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897B1 -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 Google Patents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897B1
KR101834897B1 KR1020170126666A KR20170126666A KR101834897B1 KR 101834897 B1 KR101834897 B1 KR 101834897B1 KR 1020170126666 A KR1020170126666 A KR 1020170126666A KR 20170126666 A KR20170126666 A KR 20170126666A KR 101834897 B1 KR101834897 B1 KR 10183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uxiliary board
display
weigh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숙
Original Assignee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항공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하는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은,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항공영상이미지를 서로 합성해서 하나의 통합된 항공영상이미지로 편집하는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
제1디스플레이(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대(11)를 갖춘 제1디스플레이(10)와:
제1디스플레이(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연결체(21)와; 우단이 연결체(2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고 좌단이 연결체(21)의 좌방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22)와; 좌단이 연결체(2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며 우단이 연결체(21)의 우방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23)와; 제1연결바(22)의 좌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대(24) 및; 제2연결바(23)의 우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대(25)를 갖춘 연결기구(20)와:
전방으로 개구된 다각홈 형상을 이루어 보조보드(30)의 전면 우측에 구비되는 고정부(31)와; 후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루어 보조보드(30)의 후면에 구비되며 고정부(31)와 연통되는 받침대수용부(32)와; 후방으로 개구되어 보조보드(30)의 후면에 좌우로 형성되는 가이드부(33)와, 가이드부(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볼(35) 및, 보조보드(30)의 전면에 구비되는 메모부(34)를 갖추고서, 우측이 연결기구(20)의 제1회전대(24)에 설치되는 보조보드(30)와:
보조보드(30)의 상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기구지지대(81)와; 양단이 각각의 조명기구지지대(81)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기구지지바(82)를 갖춘 조명기구지지부재(80)와:
조명기구지지바(8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조명등지지체(71)와; 전방으로 돌출되게 조명등지지체(71)에 설치되는 원형 바 형상의 조명등연결체(72)와; 조명등연결체(7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링 형상의 조명등설치체(73) 및; 조명등설치체(73)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명등(74)을 갖춘 조명기구(70)와:
연결기구(20)의 제1연결바(2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체(91)와; 이동체(91)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92) 및; 측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필기구보관부(93a)를 구비하여, 회전체(92)의 하단에 설치되는 필기구보관부재(93)를 갖춘 필기구보관기구(90)와:
보조보드(30)의 고정부(3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각기둥 형상의 삽입체(41a)와, 삽입체(41a)의 전측에 구비되는 나사체(41b)와, 나사체(41b)의 전측에 구비되는 손잡이(41c)와, 삽입체(41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를 통과하여 보조보드(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체(41d) 및, 연장체(41d)의 외측에 형성되어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삽탈되는 지지체(41e)를 갖춘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와;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나사체(41b)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링 형상의 가압기구(42)와;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를 받치는 받침대(43a)와,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수용되어 받침대(43a)를 후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3b)을 구비한 지지기구(43)와; 보조보드(30)의 회전볼(35)에 안착되어 보조보드(30)의 가이드부(33)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무게추(44)와; 좌단이 무게추(44)의 우측에 설치되고, 우단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설치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감기거나 풀리는 연결와이어(45)와; 무게추(44)의 좌측에 연결되는 권취와이어(46a)를 구비하여 보조보드(30)의 후면 좌측에 배치되며, 권취와이어(46a)가 당겨지면 권취와이어(46a)를 풀고, 권취와이어(46a)에 당김력이 해제되면 권취와이어(46a)를 감는 권취기구(46) 및; 무게추(44)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47a)와, 회전대(47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의 하중조절너트(47b)를 구비한 하중미세조절기구(47)를 갖춘 균형조절기기(40)와:
좌측이 연결기구(20)의 제2회전대(25)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50) 및: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에서 합성된 항공영상이미지를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항공영상이미지DB(61)와; 항공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하는 영상도화모듈(62)과; 영상도화된 도화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영상이미지DB(63)와; 항공영상이미지 및 도화영상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64)과;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를 토대로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보정모듈(65)과; 수치정보를 도화영상이미지에 합성하는 수치정보합성모듈(69) 및; 영상도화모듈(62), 좌표합성모듈(64), 보정모듈(65) 및 수치정보합성모듈(69)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6)을 갖춘 영상도화기기(60)
로 구성된 영상도화장치(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Image Drawing System}
본 발명은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화기(圖化機)라 함은 한 쌍의 실체사진(實體寫眞)에서 피사체의 평면형과 높이를 측정하여 지도를 그리는 기계를 말하며, 도화기는 크게 아날로그 도화기와 해석도화기 및 수치 도화기로 구분된다.
