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279B1 - 실내용 복층 구조물 - Google Patents

실내용 복층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279B1
KR101835279B1 KR1020170105656A KR20170105656A KR101835279B1 KR 101835279 B1 KR101835279 B1 KR 101835279B1 KR 1020170105656 A KR1020170105656 A KR 1020170105656A KR 20170105656 A KR20170105656 A KR 20170105656A KR 101835279 B1 KR101835279 B1 KR 101835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bar
reinforcing body
reinforc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석
Original Assignee
오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석 filed Critical 오동석
Priority to KR102017010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은 실내 공간의 바닥면과 천장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을 구획하고, 일부가 벽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파티션부; 상기 파티션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파티션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파티션부를 지지하는 기둥부; 상기 파티션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경사를 이루는 계단부; 및 상기 파티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파티션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천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부, 상기 기둥부, 상기 계단부 및 상기 테두리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실내용 복층 구조물은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실내 공간에 시공될 수 있고, 시공에 따른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실내용 복층 구조물{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본 발명은 실내용 복층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을 용이하게 구획하여 실내 공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거공간의 소형화에 따라 오피스텔, 원룸 등과 같은 도시형 생활 주택이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형 생활 주택에는 1개의 층에 대한 층고를 높여 실내 공간을 구획하도록 복층형 구조가 적용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작은 실내 공간이라도 적어도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다양한 활동이 분리된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층형 구조는 실내 공간에 중층(middle floor)을 형성하고, 실내 공간을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한다. 여기서, 하층은 중층의 하측에 형성된 실내 공간으로서, 사무를 보거나 생활을 하기 위한 공간, 즉 동적 공간으로 이용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천장을 갖는다. 또한, 상층은 중층의 상측에 형성된 실내 공간으로서, 휴식 또는 취침을 취하기 위한 공간, 즉 정적 공간으로 이용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천장을 갖고, 적어도 일측은 개방된다.
한편, 복층형 구조에서 실내 공간을 상층 및 하층으로 구획하는 중층의 시공이 상당히 중요하다. 실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중층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져야 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어야 하며,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중층은 가벼운 무게를 가지면서도, 화재에 대한 난연성 및 습기 또는 수분에 대한 내수성도 양호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복층용 구조를 위한 중층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재 구조, 목재 구조 등으로 이루어진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중층은 철근이 배열된 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층은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갖는다. 거푸집이 실내 공간 내에 설치되어야 하고, 거푸집 설치를 위한 자재의 운반 및 거푸집의 시공에 따른 시간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중층은 상당한 시공 시간이 필요하고, 그 작업 공정도 복잡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양생 과정이 이루어지기에, 시공 기간은 더욱더 증가된다. 또한, 철재 구조의 중층은 절단된 철재 파이프를 상호 간에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철재 파이프의 용접 상태가 검사되어야 하고, 용접된 철재 파이프에는 스크류에 의해 합판이 고정되기도 하고, 도장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여기서, 용접 작업이 실내 공간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실내 공간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질 때 불꽃은 화재의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즉, 실내 공간에 복층형 구조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화재로 인해 실내 공간을 포함하는 건축물에 대한 재산상의 피해가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층형 구조물은 실내 공간에 시공될 때 시공 기간을 단축하면서도 안전하게 시공될 필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7694호(공고일: 2002년 3월 12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은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실내 공간에 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은 실내 공간에 시공될 때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은 실내 공간의 바닥면과 천장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을 구획하고, 일부가 벽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파티션부; 상기 파티션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파티션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파티션부를 지지하는 기둥부; 상기 파티션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경사를 이루는 계단부; 및 상기 파티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파티션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천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부, 상기 기둥부, 상기 계단부 및 상기 테두리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부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는 하부 파티션부; 상기 하부 파티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파티션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계단부 및 상기 테두리부가 연결되는 상부 파티션부; 및 상기 하부 파티션부와 상기 상부 파티션부를 연결하는 상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층 구조물은, 상기 상부 파티션부와 상기 하부 파티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상기 상부 파티션부와 상기 하부 파티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파티션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파티션부 및 상기 하부 파티션부의 각각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파티션부; 및 각각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파티션부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파티션 바아들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보강부는, 하측으로 구부러진 양종단부 사이에 상기 메인 파티션부가 위치되고, 상기 메인 파티션부 및 상기 파티션 바아들과 교차하도록 위치되는 보강 몸체부; 및 각각 상기 보강 몸체부가 관통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이동가능한 한 쌍의 고정부들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상기 메인 파티션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보강 몸체부가 관통하는 가이드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이동가능한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메인 파티션부 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천장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와 겹쳐질 수 있는 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나사부는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 파티션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 보강부는,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상기 파티션 바아에 고정시키는 바아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아 고정부는,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대응면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는 삽입 플레이트;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사이에 상기 보강 몸체부가 위치되는 제 1 가이드 바아들; 및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사이에 상기 파티션 바아가 위치되는 제 2 가이드 바아들를 포함하되, 나사부가 상기 제 1 가이드 바아 및 상기 제 2 가이드 바아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파티션 바아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아 고정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는 바아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 보강부는, 양측부에 상기 제 1 가이드 바아들 사이에 삽입가능한 덮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보강 덮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 덮개부는 상기 보강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덮고, 상기 덮개 돌기를 제 1 가이드 바아들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바아 고정부에 고정될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이 달성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실내 공간에 시공된다.
