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594B1 -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594B1
KR102377594B1 KR1020190009457A KR20190009457A KR102377594B1 KR 102377594 B1 KR102377594 B1 KR 102377594B1 KR 1020190009457 A KR1020190009457 A KR 1020190009457A KR 20190009457 A KR20190009457 A KR 20190009457A KR 102377594 B1 KR102377594 B1 KR 102377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yer
cosmetic
layer
impregnated
mesh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0001A (ko
Inventor
김형상
이창수
안구섭
정혜진
이여울
이은두
계성봉
박다정
이경림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8505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45001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9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5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용 도포구에 묻혀 사용하는 화장료가 함침되는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부재는, 제 1 메쉬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상부 직물층; 제 2 메쉬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하부 직물층; 및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을 연결하도록 직조되는 복수의 섬유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 사이에서 상기 화장료의 함침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IMPREGNATED MEMBER OF COSMETIC COMPOSI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직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팩트 제품의 경우 대부분 파우더 상의 내용물을 압착하여 만들어진 프레스 팩트 제형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팩트 제품은 분말의 파우더가 고형화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가루날림 등으로 인한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액상 화장료에 비하여 화장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액상 화장료가 함침되는 다양한 함침 부재가 시도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스폰지,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체에 화장료를 함침하는 팩트 제품이 많은 인기를 모으고 있다.
상기 팩트 제품은 액상 화장료를 함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성이나 휴대성 등에 장점이 있으나, 스폰지, 폴리우레탄 등은 탄성력이나 지지력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손쉽게 손상이 발생하여 사용자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스폰지나 폴리우레탄 등의 함침 부재는 화학적인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는 점에서, 그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정 화장료에 적합한 함침 능력이나 토출 레벨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산소나 자외선, 오일, 에탄올 등의 알코올 성분과 같은 외부 자극에 취약하여, 내구성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오염 물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함침 부재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은 화장료 함침 능력이나, 지지력/형태 복원력이 약하다는 점에서, 스폰지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함침 부재의 보조적인 수단으로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은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물로 구성되면서도, 우수한 지지력 및 함침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용 도포구에 묻혀 사용하는 화장료가 함침되는 화장료 함침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부재는, 제 1 메쉬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상부 직물층; 제 2 메쉬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하부 직물층; 및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을 연결하도록 직조되는 복수의 섬유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 사이에서 상기 화장료의 함침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메쉬 구조 및 상기 제 2 메쉬 구조 각각은 복수의 토출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토출공의 면적의 합 및 상기 토출공의 둘레의 합에 기초하여 토출 레벨이 결정되고, 상기 토출 레벨에 따라 상기 화장료의 유입 및 유출의 양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메쉬 구조 및 상기 제 2 메쉬 구조는 서로 상이한 토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섬유사는 각 섬유사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각도로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직물층의 상기 제 1 메쉬 구조는 서로 상이한 영역에 형성되되, 상이한 토출 레벨을 갖는 복수의 메쉬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제 3 메쉬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측면 직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은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상기 지지층에 함침된 상기 화장료가 상기 메쉬 구조를 통해 유출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세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는 서로 적층되되,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세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 및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가 적층 수용되는 직물 주머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용 도포구에 묻혀 사용하는 화장료가 함침되는 화장료 함침 부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메쉬 구조를 갖는 상부 직물층; 제 2 메쉬 구조를 갖는 하부 직물층; 및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을 연결하는 복수의 섬유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 사이에서 상기 화장료의 함침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직물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직물층, 상기 하부 직물층 및 상기 지지층을 일체로 직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메쉬 구조 및 상기 제 2 메쉬 구조 각각은 복수의 토출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토출공의 면적의 합 및 상기 토출공의 둘레의 합에 기초하여 토출 레벨이 결정되고, 상기 토출 레벨에 따라 상기 화장료의 유입 및 유출의 양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메쉬 구조 및 상기 제 2 메쉬 구조는 서로 상이한 토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섬유사는 각 섬유사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각도로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직물층의 상기 제 1 메쉬 구조는 서로 상이한 영역에 형성되되, 상이한 토출 레벨을 갖는 복수의 메쉬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제 3 메쉬 구조를 갖는 측면 직물층을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층에 함침된 상기 화장료가 상기 메쉬 구조를 통해 유출되도록,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융착판 상에 상기 직물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직물 부재의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의 상기 가장자리가 서로 