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588B1 - 열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588B1
KR102580588B1 KR1020210037930A KR20210037930A KR102580588B1 KR 102580588 B1 KR102580588 B1 KR 102580588B1 KR 1020210037930 A KR1020210037930 A KR 1020210037930A KR 20210037930 A KR20210037930 A KR 20210037930A KR 102580588 B1 KR102580588 B1 KR 10258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temperature
heat source
control unit
sourc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330A (ko
Inventor
오카자키 노리오미
마츠모토 유지
쿠리하라 요시호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3Indoor unit with water as a heat sink or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6Several compression cycle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3Pump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실시형태에 따르면 열원 시스템은 액체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복수의 열원기와 상기 복수의 열원기와 액체를 순환시키는 배관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측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열원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열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부하측 장치의 부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부하측 장치의 부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온도 센서가 취득하는 상기 부하 온도를 취득하고 해당 취득한 온도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송신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열원기의 단수(段數) 및 상기 배관을 흐르는 액체의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부하 온도가 목표 온도가 되도록 조절한다.

Description

열원 시스템{HEAT SOURCE SYSTEM}
실시형태는 열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련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20년 3월 24일에 출원된 일본국특허출원 2020-052457호에 따른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내용 전체가 참조를 통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배경기술
복수의 열원기와 복수의 공기열교환기를 구비하고 공기열교환기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원 장치가 알려져 있다.
복수의 열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정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각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조 장치 등의 부하측 장치에는 각각 컨트롤러가 대응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실내 공간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가 각 컨트롤러와 통신을 함으로써 공기열 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 공간의 온도 등을 취득하고 이 취득한 온도 등에 따라 복수의 열교환기에 지시를 송신함으로써 열원기로부터 공조 장치로 흐르는 매체의 온도와 유량을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조절하여 각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정해 왔다. 이 때문에 열원기와 공조 장치를 잇는 배관에 공조 장치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이처럼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기 때문에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는 비용 및 유량조절밸브를 관리하기 위한 비용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목적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열원 시스템을 얻는 것이다.
도1은, 실시형태에 따른 열원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열원기의 컨트롤러가 실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열원 시스템은 액체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복수의 열원기와 상기 복수의 열원기에 액체를 순환시키는 배관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측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열원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열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부하측 장치의 부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부하측 장치의 부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온도 센서가 취득하는 상기 부하 온도를 취득하고 해당 취득한 온도를 상기 제1 제어부에 송신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열원기의 단수 및 상기 배관을 흐르는 액체의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부하 온도가 목표 온도가 되도록 조정한다.
지금부터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개시는 어디까지나 일례에 불과하며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은 당연히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에서 각 부분의 사이즈, 형상 등을 실제의 실시 양태와 다르게 변경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복수의 도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도1은 실시형태의 열원 시스템(101)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열원 시스템(101)은, 열매체인 액체로서 물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원 시스템(101)은 복수의 열원기(102),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103a, 103b, 103c), 열원기(102)와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과의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송수관(104) 및 환수관(105), 송수관(104)에서 열원기(102)측과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측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송수측 헤더(107). 환수관(105)에서 열원기(102)측과 복수의 부하측장치(103)측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환수측 헤더(108), 환수관(105)를 환류하는 물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팽창 탱크(109)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열원 시스템(101)은, 각 열원기(102)에 구비되는 1차 펌프(111)과 송수측 헤더(107)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2차 펌프를 통하여 물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된 복식펌프식 열원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열원 시스템(101)은, 열원기(102)를 통하여 소정의 송수 설정 온도로 조정한 물을 송수관(104)를 통하여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측으로 보내며,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측으로부터 물이 환수관(105)를 통하여 열원기(102)측으로 환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속이 빈 화살표(W1)은 열원기(102)로부터 송수관(104)를 거쳐 송수측 헤더(107)로 흘러 들어가는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속이 빈 화살표 (W21, W22, W23)은 송수측 헤더(107)로부터 각 부하측 장치(103a, 103b, 103c)로 각기 흘러 들어가는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 화살표 (W21, W22, W23)는 예를 들면 배관길이 등을 고려하여 배관의 직경을 조절하고 각각 유량이 동일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W21)=(W22)=(W23)이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의 열원 시스템(101)에 있어서 부하측 장치(103)으로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부하측 장치(103)으로 송수되는 물의 유량(W21. W22, W23)은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하측 장치(103)을 통과한 물은 각기 환수측 헤더(108)로 흘러 들어간다. 속이 빈 화살표(W3)은 환수측 헤더(108)으로부터 복수의 열원기(102)로 흘러 들어가는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은 예를 들면 빌딩의 공기를 조절하는 공조 장치와 공장에 설치되는 세정 장치, 건조 장치,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장치 등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은 실내 공조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은 (103a), (103b), (103c)으로 3대의 경우로 설명을 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조의 대상이 되는 공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열원기(102)는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 혹은 고장이 났을 때에 백업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2대에서 10여대 정도의 복수대가 설치되어 있다. 각 열원기(102)는 열처리부(110), 1차 펌프(111), 열원교환기(111a), 열원기(102)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유닛 컨트롤러(112) 등을 갖추고 있다.
