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039B1 -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039B1
KR101835039B1 KR1020160024578A KR20160024578A KR101835039B1 KR 101835039 B1 KR101835039 B1 KR 101835039B1 KR 1020160024578 A KR1020160024578 A KR 1020160024578A KR 20160024578 A KR20160024578 A KR 20160024578A KR 101835039 B1 KR101835039 B1 KR 101835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herbal medicine
present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1694A (ko
Inventor
조정희
조현우
정원석
정호경
이현명
신지현
Original Assignee
신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현 filed Critical 신지현
Priority to KR1020160024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03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미개선 및 미백기능이 뛰어난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써 기미로 인하여 유도된 피부의 색소침착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저해하고 멜라닌의 함량을 감소시켜 미백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melasma comprising herbal extract}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미개선 및 미백기능이 뛰어난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미(melasma)는 불규칙한 모양, 다양한 크기의 갈색 점이 노출부위, 특히 얼굴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태양 광선에 대한 노출, 임신, 경구 피임약 혹은 일부 항경련제 등에 의해 악화되며, 주로 좌우 대칭적으로 뺨과 이마, 눈 밑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는 질병이다.
기미는 흔한 질환으로 여자에서 훨씬 흔하며 주로 출산기의 여자에서 발생한다. 태양 광선의 영향을 받으므로 여름에는 악화되며 겨울에는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대부분의 경우 원인을 잘 알 수 없으며 유전적 혹은 체질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많은 경우 임신 혹은 경구 피임약의 복용 후 발생하며 그 외에는 태양 광선에 대한 노출, 내분비 이상, 유전인자, 약제(항경련제), 영양 부족, 간 기능 이상 등이 악화인자로 작용한다.
기미의 진단은 임상적으로 진단이 용이하나 얼굴에 과색소침착을 남기는 질환, 예를 들어 염증 후 색소침착이나 오타모반양반점 등과의 감별을 요한다. 가끔 색소 소실 부위를 정상 피부로 오인하는 예도 있어 백반증을 구별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다른 질환과의 감별과 색소침착의 깊이를 알기 위해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우드등 검사(어두운 방에서 특이한 자외선을 병변에 비추어 관찰하는 검사)를 통해 색소침착의 깊이를 알 수 있다.
임신이나 경구 피임약으로 인해 기미가 생겼을 때는 많은 경우 원인이 제거되면 수개월 내에 증상이 호전되나 수년 이상 지속 되는 경우도 있다. 계절적인 차이도 있어서 햇볕이 강한 여름에 심해지고 약한 겨울에 좋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기미의 치료는 쉽지 않고 빠른 치료 효과 또한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특히 색소침착이 깊을수록 치료 효과가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태양 광선을 차단하고 하이드로퀴논, 레티노이드, 스테로이드, 아젤라익 산 성분 등이 함유된 국소 도포제(바르는 약)를 사용한다. 미세한 전류를 이용해 비타민 C를 침투시키는 비타민 C 전기영동 등의 방법 외에 화학 박피술, 색소레이저 등으로 치료하여 좋은 효과를 얻은 예도 보고되고 있지만 얼굴색이 진할수록 염증후 색소침착 등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치료방법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최근 레이저토닝 등 새로운 시술법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레이저 토닝법 또한 피부에 레이저를 통한 인위적인 자극을 주기 때문에, 레이저 시술로 인하여 붉어진 피부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가 있으며 따가움, 가려움, 부기, 건조함 등의 부작용과 기미 부위가 더욱 짙어지는 과색소침착 및 하얗게 변질되는 저색소침착 질환 등 2차적인 색소침착 질환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에 인위적인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기미(melasma)를 개선할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써, 기미로 인해 유도된 피부의 색소침착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써, 세포독성이 없어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은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써, 