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293B1 -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293B1
KR101834293B1 KR1020160104180A KR20160104180A KR101834293B1 KR 101834293 B1 KR101834293 B1 KR 101834293B1 KR 1020160104180 A KR1020160104180 A KR 1020160104180A KR 20160104180 A KR20160104180 A KR 20160104180A KR 101834293 B1 KR101834293 B1 KR 10183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heat exchange
heat exchanger
main
mai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898A (ko
Inventor
심재일
박의문
백영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2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4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living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Y02T70/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공조 시스템은, 메인 열교환기; 상기 메인 열교환기와 열교환하는 메인 열교환 루프;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1 노드로부터 분지되어 제1 서브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고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서브 배관 라인;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1 노드로부터 분지되어 제2 서브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고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서브 배관 라인; 상기 제1 서브 배관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서브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 밸브; 상기 제2 서브 배관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서브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 밸브;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서 상기 제1 서브 배관 라인과 상기 제2 서브 배관 라인에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지나는 유량을 조절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조 시스템{An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일종의 해상 부양 거주 구조물로서 그 내부에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는 거주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거주 공간 내부는 거주자들의 쾌적한 거주를 위하여 일정한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도입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선박 공조 시스템은, 선박 외의 해수 또는 공기를 순환시켜 최초 열교환기(11)과 열교환시키는 최초 열 교환 루프(10)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선박 공조 시스템은, 최초 열교환기(11)와 열 교환하며 메인 열교환기(21)와 열교환하는 전달 열교환 루프(20)을 포함한다.
전달 열교환 루프(20)는 최초 열교환기(11) 및 메인 열교환기(21) 사이에서 루프를 이루는 전달 열교환 배관 라인(23) 및 전달 열교환 배관 라인(23)에 직렬 연결되어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전달 펌프(22)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선박 공조 시스템은, 메인 열교환기(21)와 열교환하여 각각의 룸들(ROOM1, ROOM2)의 서브 열교환기들(32, 31)을 지나는 메인 열교환 루프(30)를 포함한다.
메인 열교환 루프(30)는 각각의 서브 열교환기들(32, 31)을 지나는 메인 열교환 배관 라인(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열교환 배관 라인(34)은 각각의 서브 열교환기들(32, 31)에 직렬 연결될 수 있고, 하나의 배관 라인을 따라 각각의 서브 열교환기들(32, 31)은 직렬 연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열교환 배관 라인에는 메인 펌프(130)이 직렬 연결될 수 있고, 메인 펌프(130)는 메인 열교환 배관 라인을 유동하는 유동 압력 또는 유동량을 가능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메인 열교환기(21)의 열교환 능력 및 허용 압력은 가능한 일정 작동 조건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펌프(130)는 메인 열교환 배관 라인을 흐르는 냉각수들의 유동을 메인 열교환기(21)의 작동 조건 범위에 해당하는 압력이 되도록 메인 열교환기(21)에 도입되는 냉각수의 압력을 일정 범위를 벗어 나지 않도록 일정하게 조절한다.
다만, 전달 열교환 루프로부터 메인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선박 외부의 온도, 예를 들어, 선박이 고온 또는 극한 지방을 지날 때의 대기 또는 해수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메인 열 교환기를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거주자가 각 방의 온도를 필요에 따라 원하는 정도로 조절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의 공조 시스템은, 각각의 서브 열교환기들(32, 31)을 오고 가는 라인에 바이패스 라인들(35, 37)을 구성하고, 바이패스 라인들로 분지되어 흐르는 냉각수의 양을 바이패스 밸브들(36, 38)을 열고 닫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여전히 메인 열교환 배관 라인(34) 전체를 유동하는 총 냉각수의 유동량 또는 유동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각각의 거주구(ROOM1, ROOM2)의 서브 열교환기(31, 32)로 도입되는 냉각수의 양(나머지는 바이패스 라인을 통해 우회시킴)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거주구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공조 시스템은, 메인 열교환 배관 라인(34)을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동량을 일정하게 유지, 즉, 메인 펌프(130)의 가동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시스템이 구성된다.