(2) 시공에 따른 사고의 위험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에 러너들 및 스터드들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이 마감재에 의해 마감 처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의 상부 파티션부에 파티션 보강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파티션 보강부가 상부 파티션부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에 러너(110)들 및 스터드(120)들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이 마감재(130)에 의해 마감 처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의 상부 파티션부(113)에 파티션 보강부(106)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파티션 보강부(106)가 상부 파티션부(113)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는 파티션부(101), 기둥부(102), 계단부(103) 및 테두리부(104)를 포함하며, 실내 공간(10)을 상하로 구획하여 구획된 상태로 유지한다.
파티션부(101)는 실내 공간(10)에서 천장면(11)과 바닥면(12)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파티션부(101)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천장면(11) 및 바닥면(12)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실내 공간(10)은 파티션부(101)에 의해 상층 및 하층으로 구획된다. 즉, 파티션부(101)는 실내 공간(10)에서 중층(middle floor)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파티션부(101)의 일부가 벽면(13)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또한, 파티션부(101)는 하부 파티션부(111), 상부 파티션부(113) 및 상하 연결부(115)를 포함한다.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는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이격된다. 즉, 상부 파티션부(113)는 하부 파티션부(11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하부 파티션부(111)에 대응하도록 하부 파티션부(111)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하 연결부(115)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를 연결한다. 즉,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는 상하 연결부(115)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 사이에는 일반적인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 전기 배선, 공기조화 배관, 화재 경보 장치 등이 배치되기도 한다.
또한, 파티션부(101)는 보강부(117)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보강부(117)는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를 연결한다. 이때, 보강부(117)는 상하 연결부(115)로부터 이격되고, 상하 연결부(115)와 평행하게 위치된다. 또한,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하 연결부(115)들 사이에 보강부(117)가 위치되기도 한다. 보강부(117)는 상하 연결부(115)와 조합하여, 상부 파티션부(113)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부 파티션부(113)를 지지하여,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한편, 보강부(117)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로 인해, 보강부(117)는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상부 파티션부(113)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파티션부(111) 및 상부 파티션부(113)는 각각 메인 파티션부(101a) 및 파티션 바아(101b)들을 포함한다.
메인 파티션부(101a)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메인 파티션부(101a)의 형상에 따라 하부 파티션부(111) 및 상부 파티션부(113)의 전체적인 형상도 결정된다. 메인 파티션부(101a)의 중앙에는 개구부(101a')가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101a')는 메인 파티션부(101a)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파티션부(101a)의 일부가 벽면(13)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메인 파티션부(101a)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메인 파티션부(101a)는 4개의 모서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4개의 모서리 부분 중 2개의 모서리 부분이 벽면(13)에 접촉된 것으로 도시된다. 이때, 개구부(101a')도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파티션부(111) 및 상부 파티션부(113)의 전체적인 형상도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메인 파티션부(101a)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벽면(13)의 형태 및 배치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하 연결부(115) 및 보강부(117)는 하부 파티션부(111)의 메인 파티션부(101a) 및 상부 파티션부(113)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연결하는 데에 이용된다. 특히, 볼트 형태로 이루어진 보강부(117)는 상부 파티션부(113)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관통하여 하부 파티션부(111)의 메인 파티션부(101a)에 체결됨으로써,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를 연결한다.
파티션 바아(101b)들은 각각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티션 바아(101b)들은 각각 개구부(101a')에 위치되어 메인 파티션부(101a)에 고정되고,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로 인해, 메인 파티션부(101a)은 파티션 바아(101b)들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다.