멜라닌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저하시켜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키고 미백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은 승마, 계지, 도인, 망초, 대황, 속단, 당귀, 백출, 숙지황, 천궁, 인삼, 진피, 황금, 생강, 대조, 의이인, 자감초, 복령, 택사, 황기, 작약, 반하, 인삼 및 시호를 포함하는 생약재로부터 추출된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상기 승마, 계지, 도인, 망초, 대황, 속단, 당귀, 백출, 숙지황, 천궁, 인삼, 진피, 황금, 생강, 대조, 의이인, 자감초, 복령, 택사, 황기, 작약, 반하, 인삼 및 시호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물에서 70~100℃의 온도로 2~5시간 동안 압력추출하는 과정을 2~6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 건조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는 생약재 총중량에 대하여 승마 0.2~2.2중량%, 계지 1.4~3.4중량%, 도인 1.4~3.4중량%, 망초 1.4~3.4중량%, 대황 1.4~3.4중량%, 속단 1.4~3.4중량%, 당귀 2.5~4.5중량%, 백출 2.5~4.5중량%, 숙지황 2.5~4.5중량%, 천궁 2.5~4.5중량%, 인삼 2.5~4.5중량%, 진피 2.5~4.5중량%, 황금 2.5~4.5중량%, 생강 2.5~4.5중량%, 대조 2.5~4.5중량%, 의이인 4.8~6.8중량%, 자감초 4.8~6.8중량%, 복령 3.7~5.7중량%, 택사 3.7~5.7중량%, 황기 3.7~5.7중량%, 작약 6.0~8.0중량%, 반하 6.0~8.0중량%, 인삼 6.0~8.0중량%, 시호 7.2~9.2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5 중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미스트, 에센스, 겔, 세럼, 팩, 파우더, 피부외용연고, 비누, 첩보제, 모발 로션, 샴푸, 현탁액,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써 기미로 인하여 유도된 피부의 색소침착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저해하고 멜라닌의 함량을 감소시켜 미백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생약재 추출물의 B16F10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생약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생약재 추출물의 세포내 트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4b, 4c는 B16F10 세포주에서 생약재 추출물에 의한 TYRP1, MITF, TYRP2 mRNA 발현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승마, 계지, 도인, 망초, 대황, 속단, 당귀, 백출, 숙지황, 천궁, 인삼, 진피, 황금, 생강, 대조, 의이인, 자감초, 복령, 택사, 황기, 작약, 반하, 인삼 및 시호를 포함하는 생약재로부터 추출된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약재는 상기 서술한 생약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생약재의 종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생약재를 더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는 생약재 총중량에 대하여 승마 0.2~2.2중량%, 계지 1.4~3.4중량%, 도인 1.4~3.4중량%, 망초 1.4~3.4중량%, 대황 1.4~3.4중량%, 속단 1.4~3.4중량%, 당귀 2.5~4.5중량%, 백출 2.5~4.5중량%, 숙지황 2.5~4.5중량%, 천궁 2.5~4.5중량%, 인삼 2.5~4.5중량%, 진피 2.5~4.5중량%, 황금 2.5~4.5중량%, 생강 2.5~4.5중량%, 대조 2.5~4.5중량%, 의이인 4.8~6.8중량%, 자감초 4.8~6.8중량%, 복령 3.7~5.7중량%, 택사 3.7~5.7중량%, 황기 3.7~5.7중량%, 작약 6.0~8.0중량%, 반하 6.0~8.0중량%, 인삼 6.0~8.0중량%, 시호 7.2~9.2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상기 승마, 계지, 도인, 망초, 대황, 속단, 당귀, 백출, 숙지황, 천궁, 인삼, 진피, 황금, 생강, 대조, 의이인, 자감초, 복령, 택사, 황기, 작약, 반하, 인삼 및 시호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물에서 70~100℃의 온도로 2~5시간 동안 압력추출하는 과정을 2~6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 건조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함유되어 있다. 상기 생약재 추출물이 0.1 중량% 미만으로 투입될 경우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및 기미개선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으며, 생약재 추출물이 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투입량 대비 효율이 떨어져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미스트, 에센스, 겔, 세럼, 팩, 파우더, 피부외용연고, 비누, 첩보제, 모발 로션, 샴푸, 현탁액,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과 화장품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물은 미네랄 오일,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라이콜, 