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000B1 -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000B1
KR101835000B1 KR1020170059821A KR20170059821A KR101835000B1 KR 101835000 B1 KR101835000 B1 KR 101835000B1 KR 1020170059821 A KR1020170059821 A KR 1020170059821A KR 20170059821 A KR20170059821 A KR 20170059821A KR 101835000 B1 KR101835000 B1 KR 101835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ribs
layer
impact
guar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령
Original Assignee
(주)카리스가드레일
유준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리스가드레일, 유준령 filed Critical (주)카리스가드레일
Priority to KR1020170059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000B1/ko
Priority to PCT/KR2018/003946 priority patent/WO20182124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53Rails of materials other than metal or concrete, e.g. wood, plastics; Rails of different materials, e.g. rubber-faced metal profiles, concrete-filled steel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수직 포스트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플라스틱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드레일은 외부 충격에 대한 접촉면을 제공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외부구조, 상기 외부구조에 대향 배치되어 포스트에 대한 고정면을 제공하는 배면층을 포함하는 내부구조 및 상기 외부구조와 내부구조 사이 공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표면층은 음이온 방출물질을 함유하는 무기질 세라믹 파우더를 플라스틱 레진에 혼합하여 성형된 것이며, 이로써 상기 표면층으로부터 음이온이 방출되어, 자동차 주행도로 상에 음이온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리브를 제1 및 제2 리브로 구분하고 중간층을 이용하여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충격시 대응 요홈에 강제 삽입되도록 하여 그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Resin Plastic Guardrail}
본 발명은 주로 자동차 도로 및 교량이나 다리 난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음이온 환경의 조성 및 외부 충격에 대한 효과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레진 플라스틱 성형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도로의 경계임을 표시하고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도로를 따라 설치되는 도로 시설물이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기본적으로 차량이 충돌했을 때에 차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충격강도가 높을 것이 필요한 한편, 차량 및 가드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이 동시에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는 당연하게 운전자 및 탑승자의 보호에 관점이 있다.
전통적으로, 가드레일은 연속으로 굴곡진 형태로 프레스 가공된 금속 플레이트이며, 도로를 따라 적정 배치된 레일 포스트에 연속적으로 배치 고정된다. 그러나 이 금속 가드레일은 취급이 불편하고 위험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능력이 현저하게 부족할 뿐만 아니라 부식 등의 문제를 더불어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재료를 플라스틱으로 하거나 또는 거기에 완충요소를 부가하는 등의 제안이 있어 왔다. 예컨대, 실용신안등록 제180108호, 제316363호 등에는 금속 플레이트의 표면에 폴리머로 성형된 충격 완화재를 부착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충격을 완화하도록 된 가드레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가드레일의 제작 및 부착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308889호에는 단지 합성수지나 FRP로서 성형한 가드레일이 개시되어 있으며, 유사한 재료를 가진 가드레일에 체결구조 또는 반사구조 등을 부가한 여러 가지의 제안들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재료의 강도, 강성이나 완충 기능들에 대하여 특별한 배려가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제안된 것이, 가드레일의 내부에 에어 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466411호, 제897583호, 제1312933호, 공개특허 제2010-109080호 등에는 합성수지 또는 레진을 사용하되 내부에 에어 층을 형성하고 각 층을 대략 일(-)자형, V형 또는 W형의 선형 리브 또는 하니콤(honeycomb) 리브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플라스틱 가드레일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조가 위에 기재된 단순 플레이트형 가드레일에 비하여 완충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다음의 중요한 문제가 있다.