접촉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돌출된 접촉 블레이드로 상기 직물 부재를 하방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융착판으로부터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의 상기 가장자리에 내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가장자리를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된 화장료 함침 부재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화장료 함침 부재의 복수의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폴딩(folding)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 함침 부재를 직물로 형성함으로써, 스폰지, 폴리우레탄 등의 함침 부재에 비하여, 화장료 기타 화학 물질(알콜류, 오일류 등)에 의해 야기되는 스웰링, 침식, 형태 변형, 색소 용출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중금속이나 프탈레이트와 같은 환경 유해 물질의 함유가 없어 보다 개선된 사용자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직물층, 하부 직물층 및 이들을 연결하는 지지층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각 구성을 개별적으로 직조한 후 이를 접착이나 직조 연결하는 것에 비하여, 접합에 의한 손상이나, 분리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 함침 부재의 상부/하부 직물층에 메쉬 구조를 형성하되, 메쉬 구조의 토출공의 직조 패턴을 변경함으로서, 지지층에 함침된 화장료의 토출 레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의 메쉬 구조를 상이하게 하거나, 직물층 상에 서로 상이한 영역에 상이한 메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토출 레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사용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층을 구성하는 섬유사의 밀도를 용이하게 변경함으로써, 화장료 함침 부재의 지지력, 화장료의 함침 능력 등을 사용자 편의나 용도에 맞게 손쉽고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 함침 부재에서,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지지층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의 메쉬 구조를 통하지 않고, 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료 누설 및 이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오염, 사용자의 불편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 융착 등과 같은 내열 융착을 통해 용이하게 화장료 함침 부재의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것과 동시에, 화장료 함침 부재의 불필요한 구성(즉, 가장자리 외측)을 절단하여, 화장료 함침 부재의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를 적층하여, 함침을 위한 충분한 공간과 지지층에 의한 지지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적층된 화장료 함침 부재의 가장자리를 접합함으로써,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고, 화장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화장료 함침 부재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화장료 함침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방법 중 S72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도 9는 도 8의 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도 11은 도 10의 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의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화장료 함침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료가 함침된 상태로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 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화장품 용기가 개폐되는 경우, 화장료 함침 부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화장료 함침 부재에 함침된 화장료는 화장용 도포구(예를 들어, 퍼프 등)에 묻혀져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는, 예를 들어, 로션, 밀크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선크림, 에센스,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자외선차단제, 블러셔, 컨실러,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등 다양한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장료는 액상이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비-액상(즉, 고형 또는 반고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 부재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천연섬유, 인조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직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천연섬유는, 면화, 케이폭면, 코이어, 마닐라삼, 사이잘삼, 아마, 저마, 대마, 케나프, 아바카, 카폭, 모시풀, 황마, 삼, 양모, 산양모, 캐시미어, 낙타모, 알파카, 모섬유, 가잠견, 야잠견, 석면,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인조섬유는, 폴리노직 레이온, 비스코스 레이온, 류프라 레이온, 아세테이트, 트라이아세테이트, 폴리에스터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비닐리덴계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섬유, 폴리올리펜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카제인 섬유, 알긴산 섬유, 셀루로오스계 섬유, 고무 섬유, SBR, N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 부재는 직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폰지, 폴리우레탄 등의 함침 부재에 비하여, 화장료 기타 화학 물질(알콜류, 오일류 등)에 의해 야기되는 스웰링, 침식, 형태 변형, 색소 용출, 물리적/화학적 작용에 의한 변색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중금속이나 프탈레이트와 같은 환경 유해 물질의 함유가 없어 보다 개선된 사용자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 부재에서는, 상부 직물층, 하부 직물층 및 지지층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료 함침 부재를 구성하는 직물, 즉 상부 직물층, 하부 직물층 및 지지층을 이루는 섬유사 자체에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보다 개선된 화장료의 흡수성 및 보다 큰 함침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화장료 함침 부재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1의 화장료 함침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화장료 함침 부재(100)는 상부 직물층(200), 하부 직물층(300) 및 지지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직물층(200) 및 하부 직물층(300)은 각각 화장료 함침 부재(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각각 소정의 메쉬(mesh) 구조를 갖도록 섬유사가 직조되어 제조될 수 있다. 메쉬 구조는, 직물 상에 다수의 토출공(210)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토출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화장료 함침 부재(100)에 화장료를 함침하기 위해서 메쉬 구조를 통하여 화장료가 유입될 수 있으며, 화장료의 사용 시에는 마찬가지로 메쉬 구조를 통하여 함침된 화장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화장료가 배출되는 정도, 즉, 토출 레벨은 메쉬 구조의 토출공(210)의 비중이나 토출공(210)의 내측 표면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레벨은 “토출공(210)의 둘레의 합”에 대한 “토출공(210)의 면적의 합”의 비율로 결정될 수 있으며(즉, “토출 레벨” = “토출공(210)의 면적의 합” / “토출공(210)의 둘레의 합”), 여기서 토출공(210)의 둘레의 합은 화장료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의미하고, 토출공(210)의 면적의 합은 화장료가 이동하는 통로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레벨이 작을수록(즉, 상대적으로 “토출공(210)의 둘레의 합”이 클수록), 화장료는 쉽게 토출되지 않으며, 반대로 토출 레벨이 클수록(즉, 상대적으로 “토출공(210)의 면적의 합”이 클수록), 화장료가 쉽게 토출될 수 있다.
