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390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390B1
KR101835390B1 KR1020170093831A KR20170093831A KR101835390B1 KR 101835390 B1 KR101835390 B1 KR 101835390B1 KR 1020170093831 A KR1020170093831 A KR 1020170093831A KR 20170093831 A KR20170093831 A KR 20170093831A KR 101835390 B1 KR101835390 B1 KR 101835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racks
repairing
adhesive
c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089A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3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4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cover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바닥 또는 벽면에서 발생된 균열에 의한 누수를 보수함에 있어 균열이 발생된 부위의 주변 콘크리트를 굴토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적, 물적 자원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 후에도 균열부위가 벌어지는 틈새의 폭 만큼 균열부위의 틈새가 채워질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균열이 발생한 틈새(20)에 콘크리트 절단기를 활용하여 균열 발생 방향으로 신축 유닛(P)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확보하는 삽입공간확보단계(S100)와, 상기 공간이 확보된 틈새(20)에 공간 확보 단계에서 발생된 미세 분말을 물 또는 에어를 강제 주입하여 제거하는 미세분말 제거 단계(S200)와, 상기 미세분말이 제거된 틈새(20) 및 균열(10)부위에 접착력을 갖는 우레탄 실란트 또는 실리콘 실란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300)와, 상기 접착제 도포 후 연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며, 균열이 발생된 틈새(20)에 삽입되는 삽입부(30)가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30)는 좌, 우 대칭 구조를 갖는 접착부(40)와 일체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 우 대칭 구조의 수직편(31)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며, 상기 수직편(31)의 하측 끝단은 연결편(32)에 의해 연결되어 신축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극(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0)의 상측에는 신축 유닛이 콘크리트 면과 기밀한 접착상태를 유지하여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접착부(40)가 구성된 신축 유닛(P)을 부착고정시키는 신축 유닛 고정단계(S400)와, 상기 신축 유닛 고정 후 신축 유닛의 공극(33) 내부에 탄성력을 갖는 발포수지 또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아크릴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주사기를 활용하여 주입하되, 발포수지를 주입하는 경우 발포수지 주입 후 물을 더 주입하는 탄성제 주입단계(S500)와, 상기 탄성제 주입 후 균열 부위의 표면을 마감처리 하는 마감처리 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Flexible unit for repairing cracked part of concrete structure and maintenance method of cracked part using the flexible uni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바닥 또는 벽면에서 발생된 균열에 의한 누수를 보수함에 있어 균열이 발생된 부위의 주변 콘크리트를 굴토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적, 물적 자원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 후에도 균열부위가 벌어지는 틈새의 폭 만큼 균열부위의 틈새가 채워질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다세대 주택, 빌라, 아파트, 오피스텔 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신축된 구조물은 도 1의 (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 바닥에 발생하기도 하며, 도 1의 (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균열(10)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균열(10)은 시간이 지날수록 틈새(20)가 점점 더 벌어져 건물 누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발생 된 균열에 의해 장마철이나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또는 지하에 습기가 차거나, 빗물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를 보수할 때에는 균열부분의 틈새(20)에 방수액 또는 실리콘 등을 주입하고, 표면에 방수액을 도포하여 완료한다.
또한, 균열이 발생 된 부분이 큰경우에는 방수액 또는 실리콘을 패커를 이용하여 강제 주입한 다음, 마감처리를 하면 되나, 균열이 발생 된 부분이 0.1 내지 1mm 정도로 미세한 틈새 누수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는 방수액 또는 실리콘을 강제 주입할 수 없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 된 부분의 주변에 구멍을 낸 다음 그 구멍을 통해 방수액 또는 실리콘을 강제 주입하여 방수 시공을 하기도 하며, 균열 부위에 'V' 자형으로 절개를 한 다음 그 'V' 자형 홈에 방수액 또는 실리콘을 주입 하여 방수시공을 하였다.