첫째, 통상 가드레일로부터 운전자에게 생체적 활력을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없다. 예컨대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은 뇌파의 활동을 증가시키고 세포의 활성화, 신경의 조절 등을 조화있게 유지시켜 전신기능을 원활하게 촉진하며, 그 이외에도 탈취, 항균, 공기정화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실제로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도 유익하게 작용할 것이지만, 이 기술분야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배려가 없이 단지 본연의 완충기능에만 몰입되어 있으므로, 그 사용상의 한계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둘째, 상기 에어 층 및 리브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내부 구조는 형태에 한정되어 있을 뿐, 외부 충격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가드레일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각 층이 차례대로 쉽게 파괴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내부 구조 및 형태는 완충 및 완화를 위한 아무런 능동 작용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 층 및 리브가 가드레일의 완충 특성을 제공한다고는 하나, 그 효과는 아주 미약한 수준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셋째,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구조의 가드레일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각 층이 차례로 쉽게 파괴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파괴된 가드레일의 플라스틱 파편들이 사방팔방으로 흩어지고 비산되어 그로 인한 제2 및 제3의 추가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현실적으로는, 충격을 받은 가드레일이 가능한 파편들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구조적 개선이 절실히 필요하지만, 그 부분에 대한 대책이 전혀 고려되어 있지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플라스틱 가드레일의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주행도로 측으로 음이온을 방출하여 활성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기분이 상쾌해지고 싱그러움을 느끼게 하며 신체 컨디션도 향상시켜줄 수 있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에 대해 그 흡수를 위한 능동적 작용을 통하여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으며, 그 충격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가드레일의 파편이 가능한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드레일은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수직 포스트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플라스틱 가드레일을 기반으로 한다.
구조적으로는:
외부 충격에 대한 접촉면을 제공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외부구조;
상기 외부구조에 대향 배치되어 포스트에 대한 고정면을 제공하는 배면층을 포함하는 내부구조; 및
상기 외부구조와 내부구조 사이 공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
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표면층은 음이온 방출물질을 함유하는 무기질 세라믹 파우더를 플라스틱 레진에 혼합하여 성형된 것이며;
상기 표면층으로부터 음이온이 방출되어, 자동차 주행도로 상에 음이온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브는:
상기 표면층으로부터 내향 돌출하여 형성된 다수의 제1 리브와, 상기 배면층으로부터 외향 돌출하여 형성되고 인접한 2 사이에 상기 제1 리브가 밀착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된 다수의 제2 리브;
상기 외부구조 및 내부구조가 대향하여 배치될 때, 상기 제1 리브의 단부가 상기 끼움홈의 입구에 위치하도록 제1 및 제2 리브의 단부를 서로 어긋나게 연결하는 중간층;
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층에 충격이 가해지면, 중간층이 끊어지고 제1 리브가 상기 끼움홈에 강제 삽입되며, 이 삽입 과정에서의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마찰저항에 의해 그 충격이 완화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끼움홈에 충진되는 충격 흡수용 합성수지 발포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체는 통상의 폴리에틸렌 발포체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리브의 외측 표면과 상기 끼움홈의 내벽은 서로 대응하는 마찰돌기-요홈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가드레일에 따르면, 주행 중인 자동차의 높이와 유사한 높이에서 상기 외부구조의 표면층으로부터 방출되는 음이온에 의한 주행도로 상의 신선 분위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자동차 운전자는 그 가드레일 구간을 통과하면서, 음이온 분위기에 의한 상쾌하고 싱그러운 기분을 느끼면서 신체의 주행 컨디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외부구조의 표면층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중간층이 끊어지면서 제1 리브가 상기 내부구조의 끼움홈에 강제 삽입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입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마찰저항이 제공되는 동시에 내·외부구조가 서로 압착되면서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그 가해진 충격이 절대적으로 완화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충격 후 가드레일 파편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포체는 제1 리브의 단부에 정면으로 대응하여 그 충격을 탄력적으로 흡수하며, 상기 마찰돌기-요홈 구조는 제1 리브와 끼움홈 간에 더욱 강한 마찰저항을 연달아 제공한다. 따라서 가해진 충격을 완화하고 파편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가드레일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의 가드레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상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이하, '가드레일'이라 함)의 특징과 작용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이 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10)은 종-방향 파형을 가지고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로서 수직 포스트(P)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플라스틱 가드레일을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그 끝단에는 동일한 구조 및 형태의 또 다른 가드레일(10)이 연결되는데, 상기한 연결을 위하여, 마주하는 양측 가드레일(10)의 단부를 관통하는 체결공(11), 상기 체결공(11)을 각각 관통하는 볼트(12), 가드레일(10)의 배면에서 두 볼트(12)를 수용함으로써 양 가드레일(10)을 연결하게 되는 공용 와셔부재(13)가 구비된다.
