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735B1 - 차량용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735B1
KR101836735B1 KR1020160149059A KR20160149059A KR101836735B1 KR 101836735 B1 KR101836735 B1 KR 101836735B1 KR 1020160149059 A KR1020160149059 A KR 1020160149059A KR 20160149059 A KR20160149059 A KR 20160149059A KR 101836735 B1 KR101836735 B1 KR 101836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round
rear floor
sidewall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9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크로스 멤버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제1 구간; 및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구간과 연결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 결합부와, 상기 사이드 멤버 결합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갖는 제1 라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구간은, 모서리가 면치 형상을 갖는 면치부와, 상기 면치부와 상기 제1 라운드부 사이에 마련되며 모서리가 상기 제1 라운드부의 모서리와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라운드부와 연결되는 제2 라운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Rear floor cross member for vehicle and rear floor assembly for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는 자동차의 바닥면 중 뒷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이와 같은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는 차량의 바닥면, 정면 및 측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켜 승차감을 증대시키고, 탑승객을 보호한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어 패널(10)과, 리어 플로어 패널(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하나씩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들(20)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들(20)을 연결하도록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들(20)과 각각 결합되며 리어 플로어 패널(10)에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0)를 포함한다.
그런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20)와 결합되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0)의 결합 부위(이하, '결합부(32)'라고 함)는 모서리 성형의 어려움으로 인해 저강도강 소재로 제조하고, 리어 플로어 패널(10)을 차량의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0)의 나머지 부위(이하, '크로스부(34)'라고 함)는 중량의 절감을 위해 고강도강 소재로 제조한다.
이처럼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0)의 결합부(32)와 크로스부(34)는 서로 다른 소재로 제조되므로, 이러한 결합부(32)와 크로스부(34)에는 각각 서로 다른 양상의 스프링백(spring back)이 발생한다. 스프랭백이란, 판재나 철선을 굽혔다가 놓으면 변형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약간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말한다. 그런데, 서로 다른 양상의 스프링백이 발생하는 부재들을 일체로 제조 및 조립할 경우에는, 스프링백의 차이로 인해 부재의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1)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0)의 결합부(32)와 크로스부(40)를 서로 분리된 상태로 개별적으로 제조 및 설치한다. 따라서, 종래의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1)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0)의 부품수와 금형수가 증가됨으로써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0)의 제조 및 조립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체로 제조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에 스프링백으로 인한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한하는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로스 멤버는, 차량의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제1 구간; 및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구간과 연결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 결합부와, 상기 사이드 멤버 결합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갖는 제1 라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구간은, 모서리가 면치 형상을 갖는 면치부와, 상기 면치부와 상기 제1 라운드부 사이에 마련되며 모서리가 상기 제1 라운드부의 모서리와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라운드부와 연결되는 제2 라운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면치부와 상기 제2 라운드부 사이에 마련되며 모서리가 비드 형상을 갖는 천이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이부는 상기 면치부와 상기 제2 라운드에 비해 단면적이 넓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제2 구간에 비해 낮은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라운드부와 상기 제2 라운드부는 이종 접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라운드부는, 차량의 플로어 패널과 결합되는 제1 플렌지와, 제1 플렌지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1 상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렌지와 상기 제1 측벽 사이의 모서리, 및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1 상벽 사이의 모서리는 각각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면치부는, 상기 플로어 패널과 결합되는 제2 플렌지와, 상기 제2 플렌지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2 측벽과, 상기 제2 측벽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2 상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플렌지와 상기 제2 측벽 사이의 모서리, 및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제2 상벽 사이의 모서리는 각각, 면치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라운드부는, 상기 플로어 패널과 결합되는 제3 플렌지와, 상기 제3 플렌지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3 측벽과, 상기 제3 측벽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3 상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3 플렌지와 상기 제3 측벽 사이의 모서리, 및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3 상벽 사이의 모서리는 각각, 상기 제1 라운드부의 모서리들과 각각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이부는, 차량의 플로어 패널과 결합되는 제4 플렌지와, 상기 제4 플렌지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4 측벽과, 상기 제4 측벽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4 상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4 플렌지와 상기 제4 측벽 사이의 모서리, 및 상기 제4 측벽과 상기 제4 상벽 사이의 모서리는 각각, 비드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라운드부는 상기 면치부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는, 리어 플로어 패널;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및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제1 구간과,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에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구간과 연결되는 제2 구간을 구비하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 결합부와, 상기 사이드 멤버 결합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갖는 제1 라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구간은, 모서리가 면치 형상을 갖는 면치부와, 상기 면치부와 상기 제1 라운드부 사이에 마련되며 모서리가 상기 제1 라운드부의 모서리와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라운드부와 연결되는 제2 라운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면치부와 상기 제2 라운드부 사이에 마련되며 모서리가 비드 형상을 갖는 천이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제2 구간에 비해 낮은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라운드부와 상기 제2 라운드부는 이종 접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의 제1 구간과 제2 구간의 스프링백을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1 구간과 제2 구간을 이종 접합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의 제조 및 조립에 필요한 부품수와 금형수를 절감하여,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의 제조 및 조립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에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라운드부와 제2 라운드부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면치부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3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라운드부와 제2 라운드부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면치부의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이하,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라고 함)는, 차량의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20)와 결합되는 제1 구간(50)과, 리어 플로어 패널(10)에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구간(50)과 연결되는 제2 구간(6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30) 대신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1)에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는, 센터 플로어 패널과,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등을 포함하는 센터 플로어 어셈블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가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1)에 설치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구간(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20)와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 결합부(52)와, 사이드 멤버 결합부(52)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라운드부(5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간(50)은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20)들 중 어느 하나와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이 마련되며, 각각의 제1 구간(50)은 제2 구간(60)의 양측 단부 중 어느 일측 단부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 구간(50)은 사이드 멤버 결합부(52)와 제1 라운드부(54)를 연결하는 연결부(56)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제2 구간(60)에 비해 낮은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구간(50)은 저강도강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 멤버 결합부(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사이드 멤버 결합부(52)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2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20)에 결합된다.
