21,21' : 유입공
22 : 발수코팅층
30,30' : 쿠션사 31 : 탄성코팅층
40 : 접합부
50 : 쿠션시트
60,60' : 쿠션패드

Claims (11)

  1. 상호 끝단이 서로 융착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사이에 쿠션부재가 내재된 탄력 흡수부재에 있어서,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배출공(11)(11')이 반복 배열 형성된 상부시트(10)와,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유입공(21)(21')이 반복 배열 형성된 하부시트(20)와, 상기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가 상,하로 이격되도록 이들을 연결 형성하는 고탄성의 쿠션사(30)(30')와, 상기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의 끝단이 서로 융착되게 한 접합부(40)로 구성되되,
    상부시트(10)의 배출공(11)(11')은 하부시트(20)의 유입공(21)(21') 보다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의 표면 전체에는 발수코팅층(12)(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배출공이 반복 배열 형성되고 전체 표면에는 발수 코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부시트 생산공정과; 고장력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유입공이 반복 배열 형성되고 전체 표면에는 발수 코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부시트 생산공정과; 탄성 코팅층이 형성된 고탄성의 쿠션사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가 수직방향으로 이격 연결되도록 하는 쿠션시트 성형공정과; 생산된 쿠션시트에 대하여 화장품 용기에 따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쿠션패드 절단공정과; 절단된 쿠션패드의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는 절단부 융착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08718A 2017-08-28 2017-08-28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37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718A KR101837578B1 (ko) 2017-08-28 2017-08-28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718A KR101837578B1 (ko) 2017-08-28 2017-08-28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578B1 true KR101837578B1 (ko) 2018-03-13

Family

ID=6166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718A KR101837578B1 (ko) 2017-08-28 2017-08-28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5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202A (ja) * 2003-06-30 2005-01-27 Unitika Tsusho Ltd 化粧用パフ
JP5212844B2 (ja) * 2010-10-20 2013-06-19 スズラン株式会社 化粧用コットン
KR101476224B1 (ko) 2014-10-06 2014-12-26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니트릴 고무를 이용한 크림 화장품용 비흡수성 퍼프의 제조방법
KR101538110B1 (ko) 2015-02-26 2015-07-2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습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202A (ja) * 2003-06-30 2005-01-27 Unitika Tsusho Ltd 化粧用パフ
JP5212844B2 (ja) * 2010-10-20 2013-06-19 スズラン株式会社 化粧用コットン
KR101476224B1 (ko) 2014-10-06 2014-12-26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니트릴 고무를 이용한 크림 화장품용 비흡수성 퍼프의 제조방법
KR101538110B1 (ko) 2015-02-26 2015-07-2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습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7898B (zh) 一种包括擦拭部件的封装和涂刷器装置
US10918188B2 (en) Cosmetic product comprising screen mesh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738516B2 (ja) アプリケータ装置
KR101538110B1 (ko)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습부재
JP6716680B2 (ja) 繊維およびスクリーン網を備えた含浸化粧用品
KR101715549B1 (ko) 화장품
DE69820144T2 (de) Einheit zum Verpacken und zum Auftragen eines fluiden Produkts
CN105935194B (zh) 具有弹性体及双重网的空气推动弹回的化妆品容器
KR101380587B1 (ko) 유동성 화장료를 위한 탄성 토출마개
CN102834333A (zh) 内容物挤出容器
CN105579352B (zh) 用于粘性液体的排气容器
KR101938434B1 (ko) 도포구
JP2012520118A (ja) 異種内容物を混合して使用する化粧品容器
US20230240428A1 (en) Cosmetic material impregnat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80027942A1 (en) Cap for scalp care container capable of applying liquid
KR101837578B1 (ko)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79692B1 (ko) 유동성 화장료가 수용되는 화장품용기를 위한 토출마개
KR200438759Y1 (ko) 모발 손질용 미용기구
JP2020508133A5 (ko)
WO2022071322A1 (ja) 針状突起付きパーツ
KR102508282B1 (ko) 복수의 화장료를 표현할 수 있는 화장용구
WO2018104340A1 (en) Applicator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notably a foaming cosmetic product
KR102176747B1 (ko) 기능성 화장료의 자가 배출형 퍼프
KR102377594B1 (ko)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398528B1 (ko)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