도면에서, 부호 14 및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10)을 도로변 레일 포스트(P)에 설치하기 위하여 형성된 고정공과 고정볼트이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한 가드레일(10)의 플레이트 형태 및 연결구조가 본 발명에서 특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예컨대, 상기 가드레일(10) 간의 연결 및 포스트(P) 고정을 위하여 다른 구조 또는 별도의 브래킷 구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드레일(10)은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수직 포스트(P)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플라스틱 가드레일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서, 다중 구조로 설계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전방 측 외부구조(20)와 후방 포스트(P) 측 내부구조(30) 및 상기 외부구조(20)와 내부구조(3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양 구조(20,30)를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상기 가드레일(10)은 전체적인 형상이 파형으로 형성된 것이지만, 곡선형 또는 평면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외부구조(20)는 외부 충격에 대한 접촉면을 제공하는 표면층(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구조(30)는 상기 외부구조(20)에 대향 배치되어 포스트(P)에 대한 고정면을 제공하는 배면층(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브(40)가 외부구조(20)와 내부구조(30)의 사이 공간을 연결하도록 하여, 레진 압출 일체형 플라스틱 가드레일(10)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부호 50은 각 주조(20,30)의 단면을 따라 형성된 통상의 완충용 에어 홀이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주행도로를 향해 배치되는 상기 표면층(31)이 음이온 방출물질을 함유하는 무기질 세라믹 파우더를 플라스틱 레진에 혼합하여 이중압출로 성형되는 것이며, 이로써 본 발명의 가드레일(10)은 상기 표면층(21)으로부터 음이온이 방출되어 자동차 주행도로 상에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음이온 분위기를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음이온은 대기 중 음(-)전하를 띠는 이온을 말하는데, 이는 혈액 중의 전자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체내 활성산소의 활동을 억제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 작용을 하며, 혈액의 pH 상승에 도움을 주며, 대뇌에 작용하여 세로토닌 농도를 조절하여 불안증이나 긴장감을 줄여주는 한편 항-하스타민 환경을 조성하는 등의 여러 이익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대기 중 음이온이 많아지면 혈액순환이나 물질대사가 활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자동차 운전자는 본 발명의 가드레일(10) 구간을 통과하면서 음이온 분위기에 의한 상쾌하고 싱그러운 기분을 자연스럽게 느끼면서 신체의 주행 컨디션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이외에도 음이온은 탈취, 항균, 수질/공기 정화 등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리브(40) 내부에 생길 수 있는 벌레 서식 및 그에 따른 부식을 방지해줌으로써 가드레일(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자동차 배기 등에 의한 공기오염을 가능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세라믹 파우더로서는 정지상태에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광물이 선택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음이온 방출량이 큰 것으로 알려진 희토류 광물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믹 파우더는 스트론튬, 바나듐, 지르코늄, 세륨, 네어디뮴, 란탄, 바륨, 루비듐, 세슘, 갈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희토류 광물의 파우더로 구성된다. 이들 희토류 원소 함유 광물은 또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원적외선 효과도 더불어 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파우더는 플라스틱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60 중량부로 혼합되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의 무기질 세라믹 표면층(21) 형태의 구성에 적용하였을 경우 숲이나 폭포, 온천 등에서 인체에 상쾌하게 느껴지는 공기 1cc당 음이온의 분포량과 유사한 약 800~2,000개 수준으로 조정하는데, 예컨대 상기 세라믹 파우더를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에는 음이온 발생효과가 미약하며, 반대로 6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음이온 수치가 불필요하게 커지면서 가격에서 불리하게 되고 제품의 성형에도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아래 [표1]은 각 예에서 플라스틱 레진에 대한 세라믹 파우더 첨가량과 음이온 방출량을 나타낸다. 음이온 측정기기로서는 Corecom 사의 Model IT-717를 사용하였다. 각 예에서, 상기 플라스틱으로서 범용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 특히 E-PVC 재료를 사용함에도 결과적 차이는 없었으며, 상기 세라믹 파우더로서 희토류 원소의 함유 광물인 모자나이트, 바스트네사이트 또는 토르말린 등을 사용함에 역시 유의할만한 차이는 없었으므로, 여기에서는 플라스틱 및 세라믹 파우더의 종류를 특별히 구분하지 않는다.