상기 도화기를 이용한 도화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화방법은 크게 항공사진을 이용한 다양한 도화 방법으로서 수정도화방법과 해석도화방법 및 수치도화방법으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수정도화방법은 기계식 사진측량의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항공사진과 도화 원도를 통해 변화된 지역에 대해서 부분도화를 수행하고 수치화 하여 기존 수치지도와 병합함으로써 수치지도를 도화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해석도화방법은 도화기에 연결된 전산기에 기존 수치지도를 직접 화면상에서 확인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항공사진과의 비교를 통한 수정요소의 확인이 용이하고, 갱신내용에 대한 수정도화파일을 직접 제작 할 수 있으며, 해석사진측량에 의해 수치지도를 갱신하는 경우, 다수의 항공사진을 동시에 지상좌표계로 변환하여 대규모 지역에 대한 도화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치도화방법은 해석도화방법과 달기 이미지파일을 이용하여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수치도화방법으로 수치지도를 갱신하는 경우, 항공사진의 영상화과정이 필요하며, 최초항공사진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거나, 항공사진양화필름을 고해상도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수치 도화기는 수치 도화를 위한 다양한 모듈을 갖추고서, 수치도화 시스템에 의해 수치 도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수치도화 시스템을 구현하는 종래의 수치도화기의 경우, 영상도화 작업 중 작업자가 메모를 해야할 시 필기구를 쉽게 구할 수 없어, 작업자가 영상도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수치 도화기의 경우, 작업자가 도화 작업 중 메모지를 확인해야 할 시, 주변이 어두울 경우 메모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어, 도화영상이미지 수정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수치 도화기의 경우, 2개의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되는 데, 2개의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간격 조절 및,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배치 각도 조절이 어려워, 영상도화 작업 시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했다.
더욱이, 종래의 수치 도화기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이를 조절하기 어려워, 정확한 영상도화 작업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348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 도화 작업 중 메모가 용이하여 영상도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어두운 환경에서 메모지 확인을 용이하게 하여 도화영상이미지 수정 작업을 보다 정확하게 하며, 제1,2디스플레이간의 상호 간격 및 제1,2디스플레이 각각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여 영상 도화 작업을 편리하게 하도록 하고, 제1,2디스플레이 간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정확한 영상 도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영상도화 제작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항공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하는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은,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항공영상이미지를 서로 합성해서 하나의 통합된 항공영상이미지로 편집하는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
제1디스플레이(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대(11)를 갖춘 제1디스플레이(10)와:
제1디스플레이(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연결체(21)와; 우단이 연결체(2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고 좌단이 연결체(21)의 좌방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22)와; 좌단이 연결체(2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며 우단이 연결체(21)의 우방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23)와; 제1연결바(22)의 좌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대(24) 및; 제2연결바(23)의 우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대(25)를 갖춘 연결기구(20)와:
전방으로 개구된 다각홈 형상을 이루어 보조보드(30)의 전면 우측에 구비되는 고정부(31)와; 후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루어 보조보드(30)의 후면에 구비되며 고정부(31)와 연통되는 받침대수용부(32)와; 후방으로 개구되어 보조보드(30)의 후면에 좌우로 형성되는 가이드부(33)와, 가이드부(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볼(35) 및, 보조보드(30)의 전면에 구비되는 메모부(34)를 갖추고서, 우측이 연결기구(20)의 제1회전대(24)에 설치되는 보조보드(30)와:
보조보드(30)의 상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기구지지대(81)와; 양단이 각각의 조명기구지지대(81)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기구지지바(82)를 갖춘 조명기구지지부재(80)와:
조명기구지지바(8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조명등지지체(71)와; 전방으로 돌출되게 조명등지지체(71)에 설치되는 원형 바 형상의 조명등연결체(72)와; 조명등연결체(7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링 형상의 조명등설치체(73) 및; 조명등설치체(73)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명등(74)을 갖춘 조명기구(70)와:
연결기구(20)의 제1연결바(2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체(91)와; 이동체(91)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92) 및; 측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필기구보관부(93a)를 구비하여, 회전체(92)의 하단에 설치되는 필기구보관부재(93)를 갖춘 필기구보관기구(90)와:
보조보드(30)의 고정부(3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각기둥 형상의 삽입체(41a)와, 삽입체(41a)의 전측에 구비되는 나사체(41b)와, 나사체(41b)의 전측에 구비되는 손잡이(41c)와, 삽입체(41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를 통과하여 보조보드(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체(41d) 및, 연장체(41d)의 외측에 형성되어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삽탈되는 지지체(41e)를 갖춘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와;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나사체(41b)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링 형상의 가압기구(42)와;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를 받치는 받침대(43a)와,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수용되어 받침대(43a)를 후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3b)을 구비한 지지기구(43)와; 보조보드(30)의 회전볼(35)에 안착되어 보조보드(30)의 가이드부(33)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무게추(44)와; 좌단이 무게추(44)의 우측에 설치되고, 우단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설치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감기거나 풀리는 연결와이어(45)와; 무게추(44)의 좌측에 연결되는 권취와이어(46a)를 구비하여 보조보드(30)의 후면 좌측에 배치되며, 권취와이어(46a)가 당겨지면 권취와이어(46a)를 풀고, 권취와이어(46a)에 당김력이 해제되면 권취와이어(46a)를 감는 권취기구(46) 및; 무게추(44)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47a)와, 회전대(47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의 하중조절너트(47b)를 구비한 하중미세조절기구(47)를 갖춘 균형조절기기(40)와:
좌측이 연결기구(20)의 제2회전대(25)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50) 및: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에서 합성된 항공영상이미지를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항공영상이미지DB(61)와; 항공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하는 영상도화모듈(62)과; 영상도화된 도화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영상이미지DB(63)와; 항공영상이미지 및 도화영상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64)과;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를 토대로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보정모듈(65)과; 수치정보를 도화영상이미지에 합성하는 수치정보합성모듈(69) 및; 영상도화모듈(62), 좌표합성모듈(64), 보정모듈(65) 및 수치정보합성모듈(69)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6)을 갖춘 영상도화기기(60)
로 구성된 영상도화장치(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화영상이미지에 수치정보를 합성하여, 보다 품질이 좋은 도화영상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지형지물을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에 업데이트하여 정확한 영상 도화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도화작업을 수행할 시,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의 균형을 맞춰, 작업자가 항공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영상이미지를 왜곡되게 바라봐, 부정확하게 영상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손잡이(41c)가 보조보드(30)의 전면에 배치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를 통해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의 균형을 맞출 시,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의 전방에서 균형 맞춤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보드(30)에 메모를 적거나, 보조보드(30)에 메모지를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어, 영상 도화작업 시 메모를 적거나 메모지를 통해 정보를 확인할 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보조보드(30)에 적인 메모 또는 보조보드(30)에 배치된 메모지(m)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영상 도화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기구보관기구(90)에 항시 필기구를 보관함으로써, 영상도화 작업 시 긴급하게 필기구가 필요할 시, 편리하게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의 구성 간의 연결을 나타낸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장치를 설명하기위한 전체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필기구보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의 X-X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9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보조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무게추위치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6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의 구성 간의 연결을 나타낸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장치를 설명하기위한 전체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필기구보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의 X-X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9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보조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무게추위치조절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항공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하는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은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와 영상도화장치(B)로 이루어진다.
상기 항공영상편집장치(A)는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항공영상이미지를 서로 합성해서 하나의 통합된 항공영상이미지로 편집한다. 본 실시예에서 항공영상편집장치(A)는 통합된 항공영상이미지의 지상이미지별로 GPS좌표와 지상물 명칭을 링크한다. 또한 본 실시예서 항공영상편집장치(A)는, 항공기에 설치되어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장치(C)를 통해 항공영상이미지를 수집한다.