제1 라운드부(54)는, 사이드 멤버 결합부(52)의 일측으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라운드부(54)와 사이드 멤버 결합부(52)를 연결하는 연결부(56)는, 제2 구간(60)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라운드부(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벽(54a)들과, 제1 측벽(54a)들의 상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1 상벽(54b)과, 각각의 제1 측벽(54a)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리어 플로어 패널(10)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플렌지(54c)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백은, 모서리의 꺾임 구간 즉, 코너부의 꺾임 구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크게 발생하고, 모서리의 꺾임 구간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작게 발생한다. 이를 반영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벽(54b)의 일측 단부와 제1 측벽(54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모서리(54d)와, 제1 측벽(54a)의 하단부와 제1 플렌지(54c)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모서리(54e)는 각각, 모서리(54d, 54e)의 꺾임 구간이 길게 연장되어 스프링백이 크게 발생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구간(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어 패널(10)을 차량의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면치부(62)와, 제2 구간(60)의 제1 라운드부(54)와 연결되는 제2 라운드부(64)와, 면치부(62)와 제2 라운드부(64)를 연결하는 천이부(6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구간(60)은 한 쌍의 제1 구간(50)들 사이에 마련되며, 제2 구간(60)의 양측 단부는 각각 제1 구간(50)들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2 구간(60)은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고강도강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치부(6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2 측벽(62a)들과, 제2 측벽(62a)들의 상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2 상벽(62b)과, 각각의 제2 측벽(62a)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리어 플로어 패널(10)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플렌지(62c)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백은, 소재의 강도가 커질수록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제1 구간(50)과 제2 구간(60)의 모서리 구간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에는, 강도가 높은 소재로 구성된 제2 구간(60)에 스프링백이 크게 발생한다. 이를 반영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벽(62b)의 일측 단부와 제2 측벽(62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모서리(62d)와, 제2 측벽(62a)의 하단부와 제2 플렌지(62c)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모서리(62e)는 각각, 모서리(62d, 62e)의 꺾임 구간이 짧게 연장되어 스프링백이 작게 발생하도록, 면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모서리(62d, 62e)에 각각 소정 길이의 경사면(62f, 62g)을 마련하고, 제2 측벽(62a), 제2 상벽(62b) 또는 제2 플렌지(62c)를 이러한 경사면(62f, 62g)과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면, 제2 측벽(62a), 제2 상벽(62b) 또는 제2 플렌지(62c)와 경사면(62f, 62g) 사이에만 꺾임 구간(62h, 62i)이 제한적으로 발생하므로, 이러한 면치 형상을 통해 모서리(62d, 62e)의 꺾임 구간(62h, 62i)의 길이를 전술한 제1 라운드부(54)에 비해 줄일 수 있다.