결국, 균열이 발생 된 부위를 보수할 때는 일반적으로 균열부분의 틈새(20) 또는 구멍을 천공하여 방수액 또는 실리콘 등을 주입한다는 공통점이 있는바, 그 한 예로서 특허출원 제10-2012-0072812호(발명의 명칭: 건물의 균열부분 방수 및 보수 시공방법)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10-2012-0072812호에서는 균열 부위의 주변에 사선 모양의 구멍을 다수 개 천공하여 구멍의 내부에 우레탄, 실리콘, 발포수지, 모르타르 중 어느 하나로 하되, 경화제가 혼합된 방수재를 주입한 다음 목재, 코르크 마개를 이용하여 밀봉처리를 하여 보수 시공을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특허등록 제10-1513077호(발명의 명칭 : 틈새 방수용 분사 하우징 및 그 분사 하우징을 이용한 틈새 방수 시공방법)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10-1513077호에서는 분사 하우징을 이용하여 틈새를 방수 시공한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극히 작은 틈새에 한해서는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이 경우는 천공을 하지 않고 보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10-2012-0072812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틈새 주변을 보수 시공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패커를 이용하여 방수액을 주입하게 되는데 현재 존재하고 있는 도 1의 패커결합체로서는 틈새 부위로 분출하는 방수액을 차단시킬 수 없으며, 구멍(40)에 방수액을 주입하더라도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미세 분말에 의해 방수액이 기존 콘크리트와 융화가 되지 못하고 탈착되는 현상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한번 균열이 발생된 부분은 지반 침하 또는 주변환경의 영향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된 틈새가 점점 더 확장된다는데 있으며, 상술된 보수방법에 의해 보수공사를 실시하더라도 이미 한번 균열이 발생된 부분은 향후에도 균열이 발생될 가능성이 많다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착안한 것이며, 균열이 발생된 부위의 주변 콘크리트를 굴토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적, 물적 자원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 후에도 균열부위가 벌어지는 틈새의 폭 만큼 신축력에 의해 균열부위의 틈새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보수의 위험부담을 감소함과 동시에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P)은
연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며, 균열이 발생된 틈새(20)에 삽입되는 삽입부(30)가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30)는 좌, 우 대칭 구조를 갖는 접착부(40)와 일체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 우 대칭 구조의 수직편(31)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며, 상기 수직편(31)의 하측 끝단은 연결편(32)에 의해 연결되어 신축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극(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0)의 상측에는 신축 유닛이 콘크리트 면과 기밀한 접착상태를 유지하여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접착부(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30)와, 접착부(40)의 외측에는 콘크리트 면과의 접착력 강화를 위한 요철(5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편(32)은 틈새(20)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바닥이 평면인 평면형(32a)과, 하측방향으로 날카롭게 형성된 쇄기형(32b)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P)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은 균열이 발생한 틈새(20)에 콘크리트 절단기를 활용하여 균열 발생 방향으로 신축 유닛(P)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확보하는 삽입공간확보단계(S100)와, 상기 공간이 확보된 틈새(20)에 공간 확보 단계에서 발생된 미세 분말을 물 또는 에어를 강제 주입하여 제거하는 미세분말 제거 단계(S200)와, 상기 미세분말이 제거된 틈새(20) 및 균열(10)부위에 접착력을 갖는 우레탄 실란트 또는 실리콘 실란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300)와, 상기 접착제 도포 후 연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며, 균열이 발생된 틈새(20)에 삽입되는 삽입부(30)가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30)는 좌, 우 대칭 구조를 갖는 접착부(40)와 일체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 우 대칭 구조의 수직편(31)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며, 상기 수직편(31)의 하측 끝단은 연결편(32)에 의해 연결되어 신축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극(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0)의 상측에는 신축 유닛이 콘크리트 면과 기밀한 접착상태를 유지하여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접착부(40)가 구성된 신축 유닛(P)을 부착고정시키는 신축 유닛 고정단계(S400)와, 상기 신축 유닛 고정 후 신축 유닛의 공극(33)을 관통하여 틈새(20)의 내부에 탄성력을 갖는 발포수지 또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아크릴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주사기를 활용하여 주입하되, 발포수지를 주입하는 경우 