상기 영상도화장치(B)는 제1디스플레이(10)와, 연결기구(20)와, 보조보드(30)와, 조명기구지지부재(80)와, 조명기구(70)와, 필기구보관기구(90)와, 균형조절기기(40)와, 제2디스플레이(50) 및, 영상도화기기(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10)는 제1디스플레이(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대(11)를 갖추고서, 영상도화기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10)는 터치스크린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20)는 제1디스플레이(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연결체(21)와, 우단이 연결체(2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고 좌단이 연결체(21)의 좌방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22)와, 좌단이 연결체(2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며 우단이 연결체(21)의 우방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23)와, 제1연결바(22)의 좌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대(24) 및, 제2연결바(23)의 우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대(25)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바(22) 및 제2연결바(23)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보조보드(30)는 전방으로 개구된 다각홈 형상을 이루어 보조보드(30)의 전면 우측에 구비되는 고정부(31)와, 후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루어 보조보드(30)의 후면에 구비되며 고정부(31)와 연통되는 받침대수용부(32)와, 후방으로 개구되어 보조보드(30)의 후면에 좌우로 형성되는 가이드부(33)와, 가이드부(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볼(35) 및, 보조보드(30)의 전면에 구비되는 메모부(34)를 갖추고서, 우측이 연결기구(20)의 제1회전대(24)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31)는 사각홈 형상을 이루며, 가이드부(33)는 'T'자 홈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메모부(34)는 일반적인 화이트보드의 전면과 같이 지웠다 다시 쓸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명기구지지부재(80)는 보조보드(30)의 상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기구지지대(81)와, 양단이 각각의 조명기구지지대(81)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기구지지바(8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기구지지바(82)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조명기구(70)는 조명기구지지바(8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조명등지지체(71)와, 전방으로 돌출되게 조명등지지체(71)에 설치되는 원형 바 형상의 조명등연결체(72)와, 조명등연결체(7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링 형상의 조명등설치체(73) 및, 조명등설치체(73)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명등(74)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등(74)은 자체 배터리를 갖추며, LED 등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기구보관기구(90)는 연결기구(20)의 제1연결바(2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체(91)와, 이동체(91)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92) 및, 측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필기구보관부(93a)를 구비하여, 회전체(92)의 하단에 설치되는 필기구보관부재(9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필기구보관부재(93)는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균형조절기기(40)는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와, 가압기구(42)와, 지지기구(43)와, 무게추(44)와, 연결와이어(45)와, 권취기구(46) 및, 하중미세조절기구(47)를 갖춘다.
상기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는 보조보드(30)의 고정부(3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각기둥 형상의 삽입체(41a)와, 삽입체(41a)의 전측에 구비되는 나사체(41b)와, 나사체(41b)의 전측에 구비되는 손잡이(41c)와, 삽입체(41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를 통과하여 보조보드(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체(41d) 및, 연장체(41d)의 외측에 형성되어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삽탈되는 지지체(41e)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체(41a)는 사각 기둥 형상을 이룬다.
상기 가압기구(42)는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나사체(41b)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기구(42)는 링 형상을 이룬다.
상기 지지기구(43)는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를 받치는 받침대(43a)와,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수용되어 받침대(43a)를 후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3b)을 갖춘다.
상기 무게추(44)는 보조보드(30)의 회전볼(35)에 안착되어 보조보드(30)의 가이드부(33)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무게추(44)는 전단이 'T'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연결와이어(45)는, 좌단이 무게추(44)의 우측에 설치되고, 우단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설치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감기거나 풀린다.
상기 권취기구(46)는 무게추(44)의 좌측에 연결되는 권취와이어(46a)를 구비하여 보조보드(30)의 후면 좌측에 배치되며, 권취와이어(46a)가 당겨지면 권취와이어(46a)를 풀고, 권취와이어(46a)에 당김력이 해제되면 권취와이어(46a)를 감는다. 본 실시예에서 권취기구(46)는, 내부에 태엽 및 스프링이 구비되어, 권취와이어(46a)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중미세조절기구(47)는 무게추(44)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47a)와, 회전대(47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의 하중조절너트(47b)를 갖춘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50)는 좌측이 연결기구(20)의 제2회전대(25)에 설치되어, 영상도화기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디스플레이(50)는 터치스크린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영상도화기기(60)는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에서 합성된 항공영상이미지를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항공영상이미지DB(61)와, 항공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하는 영상도화모듈(62)과, 영상도화된 도화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영상이미지DB(63)와, 항공영상이미지 및 도화영상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64)과, 새로 작성된 도화영상이미지를 토대로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보정모듈(65)과, 수치정보를 도화영상이미지에 합성하는 수치정보합성모듈(69) 및, 제1디스플레이(10), 제2디스플레이(50), 항공영상이미지DB(61), 영상도화모듈(62), 도화영상이미지DB(63), 좌표합성모듈(64), 보정모듈(65) 및 수치정보합성모듈(69)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6)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도화기기(60)는 영상도화기기(60)를 작동하기 위한 입력유닛을 더 갖춘다. 한편 수치정보합성모듈(69)에서 합성하는 수치정보는 지형,지물에 대한 속성자료 등 지형,지물과 관련된 정보를 수치화한 정보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치정보합성모듈(69)은 수치정보를 도화영상이미지에 링크하는 방식으로 도화영상이미지에 수치정보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영상도화기기(60)는 객체선정모듈(67)과, 왜곡도화영상이미지판독모듈(68)을 더 갖추며, 보정모듈(65)의 기능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객체선정모듈(67)은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 상에서 제1객체 및 제2객체를 선정하고,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 상에서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 상의 제1객체 및 제2객체와 대응하는 제1'객체 및 제2'객체를 선정한다. 이때 상기 제1객체 및 제2객체는 서로 구별되는 레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객체 및 제2객체에는 좌표가 합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객체 및 제2'객체는 서로 구별되는 레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객체 및 제2'객체에는 좌표가 합성되어 있다.