한편, 앞서 언급된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 사이에 배치되는 장치는 하부 파티션부(111)의 파티션 바아(101b)들에 의해 지지되어 낙하되지 않을 수 있고, 상부 파티션부(113)의 파티션 바아(101b)들에 의해 상부 파티션부(113)의 상측에 위치되는 사람 또는 사물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하중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즉,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 사이에 배치되는 장치는 파티션 바아(101b)들에 의해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둥부(102)는 파티션부(10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된다. 특히, 기둥부(102)는 하부 파티션부(111)의 메인 파티션부(101a)의 하면으로부터 바닥면(12)까지 연장된다. 이때, 기둥부(102)는 수직방향으로 바닥면(12) 상에 위치되어 하부 파티션부(111)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지지한다. 즉, 기둥부(102)는 파티션부(101)에 의한 실내 공간(10)의 상하 구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파티션부(101)의 하측 공간을 구획한다. 또한, 기둥부(102)는 파티션부(101)의 하측 공간에 벽체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고, 바닥면(12)에 고정되기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기둥부(10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하부 파티션부(111)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따라 이격되도록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벽면(13)과 접촉하지 않는 메인 파티션부(101a)의 모서리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계단부(103)는 파티션부(101)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특히, 계단부(103)는 상부 파티션부(113)의 메인 파티션부(101a)의 일측면으로부터 바닥면(12)까지 연장된다. 이때, 계단부(103)는 경사를 이룬다. 즉, 계단부(103)는 파티션부(101)의 상측과 파티션부(101)의 하측 사이를 사람이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로 인해, 사람은 계단부(103)를 이용하여 파티션부(10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실내 공간(10)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계단부(103)는 파티션부(101)와 벽면(13)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이때, 파티션부(101)는 벽면(13)으로부터 이격되어 벽면(13)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계단부(103)의 측면은 각각 벽면(13) 및 기둥부(102)에 의해 구획된 파티션부(101)의 하측 공간에 접촉된다. 또한, 계단부(103)의 하단은 인접하게 위치된 기둥부(102)의 하단에 연결되기도 한다. 이때, 계단부(103)는 파티션부(101)와 조합하여, 복층 구조물(100)을 설치하고자 실내 공간(10)의 바닥면(12) 전체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이로 인해, 복층 구조물(100)은 실내 공간(10)의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실내 공간(10)에 설치될 수 있다.
테두리부(104)는 파티션부(10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다. 특히, 테두리부(104)는 상부 파티션부(113)의 메인 파티션부(101a)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때, 테두리부(104)는 수직방향으로 상부 파티션부(113)의 상면에 위치된다. 즉, 테두리부(104)는 파티션부(101)의 상측 공간을 구획한다. 또한, 테두리부(104)는 테두리 기둥부(141) 및 테두리 프레임부(143)를 포함한다.
테두리 기둥부(141)는 상부 파티션부(113)의 메인 파티션부(101a)의 상면으로부터 천장면(12)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테두리 기둥부(141)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호 간에 이격된다. 한편, 테두리 기둥부(141)는 계단부(103)가 연결되는 상부 파티션부(113)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테두리 프레임부(143)는 테두리 기둥부(141)들의 상단을 연결한다. 이로 인해, 테두리 기둥부(141)들은 테두리 프레임부(143)와 조합하여, 파티션부(101)의 상측을 둘러싸는 구획된 공간을 형성한다. 테두리 기둥부(141)의 길이에 따라, 테두리부(104)는 파티션부(101)의 상측 공간에 난간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기도 하고, 벽체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을 이루는 파티션부(101), 기둥부(102), 계단부(103) 및 테두리부(104)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실내 공간(10)에 시공된다. 따라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실내 공간(10)에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는 파티션부(101), 기둥부(102), 계단부(103) 및 테두리부(104)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여 가공될 수도 있다. 특히, 실내 공간(10)에서의 용접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을 실내 공간(10)에 시공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의 요소가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너(110) 및 스터드(12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러너(110) 및 스터드(120)는 파티션부(101), 기둥부(102), 계단부(103) 및 테두리부(104)에 설치된다.
러너(11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에 기둥부(10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러너(110)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러너(110)들은 파티션부(101)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따라 설치되기도 하고, 메인 파티션부(101a)와 평행하도록 바닥면(12)을 따라 설치되기도 하며, 계단부(103)의 측면을 따라 경사지도록 설치되기도 한다.