이처럼 면치부(62)의 모서리(62d, 62e)를 면치 형상으로 형성하면, 면치부(62)의 소재로 인한 스프링백의 증가 요인을 면치 형상으로 인한 스프링백의 감소 요인으로 상쇄시킴으로써, 면치부(62)의 스프링백을 제1 라운드부(54)의 스프링백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치부(62)는 제2 구간(60)의 전체 길이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결국 제2 구간(60)의 스프링백은 제1 라운드부(54)의 스프링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조절된다. 따라서, 제2 라운드부(64)와 제1 라운드부(54)를 연결하여 제1 구간(50)과 제2 구간(60)을 일체화시킬 경우에 제1 구간(50)과 제2 구간(60)의 스프링백의 차이로 인해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에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라운드부(6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3 측벽(64a)들과, 제3 측벽(64a)들의 상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3 상벽(64b)과, 각각의 제3 측벽(64a)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리어 플로어 패널(10)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제3 플렌지(64c)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라운드부(64)는, 제2 구간(6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도록 한 쌍이 마련된다. 제2 라운드부(64)는, 면치부(62)에 비해 현저히 짧은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라운드부(64)는 제1 라운드부(54)와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제3 측벽(64a)들, 제3 상벽(64b) 및 제3 플렌지(64c)들은 각각, 제1 측벽(54a)들, 제1 상벽(54b) 및 제1 플렌지(54c)들과 합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3상벽(64b)의 일측 단부와 제3 측벽(64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모서리(64d)와, 제3 측벽(64a)의 하단부와 제3 플렌지(64c)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모서리(64e)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라운드부(54)의 모서리들(54d, 54e)과 동일한 꺾일 구간을 갖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라운드부(64)의 일측 단부는 제1 라운드부(54)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며, 이를 통해 제1 구간(50)과 제2 구간(60)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제2 라운드부(64)의 일측 단부와 제1 라운드부(54)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라운드부(64)의 일측 단부와 제1 라운드부(54)의 일측 단부는 이종 접합(Tailor Welded Blank, TWB) 공법을 이용해 용접하여 접합할 수 있다. 여기서, 이종 접합 공법이란, 마치 양복을 재단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재질의 두께의 판재를 필요한 모양대로 절단하여 용접한 후 프레스 성형하여 부품을 제작하는 일련의 기술로서, 두께 또는 강도가 서로 다른 강판을 스템핑(stamping) 가공 전에 하나의 강판(Blank)으로 용접한 자동차 부품 등을 성형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이종 접합 공법에 의하면, 제1 구간(50)을 구성하는 저강도강 소재의 판재와 제2 구간(60)을 구성하는 고강도강 소재의 판재를 이종 접합 공법을 이용해 용접하여 일체화 시킨후 이처럼 일체화된 판재들을 동시에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제2 라운드부(64)를 제1 라운드부(54)와 합치되도록 형성할 경우에는, 제2 라운드부(64)와 제1 라운드부(54) 사이의 스프링백의 차이로 인해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에 뒤틀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제2 라운드부(6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라운드부(54) 및 면치부(62)에 비해 현저히 짧은 길이를 가지므로, 제2 라운드부(64)의 스프링백으로 인해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에 뒤틀림이 발생한 것은 최소화될 수 있다.
천이부(6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4 측벽(66a)들과, 제4 측벽(66a)들의 상단부 사이에 마련된 제4 상벽(66b)과, 각각의 제4 측벽(66a)들로부터 연장되어 리어 플로어 패널(10)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제4 플렌지(66c)들을 구비할 수 있다. 천이부(6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치부(62)와 각각의 제2 라운드부(64) 사이에 하나씩 위치하도록 한 쌍이 마련된다. 제2 라운드부(64)는, 제2 라운드부(64)에 비해서는 길지만 면치부(62)에 비해서는 짧은 길이를 갖되, 면치부(62)와 제2 라운드부(64)에 비해 높은 높이와 넓은 폭 즉,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천이부(66)는, 면치부(62)의 모서리(62d, 62e) 형상이 제2 라운드부(64)의 모서리(64d, 64d) 형상으로 자연스럽게 천이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상벽(66b)의 일측 단부와 제4 측벽(66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모서리(66d)와, 제4 측벽(66a)의 하단부와 제4 플렌지(66c)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모서리(66e)는 각각, 비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비드 형상이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길고 좁게 포밍된 형상을 말한다. 이러한 비드 형상으로 인해 면치부(62)의 모서리(62d, 62e) 형상은 제2 라운드부(64)의 모서리(64d, 64e) 형상으로 자연스럽게 천이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는, 제1 구간(50)과 제2 구간(60)의 모서리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제1 구간(50)과 제2 구간(60)에 작용하는 스프링백이 동일하게 조절된다. 이로 인해 이종 접합 공법을 통해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를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 스프링백으로 인해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에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40)는, 제1 구간(50)과 제2 구간(60)의 강도 향상을 위한 보강재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는 등 부품수와 금형수의 절감을 통해 제조 및 조립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종래의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10 : 리어 플로어 패널
20 :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30 :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32 : 결합부
34 : 크로스부
2 :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40 :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50 : 제1 구간
52 : 사이드 멤버 결합부
54 : 제1 라운드부
56 : 연결부
60 : 제2 구간
62 : 면치부
64 : 제2 라운드부
66 : 천이부

Claims (14)