열처리부(110)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열원기(102)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물과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로서 수열교환기(111a)에 공급되는 물을 냉각 및/또는 가열한다. 또한 열처리부(110)로서는 이른바 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것, 이른바 냉수를 생성할 수 있는 것, 온수 및 냉수 중 어느 것도 생성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1차 펌프(111)은 도시가 생략된 인버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며 수열교환기(111a)의 입구측에서 환수관(105)에 접속되어 있다. 이 1차 펌프(111)은 환수관(105)를 흐르는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조정한 후에 수열교환기(111a)로 보내고 있다. 이를 통하여 수열교환기(111a)에 일정한 압력으로 물이 보내지게 되어 수열교환기(111a)에 있어서 적절한 열교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유닛 컨트롤러(112)는 열원기(102)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며 수열교환기(111a)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량의 제어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 유닛 컨트롤러(112)는 열원 시스템(101) 전체를 제어하는 모듈 컨트롤러(제1 제어부)(113)에 접속되어 있다.
모듈 컨트롤러(113)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대 설치되어 있는 열원기(102) 중의 1대에 내장되어 있으며 열원 시스템(10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지령을 각 열원기(102)로 출력하면서 각 열원기(102)의 운전 상태를 취득한다.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103a, 103b, 103c)는 예를 들면 체육관과 같은 어느 정도 용량이 큰 소정의 공간인 공조 대상 공간(A)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에서는, 부하측 장치(103)은 해당 공조 대상 공간(A)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 공조 장치이다. 이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을 동작 시켜 공조 대상 공간(A) 내부의 공기와 부하측 장치(103)을 통과하는 물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함으로써 공조 대상 공간(A)의 공조를 조정한다.
부하측 장치(103)(103a, 103b, 103c)는 각각 유닛 컨트롤러(121) (121a, 121b, 121c), 온도 센서(122)(122a, 122b, 122c), 급기 덕트(123)(123a, 123b, 123c)를 보유하고 있다. 유닛 컨트롤러(121)은 자신이 구비되는 부하측 장치(103)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즉, 부하측 장치(103)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유닛 컨트롤러(121)에는 온도 센서(122)가 접속되어 있어 이 온도 센서(122)는 급기 덕트(123)에 각각 구비된다. 온도 센서(122)는 예를 들면 급기 온도 측정용의 서미스터이다. 이처럼 온도 센서(122)가 구비되기 때문에 유닛 컨트롤러(121)는 자신이 구비되는 부하측 장치(103)의 급기 덕트(123)의 온도를 온도 센서(122)를 통하여 각각 검출 할 수 있다.