혼합예

성분(중량부)



음이온 방출량
(ion/cc)



측정기기

플라스틱
(폴리에틸렌)

세라믹 파우더
(모자나이트)

1






100

5

450






Corecom 사
Model IT-717

2

10

800

3

30

1,400

4

60

2,000

5

70

2,100
위와 같은 혼합 성분으로 제조되는 상기 표면층(21)은 상기 세라믹 파우더가 플라스틱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6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에 만족할 수준의 음이온 방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그 증가세가 둔화되어 비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40)는 대략 일(-)자형, V형 또는 W형의 선형 리브 또는 하니콤(honeycomb) 리브 등을 이용하여 대향한 양 구조(20,30)를 정형적·비정형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이 구조는 단순 플레이트형 가드레일에 비하면 우수한 완충효과가 있다. 다만, 외부충격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작용하지 않음에 따라 그 구조가 쉽게 파괴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파괴된 가드레일 파편들에 의하여 제2 및 제3의 추가 피해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제2 실시예 >
본 실시예는, 위 제1 실시예의 가드레일(10)의 음이온 특징을 기반으로 하되, 리브(40)를 구조적으로 개선하여 가드레일의 완충기능을 보강하고 파편의 가능성을 최대한 억제한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40)는, 상기 표면층(21)으로부터 내향 돌출하여 형성된 다수의 제1 리브(41), 상기 배면층(31)으로부터 외향 돌출하여 형성되고 인접한 2개 사이에 상기 제1 리브(41)가 밀착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43)이 형성된 다수의 제2 리브(42), 상기 외부구조(20) 및 내부구조(30)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때 상기 제1 리브의 단부가 상기 끼움홈(43)의 입구에 위치하도록 제1 및 제2 리브(41,42)의 단부를 서로 어긋나게 연결하는 중간층(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조에서는, 상기 외부구조(20)가 표면층(21)과 제1 리브(41)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구조(30)가 배면층(31)과 제2 리브(42)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외부구조'(20) 전체가 음이온을 방출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 인접한 상기 제1 리브(41) 사이에 상기 제2 리브(42)가 밀착적으로 끼워져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홈(45)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상기한 '밀착적'이라는 용어에 의하여 상기 제1 리브(41)의 외경과 끼움홈(43)의 내경이 거의 같은 수준임을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리브(41)의 위치 및 사이즈가 정밀하게 설정되지 않으면 그 삽입이 어려워지거나 제1 리브(41) 또는 제2 리브(42)가 부러져 버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43)에 대한 적정 삽입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리브(41)는 그 단부가 뽀족한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리브(41)와 제2 리브(42)는 가드레일(10)의 종-방향 곡형 구간에서 그 곡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 형태는, 외부구조(20) 표면상 임의의 지점에서의 충격에 대하여 그 충격 전달방향과 그에 대응하는 완충 수단(41,42,44,46,47)을 일직선('C-C')상에 놓이게 함으로써, 상기 제1 리브(41)의 끼움홈(43)에 대한 적정 삽입을 안내하는 것은 물론 완충의 방향성 및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예컨대 곡형의 정점 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면 파고는 점차 낮아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리브(41)의 끼움홈(43)에 대한 적정 삽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층(44)은 본 실시예에서 가드레일(10)의 전체의 일체적 형태를 유지해주는 수단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외부구조(20) 및 내부구조(30) 사이에서 제1 리브(41) 및 제2 리브(42)의 단부를 연결하여 양 구조(20-30)를 일체로 형성하는 연결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층(44)은, 외부구조(20) 및 내부구조(30)가 대향하여 배치될 때, 상기 제1 리브(41)의 단부가 상기 끼움홈(43)의 입구에 위치하도록 제1 리브(41) 및 제2 리브(42)의 단부를 서로 어긋나게 연결한다.
도면에서 상기 중간층(44)은 제1 리브(41) 및 제2 리브(42)의 단부가 각각 상면 및 하면에 접촉하는 하나의 층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가드레일(10) 성형시에 각 단부의 모서리 간 접촉식으로 연결 처리된 제1 리브(41) 및 제2 리브(42)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간층(44)은 각 리브(42,42)의 단부 형태에 대응하여 연속하는 'V'자 또는 라운드 형태에 의한 하나의 종-방향 파형 라인을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드레일(10)에 대한 외부의 충격(R)이 상기 외부구조(20)의 표면층(21)에 가해지면, 외부구조(20)와 내부구조(30)를 연결하는 상기 중간층(44)이 끊어지면서 제1 리브(41)가 상기 끼움홈(43)에 강제 삽입되는데, 이 삽입 과정에서의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제1 리브(41)와 끼움홈(43) 간 마찰저항에 의해 그 충격이 완화되는 것이다.
이 충격의 완화를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끼움홈(43)에 충진되는 폼(foan) 형태의 충격 흡수용 합성수지 발포체(46)를 더 포함한다. 구조적으로, 상기 발포체(46)는 제1 리브(41)의 단부에 정면으로 대응하여 그 충격을 탄력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포체(46)는 통상의 폴리에틸렌 성형 발포체이다.
여기에서 상기 충진 발포체(46)는 그 충격에 정면 대응하는 것 이외에, 인접한 제2 리브(42)를 좌·우 측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리브(41)는 외측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마찰돌기(47)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43)은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마찰돌기(47)에 대응하는 요홈(48)을 포함한다. 상기 마찰돌기-요홈(47-48) 대응구조는 제1 리브(41)와 끼움홈(43) 간에 더욱 강한 마찰저항을 연달아 제공하고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탄발되려는 힘을 억제해 주는 한편, 상기 발포체(46)가 끼움홈(43)의 내벽에 견고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상의 구조에서, 가드레일(10)의 완충특성은 상기한 양 구조(20,30), 양 리브(41,42) 간의 상호작용, 발포체(46), 마찰돌기-요홈(47-48) 대응구조에 의하여 보장 및 강화된다. 부호 50은 외부구조(20)의 표면층(21)과 내부구조(30)의 배면층(31)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통상의 완충용 에어 홀이다.
한편, 상기 충격에 대한 완화 동작과 동시에, 제1 리브(41)가 끼움홈(43)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부구조(20)와 내부구조(30)는 서로 압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충격에 의한 가드레일(10)의 파손이 생기더라도 그 파편 및 비산의 정도는, 그대로 파괴되어 낱낱이 흩어지는 경우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적으므로 그 파손에 의한 제2 및 제3의 피해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10. 가드레일
11. 체결공 12. 볼트
13. 와셔부재 14. 고정공
15. 고정볼트
20. 외부구조
21. 표면층
30. 내부구조
31. 배면층
40. 리브
41. 제1 리브 42. 제2 리브
43. 끼움홈 44. 중간층
45. 끼움홈 46. 발포체
47. 마찰돌기 48. 요홈
50. 에어 홀
P. 포스트

