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905B1 - 용기, 패키지, 및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패키지, 및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905B1
KR101833905B1 KR1020177018059A KR20177018059A KR101833905B1 KR 101833905 B1 KR101833905 B1 KR 101833905B1 KR 1020177018059 A KR1020177018059 A KR 1020177018059A KR 20177018059 A KR20177018059 A KR 20177018059A KR 101833905 B1 KR101833905 B1 KR 10183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crew groove
inner stopper
solder ball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333A (ko
Inventor
이사무 사토
다카후미 사노
다이스케 소우마
히로키 오니시
유지 아라키
Original Assignee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5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Abstract

수납된 땜납 볼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땜납 볼 용기(10)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용기 본체(20)와, 용기 본체(20)의 개구부(23)를 덮는 평판부(41)와, 용기 본체(3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부(42)를 가지는 덮개부(40)와, 덮개부(40)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내측 마개부(50)를 가진다. 평판부(41)는, 그 외주를 따라 설치되는 돌조부(44, 45)를 가진다. 내측 마개부(50)는, 덮개부(40)로 용기 본체(20)를 폐지했을 때에, 돌조부(44, 45)와 용기 본체(20)의 가장자리부(24)의 사이에 끼워져, 용기 본체(20)의 개구부(23)를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용기, 패키지, 및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CONTAINER, PACKAGE AND METHOD FOR CLOSING CONTAINER}
본 발명은, 땜납 볼 용기 및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로부터,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전자 부품도 매우 소형으로 되고 있다. 또한, 이 전자 부품은, 다수의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부품으로 되어 있다. 다기능 부품으로서는 BGA(Ball Grid Array)나 CSP(Chip Size Package) 등이 있으며, 이러한 다기능 부품에는 다수의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다기능 부품을 프린트 기판에 실장할 때에는, 전극과 프린트 기판의 랜드를 납땜한다.
또한, QFP(Quad Flat Package)나 SOIC(Small Outlined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전자 부품에서는, 내부에 다수의 전극을 가지는 베어 칩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전극이 전자 부품의 기판과 납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납땜시에, 많은 설치 개소나 매우 작은 전극에 대하여 개별로 땜납을 공급하는 것에는, 많은 수고가 든다. 또한, 미소한 납땜부에 개별로 정확하게 땜납을 공급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다기능 부품이나 베어 칩에 관한 납땜에 있어서는, 미리 전극에 땜납을 부착시켜 땜납 범프를 형성해 두고, 납땜시에 이 땜납 범프를 용융함으로써 납땜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땜납 범프의 형성에는, 솔더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땜납 볼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종래는 비용이 저렴한 솔더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형성되는 범프가 30∼200㎛로 미소한 것이 요구되도록 되고 있는 점이나, 땜납 볼에 의한 범프의 쪽이 실장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요구되는 범프 높이와 동일한 직경인 땜납 볼을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도록 되었다. 특히, BGA나 CSP의 외부 단자용의 전극이나 부품 내부의 베어 칩 접합용의 전극에는, 실장의 높이의 확보가 중요하고, 땜납 볼의 사용이 없어서는 안된다.
땜납 볼을 다수의 전극에 탑재할 때에는, 땜납 볼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구멍이 형성된 팔레트 상에 땜납 볼을 투입하여 팔레트를 요동함으로써, 팔레트의 구멍에 땜납 볼을 정렬시킨다. 계속해서, 땜납 볼 탑재 헤드에 땜납 볼이 탑재된다. 그 때문에, 땜납 볼의 애스펙트비가 크고, 입경에 오차가 있으면, 전극으로의 탑재가 불가능하게 되어버린다. 엄밀한 땜납량이 확보되고, 실장의 높이가 확보되기 위해서는, 땜납 볼 1개씩의 입경에 오차가 없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땜납 볼이 미소해짐에 따라, 땜납 전량에 대한 땜납 볼의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땜납 볼의 표면이 산화되어 황변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황변은, 땜납 볼이 대기 중에 노출되고, 땜납 볼 중의 Sn이 대기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것에 기인한다. Sn의 산화막이 황색이기 때문에, 산화막이 두꺼워지면 땜납 볼 전체가 황색으로 변색되어 보인다.