상기 왜곡도화영상이미지판독모듈(68)은 객체선정모듈(67)에서 선정한 제1객체 및 제2객체 간의 객체거리와 제1'객체 및 제2'객체 간의 객체거리를 비교하여, 객체거리 간에 일정 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면 새로운 영상이미지를 왜곡도화영상이미지로 판독한다. 이때 상기 보정모듈(65)은 왜곡도화영상이미지판독모듈(68)에서 왜곡도화영상이미지로 판독되지 않은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만을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를 보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객체선정모듈(67) 및 왜곡도화영상이미지판독모듈(68)은 제어모듈(66)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도 16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8(a)는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를 나타내고, 도 18(b)는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6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항공영상편집장치(A)를 통해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항공영상이미지를 서로 합성해서 하나의 통합된 항공영상이미지로 편집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통합된 항공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모듈(63)를 통해 영상도화한다. 이때 작업자는 좌표합성모듈(64)을 통해 도화영상이미지 상에 있는 레이어 형태의 다수의 객체(건물 등의 지형물 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한다.
이때, 작업자는,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에서 도 16과 같은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와 다른 지형물 이미지가 발견될 경우,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를 참고하여 보정모듈(65)를 통해 도 17과 같이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를 보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수치정보합성모듈(69)를 통해 도 17과 같이 새로운 지형 이미지에 수치정보를 링크한다.
한편,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가 작성되면,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와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를 비교하여, 보정모듈(65)을 통해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데, 본 실시예에서는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 중 이미지 왜곡이 발생한 도화영상이미지를 찾아내어, 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만을 도화영상이미지 보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가 작성되면, 작업자는 객체선정모듈(67)을 구동한다. 이때 객체선정모듈(67)은, 도 18(b)와 같이 도화영상이미지 상에서 대각선으로 각각의 끝에 위치한 제1객체(a1) 및 제2객체(a2)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도 18(a)와 같이 상기 제1객체(a1) 및 제2객체(a2)에 대응하는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 상의 제1'객체(a1') 및 제2'객체(a2')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왜곡도화영상이미지판독모듈(68)은 객체선정모듈(67)에서 선정한 제1객체(a1) 및 제2객체(a2) 간의 객체거리와 제1'객체(a1') 및 제2'객체(a2') 간의 객체거리를 비교하여, 객체거리 간에 일정 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면 새로운 영상이미지를 왜곡도화영상이미지로 판독한다. 즉 왜곡도화영상이미지판독모듈(68)은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가 왜곡되어(예를 들어 일그러짐) 상기 객체거리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를 왜곡도화영상이미지로 판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왜곡도화영상이미지판독모듈(68)이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를 왜곡도화영상이미지로 판독하면, 작업자는 항공영상이미지를 다시 수집하거나, 항공영상이미지를 다시 영상도화한다. 즉 작업자는 항공영상이미지 자체에 왜곡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항공영상이미지를 다시 수집하고, 항공영상이미지에서 도화시 왜곡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도화 작업을 다시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의 기구적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영상도화 제작시스템는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을 통해 편리하게 영상 도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디스플레이(10)의 측방에 제2디스플레이(50)가 설치되기 때문에,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 간의 균형이 맞지 않아,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을 통해 항공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영상이미지를 볼 시 왜곡되게 보일 수 있어, 부정확하게 영상 도화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디스플레이(50)에 바퀴를 달 수 있겠지만, 이러한 경우 도화 작업시 제2디스플레이(50)의 하부에 메모 종이가 위치하면 상기 바퀴에 의해 메모 종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디스플레이(50)에 대향되는 방향에 메모가 가능한 보조보드(30)을 배치하여,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가 균형을 이루도록 하면서, 보조보드(30)를 통해 메모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19와 같이 보조보드(30) 또는 제2디스플레이(5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거나, 도 20과 같이 보조보드(30) 또는 제2디스플레이(50)의 배치 위치를 조절하여, 작업자가 작업하기 편리한 위치에 보조보드(30) 또는 