지지층(400)은 복수의 섬유사(또는 파일사)로 구성되며, 각 섬유사가 상부 직물층(200)과 하부 직물층(300)을 연결하도록 직조될 수 있다. 지지층(400)은 상부 직물층(200)과 하부 직물층(300)을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키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섬유사가 형성하는 탄력 복원성을 통해, 화장료 함침 부재(100)에 외력이 인가되어 형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으며, 상부 직물층(200)과 하부 직물층(300) 사이에서 섬유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화장료가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층(400)에 함침된 화장료는 화장료 함침 부재(100)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부 직물층(200) 및/또는 하부 직물층(300)의 메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지지층(400) 내의 섬유사는 적절한 탄력 복원성을 제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상부 직물층(200)과 하부 직물층(30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때 각 섬유사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확대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직물층(200) 및 하부 직물층(30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부 집합점 및 적어도 하나의 하부 집합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층(400)을 형성하는 복수의 섬유사가 상부 집합점 및 하부 집합점을 연결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각 집합점은 다른 집합점과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집합점 간의 이격 거리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지지층(400)의 섬유사는 상부 집합점과 하부 집합점을 연결하되, 임의의 집합점에 일 단부가 결합한 복수의 섬유사는 다른 단부가 동일한 다른 집합점에 결합하거나, 및/또는 복수의 상이한 집합점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집합점에 결합한 섬유사는 하부 직물층(300)을 기준으로 20도 내지 160도의 각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45도 내지 135도의 각도 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상부 집합점과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집합점에 결합한 섬유사 또한 상부 직물층(200)을 기준으로 20도 내지 160도의 각도 범위, 바람직하게는 45도 내지 135도의 각도 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하부 집합점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층(400)을 이루는 섬유사의 밀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담지 가능한 화장료의 양, 탄성 복원력, 지지력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사의 밀도가 감소하는 경우, 지지층(400) 내의 화장료 충전 공간이 증가할 수 있으며, 화장료의 이동 시 섬유사에 의한 마찰이 감소하므로, 작은 외력에도 화장료가 쉽게 유출될 수 있으며, 지지층(400)의 지지력, 탄성 복원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섬유사의 밀도가 증가하는 경우, 화장료의 이동 시 섬유사에 의한 마찰이 증가하므로, 쉽게 화장료가 유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지지층(400)의 지지력, 탄성 복원력이 강해질 수 있으나, 지지층(400) 내의 화장료 충전 공간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직물층(200) 및 하부 직물층(300)은 가장자리(500)가 서로 접합될 수 있다. 가장자리 접합을 통해 지지층(400)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부 직물층(200) 및 하부 직물층(300)의 메쉬 구조를 통하지 않으면서, 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지지층(400)은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섬유사가 노출되므로, 이를 통해 화장료의 함침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외측으로 누설될 수 있으며, 특히,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화장료 함침 부재(100) 내의 화장료 및/또는 화장료 함침 부재(100)가 배치되는 화장품 용기의 수용 공간 내의 화장료가 상당 정도 외측으로 누설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접합을 통해 화장료 함침 부재(100)의 외측에서의 화장료 누설 및 이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오염, 사용자의 불편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부 직물층(200) 및 하부 직물층(300) 간의 가장자리 접합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물질, 외부에서 열이 인가되는 외열 접합,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내열 접합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내열 접합 또는 외열 접합에 의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화학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또한, 부가적인 고정/체결 수단을 채택하지 않고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화장료 함침 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직물층(200)과 하부 직물층(300)의 접합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함침 부재(100)는 상부 직물층(200)과 하부 직물층(300)의 가장자리(500)가 서로 접합하는 대신에, 측면 직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직물층은 상부 직물층(200) 및 하부 직물층(300)과 마찬가지로 메쉬 구조를 가지며, 상부 직물층(200)과 하부 직물층(300)의 가장자리(500)를 연결하도록 직조될 수 있다. 측면 직물층의 메쉬 구조는 상부 직물층(200) 및 하부 직물층(300)의 메쉬 구조에 비해 작은 토출 레벨을 가짐으로써, 화장료가 상대적으로 측면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직물층은 화장료 함침 부재(10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부 직물층(200)과 하부 직물층(300)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되는 화장료 함침 부재(1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상부 직물층(200')의 메쉬 구조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하부 직물층(300)의 메쉬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직물층(200') 및 하부 직물층(300)은 서로 상이한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직물층(200')의 메쉬 구조는, 하부 직물층(300)의 메쉬 구조에 비하여, 각 토출공(210)의 크기를 크도록 하되, 전체 토출공의 면적의 합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는 경우, 하부 직물층(300)의 메쉬 구조는 상부 직물층(200')의 메쉬 구조와 비교하여 전체 토출공의 면적의 합은 동일하되, 토출공의 둘레의 합이 증가하므로, 토출 레벨은 작아지게 되며, 따라서 하부 직물층(300)에서는 