세틸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디메치콘,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페녹시에탄올, 베타인, 향료, 카보머, 클로페네신,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디소듐이디티에이,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첨가물의 종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효과를 억제하지 않는 범위에 한해서 생약재 추출물과 혼합하여 적절한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시, 사용되는 생약재 추출물에 포함되는 생약재의 종류는 루이보스 추출물, 아사이야자추출물, 아로니아열매추출물, 녹차추출물, 감국캘러스배양추출물, 인삼캘러스배양추출물, 녹두분열조직세포배양추출물, 녹차캘러스배양추출물, 금은화추출물, 작약추출물, 고삼추출물, 황금추출물, 오배자추출물, 녹차추출물, 은행잎추출물, 복숭아잎추출물, 흰무늬엉겅퀴추출물, 아스퍼질러스/효모/감초추출물발효여과물을 추가로 더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1 내지 12 : 생약재 추출물의 생리활성>
[ 생약재 추출물 제조]
승마 1.18 중량%, 계지 2.35 중량%, 도인 2.35 중량%, 망초 2.35 중량%, 대황 2.35 중량%, 속단 2.35 중량%, 당귀 3.53 중량%, 백출 3.53 중량%, 숙지황 3.53 중량%, 천궁 3.53 중량%, 인삼 3.53 중량%, 진피 3.53 중량%, 황금 3.53 중량%, 생강 3.53 중량%, 대조 3.53 중량%, 의이인 5.88 중량%, 자감초 5.88 중량%, 복령 4.71 중량%, 택사 4.71 중량%, 황기 4.71 중량%, 작약 7.06 중량%, 반하 7.06 중량%, 인삼 7.06 중량%, 시호 8.24 중량%을 부직포에 담아 물 20L에 넣고 10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압력추출하는 방법을 2회 반복하였다. 이후 상기 추출물을 모아 동결건조하여 생약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은 각각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세포배양]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16F10 멜라닌 세포주는 한국세포주은행(KCLB, 대한민국 서울)에서 분양받아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첨가된 둘베코수정이글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을 사용하였고, CO2배양기 (MCO-17A1, Sanyo, Japan)에서 온도 37℃, 5% CO2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독성 측정]
B16F10 세포를 96 웰(well)에 5 × 103씩 세포를 분주하여 24시간동안 세포를 안정화 시킨 뒤에 생약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를 하였다. 그 후 72시간 배양을 한 뒤에 MTS 용해액을 세포배양액 용액의 1/10을 첨가한 후 37℃에서 2시간 배양하였으며, 이후 ELISA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Infinite 200 pro, TECAN Ltd., 스위스 맨느도르프)를 이용하여 49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세포내 티로시나제 활성 측정]
B16F10 세포를 6 웰에 5 × 104씩 세포를 분주하여 24시간동안 세포를 안정화 시킨 뒤에 생약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를 하였고 1시간 뒤에 α-MSH를 100 nM이 되게 처리를 한 뒤에 72시간 동안 배양을 하였다. PBS로 2회 세척을 하고 RIPA 단백질 라이시스 버퍼(protein lysis buffer)을 처리를 한 후에 4 ℃에서 30분 동안 incubation을 하였다. 그 후에 4℃ 13000 rpm 30분동안 원심분리를 통해 단백질이 든 상층액만을 가지고 티로시나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단백질 양을 브래드포드 정량법 (Bradford, 1976)을 통해 595 ㎚로 ELISA를 측정을 하고 동일한 단백질을 이용해서 L-DOPA를 처리를 하여 540㎚ 흡광도로 세포내 티로시나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멜라닌 측정 및 관찰]
B16F10 세포 60 ㎜ 디시(dish)에 5 × 104씩 세포를 분주하여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1시간동안 전처리를 하고 a-MSH (100 nM)를 처리하여 72시간동안 배양을 하였다. 그 후에 PBS로 2회 세척하고 트립신-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수확한 뒤 3000rpm에 5분동안 세포를 모으고 상층액을 제거한 후 10% 디메틸술폭시드 (DMSO)가 첨가된 1N NaOH용액을 처리하여 80 ℃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멜라닌 정량은 합성멜라닌을 이용하여 ELISA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 410 ㎚에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미백 관련 유전자 발현 실시간 PCR ]
미백관련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서 B16F10 세포를 60㎜ 디시에 1 × 105개씩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한다. 각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1시간 동안 처리 한 뒤 α-MSH (100 nM)로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여 24시간동안 배양을 하고 PBS로 2회 세척 후 세포를 수확하였다.