때문에, 선박이 혹한 지역을 지나는 경우 또는 혹서 지역을 지나는 경우 모두에 안정적인 공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체 시스템의 용량이 비대해질 수 있다.
아울러, 겨울철 또는 혹한 지역과 같인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메인 펌프(130)는 일정한 가동을 유지하며, 이는 에너지 낭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너지 효율적인 선박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외부의 환경 요인을 고려하여 에너지 소모량 또는 펌프 가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선박의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메인 열교환기; 상기 메인 열교환기와 열교환하는 메인 열교환 루프;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1 노드로부터 분지되어 제1 서브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고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서브 배관 라인;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1 노드로부터 분지되어 제2 서브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고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서브 배관 라인; 상기 제1 서브 배관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서브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 밸브; 상기 제2 서브 배관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서브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 밸브;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서 상기 제1 서브 배관 라인과 상기 제2 서브 배관 라인에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지나는 유량을 조절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공조 시스템은, 상기 메인 열교환기와 열교환하는 전달 열교환 루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달 열교환 루프는, 전달 열교환 배관 라인, 상기 전달 열교환 배관 라인에 연결되어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전달 펌프, 상기 전달 열교환 배관 라인을 유동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및 상기 전달 펌프의 가동량을 조절하는 전달 부하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공조 시스템은,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작동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압력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공조 시스템은,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냉각수 유동량을 모니터링하는 유동량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공조 시스템은,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냉각수를 유동시키는 메인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가동량을 조절하는 메인 부하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냉각수 유동량 및 압력을 조절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최초 열 교환 루프(10), 전달 열교환 루프(20) 및 메인 열교환 루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최초 열 교환 루프(10)는, 선박 외의 해수 또는 공기를 순환시켜 최초 열교환기(11)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전달 열교환 루프(20)는 최초 열교환기(11) 및 메인 열교환기(21) 사이에서 루프를 이루는 전달 열교환 배관 라인(23) 및 전달 열교환 배관 라인(23)에 직렬 연결되어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전달 펌프(2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메인 열교환기(21)으로 도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TT, 25) 및 전달 펌프(22)의 가동량, 즉, 가동의 정도를 조절하는 전달 부하 조절부(VSD, 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열교환 루프(100)는 메인 열교환기(21)과 열교환하여 각각의 룸들(ROOM1, ROOM2)의 서브 열교환기들(160, 170)에 냉열을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열교환 루프(100)는 그 내부로 냉각수(또는 냉수)가 유동하는 메인 열교환 배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열교환 루프(100)는 각각의 서브 열교환기들(160, 170)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메인 열교환 루프(100)의 제1 노드(N1)로부터 분지되어 제1 서브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고 메인 열교환 루프(100)의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제1 서브 배관 라인(141); 및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1 노드(N1)로부터 분지되어 제2 서브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고 메인 열교환 루프(100)의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제2 서브 배관 라인(14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제1 서브 배관 라인(14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서브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 밸브(144); 및 제2 서브 배관 라인(142)에 연결되어 제2 서브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 밸브(14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유량 조절 밸브(144)는 제1 서브 배관 라인(141)에 직렬 연결될 수 있고, 제1 유량 조절 밸브(144)는 제2 서브 배관 라인(142)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전달 열교환 루프(20)로부터 메인 열교환기(21)로 도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선박 외부의 온도, 예를 들어, 선박이 고온 또는 극한 지방을 지날 때의 대기 온도 또는 해수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메인 열 교환기(21)를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거주자가 각 방의 온도를 필요에 따라 원하는 정도로 조절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제1 서브 배관 라인(141)으로 도입되는 유량(I1)을 조절함으로써, 예를 들어, 유량(I1)을 줄임으로써, 제1 서브 열교환기(160)에 의해 공조가 이루어지는 제1 거주구(ROOM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배관 라인(142)으로 도입되는 유량(I2)을 조절함으로써, 예를 들어, 유량(I2)을 줄임으로써, 제2 서브 열교환기(170)에 의해 공조가 이루어지는 제2 거주구(ROOM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거주구로서 제1 거주구(ROOM1) 및 제2 거주구(ROOM2) 만을 예시하였으나, 거주구는 3 개 이상일 수 도 있고, 이 때, 다른 거주구들의 서브 열교환기들이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에 연결되어 제1 거주구(ROOM1) 및 제2 거주구(ROOM2)의 서브 열교환기들과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열교환기를 흐르는 유량(I1) 및 제2 서브 열교환기를 흐르는 유량(I2)의 합은 메인 열교환기를 흐르는 총 유량(I3)일 수 있다.