상부 직물층(200')에 비하여 토출공을 통해 화장료가 쉽게 유/출입 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상부 직물층(200')은 하부 직물층(300)에 비하여 더 큰 토출 레벨을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화장료가 유/출입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부 직물층(200')을 통하여 화장료를 주입하여 화장료를 함침시키고, 또한 상부 직물층(200')을 통하여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 직물층(200')이 상대적으로 큰 토출 레벨을 갖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화장료의 충진 및 토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 직물층(300)이 상대적으로 토출 레벨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화장료가 하부 직물층(30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장료의 하부 방향 유출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오염이나 화장료의 소실을 줄일 수 있다.
도 4에서도 도시되는 메쉬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상부 직물층의 메쉬 구조와 하부 직물층의 메쉬 구조의 토출 레벨을 상이하게 하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직물층의 메쉬 구조가 하부 직물층의 메쉬 구조에 비하여 토출 레벨이 더 작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 레벨이 큰 하부 직물층을 통하여 화장료를 주입하여 화장료를 함침시키고, 반대로 화장료의 사용 시에는 상대적으로 토출 레벨이 작은 상부 직물층을 통하여 화장료가 유출되도록 하여, 용이한 화장료 충전과 외력에 의한 화장료 과대 배출 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직물층(200'')은 복수의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직물층(200'')은 좌측 영역에 제 1 메쉬 구조를 가지고, 우측 영역에 제 2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메쉬 구조 및 제 2 메쉬 구조는 토출 레벨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용 도포구의 가압 위치에 따라 상이한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화장료 토출양을 선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상부 직물층(2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영역 별로 토출 레벨을 상이하게 하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직물층의 중앙 영역을 주변 영역에 비하여 토출 레벨이 낮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외력이 빈번히/강하게 인가되는 중앙 영역에서 지나치게 많은 화장료가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 직물층 전반에 걸쳐 균일한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예를 들어, 상부 직물층의 중앙 영역을 주변 영역에 비하여 토출 레벨이 높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외력이 빈번히/강하게 인가되는 중앙 영역에서 화장료가 집중적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함침 부재(100)는 보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층은, 화장료 함침 부재(100)의 상부 직물층(200) 및/또는 하부 직물층(300)의 외측에 부가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천연섬유, 인조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직물, 부직포 등의 섬유층, 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나일론,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층은 상부 직물층(200) 및/또는 하부 직물층(300)에 결합하되, 상부 직물층(200) 및 하부 직물층(300)이 서로 접합되는 가장자리(500)에서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장자리(500) 접합을 통해 보조층이 직물층(200, 300)에 결합하면서, 직물층(200, 300)의 전면을 부분적으로 밀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층은 화장료 함침 부재(100)의 표면 형상 및 토출 레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층은 하부 직물층(300)의 하측 표면에 결합하되, 방수 성능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장료 함침 부재(100)에 함침된 화장료가 하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조층은 상부 직물층(200)의 상측 표면에 결합하되, 오간디, 트리코트 등의 신율이 낮은 섬유층으로 구성하여, 특정한 로고나 문양 등을 형성하거나, 화장료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조층에는 기능성 물질이 함침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예를 들어, 향균 기능을 위한 키토산, 님나무 추출물, 바질 추출물, 정향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등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보조층에는 코팅층이 추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코팅층은 보조층에 방수 등의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부직포로 이루어진 보조층의 일 면에 폴리우레탄 필름, 실리콘, 큐프라, 텐셀 등과 같은 기능성 물질(예를 들어, 방수 물질 등)을 접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보조층의 일 면에 결합한 코팅층은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보조층의 다른 면은 하부 직물층(300)에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화장료 함침 부재(100)에 함침된 화장료가 하측으로 유출되어 화장품 용기에 잔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조층은 코팅층이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이를 화장료 함침 부재(100)에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보조층의 형상은, 커버하고자 하는 직물층(200, 30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거나, 적어도 가장자리(500)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보조층, 기능성 물질이 함침된 보조층 및 코팅층이 결합된 보조층이 모두 보조층으로 지칭되며, 이는 기재 상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특정한 보조층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600)는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610, 630, 650, 67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600)에서,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610, 630, 650, 670)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적층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가장자리(690)가 서로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되는 화장료 함침 부재(100)의 경우, 상부 직물층(200, 200') 및 하부 직물층(300)을 연결 및 지지하는 지지층(400)이 