제2디스플레이(50)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보조보드(30)와 제1디스플레이(10)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필기구보관기구(90)가 간섭을 일으키면, 도 21과 같이 필기구보관기구(90)의 필기구보관부재(93)를 회전시켜 공간을 확보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 및 보조보드(30) 간에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보조보드(30)의 후면에 배치된 무게추(44)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 및 보조보드(30) 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 22와 같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손잡이(41c)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삽입체(41a)가 보조보드(30)의 고정부(31)에서 빠져나와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후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를 회전시키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감긴 연결와이어(45)가 감기거나 풀리고, 무게추(44)는 권취기구(46)의 권취와이어(46a)에 의해 당겨지거나 풀려, 무게추(44)의 위치가 조절된다. 이때 무게추(44)는 보조보드(30)의 회전볼(35)에 의해 좌우 이동이 용이하다.
이렇게 무게추(44)의 위치가 조절되면, 작업자는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손잡이(41c)를 살짝 놓는다. 그러면 지지기구(43)의 스프링(43b)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기구(43)의 받침대(43a)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지지기구(43)의 받침대(43a)에 지지되는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가 후방으로 밀려,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삽입체(41a)가 보조보드(30)의 고정부(3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은 회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무게추(44)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면,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 및 보조보드(30) 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무게추(44)의 위치 조절에도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 및 보조보드(30) 간의 균형이 미세하게 맞지 않을 경우, 작업자는 도 23과과 같이 하중미세조절기구(47)의 회전대(47a)의 위치를 조절하고, 하중미세조절기구(47)의 하중조절너트(47b)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 및 보조보드(30) 간의 균형을 보다 정밀하게 맞춘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도화 작업 중 메모지를 육안으로 봐야할 시, 도 24와 같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를 전방으로 당긴 후, 가압기구(42)와 보조보드(30)의 전면 사이에 메모지(m)를 배치한 후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를 다시 놓으면, 도 25와 같이 메모지가 가압기구(42)에 의해 고정되어, 작업자가 영상 도화 작업을 하면서 메모지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도 26과 같이 가압기구(42)를 회전시켜 가압기구(4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다수의 메모지(m)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은 보조보드(30)에 메모를 하거나, 메모지(m)에 메모를 할 시, 필기구보관기구(90)에서 필기구를 꺼내, 메모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필기구보관기구(90)에 필기구를 항시 보관함으로써, 영상도화 작업 중 메모가 필요할 시 필기구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이 어두운 환경일 경우, 도 27과 같이 조명기구(70)의 조명등(74)를 구동하여, 보조보드(30)에 작성된 메모 또는 보조보드(30)에 배치된 메모지(m)를 쉽게 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조명등(74)의 좌우 위치 및 배치각도를 조절하여, 조명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화영상이미지에 수치정보를 합성하여, 보다 품질이 좋은 도화영상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지형지물을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에 업데이트하여 정확한 영상 도화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도화작업을 수행할 시,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의 균형을 맞춰, 작업자가 항공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영상이미지를 왜곡되게 바라봐, 부정확하게 영상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손잡이(41c)가 보조보드(30)의 전면에 배치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를 통해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의 균형을 맞출 시, 제1디스플레이(10) 및 제2디스플레이(50)의 전방에서 균형 맞춤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보드(30)에 메모를 적거나, 보조보드(30)에 메모지를 편리하게 배치할 수 있어, 영상 도화작업 시 메모를 적거나 메모지를 통해 정보를 확인할 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보조보드(30)에 적인 메모 또는 보조보드(30)에 배치된 메모지(m)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영상 도화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기구보관기구(90)에 항시 필기구를 보관함으로써, 영상도화 작업 시 긴급하게 필기구가 필요할 시, 편리하게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화영상이미지를 제작하고, 도화영상이미지에 수치정보가 링크되게 함으로써 도화영상이미지에 수치정보를 합성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으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으로 정의한다.