Claims (13)

  1. 본 발명의 가드레일은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수직 포스트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플라스틱 가드레일에 있어서,
    외부 충격에 대한 접촉면을 제공하는 표면층(21)을 포함하는 외부구조(20), 상기 외부구조(20)에 대향 배치되어 포스트(P)에 대한 고정면을 제공하는 배면층(31)을 포함하는 내부구조(30), 상기 외부구조(20)와 내부구조(30) 사이 공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4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구조(20) 또는 그 표면층(21)은 음이온 방출물질을 함유하는 무기질 세라믹 파우더를 플라스틱 레진에 혼합하여 성형된 것으로 상기 표면층(21)으로부터 음이온이 방출되어 자동차 주행도로 상에 음이온 분위기를 형성하며,
    상기 리브(40)는:
    상기 표면층(21)으로부터 내향 돌출하여 형성된 다수의 제1 리브(41)와, 상기 배면층(31)으로부터 외향 돌출하여 형성되고 인접한 2 사이에 상기 제1 리브(41)가 밀착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43)이 형성된 다수의 제2 리브(42);
    상기 외부구조(20) 및 내부구조(30)가 대향하여 배치될 때, 상기 제1 리브(41)의 단부가 상기 끼움홈(43)의 입구에 위치하도록 제1 및 제2 리브(41,42)의 단부를 서로 어긋나게 연결하는 중간층(44);
    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층(21)에 충격이 가해지면, 중간층(44)이 끊어지고 제1 리브(41)가 상기 끼움홈(43)에 강제 삽입되며, 이 삽입 과정에서의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마찰저항에 의해 그 충격이 완화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파우더는 희토류 광물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파우더는 스트론튬, 바나듐, 지르코늄, 세륨, 네어디뮴, 란탄, 바륨, 루비듐, 세슘, 갈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희토류 광물의 파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파우더는 플라스틱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6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상기 끼움홈(43)에 충진되는 충격 흡수용 합성수지 발포체(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구조(20)는, 서로 인접한 제1 리브(41) 사이에 상기 제2 리브(42)가 밀착적으로 끼워져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홈(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41)는 그 단부가 뽀족한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41)의 외측 표면과 상기 끼움홈(43)의 내벽은, 서로 대응하는 마찰돌기-요홈(47-48)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41)와 제2 리브(42)는, 가드레일(10)의 종-방향 곡형 구간에서 그 곡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44)은, 상기 제1 리브(41) 및 제2 리브(42)의 각 단부가 상면 및 하면에 접촉하는 하나의 층이거나, 또는 각 단부의 모서리 간 접촉식으로 연결 처리된 제1 리브(41) 및 제2 리브(42)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44)은 각 리브(41,42)의 단부 형태에 대응하여 연속하는 'V'자 또는 라운드에 의한 하나의 종-방향 파형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46)는 통상의 폴리에틸렌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KR1020170059821A 2017-05-15 2017-05-15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KR101835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21A KR101835000B1 (ko) 2017-05-15 2017-05-15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PCT/KR2018/003946 WO2018212450A1 (ko) 2017-05-15 2018-04-04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21A KR101835000B1 (ko) 2017-05-15 2017-05-15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000B1 true KR101835000B1 (ko) 2018-03-07