섬유사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에서, 섬유사의 길이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들의 지지력, 형태 복원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지층(400)을 이루는 섬유사가 소정의 범위 이내의 길이를 갖도록 해야 하며, 이 경우, 지지층(400)의 전체적인 화장료 충전 공간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600)에서는, 각 섬유사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610, 630, 650, 670)를 적층함으로써, 전체적인 화장료 충전 공간을 증가시키면서도, 각 지지층이 충분한 지지력, 형태 복원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600)를 구성하는 각 화장료 함침 부재(610, 630, 650, 670) 간의 결합 관계를 견고히 하기 위해, 각 화장료 함침 부재(610, 630, 650, 670)의 가장자리(690)를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은 예를 들어, 접착 물질, 외부에서 열이 인가되는 외열 접합,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내열 접합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외열 접합 또는 내열 접합의 경우, 접착 물질을 도포하는 등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화학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또한, 부가적인 고정/체결 수단을 채택하지 않고도 용이하고 안전하게 화장료 함침 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되는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6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로 구성되는 다양한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 함침 부재는 서로 접합되지 않고 및/또는 화장료 함침 부재의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이 서로 접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가 서로 적층되어 직물 주머니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직물 주머니는 적층된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를 수용하고, 이를 견고하게 감싸는 직물 부재로서, 표면에 소정의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어,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적절히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함침 부재 세트(600)는 보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층은 함침 부재 세트(600)의 최상단 상부 직물층 및/또는 최하단 하부 직물층에 부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S710 단계에서, 직물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직물 부재는, 제 1 메쉬 구조를 갖는 상부 직물층; 제 2 메쉬 구조를 갖는 하부 직물층; 및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을 연결하는 복수의 섬유사로 구성되어,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 사이에서 화장료의 함침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직물 부재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되는 화장료 함침 부재(100)와 달리,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이 접합되지 않은 것으로서, 구분을 위해 편의상 직물 부재로 지칭되나, 직물 부재 또한 화장료 함침을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화장료 함침 부재는 직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S710 단계는, 상부 직물층, 하부 직물층 및 지지층을 일체로 직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 직물층, 하부 직물층 및 지지층을 개별적으로 직조한 후, 이를 접착이나 직조 연결하는 것에 비하여, 접합에 의한 손상이나, 분리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을 각각 직조한 후, 복수의 섬유사가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을 연결하도록 지지층을 직조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S710의 직물 부재에는 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열처리는 직물 부재에 탄력성을 부가하거나 직물 부재의 폭과 길이를 늘림으로써 직물 부재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물 부재의 상부 직물층, 하부 직물층 및 지지층 중 적어도 일부(바람직하게는 지지층의 섬유사)에 대해 열을 인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는 150~220℃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0~2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80~19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는, 1000~2500rpm의 열풍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00~2200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2000rpm, 가장 바람직하게는 1600~1800rpm의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온도, 열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S720 단계에서, 상부 및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를 접합할 수 있다. S720 단계는, 지지층이 측방향으로 개방 및 섬유사가 노출되기 때문에, 화장료의 함침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를 접합함으로써, 지지층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부 직물층 및/또는 하부 직물층의 메쉬 구조를 통해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S720 단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자리(500)에 접착 물질을 도포하여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을 접착하거나, (가열/가압 부재를 통해) 외부에서 열이 인가하는 외열 접합, (초음파, 저주파 등을 통해)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내열 접합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700)은 보조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S710 단계의 직물 부재의 상부 직물층 및/또는 하부 직물층에 보조층을 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후, S720 단계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가 접합될 때 그 외측에 배치되는 보조층이 함께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보조층에는 코팅층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코팅층은 보조층에 방수 등의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부직포로 이루어진 보조층의 적어도 일 면에 폴리우레탄 필름, 실리콘 등과 같은 기능성 물질(예를 들어, 방수 물질 등)을 접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접착 