스터드(120)는 러너(110)들과 교차하여 러너(110)들을 연결한다. 스터드(120)도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스터드(120)들도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스터드(120)는 파티션부(101)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따라 설치된 러너(110)와 바닥면(12)을 따라 설치된 러너(110)를 연결하기도 하고, 계단부(103)의 측면을 따라 경사지도록 설치된 러너(110)와 바닥면(12)을 따라 설치된 러너(110)를 연결하기도 한다. 한편, 스터드(120)는 파티션 바아(101b)를 따라 설치되어, 메인 파티션부(101a)에 설치된 러너(110)들을 연결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러너(110) 및 스터드(120)에는 보드(board) 형태의 마감재(130)가 설치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부(101), 기둥부(102), 계단부(103) 및 테두리부(104)는 마감재(130)에 의해 마감 처리될 수 있다. 마감재(130)는 못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러너(110) 및 스터드(120)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러너(110), 스터드(120) 및 마감재(130)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에 벽체 및 바닥체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고정 기둥부(105)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고정 기둥부(105)는 테두리부(104)를 천장면(11)에 연결한다. 이로 인해,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실내 공간(100)의 바닥면(12) 및 벽면(13) 뿐 아니라, 천장면(11)에도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가 실내 공간(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에 러너(110), 스터드(120) 및 마감재(130)가 설치되어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의 마감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정 기둥부(105)가 1개인 경우에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이 마감 처리될 때, 고정 기둥부(105)는 테두리부(104) 및 천장면(11)으로부터 제거되어, 마감 처리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에 대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파티션 보강부(106)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파티션 보강부(106)는 파티션부(101)의 상부 파티션부(113)의 상면을 가로질러 상부 파티션부(113)에 결합된다. 상부 파티션부(113)는 파티션 보강부(106)에 의해 앞서 언급된 상부 파티션부(113)의 상측에서 가해질 수 있는 하중에 대하여 보다 향상된 구조적 안정성을 갖게 된다. 또한, 파티션 보강부(106)는 보강 몸체부(161), 고정부(163)들 및 바아 고정부(165)들을 포함한다.
보강 몸체부(161)는 메인 파티션부(101a) 및 파티션 바아(101b)들에 걸쳐 위치된다. 이때, 보강 몸체부(161)는 메인 파티션부(101a) 및 파티션 바아(101b)들과 교차한다. 또한, 보강 몸체부(161)의 양종단부는 하측으로 구부러지고, 메인 파티션부(101a)가 보강 몸체부(161)의 양종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고정부(163)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고정부(163)에는 보강 몸체부(161)가 관통된다. 고정부(163)는 보강 몸체부(161)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고정부(163)는 보강 몸체부(161)의 구부러진 종단부에 연결되도록 이동하고, 보강 몸체부(161)를 메인 파티션부(101a)에 고정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또한, 고정부(163)는 고정 플레이트(163a), 지지 플레이트(163b), 체결 플레이트(163c) 및 탄성부(163d)를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163a)에는 가이드 개구(163a')가 형성된다. 보강 몸체부(161)는 가이드 개구(163a')를 통해 고정 플레이트(163a)를 관통한다. 또한, 가이드 개구(163a')는 고정 플레이트(163a)의 상하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지지 플레이트(163b)는 고정 플레이트(163a)의 하단으로부터 메인 파티션부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고정 플레이트(163a)와 교차한다. 여기서, 메인 파티션부 측은 메인 파티션부(101a)가 위치된 방향을 의미한다.
체결 플레이트(163c)는 지지 플레이트(163b)의 종단으로부터 천장면(11)을 향하여 연장된다. 체결 플레이트(163c)는 고정 플레이트(163a)와 평행하게 위치된다.
탄성부(163d)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지지 플레이트(163b)의 상면에 위치된다.
메인 파티션부(101a)가 보강 몸체부(161)의 양종단부 사이에 위치될 때, 고정부(163)는 메인 파티션부(101a)와 메인 파티션부(101a)에 가장 인접한 파티션 바아(101b)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63a)가 가이드 개구(163a')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체결 플레이트(163c)가 메인 파티션부(101a)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플레이트(163a)는 메인 파티션부(101a)를 향하여 보강 몸체부(161)를 따라 이동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63a)의 상면과 메인 파티션부(101a)의 하면이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하고, 체결 플레이트(163c)가 보강 몸체부(161)의 종단부에 상응하도록 위치될 때까지, 상기 고정 플레이트(163a)는 보강 몸체부(161)를 따라 이동한다. 이어서, 고정 플레이트(163a)가 가이드 개구(163a')를 따라 상향 이동한다. 이로 인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63b)의 상면은 메인 파티션부(101a)의 하면에 메인 탄성부(163d)를 통해 접촉되고, 체결 플레이트(163c)는 보강 몸체부(161)의 종단부와 겹쳐진다. 겹쳐진 체결 플레이트(163)와 보강 몸체부(161)의 종단부에는 제 1 나사부(106a)가 관통하여 메인 파티션부(101a)에 체결된다. 이때, 보강 몸체부(161)는 메인 파티션부(101a)에 고정된다.