또한 부하측 장치(103a)에는 모듈 컨트롤러(제2 제어부)(120)이 설치되어 있다. 모듈 컨트롤러(120)은 유닛 컨트롤러(121a, 121b, 121c)와 접속되어 있어, 유닛 컨트롤러(121a, 121b, 121c)로부터 각각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닛 컨트롤러(121a, 121b, 121c)로부터 온도 센서(122a, 122b, 122c)가 검출하는 온도(즉, 급기 덕트(123)의 온도)를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센서(122)에 대해 모듈 컨트롤러(120)과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경우로 설명하지만 온도 센서(122)가 체육관 (소정의 공간)(A)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온도 센서(122)가 모듈 컨트롤러(120)과 직접 접속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모듈 컨트롤러(120)은 열원기(102)의 모듈 컨트롤러(113)과 통신회선(N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통신회선(N1)을 통하여 열원기(102)의 모듈 컨트롤러(113)과 부하측 장치(103)의 모듈 컨트롤러(120)과는 서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열원 시스템(101)에서 실행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는 모듈 컨트롤러(113)이 실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기동 시간에 공조 대상 공간(A) 내부의 공조가 소정의 목표 온도가 되도록 스케줄되어 있어 해당 스케줄에 따라 모듈 컨트롤러(113)이 열원기(102)를 제어하는 경우를 들어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컨트롤러(113)은 열원기(102)의 기동 시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ST101). 열원기(102)의 기동 시간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ST101:NO), 모듈 컨트롤러(113)은 스텝 (ST101)의 판정 처리를 반복한다. 즉, 열원 시스템(101)은 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원기(102)가 기동 시간에 된 경우에 본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는데, 공조 대상 공간(A)(소정의 공간) 내부의 어느 한 장소에 조작부를 마련하여 해당 조작부의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 본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한편, 열원기(102)의 기동 시간이라고 판정된 경우(ST101:YES), 모듈 컨트롤러(113)은 열원기(102)를 기동한다 (ST102). 다음으로 모듈 컨트롤러(113)은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을 각각 기동시킨다 (ST103). 이와 같이 부하측 장치(103)가 기동되면 열원 시스템(101)은 공조를 개시한다(ST104). 보다 상세하게는 각 열원기(102)가 동작하고 열원기(102)로부터 송수 설정 온도로 조정된 물이 송수관(104)를 흘러 각 부하측 장치(103)을 통과한 후, 환수관(105)를 통하여 열원기(102)로 환수되게 된다.
다음으로 열원기(102)로부터 부하측 장치(103)로 온도를 취득하라는 지시를 한다(ST105). 구체적으로는 열원기(102)의 모듈 컨트롤러(113)은 통신회선(N1)을 통하여 부하측 장치(103a)의 모듈 컨트롤러(120)에 대해 각 부하측 장치(103)의 온도 센서(123a)가 검출하고 있는 온도를 취득하도록 지시를 송신 한다. 부하측 장치(103a)의 모듈 컨트롤러(120)이 해당 지시를 수신하면 모듈 컨트롤러(120)은 유닛 컨트롤러(121a, 121b, 121c)로부터 온도 센서(123a, 123b, 123c)가 각각 검출하고 있는 급기 덕트의 급기 덕트 온도를 각각 취득한다. 또한 모듈 컨트롤러(120)은 이와 같이 취득한 급기 덕트 온도를 열원기(102)의 모듈 컨트롤러(113)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열원기(102)의 모듈 컨트롤러(113)은 부하측 장치(103a)의 모듈 컨트롤러(120)으로부터 각 부하측 장치(103)의 급기 덕트 온도를 취득한다. (ST106). 이를 통하여 모듈 컨트롤러(113)은 공조 대상 공간(A)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부하측 장치(103)의 급기 덕트 온도를 취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듈 컨트롤러(113)은 공조 대상 공간(A)의 내부가 스케줄 상의 목표 온도가 되도록, 가동하는 열원기(102)의 단수(段數) 및 유량을 변경한다(ST107).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 대상 공간(A) 내부의 온도가 목표 온도가 되도록 열원기(102) 내부의 단수(段數, 가동 대수) 및 송수되는 물의 유량이 조정되어 조정된 물이 송수관(104)를 통하여 각 부하측 장치(103)으로 흐른다. 그리고 각 부하측 장치(103)을 통과한 물은 환수관(105)를 거쳐 복수의 열원기(102)로 환수된다. 이 때,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에 의해 공조 대상 공간(A) 내부의 공기와 부하측 장치(103)을 통과하는 물 사이의 열교환이 실행된다.