물질을 도포하고, 그 위에 폴리우레탄 필름을 결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보조층에 테프론 등과 같은 액상의 실리콘을 도포한 후 열을 인가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층의 일 면에 결합한 코팅층은 외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보조층의 다른 면은 직물 부재를 향하도록 배치하여, S720 단계에 의해 함께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700)은, S720 단계가 수행되는 대신에, 측면 직물층을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과 마찬가지로 메쉬 구조를 가지는 측면 직물층이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500)를 연결하도록 직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S720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실시예에 따라, 방법(700)은 화장료 함침 부재(100)에 화장료를 함침하는 단계 및/또는 화장료 함침 부재(100)를 화장품 용기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방법 중 S72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도 9는 도 8의 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S720 단계는, 직물 부재(910)의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을 그 가장자리(500)에 대해 접합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융착판(920) 상에 직물 부재(910)를 배치하는 단계(S810 단계); 접촉 블레이드(940)로 직물 부재(910)를 하방 가압하는 단계(S820 단계); 및 가장자리(500)에 내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가장자리(500)를 융착시키는 단계(S83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9의 (a)를 참조하면, S810 단계에서, 직물 부재(910)를 융착판(92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융착판(920)은 초음파 발생을 위한 것으로서, 융착판(920) 상에 직물 부재(910)를 배치하되, 직물 부재(910)의 접합 부위(즉, 가장자리(500))가 융착판(920)의 초음파 발생부(930)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해서, S820 단계에서, 직물 부재(910)를 접촉 블레이드(940)로 하방 가압할 수 있다. 접촉 블레이드(940)는, 융착판(920)의 초음파 발생부(930) 및 화장료 함침 부재(100)의 접합 부위(즉, 가장자리(500))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구조로서, 접촉 블레이드(940)가 직물 부재(910)를 향하여 하방 가압됨으로써,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500)가 서로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S820 단계에 의해 가장자리(50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직물 부재(910)의 가장자리(500)를 융착시킬 수 있다(S830 단계). S830 단계는, 융착판(920)(특히, 융착판(920)의 초음파 발생부(930))으로부터 발생하는 초음파가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500)에 내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이 서로 접촉한 가장자리(500)에서는 초음파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고, 이로부터 내열이 발생하여,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이 가장자리(500)에서 서로 열융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장자리(500) 외측의 직물 부재(910)가 화장료 함침 부재(100)로부터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도 9의 (b) 참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도 11은 도 10의 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S1010 단계에서, 융착판(920) 상에 직물 부재(910)를 적층할 수 있다. S1010 단계는 적층을 통해 직물 부재(910)를 중첩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직물 부재(910)의 복수의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하는 1회 또는 복수 회의 폴딩(folding)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S1020 단계에서, 직물 부재(910)를 접촉 블레이드(940)로 하방 가압하고, 가장자리(670)를 열 융착함으로써, 직물 부재(910)의 가장자리(690)를 서로 접합할 수 있다. S1020 단계의 접합을 통해 적층된 직물 부재(910)가 일체로 서로 접합되는 것과 동시에, 각 층의 직물 부재(910)의 가장자리(690)를 접합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단일의 직물 부재(910)에 대한 폴딩 공정을 통해 S1010 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직물 부재(910)가 아니라, 복수의 직물 부재를 적층하여 S1010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직물 부재는 하나의 직물 부재를 가공이 용이한 크기 및 형상으로 (예를 들어, 레이저 등을 통해) 절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S1020 단계가 열 융착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자리(690)에 접착 물질을 도포하여 접착하거나, (가열/가압 부재를 통해) 외부에서 열이 인가하는 외열 접합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방법(1000)은 보조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S1010 단계에서 직물 부재를 적층한 후에, 적층된 직물 부재의 최상단 상부 직물층 및/또는 최하단 하부 직물층에 보조층을 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후 S1020 단계에 의해 직물 부재(910)의 가장자리(690)가 접합할 때 보조층이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시험예1 - 함침 성능 시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실시예1 및 2)와 폴리우레탄 재질의 화장료 함침 부재(비교예1 및 2)를 각각 제조한 후 화장료 함침 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함침 성능 시험은 저점도 화장액 및 고점도 화장액에 대해 각각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저점도 화장액 및 고점도 화장액은 각각 11000cp 및 30000cp의 점도를 가지는 화장액이다.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름(mm) 높이(mm) 무게(g) 함침량(g)
저점도
화장액
고점도
화장액
실시예1 48 3.5 0.54 2.81 2.99
실시예2 48 12 1.98 9.93 10.01
비교예1 48 3.5 0.24 2.79 3.04
비교예2 48 12 0.83 11.49 11.97
상기 시험 결과를 참조하면, 각 화장료 함침 부재가 동일한 부피를 가질 때,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하여 대략 2배의 밀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하여 보다 고밀도를 구성됨으로써, 더욱 뛰어난 형상 지지력 및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화장료 함침 부재의 밀도가 증가하는 경우, 화장료가 함침되는 공극이 감소되어, 화장료 함침 부재의 함침 용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예에 비하여 밀도가 2배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화장료 함침 용량을 가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가 고점도 화장액 및 저점도 화장액에 대해 상이한 함침 용량을 나타내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장액의 점도에 무관하게 균일한 함침 성능을 나타내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2- 파열강도 시험