  1. 차량의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제1 구간; 및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구간과 연결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 결합부와, 상기 사이드 멤버 결합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갖는 제1 라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구간은, 모서리가 면치 형상을 갖는 면치부와, 상기 면치부와 상기 제1 라운드부 사이에 마련되며 모서리가 상기 제1 라운드부의 모서리와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라운드부와 연결되는 제2 라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면치부와 상기 제2 라운드부 사이에 마련되며 모서리가 비드 형상을 갖는 천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부는 상기 면치부와 상기 제2 라운드에 비해 단면적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제2 구간에 비해 낮은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운드부와 상기 제2 라운드부는 이종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운드부는, 차량의 플로어 패널과 결합되는 제1 플렌지와, 제1 플렌지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1 상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렌지와 상기 제1 측벽 사이의 모서리, 및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1 상벽 사이의 모서리는 각각 라운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면치부는, 상기 플로어 패널과 결합되는 제2 플렌지와, 상기 제2 플렌지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2 측벽과, 상기 제2 측벽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2 상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플렌지와 상기 제2 측벽 사이의 모서리, 및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제2 상벽 사이의 모서리는 각각, 면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운드부는, 상기 플로어 패널과 결합되는 제3 플렌지와, 상기 제3 플렌지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3 측벽과, 상기 제3 측벽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3 상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3 플렌지와 상기 제3 측벽 사이의 모서리, 및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3 상벽 사이의 모서리는 각각, 상기 제1 라운드부의 모서리들과 각각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부는, 차량의 플로어 패널과 결합되는 제4 플렌지와, 상기 제4 플렌지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4 측벽과, 상기 제4 측벽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제4 상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4 플렌지와 상기 제4 측벽 사이의 모서리, 및 상기 제4 측벽과 상기 제4 상벽 사이의 모서리는 각각, 비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운드부는 상기 면치부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크로스 멤버.
  11. 리어 플로어 패널;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및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제1 구간과,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에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구간과 연결되는 제2 구간을 구비하는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 결합부와, 상기 사이드 멤버 결합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갖는 제1 라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구간은, 모서리가 면치 형상을 갖는 면치부와, 상기 면치부와 상기 제1 라운드부 사이에 마련되며 모서리가 상기 제1 라운드부의 모서리와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라운드부와 연결되는 제2 라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면치부와 상기 제2 라운드부 사이에 마련되며 모서리가 비드 형상을 갖는 천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제2 구간에 비해 낮은 강도를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운드부와 상기 제2 라운드부는 이종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KR1020160149059A 2016-11-09 2016-11-09 차량용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KR101836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59A KR101836735B1 (ko) 2016-11-09 2016-11-09 차량용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59A KR101836735B1 (ko) 2016-11-09 2016-11-09 차량용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735B1 true KR101836735B1 (ko) 2018-03-08

Family

ID=6172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059A KR101836735B1 (ko) 2016-11-09 2016-11-09 차량용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7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8303A1 (fr) 2006-02-02 2007-08-09 Peugeot Citroën Automobiles SA Traverse d'assise de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8303A1 (fr) 2006-02-02 2007-08-09 Peugeot Citroën Automobiles SA Traverse d'assise de vehicule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3756B2 (ja) 車両用バンパ装置
CN101595026B (zh) 车辆前侧构件
KR101157000B1 (ko) 차체 구조 부재용 성형품
JP6519565B2 (ja) フロアパネル
US10479409B2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CN102596692B (zh) 车辆框架组件、系统和方法
JP5203852B2 (ja) 車両用バンパ装置
CN111433112A (zh) 车辆用加强部件和车辆用中柱
KR101836735B1 (ko) 차량용 리어 플로어 크로스 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플로어 어셈블리
KR102609315B1 (ko) 프레스 성형 방법
JP4932688B2 (ja) 自動車車体用ルーフ補強材
WO2012035662A1 (ja) センタピラー構造
WO2018061669A1 (ja) ドアインパクトビーム
JP7167342B2 (ja) 補強構造体の成形方法
US11104254B2 (en) Console support structure
JP6141789B2 (ja) 車両用ルーフリインフォース
JP4765660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7200167B2 (ja) 車両用強度部材
CN219257501U (zh) 车身上部结构
WO2022138810A1 (ja) 車両用センターピラー部材とその製造法
JP7203240B2 (ja) ルーフサイドアウタパネル構造
JP7106232B2 (ja) 車両の側方構造
CN220410720U (zh) 地板总成和车辆
CN213354616U (zh) 车辆的前隔板
CN209921446U (zh) 千斤顶加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