바아 고정부(165)는 파티션 바아(101b)와 보강 몸체부(161) 사이에 위치되어, 보강 몸체부(161)를 파티션 바아(101b)에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 보강 몸체부(161)는 상부 파티션부(113)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바아 고정부(165)는 삽입 플레이트(165a),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 및 바아 탄성부(165d)를 포함한다.
삽입 플레이트(165a)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티션 바아(101b)와 보강 몸체부(161)가 상호 간에 대응하는 면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삽입 플레이트(165a)는 파티션 바아(101b)와 보강 몸체부(161)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삽입 플레이트(165a)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고, 보강 몸체부(161)는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때,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의 개수는 2개 또는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삽입 플레이트(165a)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고, 파티션 바아(101b)는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때,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의 개수는 2개 또는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가이드 바아(165c)에는 제 2 나사부(106b)가 관통되어 파티션 바아(101b)에 체결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나사부(106b)는 제 1 가이드 바아(165b)를 관통하여 보강 몸체부(161)에 체결된다. 이로 인해, 바아 고정부(165)는 보강 몸체부(161) 및 파티션 바아(101b)에 고정되면서 보강 몸체부(161)를 파티션 바아(101b)에 연결하면서 고정한다.
바아 탄성부(165d)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삽입 플레이트(165a)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위치된다. 바아 탄성부(165d)도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 사이 및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 사이에 위치된다. 바아 탄성부(165d)는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보강 몸체부(161)의 하면에 접촉되고,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파티션 바아(101b)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때, 바아 탄성부(165d)는 보강 몸체부(161)와 삽입 플레이트(165a)의 접촉 및 파티션 바아(101b)와 삽입 플레이트(165a)의 접촉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바아 탄성부(165d)가 삽입 플레이트(165a)의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위치된 것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 플레이트(165a)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에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파티션 보강부(106)는 보강 덮개부(167)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보강 덮개부(167)는 보강 몸체부(161)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보강 몸체부(161)의 상면에 위치되어 보강 몸체부(161)의 상면을 덮는다. 이로 인해, 보강 몸체부(161)는 보강 덮개부(167)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보강 덮개부(167)의 양측부에는 덮개 돌기(167a)가 형성된다. 보강 덮개부(167)가 보강 몸체부(161)의 상면에 위치될 때, 덮개 돌기(167a)는 바아 고정부(165)의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 사이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보강 덮개부(167)는 바아 고정부(165)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보강 몸체부(161)는 보강 덮개부(167)와 바아 고정부(165)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로 보호된다.
상기와 같은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돌기(167a)는 보강 덮개부(167)의 양측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즉, 보강 덮개부(167)의 측면과 덮개 돌기(167a)는 직교한 형태이다. 이때, 보강 덮개부(167)의 폭은 보강 몸체부(161)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 돌기(167a)의 폭은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덮개 돌기(167a)는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에 접촉되어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 사이에 견고하게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덮개 돌기(167a)는 보강 덮개부(167)의 양측 하면에 형성된다. 이때, 보강 덮개부(167)의 폭은 삽입 플레이트(165a)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파티션 보강부(106)는 용접 작업없이 상부 파티션부(113)에 조립되어 고정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파티션 보강부(106)는 상부 파티션부(113)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파티션부(101)의 하부 파티션부(1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파티션 보강부(106)는 1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실내용 복층 구조물
101: 파티션부 101a: 메인 파티션부
101b: 파티션 바아 111: 하부 파티션부
113: 상부 파티션부 115: 상하 연결부
117: 보강부 102: 기둥부
103: 계단부 104: 테두리부
141: 테두리 기둥부 143: 테두리 프레임부
105: 고정 기둥부 106: 파티션 보강부
161: 보강 몸체부 163: 고정부
165: 바아 고정부 167: 보강 덮개부
167a: 덮개 돌기

Claims (10)

  1.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실내 공간의 바닥면과 천장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을 구획하고, 일부가 벽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파티션부;
    상기 파티션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파티션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파티션부를 지지하는 기둥부;
    상기 파티션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경사를 이루는 계단부; 및
    상기 파티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파티션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천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부, 상기 기둥부, 상기 계단부 및 상기 테두리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티션부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는 하부 파티션부;