다음으로 모듈 컨트롤러(113)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T108). 모듈 컨트롤러(113)에 의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이 된 경우 (ST108:YES), 처리는 스텝 ST105의 처리로 돌아간다. 이를 통하여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 마다 각 부하측 장치(103)의 급기 덕트의 온도가 취득되어 그 취득한 온도와 목표온도에 따라 열원기(102)의 동작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조 대상 공간(A)의 공기의 온도가 서서히 목표 온도에 접근한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스케줄을 설정할 때에 열원 시스템(101)의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
한편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ST108:NO), 모듈 컨트롤러(113)은 종료 시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ST109). 종료 시각은 스케줄로서 사전에 설정되어 있으며 종료 시각은 예를 들면 공조 대상 공간(A)의 이용 시간의 종료 시각이다. 모듈 컨트롤러(113)이 종료 시각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ST109:NO), 처리는 스텝 ST108의 처리로 돌아가며 종료라고 판정한 경우(ST109:YES), 이 처리를 종료한다. 즉 모듈 컨트롤러(113)은 열원기(102) 및 각 부하측 장치(103)의 동작을 정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열원 시스템(101)에 따르면 모듈 컨트롤러(113)은 모듈 컨트롤러(120)으로부터 취득한 각 부하측 장치(103)의 온도 센서(123)이 검출한 온도에 따라, 복수의 열원기(102)의 단수(段數, 가동하는 대수) 및 송수관(104)로 송수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여, 공조 대상 공간(A) 내부의 실내 온도가 목표온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열원기(102) 내부의 1차 펌프(11)의 변류량 제어를 통하여 공조 대상 공간(A) 내부의 실내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부하측 장치(103)에 송수관(104)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열원 시스템(101)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원 시스템(101)은 열원 시스템(101)의 배관 시스템의 부하가 감소했을 때에 유량조절밸브의 개도(開度)가 작아졌을 때의 폐색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패스 배관 (송수측 헤더(107) 보다 상류측이자 환수측 헤더(108)보다 하류측에서 부하측 장치(103)와 병행하여 배치된 배관), 바이패스 배관의 유량을 조절하는 바이패스 유량조절밸브, 부하측 장치(103)측에 배치되는 차압계, 부하측 장치(103)측에서 부하측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계, 왕수 및 환수 온도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열원기(102)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복수의 부하측 장치(103)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한 환경을 정비하기 위한 비용 및 시공 비용이 불필요해질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센서(123)을 부하측 장치(103)의 급기 덕트에 설치하게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공조 대상 공간(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체육관) 내부의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부하측 장치(103))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해당 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온도를 열원기(102)의 모듈 컨트롤러(113)이 부하측 장치(103a)의 모듈 컨트롤러(120)으로부터 취득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열원기(102)로부터 부하측 장치(103)으로 송수되는 송수 설정 온도를 변경하는 제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으나 다음과 같이 송수 설정 온도의 제어를 실행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즉, 모듈 컨트롤러(113)이 1차 펌프(11)을 운전하는 운전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의 역치(상한 주파수 및 하한 주파수)를 사전에 설정해 둔다. 그리고 1차 펌프(11)의 운전 주파수가 역치를 초과한 경우 모듈 컨트롤러(113)이 열원기(102)의 송수 설정 온도를 변경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듈 컨트롤러(113)은 상한 주파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송수 설정 온도를 올리면서 운전 주파수를 낮추고, 하한 주파수 미만인 경우는 송수 설정 온도를 낮추고 운전 주파수를 올린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체육관처럼 어느 정도 넓은 공조 대상 공간으로 설정을 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개로 구획된 작은 공간을 합친 공조 대상 공간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작은 공간의 열부하에 대하여 대응하는 대수의 부하측 장치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을 하게 되면 부하의 증감에 따라 1차 펌프(11)의 운전 주파수가 상한 주파수 또는 하한 주파수에 도달한 경우 송수 설정 온도가 변화하여 열원기(102)의 양정의 최고 주파수 또는 최저 주파수에서 운전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열원기(102) 내부의 1차 펌프(11)에서의 변류량 제어를 통한 온도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열원기(102)의 운전 범위가 좁아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신규한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의 형태 상의 각종 생략, 치환,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에 포함되는 형태 또는 수정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Claims (4)

  1. 운전 주파수의 상한 주파수와 하한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펌프를 구비하고, 액체를 송수 설정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하는 복수의 열원기와, 상기 복수의 열원기와 액체를 순환시키는 배관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측 장치를 포함하는 열원 시스템이며,
    상기 복수의 열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부하측 장치의 부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부하측 장치의 부하 온도를 검출하는 것과 함께 상기 부하측 장치의 운전 제어에 사용되는 온도 센서,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의 요구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가 취득하는 상기 부하 온도를 취득하고, 해당 취득한 온도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송신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열원기의 단수(段數)를 제어하면서 상기 펌프의 상기 운전 주파수를 변경하여, 상기 배관을 흐르는 액체의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운전 주파수가 상기 상한 주파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송수 설정 온도를 올리면서 상기 운전 주파수를 낮추고, 상기 운전 주파수가 상기 하한 주파수 미만인 경우, 상기 송수 설정 온도를 낮추면서 상기 운전 주파수를 올려, 상기 부하 온도가 목표 온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열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 장치는 소정의 공간 내부의 공조를 조절하는 공조 장치이며,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공조 장치의 급기 덕트 또는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되는,
    열원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하측 장치에 각각 보내지는 상기 액체의 유량은 동일 유량인,
    열원 시스템.