시험예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화장료 함침 부재(실시예1, 비교예1), 실시예1에 비하여 높이가 6mm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실시예3) 및 비교예1에 비하여 높이가 6mm인 폴리우레탄 재질의 화장료 함침 부재(비교예3)에 대해 파열강도 시험(KS K ISO 13938-1, 유압법)을 수행하였다. 파열강도 시험은 각 화장료 함침 부재가 외력으로부터 파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힘의 세기를 나타내는 하는 것으로서,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3
파열강도(kPa) 1192 1010 232 311
상기 시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3~5배의 파열강도를 가지며, 따라서 외력(특히, 마모)으로부터 보다 강한 내구성을 가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시험예3 - 흡수성 시험
시험예2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각 화장료 함침 부재(실시예1,3, 비교예1,3)에 대해 발수도 시험, 흡수 속도 시험 및 흡수 거리 시험으로 이루어진 흡수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발수도 시험(KS K ISO 4920, 스프레이법)은 습윤에 대한 저항성, 달리 말하면, 흡수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이 분사된 함침 부재를 털어낸 이후, 화장료 함침 부재 표면이 젖어 있는 상태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흡수 속도 시험(KS K 0642, 적하법)은 화장료 함침 부재의 표면에 증류수를 떨어뜨리고, 반사되는 물방울이 눈에 띄지 않을 때(즉, 표면이 완전히 습윤되어 물기가 없는 상태)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또한, 흡수 거리 시험(KS K 0642, 바이렉법)은 화장료 함침 부재를 소정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후, 한쪽 끝을 시험 용액이 수용된 용기의 수면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소정의 기간 경과 후 모세관 현상으로 시험 용액이 상승하는 높이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본 흡수 거리 시험에서 이용된 시험 용액은 순서대로 정제수, 오일성분, 정제수/오일성분/유화제의 혼합액이다. 흡수성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3
발수도
(ISO 등급)
0 0 4 4
흡수 속도
(초)
0 0 60 이상 60 이상
흡수 거리 (mm) 45.5 78.5 0 0
39 54 0 0
32.5 36.5 0 0
발수도 시험 결과와 관련하여, 실시예1 및 3의 ISO 0 등급(AATCC 사진 등급 0)은 함침 부재의 표면이 완전히 습윤된 것을 나타내고, 비교예1 및 3의 ISO 4 등급(AATCC 사진 등급 90)은 시험편 표면에 약간의 부착 또는 습윤을 나타낸다. 또한, 흡수 속도 시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증류수가 떨어지자 마자 표면에 의해 흡수되는 반면에, 비교예에서는 시험 시간(최대 60초) 동안 증류수가 표면으로 전혀 흡수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흡수 거리 시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험 용액의 종류에 구애되지 않고, 상당 정도 이들을 흡수할 수 있는 반면에, 비교예에서는 시험 용액이 전혀 흡수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짧은 시간 동안 수분을 완전히 또는 상당 정도 흡수할 정도로 높은 흡수도를 가지며, 이와 달리 비교예는 현저히 낮은 흡수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흡수도 차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빠른 화장료의 함침 속도를 가진다는 점에서, 화장품의 제조 공정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며, 화장품의 사용 시에도, 가압에 의해 함침 부재로부터 토출된 화장액 중 미사용 화장액이 빠르게 함침 부재로 다시 흡수되게 되어, 사용 편의성 또한 개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 부재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이 동일한 메쉬 구조를 갖는 함침 부재가 도시되고,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이 상이한 메쉬 구조를 갖는 함침 부재가 도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직물을 직조하여 제조된다는 점에서 다양한 메쉬 구조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메쉬 패턴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심미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토출 성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섬유사가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은 연결하면서 지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지지층에서는 복수의 섬유사가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을 다양한 각도에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섬유사가 군집하여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을 이격시키는 것과 동시에 함침 부재 전체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적절한 탄력 복원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섬유사 사이의 공간을 통해 화장료가 함침되고, 유입/유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함침 부재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610,630,650,670: 화장료 함침 부재 200,200',200'': 상부 직물층
210, 310: 토출공 300: 하부 직물층
400: 지지층 500, 690: 가장자리
600: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 910: 직물 부재
920: 융착판 930: 초음파 발생부
940: 접촉 블레이드

Claims (20)

  1.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로서,
    화장용 도포구에 묻혀 사용하는 화장료가 함침 되는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 및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가 적층 수용되는 직물 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 각각은, 제 1 메쉬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상부 직물층; 제 2 메쉬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하부 직물층; 및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을 연결하도록 직조되는 복수의 섬유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 사이에서 상기 화장료의 함침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제 3 메쉬 구조를 갖도록 직조되는 측면 직물층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은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상기 지지층에 함침된 상기 화장료가 상기 메쉬 구조를 통해 유출되게 하는,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함침 부재의 표면 형상 및 토출 레벨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부 직물층의 외측 및 상기 하부 직물층의 외측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직물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층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층에 결합하고, 방수 물질로 이루어지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