발포수지 주입 후 물을 더 주입하는 탄성제 주입단계(S500)와, 상기 탄성제 주입 후 균열 부위의 표면을 마감처리 하는 마감처리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은 균열이 발생된 부위의 주변 콘크리트를 굴토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수 시공을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적, 물적 자원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 후에는 균열부위가 벌어지는 틈새의 폭 만큼 신축력에 의해 균열부위의 틈새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보수의 위험부담을 감소함과 동시에 누수를 지속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 부위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삽입 공간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보수과정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P)은 도 2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적으로 발생되는 균열부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며, 균열이 발생된 틈새(20)에 삽입되는 삽입부(30)와, 상기 삽입부(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면에 부착 고정되도록 해주는 접착부(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30)는 좌, 우 대칭 구조를 갖는 접착부(40)와 일체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 우 대칭 구조의 수직편(31)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며, 상기 수직편(31)의 하측 끝단은 연결편(32)에 의해 연결되어 신축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극(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공극(33)이 형성되는 삽입부(3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간(60)에 삽입이 될 때는 오무려진 상태로 삽입이되며,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틈새가 벌어지는 만큼 공극의 공간도 확장되기 때문에 틈새의 내부가 꽉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착부(40)는 삽입부(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신축유닛(P)을 틈새(20)에 시공할 경우 틈새(20)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성이 요구되는바, 콘크리트 면과 강한 접착이 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부(30)와 접착부(40)의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요철(50)이 형성되는 것이며, 향후 신축 유닛(P)의 상측에 방수시트를 시공할 경우에도 방수시트가 미끌리는 것을 어느 정도 잡아 줄 수 있으며, 각종 도료를 도포할 경우 도료와의 접착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32)은 틈새(20)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바닥이 평면인 평면형(32a)과,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방향으로 날카롭게 형성된 쇄기형(3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원 발명의 신축 유닛(P)을 이용하여 균열 부위를 보수할 때는 먼저, 균열이 발생한 틈새(20)에 콘크리트 절단기의 날을 투입하여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 발생 방향으로 신축 유닛(P)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60)을 확보한다(S100).
상기 삽입공간(60)의 확보 방향은 균열이 발생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는 것이며, 콘크리트 절단기(미도시)를 활용하여 조금씩 절단을 하면 삽입공간의 확보는 가능하다. 이때 삽입공간(60)의 폭이 삽입부(30)의 폭에 비해 좁게 절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삽입공간(60)이 확보되면 삽입 공간 확보단계를 실시함에 따른 미세분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미세분말은 접착력의 약하시켜주기 때문에 물 또는 에어를 강제 주입하여 미세분말을 깔끔하게 제거한다(S200).
상기와 같이 미세분말이 제거되면 미세분말이 제거된 틈새(20) 및 균열(10)부위에 접착력을 갖는 우레탄 실란트 또는 실리콘 실란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고르게 도포를 한다(S300).
상기 우레탄 실란트 또는 실리콘 실란트는 접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면과 신축 유닛(P)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주기도 하지만 틈새 내부로 주입되면서 방수기능도 동시에 수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연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며, 균열이 발생된 틈새(20)에 삽입되는 삽입부(30)가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30)는 좌, 우 대칭 구조를 갖는 접착부(40)와 일체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 우 대칭 구조의 수직편(31)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며, 상기 수직편(31)의 하측 끝단은 연결편(32)에 의해 연결되어 신축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극(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0)의 상측에는 신축 유닛이 콘크리트 면과 기밀한 접착상태를 유지하여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접착부(40)가 구성된 신축 유닛(P)을 부착고정시킨다(S400).