  4. 삭제
KR1020210037930A 2020-03-24 2021-03-24 열원 시스템 KR102580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52457A JP7455627B2 (ja) 2020-03-24 2020-03-24 熱源システム
JPJP-P-2020-052457 2020-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330A KR20210119330A (ko) 2021-10-05
KR102580588B1 true KR102580588B1 (ko) 2023-09-19

Family

ID=7788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930A KR102580588B1 (ko) 2020-03-24 2021-03-24 열원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55627B2 (ko)
KR (1) KR1025805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49B1 (ko) * 2013-12-03 2018-06-08 미츠비시 쥬코 서멀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열원기 운전대수 제어장치, 열원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6434848B2 (ja) 2015-03-31 2018-12-05 三機工業株式会社 熱源制御システム
JP2019194506A (ja) 2018-05-01 2019-11-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制御装置、熱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8786B2 (ja) * 2001-11-02 2008-11-12 株式会社大林組 空調・熱源設備最適抑制制御システム
JP2009030821A (ja) 2007-07-24 2009-02-12 Yamatake Corp 送水制御システムおよび送水制御方法
JP5001098B2 (ja) 2007-09-06 2012-08-15 アズビル株式会社 熱源制御装置および熱源制御方法
JP5314542B2 (ja) * 2009-09-07 2013-10-16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冷水循環システム
KR20160012795A (ko) * 2014-07-25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JP6314262B1 (ja) * 2017-01-27 2018-04-18 スリーベネフィッツ株式会社 熱源システム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1148390A (ja) 2020-03-23 2021-09-2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熱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49B1 (ko) * 2013-12-03 2018-06-08 미츠비시 쥬코 서멀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열원기 운전대수 제어장치, 열원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6434848B2 (ja) 2015-03-31 2018-12-05 三機工業株式会社 熱源制御システム
JP2019194506A (ja) 2018-05-01 2019-11-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制御装置、熱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330A (ko) 2021-10-05
JP2021152420A (ja) 2021-09-30
JP7455627B2 (ja)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7992B2 (en) Air-conditioning system using control of number of compressors based on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s
JP2022137259A (ja) 主制御装置での建物の改装により冷却システムの作動効率を改善する方法
EP2362164A2 (en) Heat pump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657110B2 (ja) 温度調節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US20160033158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ystem
JP5622859B2 (ja) 熱源装置
JP2012141113A (ja) 空気調和温水機器システム
JP6644559B2 (ja) 熱源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20170041129A (ko)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WO2019193649A1 (ja) 制御装置、室外機、熱源機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5286479B2 (ja) 冷水循環システム
KR102580588B1 (ko) 열원 시스템
JP5595975B2 (ja) 空調配管システム
US11255582B2 (en) HVAC systems and methods with multiple-path expansion device subsystems
JP5486425B2 (ja) 水熱源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配管システム
CN113950599B (zh) 设备管理装置、热源系统、管理装置和设备管理系统
JP6939894B2 (ja) 建築設備の管理システム
WO2020035944A1 (ja) 熱源システム
JP5285925B2 (ja) 空調システム
KR101382129B1 (ko) 냉·난방 부하 변동에 따른 냉·열원장비의 자동제어시스템
WO2012047391A2 (en) Hot water prioritization
WO2016024504A1 (ja) 負荷分配システム
US20230069910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6252636B2 (ja) 負荷分配システム
JP2016102635A (ja) 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