가령, 선박이 혹한 지역을 지나는 경우에, 거주구들은 냉각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조 시스템은, 전달 열교환 루프(20)의 온도 측정기(25)를 이용하여 측정된 냉각수 온도에 상응하는 정도로, 전달 부하조절부(24)를 이용하여, 전달 펌프(22)의 가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전달 열교환 루프(20)에서, 메인 열교환기(21)로 도입되는 냉각수의 유동량 및 유동 압력은 메인 열교환기(21)의 허용 조건 내로 제한될 것이다.
또한, 앞서와 같이 거주구들의 냉각을 원하지 않거나 필요치 않은 경우에, 제1 유량 조절 밸브(144) 및 제2 유량 조절 밸브(145)를 폐쇄에 가깝게 줄여 제1 서브 열교환기(160) 및 제2 서브 열교환기(170)으로 각각 도입되는 유량(I1) 및 유량(I2)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메인 펌프(130)의 작동량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냉각수의 유동 압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증가의 해소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서 제1 서브 배관 라인(141)과 제2 서브 배관 라인(142)에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143) 및 바이패스 라인(143)에 연결되어 바이패스 라인(143)을 지나는 유량을 조절하는 바이패스 밸브(14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유량 조절 밸브(144) 및 제2 유량 조절 밸브(145)의 조절에 상응하여, 바이패스 밸브(146)가 바이패스 라인(143)를 지나는 유동량(BPI)을 조절함으로써, 메인 펌프(130)의 가동 정도 및 총 유량(I3)이 일정할 때, 압력 증가를 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위와 같은 상황에서, 바이패스 라인(143)을 지나는 냉각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펌프(130)의 가동량을 줄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메인 펌프(130)의 가동 부하를 조절하는 메인 부하조절부(VSD, 1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부하 조절부(120)에 의해, 메인 펌프(130)의 가동의 정도 또는 에너지는 감소될 수 있고, 제1 서브 열교환기 및 제2 서브 열교환기로 각각 도입되는 유량(I1) 및 유량(I2)의 감소에 상응하도록 메인 열교환기(21)를 지나는 총 유량(I3)이 감소될 수 있다.
메인 열교환기(21)는 그 작동을 위한 최소한의 작동 압력 및 작동 유동량에 관한 조건을 가지므로, 메인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냉각수의 유동량 및 유동 압력을 그러한 조건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메인 열교환 루프의 작동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압력 측정부(PT, 150) 및 메인 열교환 루프의 냉각수 유동량을 모니터링하는 유동량 측정부(FT, 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시스템은, 선박 외부의 온도와 같은 외부 주변 상황 및 거주구의 공조 시스템 사용 요구, 예를 들어, 거주구 내에 거주자가 없어 공조 시스템의 작동이 불필요한 상황과 같은 운항 상황에 맞추어, 전달 펌프(22) 또는 메인 펌프(130)의 부하를 조절할 수 있고, 이 때, 유동량 측정부(FT, 110)에 의해, 메인 열교환기(21)을 지나는 총 유량(I3)이 허용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바이패스 밸브(146)를 조절하여 바이패스 라인(143)을 지나는 유량(BPI)을 조절하거나 메인 펌프(130)의 부하를 조절하여, 메인 열교환기(21)을 지나는 총 유량(I3)이 허용 조건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압력 측정부(PT, 150)에 의해, 메인 열교환기(21)을 지나는 냉각수의 유동 압력이 허용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마찬가지로 바이패스 밸브(146)를 조절하여 바이패스 라인(143)을 지나는 유량(BPI)를 조절하거나 메인 펌프(130)의 부하를 조절하여, 메인 열교환기(21)을 지나는 냉각수의 유동 압력이 허용 조건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냉각수 유동량 및 압력을 조절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우선 거주구 룸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S100).