Family

ID=6168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821A KR101835000B1 (ko) 2017-05-15 2017-05-15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5000B1 (ko)
WO (1) WO201821245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62B1 (ko) 2018-04-19 2019-02-22 이재훈 도로용 가드레일
KR102024543B1 (ko) * 2019-07-23 2019-09-24 주식회사 카리스 레진 가드레일
KR102035622B1 (ko) 2018-05-10 2019-10-24 이재훈 도로용 가드레일
KR20190122541A (ko) 2019-01-31 2019-10-30 이재훈 도로용 가드레일
KR102104040B1 (ko) * 2018-11-01 2020-04-23 강현숙 가드레일
KR20230033868A (ko) * 2021-09-02 2023-03-09 주식회사 카리스 레진 가드레일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레진 가드레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39A (ja) * 1997-06-24 1999-01-19 Toyota Motor Corp エネルギー吸収構造体
KR100691068B1 (ko) * 2005-05-03 2007-03-09 (주)아해 도료조성물
KR100914928B1 (ko) * 2007-05-25 2009-08-31 이애단 안전 가이드레일
KR100897583B1 (ko) * 2008-07-25 2009-05-14 김주영 운전자를 보호 및 시공이 편리한 안전 가드레일
KR20100109080A (ko) * 2009-03-31 2010-10-08 김태완 가드레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62B1 (ko) 2018-04-19 2019-02-22 이재훈 도로용 가드레일
KR102035622B1 (ko) 2018-05-10 2019-10-24 이재훈 도로용 가드레일
KR102104040B1 (ko) * 2018-11-01 2020-04-23 강현숙 가드레일
KR20190122541A (ko) 2019-01-31 2019-10-30 이재훈 도로용 가드레일
KR102130693B1 (ko) * 2019-01-31 2020-07-07 이재훈 도로용 가드레일
KR102024543B1 (ko) * 2019-07-23 2019-09-24 주식회사 카리스 레진 가드레일
WO2020101201A3 (ko) * 2019-07-23 2020-07-09 주식회사 카리스 레진 가드레일
US10982086B1 (en) 2019-07-23 2021-04-20 Caris Co., Ltd. Resin guardrail
KR20230033868A (ko) * 2021-09-02 2023-03-09 주식회사 카리스 레진 가드레일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레진 가드레일.
KR102509295B1 (ko) 2021-09-02 2023-03-14 주식회사 카리스 레진 가드레일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레진 가드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2450A1 (ko)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000B1 (ko) 레진 플라스틱 가드레일
KR101143454B1 (ko) 안전기능이 향상된 도로용 가드레일
CN101090842A (zh) 带吸能器的保险杠系统
KR101209815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CN208897013U (zh) 一种汽车中后保险杠
KR101763292B1 (ko) 중앙 분리대용 플라스틱 가드레일
US7677533B2 (en) Guardrail
KR101738549B1 (ko) 플라스틱 가드레일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CN206204838U (zh) 一种耐冲撞道路护栏
KR20120007395A (ko) 충격흡수성 및 형태복원성을 보강한 가드레일구조물
KR20190128300A (ko) 리어 백빔 구조
KR101244386B1 (ko) 충격흡수용 완충부재를 구비한 도로용 가이드레일
CN212983700U (zh) 一种便于拆装的市政用道路隔离栏
ES2337971B1 (es) Protector amortiguado para guardarrailes.
KR20180026064A (ko)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가드레일용 완충부재
KR200431687Y1 (ko) 충격 흡수가 가능한 교량난간
CN209833780U (zh) 一种汽车a柱可视桁架结构
KR20030036456A (ko) 도로용 가드레일
KR20070122087A (ko) 도로 설치용 완충장치
KR200229377Y1 (ko) 가드레일 완충구
JP3481413B2 (ja) 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101143455B1 (ko) 충격흡수 판을 구비한 도로용 가드레일
KR102405808B1 (ko) 충격흡수 및 강성구조를 갖춘 가드레일
CN205523636U (zh) 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