  6. 삭제
  7. 삭제
  8. 화장료 함침 부재 세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화장용 도포구에 묻혀 사용하는 화장료가 함침되는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화장료 함침 부재를 직물 주머니에 적층 수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함침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 1 메쉬 구조를 갖는 상부 직물층; 제 2 메쉬 구조를 갖는 하부 직물층; 및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을 연결하는 복수의 섬유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 사이에서 상기 화장료의 함침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직물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직물층, 상기 하부 직물층 및 상기 지지층을 일체로 직조하여 수행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함침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직물층과 상기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제 3 메쉬 구조를 갖는 측면 직물층을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함침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층에 함침된 상기 화장료가 상기 메쉬 구조를 통해 유출되도록,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의 가장자리를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하는 단계는,
    융착판 상에 상기 직물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직물 부재의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의 상기 가장자리가 서로 접촉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돌출된 접촉 블레이드로 상기 직물 부재를 하방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융착판으로부터 상기 상부 직물층 및 상기 하부 직물층의 상기 가장자리에 내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가장자리를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09457A 2018-07-20 2019-01-24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7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457A KR102377594B1 (ko) 2018-07-20 2019-01-24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056A KR101945001B1 (ko) 2017-07-20 2018-07-20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90009457A KR102377594B1 (ko) 2018-07-20 2019-01-24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056A Division KR101945001B1 (ko) 2017-07-20 2018-07-20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001A KR20200010001A (ko) 2020-01-30
KR102377594B1 true KR102377594B1 (ko) 2022-03-23

Family

ID=6932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457A KR102377594B1 (ko) 2018-07-20 2019-01-24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5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8Y1 (ko) * 2005-08-24 2005-11-01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JP2005312765A (ja) * 2004-04-30 2005-11-10 Wa Ki Ltd クッション材
KR101323495B1 (ko) * 2012-06-08 2013-10-31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KR101368622B1 (ko) * 2012-10-04 2014-03-04 최재준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765A (ja) * 2004-04-30 2005-11-10 Wa Ki Ltd クッション材
KR200400088Y1 (ko) * 2005-08-24 2005-11-01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KR101323495B1 (ko) * 2012-06-08 2013-10-31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KR101368622B1 (ko) * 2012-10-04 2014-03-04 최재준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논라텍스 화장용 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001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001B1 (ko)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JP6716680B2 (ja) 繊維およびスクリーン網を備えた含浸化粧用品
KR101764828B1 (ko)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JP2018183617A (ja) スクリーンネットを含む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92116A (ko) 고통기성ㆍ내수성 배리어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흡수체 제품
KR102377594B1 (ko)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8279B1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JP2022081547A (ja) 化粧用品
KR102073545B1 (ko) 화장품 용기
KR102300409B1 (ko) 코스메틱 물품
KR101791832B1 (ko) 다공성 패브릭과 방수필름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409177B1 (ko) 화장품
KR102124282B1 (ko) 화장용 에어쿠션
KR102553994B1 (ko)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디바이스
CN111936011A (zh) 诸如粉扑的制品
KR102337360B1 (ko)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252343B1 (ko)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JP7254277B2 (ja) 化粧品及び液体化粧料用のパッド並びに液体化粧料含浸体
CN111713840A (zh) 具有化妆料储存空间的化妆料载体
KR20180036583A (ko)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