이어, 거주구 룸의 온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요구 온도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한다(S110).
만일, 거주구 룸 온도가 요구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해당 거주구의 서브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유동량 조절 밸브가 개방될 수 있다(S114). 즉, 유동량 조절 밸브를 개방하여, 해당 거주구의 서브 열교환기로 냉열의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동량 조절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경우, 전체 메인 열교환 루프의 유동 저항을 감소 또는 증가될 것이다. 이는,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전체 유동량 및 유동 압력을 변동을 수반할 수 있다.
이에, 압력 측정부(150)을 이용하여,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S300).
이어, 측정된 압력이 요구 압력을 만족하는 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S310). 만일 요구 압력이 만족된다면, 메인 펌프의 작동 속도, 즉, 부하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바이패스 밸브(146) 역시 현상을 유지할 수 있다(S312).
만일, 단계(S310)에서, 요구 압력이 만족되지 않는 다면, 즉, 메인 열교환 루프 내의 압력이 허용 조건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바이패스 밸브(146)가 폐쇄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20).
만일 바이패스 밸브(146)가 폐쇄되어 있다면, 펌프의 작동 속도를 증가시켜 유동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S324). 또는, 바이패스 밸브(146)가 폐쇄되지 않았다면, 바이패스 밸브(146)를 폐쇄하여 유동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S322).
이후, 압력 측정 단계(S330)이 다시 시작될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146)의 폐쇄(S322) 및 펌프 작동 속도의 증가(부하 증가)(S324)에 따른 메인 열교환 루프의 압력이 요구 압력을 만족하도록 유지된다.
만일, 단계(S110)에서, 거주구 룸 온도가 요구 온도보다 낮은 경우, 해당 거주구의 유동량 조절 밸브는 폐쇄될 수 있다(S112).
유동량 조절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경우, 전체 메인 열교환 루프의 유동 저항을 감소 또는 증가될 것이다. 이는,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전체 유동량 및 유동 압력을 변동을 수반할 수 있다.
이에, 압력 측정부(150)을 이용하여,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S200).
이어, 측정된 압력이 요구 압력을 만족하는 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S210). 만일 요구 압력이 만족된다면, 메인 펌프의 작동 속도, 즉, 부하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바이패스 밸브(146) 역시 현상을 유지할 수 있다(S214).
만일, 단계(S210)에서, 요구 압력이 만족되지 않는 다면, 즉, 메인 열교환 루프 내의 압력이 허용 조건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펌프 작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S212).
펌프 작동 속도의 감소, 즉, 펌프 부하의 감소는 메인 열교환기를 흐르는 총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메인 열교환기를 흐르는 총 유량은 메인 열교환기의 허용 유동량 조건을 벗어날 수 있다.
이에, 유동량 측정부를 이용하여 메인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냉각수의 유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S216).
이어, 시스템이 요구하는 최소 유동량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확인(S220)할 수 있고, 만일, 그러한 시스템 요구 최소 유동량이 만족된다면, 다시 압력 측정 단계(S200)으로 회귀하여, 펌프 작동 부하 감소에 따른 압력 감소가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재 확인할 수 있다.