수확한 세포는 트리퓨어 격리제(Tripure Isolation Reagent, Roche Diagnostics, 독일 만하임)를 이용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5㎍의 mRNA를 고성능 cDNA 역전사 키트 (High 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 Applied Biosystem,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스터시)를 이용하여 cDNA로 합성을 하였다. 실험은 제조사 매뉴얼에 따라 수행하였다. 합성된 cDNA 1 ㎕, taqman 프라이머 1 ㎕, Taqman 범용 마스터 믹스 II (Taqman Universal Master Mix II, Applied Biosystem,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스터시) 10 ㎕, 3차 증류수 8 ㎕를 넣고 실시간 PCR 기기 (ABI7500, Applied Biosystem,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스터시)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정량 중합 효소 반응에 쓰인 TaqMan제의 정보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간 PCR 반응 조건은 50℃에서 2분 95℃에서 10분 동안 1회 수행하고, 변성 온도 95℃에서 15초 어닐링 온도 60℃에서 15초인 사이클을 40회 반복 수행하였다.
유전자 기호 유전자 설명 TaqMan 유전자 표현 분석 번호 참조 서열
MITF 소구증 관련 전사 인자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m00434954_m1 ㎚_001113198.1
TYRP1 티로시나제 관련 유전자 1 (tyrosinase-related protein 1) Mm00453201_m1 ㎚_001282014.1
DCT(TYRP2) 도파크롬 상호변이효소 (dopachrome tautomerase) Mm01225584_m1 ㎚_010024.3
HPRT 히포크산틴-구아닌 포스포리보실 전달효소(Hypoxanthine guanine
phosphoribosyl transferase)
(참조 유전자)
Mm01545399_m1 ㎚_013556.2
[통계처리]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에 대해서는 평균치 ± 표준편차 (mean ± S.D.)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각 실험군과의 평균 차이는 스튜던트의 T 검정(Student's t-test)으로 분석하여 p-밸류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 실험예 1. 생약재 추출물의 B16F10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본 실험예 1에서는 B16F10 세포주에서 생약재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세포독성 평가를 위하여 본 실험예 1에서는 B16F10 세포에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하기 실시예 1(125 μg/ml), 실시예 2(250 μg/ml) 및 비교예 1(500 μg/ml), 비교예 2(1000 μg/ml)과 같이 각각 농도별로 투입하여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MTS를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생약재 추출물의 B16F10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blank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예를, 125는 실시예 1을, 250은 실시예 2를, 500은 비교예 1을, 1000은 비교예 2를 나타낸다.