이때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유닛의 삽입부(30)가 틈새(20)의 삽입공간(60) 내부에 진입되도록 하면서 부착을 하며,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0)가 오무려진 상태로 삽입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삽입을 하더라도 공극은 남아 있기 때문에 향후 탄성수지의 주입이 가능할 수 있으며, 틈새의 간격(폭)이 점점 더 벌어지는 경우에도 최초 오무려졌던 삽입부(30)가 팽창을 하면서 벌어진 만큼의 공간을 채우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원 발명의 신축 유닛(P)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자유로운 휨이 가능한 것이며, 균열이 불규칙하게 발생되더라도 여러 방향으로 휨을 주면서 삽입을 할 수 있어 어떠한 균열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신축 유닛(P)을 균열부위에 시공 완료하면 신축 유닛(P)의 공극(33)을 관통하여 틈새(20)의 내부에 탄성력을 갖는 발포수지 또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아크릴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주사기를 활용하여 탄성제를 주입 한다(S500).
상기 탄성제는 공극(33)을 관통하여 틈새(20) 또는 공극(33)의 내부에 주입되어 팽창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삽입부(30)도 틈새의 삽입공간(60)에 꽉 채워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신축 유닛(P)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제 중 발포수지를 주입할 때는 발포수지 주입 후 물을 주입하게 되는데 발포수지와 물이 혼합하게 되면 발포수지는 팽창을 함으로써 내부가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제를 주입할 때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주사기(70)를 이용하여 소량식 주입을 하고 바늘을 공극(33) 상부에서 관통시켜 틈새(20) 내부로 탄성제를 주입하는바, 이는 연질의 신축 유닛(P)이기 때문에 바늘이 쉽게 관통 가능한 것이며, 주입한 이후에는 바늘 구멍에 대해 별도의 막음질을 하지 않아도 될 만큼 기밀성이 보장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제의 주입이 완료되면, 균열부위 주변의 표면을 마감처리(S600)함으로써 균열 부위의 보수 시공은 완료된다.
P:신축 유닛
10: 균열 부위 20:틈새
30:삽입부 31:수직편
32:연결편 32a:평면형
32b:쇄기형 33:공극
40:접착부 50:요철
60:삽입공간 70:주사기
S100: 삽입 공간 확보 단계
S200: 미세 분말 제거 단계
S300: 접착제 도포단계
S400: 신축 유닛 고정 단계
S500: 탄성제 주입 단계
S600: 표면 마감 처리 단계

Claims (4)

  1. 연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며, 균열이 발생된 틈새(20)에 삽입되는 삽입부(30)가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30)는 좌, 우 대칭 구조를 갖는 접착부(40)와 일체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 우 대칭 구조의 수직편(31)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며, 상기 수직편(31)의 하측 끝단은 연결편(32)에 의해 연결되어 신축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극(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0)의 상측에는 신축 유닛이 콘크리트 면과 기밀한 접착상태를 유지하여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접착부(40)가 구성되는 한편, 상기 삽입부(30)와, 접착부(40)의 외측에는 콘크리트 면과의 접착력 강화를 위한 요철(5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32)은 틈새(20)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바닥이 평면인 평면형(32a)과, 하측방향으로 날카롭게 형성된 쇄기형(32b)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4. 제1항의 신축 유닛(P)을 이용하여 균열부위를 보수 시공함에 있어서,
    균열이 발생한 틈새(20)에 콘크리트 절단기를 활용하여 균열 발생 방향으로 신축 유닛(P)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확보하는 삽입공간확보단계(S100);와,
    상기 공간이 확보된 틈새(20)에 공간 확보 단계에서 발생된 미세 분말을 물 또는 에어를 강제 주입하여 제거하는 미세분말 제거 단계(S200);와,
    상기 미세분말이 제거된 틈새(20) 및 균열(10)부위에 접착력을 갖는 우레탄 실란트 또는 실리콘 실란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300);와,
    상기 접착제 도포 후 연질의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며, 균열이 발생된 틈새(20)에 삽입되는 삽입부(30)가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30)는 좌, 우 대칭 구조를 갖는 접착부(40)와 일체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 우 대칭 구조의 수직편(31)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며, 상기 수직편(31)의 하측 끝단은 연결편(32)에 의해 연결되어 신축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극(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0)의 상측에는 신축 유닛이 콘크리트 면과 기밀한 접착상태를 유지하여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접착부(40)가 구성된 신축 유닛(P)을 부착고정시키는 신축 유닛 고정단계(S400);와,
    상기 신축 유닛 고정 후 신축 유닛의 공극(33) 내부에 탄성력을 갖는 발포수지 또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아크릴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주사기를 활용하여 주입하되, 발포수지를 주입하는 경우 발포수지 주입 후 물을 더 주입하는 탄성제 주입단계(S500);와,