A;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 B; 영상도화장치
C; 항공촬영장치 10; 제1디스플레이
20; 연결기구 30; 보조보드
40; 균형조절기기 50; 제2디스플레이
60; 영상도화기기 61; 항공영상이미지DB
62; 영상도화모듈 63; 도화영상이미지DB
64; 좌표합성모듈 65; 보정모듈
66; 제어모듈 69; 수치정보합성모듈
70; 조명기구 80; 조명기구지지부재
90; 필기구보관기구

Claims (1)

  1. 항공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하는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도화 제작시스템은,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항공영상이미지를 서로 합성해서 하나의 통합된 항공영상이미지로 편집하는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에서 합성된 항공영상이미지를 항공영상이미지편집장치(A)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항공영상이미지DB(61)와; 항공영상이미지를 영상도화하는 영상도화모듈(62)과; 영상도화된 도화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영상이미지DB(63)와; 항공영상이미지 및 도화영상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64)과; 새로운 도화영상이미지를 토대로 기존의 도화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보정모듈(65)과; 수치정보를 도화영상이미지에 합성하는 수치정보합성모듈(69) 및; 영상도화모듈(62), 좌표합성모듈(64), 보정모듈(65) 및 수치정보합성모듈(69)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6)을 갖춘 영상도화기기(60)와:
    영상도화기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디스플레이(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대(11)를 갖춘 제1디스플레이(10)와:
    제1디스플레이(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연결체(21)와; 우단이 연결체(2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고 좌단이 연결체(21)의 좌방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22)와; 좌단이 연결체(2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며 우단이 연결체(21)의 우방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23)와; 제1연결바(22)의 좌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대(24) 및; 제2연결바(23)의 우단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대(25)를 갖춘 연결기구(20)와:
    전방으로 개구된 다각홈 형상을 이루어 보조보드(30)의 전면 우측에 구비되는 고정부(31)와; 후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루어 보조보드(30)의 후면에 구비되며 고정부(31)와 연통되는 받침대수용부(32)와; 후방으로 개구되어 보조보드(30)의 후면에 좌우로 형성되는 가이드부(33)와, 가이드부(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볼(35) 및, 보조보드(30)의 전면에 구비되는 메모부(34)를 갖추고서, 우측이 연결기구(20)의 제1회전대(24)에 설치되는 보조보드(30)와:
    보조보드(30)의 상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기구지지대(81)와; 양단이 각각의 조명기구지지대(81)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기구지지바(82)를 갖춘 조명기구지지부재(80)와:
    조명기구지지바(8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조명등지지체(71)와; 전방으로 돌출되게 조명등지지체(71)에 설치되는 원형 바 형상의 조명등연결체(72)와; 조명등연결체(7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링 형상의 조명등설치체(73) 및; 조명등설치체(73)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명등(74)을 갖춘 조명기구(70)와:
    연결기구(20)의 제1연결바(2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체(91)와; 이동체(91)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92) 및; 측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필기구보관부(93a)를 구비하여, 회전체(92)의 하단에 설치되는 필기구보관부재(93)를 갖춘 필기구보관기구(90)와:
    보조보드(30)의 고정부(31)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각기둥 형상의 삽입체(41a)와, 삽입체(41a)의 전측에 구비되는 나사체(41b)와, 나사체(41b)의 전측에 구비되는 손잡이(41c)와, 삽입체(41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를 통과하여 보조보드(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체(41d) 및, 연장체(41d)의 외측에 형성되어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삽탈되는 지지체(41e)를 갖춘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와;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나사체(41b)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링 형상의 가압기구(42)와;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를 받치는 받침대(43a)와, 보조보드(30)의 받침대수용부(32)에 수용되어 받침대(43a)를 후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3b)을 구비한 지지기구(43)와; 보조보드(30)의 회전볼(35)에 안착되어 보조보드(30)의 가이드부(33)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무게추(44)와; 좌단이 무게추(44)의 우측에 설치되고, 우단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지지체(41e)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설치되어, 무게추위치조절기구(41)의 연장체(41d)에 감기거나 풀리는 연결와이어(45)와; 무게추(44)의 좌측에 연결되는 권취와이어(46a)를 구비하여 보조보드(30)의 후면 좌측에 배치되며, 권취와이어(46a)가 당겨지면 권취와이어(46a)를 풀고, 권취와이어(46a)에 당김력이 해제되면 권취와이어(46a)를 감는 권취기구(46) 및; 무게추(44)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47a)와, 회전대(47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다수의 하중조절너트(47b)를 구비한 하중미세조절기구(47)를 갖춘 균형조절기기(40) 및:
    영상도화기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좌측이 연결기구(20)의 제2회전대(25)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50)