실험예 1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조건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125, 250μg/ml 투입하여 B16F10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500, 1000 μg/ml 투입하여 B16F10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125, 250, 500, 1000 μg/ml 투입한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세포생존력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예와 비교하였을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미개선용 생약재 추출물은 투입농도와 관계없이 세포독성이 없어,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시 안정성이 우수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 실험예 2 : 생약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저해효과>
본 실험예 2에서는 생약재 추출물이 B16F10 세포주에서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멜라닌 생성저해효과의 평가를 위하여 본 실험예 2에서는 B16F10 세포에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하기 실시예 3(125 μg/ml), 실시예 4(250 μg/ml), 및 비교예 3(31.3 μg/ml), 비교예 4(62.5 μg/ml)와 같이 각각 농도별로 투입하여 처리하였고, 참조예 1로서 α-MSH 100nM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참조예 2로서 알부틴(Arbutin) 100 μg/ml을 투입하여 처리한 경우의 멜라닌 생성저해 효과를 더 포함하여 실험하였다. 상기 각 농도별 생약재 추출물과 알부틴을 B16F10 세포주에 처리한 후 1시간 후에 α-MSH를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을 유도한 후 72시간 배양하여 전체 멜라닌 함량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는 생약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2에서 blank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예를, α-MSH는 참조예 1을, Arbutin은 참조예 2를, 31.3은 비교예 3을, 62.5는 비교예 4를, 125는 실시예 3을, 250은 실시예 4를 나타낸다.
실험예 2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조건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 3, 실시예 4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125, 250 μg/ml 투입하여 멜라닌 함량을 측정해 멜라닌 생성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4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31.3, 62.5 μg/ml 투입하여 멜라닌 함량을 측정해 멜라닌 생성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3, 실시예 4와 같이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이 125~250 μg/ml가 처리된 경우에는 생약재 추출물을 투입하지 않고 α-MSH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참조예 1에 비하여 멜라닌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31.3, 62.5 μg/ml를 투입한 비교예 3,4의 경우에는 α-MSH를 단독으로 처리한 참조예 1에 비하여 멜라닌 함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비교예 3,4도 멜라닌생성 저해효과가 있다고 할 수는 있으나, 그 감소량이 적어 기미개선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생약재 추출물이 비교예 3,4와 같이 불충분한 함량으로 투입되는 경우에는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 실험예 3 : 생약재 추출물의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활성 측정>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고 불리우는 기관표면에 합성되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트로시나아제 효소는 이 멜라닌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실험예 3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이 α-MSH에 의해 증가된 트로시나아제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내 트로시나아제 활성도를 확인하였다. 트로시나아제 활성도 측정을 위하여 본 실험예 3에서는 B16F10 세포에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하기 실시예 5(125 μg/ml), 실시예 6(250 μg/ml) 및 비교예 5(31.3 μg/ml), 비교예 6(62.5 μg/ml)과 같이 각각 농도별로 투입하여 처리하였으며, 참조예 3으로서 α-MSH 100nM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참조예 4로서 알부틴 100 μg/ml을 투입하여 처리한 경우의 세포내 트로시나아제 활성도를 더 포함하여 실험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참고로, 도 3에서 blank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예를, α-MSH는 참조예 3을, Arbutin은 참조예 4를, 31.3은 비교예 5를, 62.5는 비교예 6을 125는 실시예 5를, 250은 실시예 6을 나타낸다.