    상기 탄성제 주입 후 균열 부위의 표면을 마감처리 하는 마감처리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KR1020170093831A 2017-07-25 2017-07-25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KR101835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31A KR101835390B1 (ko) 2017-07-25 2017-07-25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31A KR101835390B1 (ko) 2017-07-25 2017-07-25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089A KR20170093089A (ko) 2017-08-14
KR101835390B1 true KR101835390B1 (ko) 2018-03-08

Family

ID=6014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831A KR101835390B1 (ko) 2017-07-25 2017-07-25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2206A (zh) * 2018-09-07 2018-12-07 中铁十四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混凝土建筑体不连续裂缝的修复方法
KR102139025B1 (ko) * 2020-03-11 2020-07-28 공학봉 유도 크랙 보강토 블럭을 축조하여 형성된 유도 크랙 보강토 옹벽
CN113322839B (zh) * 2021-07-09 2022-12-20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特大型pk箱组合梁桥面板的防开裂结构
KR102408024B1 (ko) * 2022-02-24 2022-06-13 다원기술 주식회사 구조물 진단용 간편 측정형 균열자
CN114837131A (zh) * 2022-06-01 2022-08-02 黄华日 一种防洪水利工程防洪堤坝修补装置及其修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8231A (ja) * 2003-12-22 2005-07-07 Mitsui Home Co Ltd 木材補修方法及び木材補修器
KR101245862B1 (ko) * 2011-09-30 2013-04-04 (주)건화특수 보수제 주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8231A (ja) * 2003-12-22 2005-07-07 Mitsui Home Co Ltd 木材補修方法及び木材補修器
KR101245862B1 (ko) * 2011-09-30 2013-04-04 (주)건화특수 보수제 주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089A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39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US8683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ing crack repair
US4793162A (en) Method for repairing failed waterstops and products relating to same
KR102091978B1 (ko) 제거 용이한 강관 및 이중코킹을 이용한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101442010B1 (ko) 옥상슬랩의 친환경 방수 보수시공방법
JPH09189133A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修方法
KR1020781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KR10182286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패커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JP2006144534A (ja)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1078363B1 (ko) 구조물 신축이음부의 방수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KR101524461B1 (ko) 섬유보강재를 구비한 개거수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
EP2079890B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fissures in concrete structures
KR20060118302A (ko) 수로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JP2010216080A (ja)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用目地材、及び防水施工方法
JP264744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クラック・目地等の補修方法
KR101513077B1 (ko) 틈새 방수용 분사 하우징 및 그 분사 하우징을 이용한 틈새 방수 시공방법
KR100512074B1 (ko) 건축 구조물의 이음부위 방수공법
KR200375669Y1 (ko)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KR101434527B1 (ko) 아파트 등의 건물벽체 및 창틀 방수공사 방법
KR10210225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커버 유닛 및 그 커버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JP6057325B2 (ja) 既設水路の補修構造及び補修方法
KR2016008061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를 여러 층으로 보수하는 방법
KR20010112911A (ko)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습식균열부와 누수부의 차수 및보수·보강공법
KR1007583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에 형성된 유실부를 보수하는 방법
KR10062894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습식, 수중 균열 보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