    로 구성된 영상도화장치(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20170126666A 2017-09-29 2017-09-29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183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66A KR101834897B1 (ko) 2017-09-29 2017-09-29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66A KR101834897B1 (ko) 2017-09-29 2017-09-29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897B1 true KR101834897B1 (ko) 2018-03-06

Family

ID=6172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666A KR101834897B1 (ko) 2017-09-29 2017-09-29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89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476B1 (ko) 2012-06-01 2012-11-12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디지털 항공사진 전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200523B1 (ko) 2012-05-10 2012-11-13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주기적인 지형지물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210546B1 (ko) 2012-05-10 2012-12-14 (주)미도지리정보 수치지도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지아이에스 기반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1212725B1 (ko) 2012-06-25 2012-12-14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수치정보를 갱신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223126B1 (ko) 2012-10-10 2013-01-17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JP2014529263A (ja) 2011-09-23 2014-10-30 ノ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支持装置の摩擦調節機構
KR200478172Y1 (ko) 2014-06-12 2015-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KR101734844B1 (ko) 2016-11-29 2017-05-15 (주)그린공간정보 도심지 변화에 따른 신생 지형지물 업데이트 도화원도 제작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9263A (ja) 2011-09-23 2014-10-30 ノ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支持装置の摩擦調節機構
KR101200523B1 (ko) 2012-05-10 2012-11-13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주기적인 지형지물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210546B1 (ko) 2012-05-10 2012-12-14 (주)미도지리정보 수치지도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지아이에스 기반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1200476B1 (ko) 2012-06-01 2012-11-12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디지털 항공사진 전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212725B1 (ko) 2012-06-25 2012-12-14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수치정보를 갱신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223126B1 (ko) 2012-10-10 2013-01-17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200478172Y1 (ko) 2014-06-12 2015-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KR101734844B1 (ko) 2016-11-29 2017-05-15 (주)그린공간정보 도심지 변화에 따른 신생 지형지물 업데이트 도화원도 제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10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on of three-dimensional photography of automotive vehicle interiors for use with a virtual reality display
EP1984908B1 (en) Desktop electronic magnifier
CA2233708C (en) Method for measuring camera and lens properties for camera tracking
JP6562626B2 (ja) 顕微鏡システム
WO2008107720A1 (en) Colour enhanced laser imagery
US20100141751A1 (en) Imaging system for microscope and microscope system
KR101349393B1 (ko) 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KR101834899B1 (ko) 이미지 합성에 따른 도화이미지 내 지형물 변형 편집을 위한 gis 기반 영상편집용 수치도화시스템
JP2006337682A (ja) 映像投影システム
DE102021113391A1 (de) Koordinatenmessgerät mit sichttaster zum durchführen von messvorgängen des typs punkte-aus-fokus
KR101834895B1 (ko) 디지털 공간영상 도화이미지 왜곡을 고려한 보정식 영상 도화장치
KR101834897B1 (ko) 도화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의 자동 합성처리가 가능한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Antinozzi et al. Optimized configurations for micro-photogrammetric surveying adaptable to macro optics and digital microscope
KR20070097162A (ko) 3차원 이미지 자동 생성장치 및 방법
KR102098016B1 (ko)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촬영과 정보합성 처리하는 항공촬영시스템
US9778450B2 (en) Microscope accessory
KR101210546B1 (ko) 수치지도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지아이에스 기반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JP3722073B2 (ja) 比較検査装置及び比較検査方法
JPH024237A (ja) 立体画像表示用装置
JP2005024442A (ja) ステレオ画像撮影装置
JP4346366B2 (ja) 複数画像の合成方法
JP2001117018A (ja) 画像表示装置
US3765094A (en) Stereo-photogrammetric system
JP6263510B2 (ja) 立体表示装置の校正デバイス
KR102670108B1 (ko) 디지털 항공영상 데이터에 수치정보를 자동으로 합성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