실험예 3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조건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 5, 실시예 6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125, 250 μg/ml 투입하여 세포내 트로시나아제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6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31.3, 62.5 μg/ml 투입하여 세포내 트로시나아제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α-MSH에 의해 트로시나아제의 활성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참조예 3), 실시예 5, 실시예 6과 같이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125~250 μg/ml를 처리하여 트로시나아제 활성도를 측정했을 때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이 α-MSH에 의해 증가된 트로시나아제 활성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이 트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시켜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보이며, 이처럼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은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켜 미백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31.3, 62.5 μg/ml 투입하여 처리한 비교예 5, 비교예 6은 트로시나아제 활성도가 α-MSH를 단독으로 처리한 참조예 3에 비하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트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감소량은 실시예 5, 6보다 적어 기미개선을 위한 미백효과는 생약재 추출물 125~250 μg/ml이 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 B16F10 세포주에서 생약재 추출물에 의한 TYRP1 , MITF , TYRP2 mRNA 발현 영향>
본 실험예 4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이 멜라닌 색소조절과 관련된 유전자 TYRP1, MITF, TYRP2 mRNA의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TYRP1과 TYRP2는 MITF의 전사인자에 의하여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예 4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이 이러한 유전자의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B16F10 세포주에 α-MSH와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후에 실시간 PCR로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위하여 실험예 4에서는 B16F10 세포에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하기 실시예 7, 9, 11(125 μg/ml), 실시예 8, 10, 12(250 μg/ml) 및 비교예 7, 9, 11(31.3 μg/ml), 비교예 8, 10, 12(62.5 μg/ml)과 같이 각각 농도별로 투입하여 MITF, TYRP1, TYRP2 각각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참조예 5, 7, 9로서 α-MSH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참조예 6, 8, 10으로서 알부틴을 투입하여 처리한 경우의 유전자 발현 정도 또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a(MITF mRNA 발현), 4b(TYRP1 mRNA 발현), 4c(TYRP2 mRNA 발현)에 도시하였다. 도 4a, 4b, 4c는 B16F10 세포주에서 생약재 추출물에 의한 MITF, TYRP1, TYRP2 mRNA 발현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4 a, 4b, 4c에서 blank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예를, α-MSH는 각각 참조예 5, 7, 9를, Arbutin은 각각 참조예 6, 8, 10을, 31.3은 각각 비교예 7, 9, 11을, 62.5는 각각 비교예 8, 10, 12를, 125는 각각 실시예 7, 9, 11을, 250은 각각 실시예 8, 10, 12를 나타낸다.
실험예 4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조건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 7, 실시예 8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125, 250 μg/ml 투입하여 MITF 유전자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0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125, 250 μg/ml 투입하여 TYRP1 유전자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2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125, 250 μg/ml 투입하여 TYRP2 유전자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8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31.3, 62.5 μg/ml 투입하여 MITF 유전자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9, 비교예 10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31.3, 62.5 μg/ml 투입하여 TYRP1 유전자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1, 비교예 12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을 각각 31.3, 62.5 μg/ml 투입하여 TYRP2 유전자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α-MSH에 의해 증가된 MITF의 mRNA 수준이 실시예 7, 실시예 8과 같이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125~250 μg/ml를 처리하였을 때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은 125~250 μg/ml에서 MITF의 유전자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미백 기능성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생약재 추출물을 31.3~62.5 μg/ml 투입한 비교예 7, 비교예 8에서는 MITF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미백기능을 하기엔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α-MSH에 의해 증가된 TYRP1의 mRNA 수준이 실시예 9, 실시예 10과 같이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125~250 μg/ml를 처리하였을 때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은 125~250 μg/ml에서 티로시나아제의 생성기전인 TYR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생약재 추출물을 31.3~62.5 μg/ml 투입한 비교예 9, 비교예 10에서는 TYRP1의 mRNA 수준이 α-MSH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TYRP1의 발현억제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으나, 피부 멜라닌 생성 