    상기 하부 파티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파티션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계단부 및 상기 테두리부가 연결되는 상부 파티션부; 및
    상기 하부 파티션부와 상기 상부 파티션부를 연결하는 상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층 구조물은,
    상기 상부 파티션부와 상기 하부 파티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상기 상부 파티션부와 상기 하부 파티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파티션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파티션부 및 상기 하부 파티션부의 각각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파티션부; 및
    각각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파티션부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파티션 바아들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보강부는,
    하측으로 구부러진 양종단부 사이에 상기 메인 파티션부가 위치되고, 상기 메인 파티션부 및 상기 파티션 바아들과 교차하도록 위치되는 보강 몸체부; 및
    각각 상기 보강 몸체부가 관통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이동가능한 한 쌍의 고정부들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상기 메인 파티션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파티션 보강부는,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상기 파티션 바아에 고정시키는 바아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아 고정부는,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대응면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는 삽입 플레이트;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사이에 상기 보강 몸체부가 위치되는 제 1 가이드 바아들; 및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사이에 상기 파티션 바아가 위치되는 제 2 가이드 바아들를 포함하되,
    나사부가 상기 제 1 가이드 바아 및 상기 제 2 가이드 바아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파티션 바아에 체결되며,
    상기 파티션 보강부는,
    양측부에 상기 제 1 가이드 바아들 사이에 삽입가능한 덮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보강 덮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 덮개부는 상기 보강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덮고, 상기 덮개 돌기를 제 1 가이드 바아들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바아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보강 몸체부가 관통하는 가이드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이동가능한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메인 파티션부 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천장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와 겹쳐질 수 있는 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나사부는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 파티션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고정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는 바아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10. 삭제
KR1020170105656A 2017-08-21 2017-08-21 실내용 복층 구조물 KR101835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56A KR101835279B1 (ko) 2017-08-21 2017-08-21 실내용 복층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56A KR101835279B1 (ko) 2017-08-21 2017-08-21 실내용 복층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279B1 true KR101835279B1 (ko) 2018-03-08

Family

ID=6172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656A KR101835279B1 (ko) 2017-08-21 2017-08-21 실내용 복층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414B1 (ko) * 2019-02-21 2020-02-10 (주)아스터개발 주거용 단위구조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분리구조체
KR102496946B1 (ko) 2022-03-18 2023-02-08 (주) 한독스토리지씨스템즈 데크 개폐장치 및 데크 개폐장치가 장착된 메자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101B1 (ko) * 2017-01-25 2017-09-19 오동석 실내용 복층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101B1 (ko) * 2017-01-25 2017-09-19 오동석 실내용 복층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414B1 (ko) * 2019-02-21 2020-02-10 (주)아스터개발 주거용 단위구조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분리구조체
KR102496946B1 (ko) 2022-03-18 2023-02-08 (주) 한독스토리지씨스템즈 데크 개폐장치 및 데크 개폐장치가 장착된 메자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4217A1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KR101835279B1 (ko) 실내용 복층 구조물
WO2011146897A1 (en) Deck assembly module for a steel framed building
JP6349207B2 (ja) バルコニーの耐火構造
KR101775101B1 (ko) 실내용 복층 구조물
JP7101154B2 (ja) スキップ床の支持構造及び施工方法
JP5347557B2 (ja) 柱梁架構
JP6775138B2 (ja) 建物ユニット
JP5563868B2 (ja) 建物の防水構造
KR101425942B1 (ko)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JP2020165211A (ja) 天井構造
JP3866356B2 (ja) 壁下地材と床仕上げ材の納め構造
KR20050049015A (ko) 조립식 건축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422694B2 (ja) 建物
JP2019183517A (ja) 隔て板の設置構造
JP6353304B2 (ja) 建物
JP3118014U (ja) 建築物の躯体模型
JP2501707B2 (ja) 建物ユニットの床パネル構造
JP3494372B2 (ja) 建 物
JPS6192271A (ja) プレハブ式設備ユニツト、特にプレハブ式衛生ユニツト
US20200002934A1 (en) Super shear panels
JP6427013B2 (ja) 木造建物及びその外周壁構造
JP2015209699A (ja) 壁構造及び木造建物
KR101390862B1 (ko) 건물
JP2001303696A (ja) 外壁構造および外壁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