만일, 단계(S22)에서, 시스템 요구 최소 유동량이 만족되지 않는 다면, 바이패스 밸브(146)를 개방할 수 있다(S216). 바이패스 밸브(146)를 개방함으로써,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전체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동일한 메인 펌프 부하 대비 전체 냉각수 유동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어, 압력 측정 단계(S200)로 회귀하여, 바이패스 밸브 개방에 따른 압력 감소가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재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최초 열교환 루프 20: 전달 열교환 루프
100: 메인 열교환 루프 110: 유동량 측정부
120: 메인 부하조절부 130: 메인 펌프
150: 압력 조절부

Claims (5)

  1. 메인 열교환기;
    상기 메인 열교환기와 열교환하는 메인 열교환 루프;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1 노드로부터 분지되어 제1 서브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고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서브 배관 라인;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1 노드로부터 분지되어 제2 서브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고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서브 배관 라인;
    상기 제1 서브 배관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서브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 밸브;
    상기 제2 서브 배관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서브 열교환기로 도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 밸브;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서 상기 제1 서브 배관 라인과 상기 제2 서브 배관 라인에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지나는 유량을 조절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열교환기와 열교환하는 전달 열교환 루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달 열교환 루프는, 전달 열교환 배관 라인, 상기 전달 열교환 배관 라인에 연결되어 유동 압력을 제공하는 전달 펌프, 상기 전달 열교환 배관 라인을 유동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및 상기 전달 펌프의 가동량을 조절하는 전달 부하 조절부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작동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압력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냉각수 유동량을 모니터링하는 유동량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열교환 루프의 냉각수를 유동시키는 메인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가동량을 조절하는 메인 부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KR1020160104180A 2016-08-17 2016-08-17 공조 시스템 KR10183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80A KR101834293B1 (ko) 2016-08-17 2016-08-17 공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80A KR101834293B1 (ko) 2016-08-17 2016-08-17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898A KR20180019898A (ko) 2018-02-27
KR101834293B1 true KR101834293B1 (ko) 2018-03-06

Family

ID=6139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180A KR101834293B1 (ko) 2016-08-17 2016-08-17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2398A (zh) * 2018-08-23 2019-01-29 中国建筑西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空调冷、热水输配系统和方法
CN111846185A (zh) * 2020-08-05 2020-10-30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全洁净新风中央空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63B1 (ko) 2011-12-22 2013-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101608450B1 (ko) 2015-07-29 2016-04-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및 해양플랜트용 냉각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63B1 (ko) 2011-12-22 2013-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101608450B1 (ko) 2015-07-29 2016-04-0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및 해양플랜트용 냉각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898A (ko)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4435B2 (ja) フリークーリング用の冷熱源装置並びに冷却システム及び冷却方法
CA2484803A1 (en) Variable air volume system including btu control function
US10012396B2 (en) Combined space conditioning or heating and water heating system
CN109582057A (zh) 一种环境风洞温度控制系统
JP4817073B2 (ja) フリークーリングを用いた冷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5571023B (zh) 空调系统
KR101834293B1 (ko) 공조 시스템
CN103851713B (zh) 空调系统以及对空调系统进行控制的方法
WO2012096265A1 (ja) 熱源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864587B2 (ja) 熱媒体配管システム
JP5856520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および空調制御方法
CN112082290B (zh) 流量控制模块和用于控制循环系统中的流量的方法
JP5486425B2 (ja) 水熱源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配管システム
JP5515179B2 (ja) 冷却用熱交換器の運転方法、及び、その運転方法を実施するのに使用する外気調整システム
US20110112693A1 (en) Water cooling system of build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9138997A (ja) 外気冷熱回収制御システムおよび外気冷熱回収制御方法
FI122650B (fi) Menetelmä, lämmönsiirtojärjestelmä, säätöjärjestelmä ja tietokoneohjelmatuote lämmönsiirtojärjestelmän ohjaamiseksi
JP2008020168A (ja) 空調システム
WO2006078773A2 (en) Heat recovery system for hatcheries
CN113950599A (zh) 设备管理装置、热源系统、管理装置和设备管理系统
JP2009257600A (ja) 外気取入システム
CN220601654U (zh) 供水系统
KR102580588B1 (ko) 열원 시스템
JP2004125316A (ja) 空調機の制御方法及び空調機
US20230347789A1 (en) Heat exchang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