억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을 사용한 참조예 8과 비교하여 보면 효과가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α-MSH에 의해 증가된 TYRP2의 mRNA level이 실시예 11, 실시예 12와 같이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125~250μg/ml를 처리하였을 때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생약재 추출물을 31.3 ~ 62.5 μg/ml 투입한 비교예 11, 비교예 12에서는 TYRP2의 mRNA 수준이 α-MSH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TYRP2의 발현억제 효과가 있다고 볼 수는 있으나, 피부 멜라닌 생성억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에 비해 그 효과는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와 비교하여도 TYRP2의 mRNA 수준이 소량 감소하여 기미개선에는 생약재 추출물 125~250μg/ml이 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승마, 계지, 도인, 망초, 대황, 속단, 당귀, 백출, 숙지황, 천궁, 인삼, 진피, 황금, 생강, 대조, 의이인, 자감초, 복령, 택사, 황기, 작약, 반하 및 시호를 포함하는 생약재로부터 추출된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상기 승마, 계지, 도인, 망초, 대황, 속단, 당귀, 백출, 숙지황, 천궁, 인삼, 진피, 황금, 생강, 대조, 의이인, 자감초, 복령, 택사, 황기, 작약, 반하 및 시호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물에서 70~100℃의 온도로 2~5시간 동안 압력추출하는 과정을 2~6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 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는 생약재 총중량에 대하여 승마 0.2~2.2중량%, 계지 1.4~3.4중량%, 도인 1.4~3.4중량%, 망초 1.4~3.4중량%, 대황 1.4~3.4중량%, 속단 1.4~3.4중량%, 당귀 2.5~4.5중량%, 백출 2.5~4.5중량%, 숙지황 2.5~4.5중량%, 천궁 2.5~4.5중량%, 인삼 2.5~4.5중량%, 진피 2.5~4.5중량%, 황금 2.5~4.5중량%, 생강 2.5~4.5중량%, 대조 2.5~4.5중량%, 의이인 4.8~6.8중량%, 자감초 4.8~6.8중량%, 복령 3.7~5.7중량%, 택사 3.7~5.7중량%, 황기 3.7~5.7중량%, 작약 6.0~8.0중량%, 반하 6.0~8.0중량%, 시호 7.2~9.2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미스트, 에센스, 겔, 세럼, 팩, 파우더, 비누, 첩보제, 현탁액,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1020160024578A 2016-02-29 2016-02-29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101835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78A KR101835039B1 (ko) 2016-02-29 2016-02-29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78A KR101835039B1 (ko) 2016-02-29 2016-02-29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694A KR20170101694A (ko) 2017-09-06
KR101835039B1 true KR101835039B1 (ko) 2018-03-08

Family

ID=5992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578A KR101835039B1 (ko) 2016-02-29 2016-02-29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0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647A (ko) 2022-01-27 2023-08-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드로퀴논을 이용한 기미 치료 스팟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1412B (zh) * 2020-11-03 2023-02-10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具有酪氨酸酶抑制活性的聚酮化合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5957158A (zh) * 2021-10-11 2023-04-14 成都中医药大学附属医院 一种改善色素沉着、淡斑美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647A (ko) 2022-01-27 2023-08-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드로퀴논을 이용한 기미 치료 스팟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694A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342B1 (ko) 주름을 방지 또는 개선하기 위한 경구, 주사, 피부 외용제 및 미용 방법
TWI515019B (zh) Tiliacora triandra於化妝品之用途及其組合物
KR101835040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사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JP6033435B2 (ja) 天然物由来のフィロバシディウム抑制物質を含む抗菌用組成物
TWI735779B (zh) 用於治療皮膚色素沉著之組成物及相關方法
JP2010529092A (ja) MC−1R、MC−2R、および/またはμオピオイド受容体刺激
JP2010514774A (ja) 肌の状態および外観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83503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20210144835A (ko) 피부용 조성물
US11241469B2 (en) Active ingredient obtained from Calendula officinalis and u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utaneous manifestations due to an imbalance in the epigenome in skin cells
EP0946138A2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potentilla erecta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KR101903745B1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50030095A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TWI729618B (zh) 蝴蝶蘭屬植物萃取物用於抗醣化與改善皮膚外觀的用途
US9161900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ir loss and enhanced hair growth
KR20200054151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TW201422250A (zh) Nesprin-2表現調節劑之用途及其組合物
JP5312733B2 (ja) 保湿剤、細胞賦活剤、抗酸化剤、プロテアーゼ活性促進剤、抗老化剤、美白剤、抗炎症剤、中性脂肪蓄積抑制剤
KR101805015B1 (ko) 유자, 유근피 및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353835B2 (ja) Dickkopf−1発現調整組成物
KR101922637B1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471085B2 (ja) コレステロール合成促進剤
CN110840785B (zh) 皮肤老化或皮肤皱纹改善用化妆品组合物
WO2017007142A1 (ko) 동규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TWI642447B (zh) Dickkopf-1表現調節劑組合物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