이에 대하여, 미소 땜납 볼을 수용하는 용기를 통기성 재료로 구성하고, 이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탈산소 건조제를 용기와 함께 봉지 부재 내에 수납하여 기밀 상태로 밀봉하는 미소 땜납 볼의 보존용 패키지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에 따르면, 땜납 볼 표면의 산화 및 황변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4868267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땜납 볼 용기에 있어서, 작은 입경(예를 들면, 0.1㎜ 이하)의 땜납 볼을 수납하는 경우, 땜납 볼 용기의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와 덮개 부재의 사이의 미소한 간극에 땜납 볼이 끼워질 우려가 있다. 상기 간극에 땜납 볼이 끼워지면, 예를 들면 땜납 볼 용기를 반송하고 있을 때에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움직임으로써, 땜납 볼이 찌그러지고, 땜납 볼의 진구도(眞球度)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의 하나는, 수납된 땜납 볼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땜납 볼 용기 및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땜납 볼 용기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부를 가지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내측 마개부를 가지고, 상기 평판부는, 그 외주를 따라 설치되는 돌조부(突條部)를 가지고, 상기 내측 마개부는, 상기 덮개부로 상기 용기 본체를 폐지했을 때에, 상기 돌조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일 형태의 땜납 볼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그 외주면에 제 1 나사 홈을 가지고, 상기 덮개부의 상기 측부는, 그 내주면에 제 2 나사 홈을 가지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 나사 홈에 대하여 상기 제 2 나사 홈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를 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마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열린 때에 상기 제 2 나사 홈에 의해,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 유지된다.
일 형태의 땜납 볼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부는, 도전성을 가진다.
일 형태의 땜납 볼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측면부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바닥부의 직경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된다.
일 형태의 땜납 볼 용기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는, 상기 평판부의 외주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조부의 직경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내경보다도 작다.
일 형태의 땜납 볼 용기에 있어서, 상기 땜납 볼 용기는, 입경이 0.1㎜ 이하의 땜납 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는, 상기 땜납 볼 용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한 유지 부재와, 상기 땜납 볼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탈산소 건조제와, 상기 땜납 볼 용기와,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탈산소 건조제를 수용하여 밀폐 상태로 밀봉된 비통기성의 봉지 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된 땜납 볼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땜납 볼 용기 및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땜납 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덮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덮개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덮개부의 부분 A1의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용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내측 마개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내측 마개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개부로 폐지한 상태의 땜납 볼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밀폐 전의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밀폐 후의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땜납 볼 용기 및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땜납 볼 용기의 사시도이다. 땜납 볼 용기(10)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20)와, 용기 본체(20)의 도시하지 않는 개구부를 폐지하기 위한 덮개부(40)를 가진다. 용기 본체(20)는, 땜납 볼을 수용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고, 덮개부(40)는 개구부를 폐지함으로써, 이 내부 공간을 폐지한다. 덮개부(40)는, 용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을 완전하게는 밀폐하고 있지 않다. 이하, 땜납 볼 용기(10)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20)와, 덮개부(40)와, 덮개부(4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 마개부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낸 덮개부(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덮개부(40)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덮개부(40)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덮개부(40)의 부분 A1의 확대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편의상, 일부가 측면도로서 나타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덮개부(40)는 도전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덮개부(40)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또는 도전성 재료로 표면이 코팅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40)는, 도 1에 나타낸 용기 본체(20)의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평판부(41)와, 용기 본체(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측부(42)를 가진다. 측부(42)는, 평판부(41)의 외주부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측부(42)의 내주면에는, 3조(條)의 나사 홈(43)(제 2 나사 홈의 일 예에 상당한다)이 형성된다. 덮개부(40)는, 용기 본체(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3조의 나사 홈(25)(도 5 참조)에 대하여 나사 홈(43)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용기 본체(20)의 개구부를 폐지하도록 구성된다.
측부(42)의 외주면에는, 스트레이트 널(Straight Knurl)(44)이 형성된다. 스트레이트 널(44)은, 덮개부(40)를 용기 본체(20)(도 1 참조)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사용자가 덮개부(40)를 잡아서 돌릴 때에, 사용자의 손과 덮개부(40)의 마찰력을 향상시킨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부(41)는, 그 외주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 1 돌조부(45)(돌조부의 일 예에 상당한다) 및 제 2 돌조부(46)(돌조부의 일 예에 상당한다)를 가진다. 제 1 돌조부(45)의 직경은, 제 2 돌조부(46)의 직경보다도 작아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제 1 돌조부(45)의 직경은, 용기 본체(20)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24)(도 5 참조)의 내경보다도 작아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제 1 돌조부(45)의 높이는, 제 2 돌조부(46)의 높이보다도 커지도록 설계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용기 본체(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용기 본체(20)의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20)는 도전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본체(20)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또는 도전성 재료로 표면이 코팅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는, 원형 평판 형상의 바닥부(21)와, 바닥부(21)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측면부(22)를 가진다. 측면부(22)의 단부는, 개구부(23)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24)를 구성한다. 측면부(22)의 축 방향 길이는, 바닥부(21)의 직경(외경)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된다.
용기 본체(20)는, 측면부(22)의 외주면에 3조의 나사 홈(25)(제 1 나사 홈의 일 예에 상당한다)을 가진다. 측면부(22)의 외주면의 나사 홈(25)보다도 바닥부(21)측에는, 플랜지(26)와, 플랜지(26)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27)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땜납 볼 용기(10)가 갖는 내측 마개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내측 마개부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내측 마개부의 측면도이다. 내측 마개부(5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덮개부(40)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고, 덮개부(40)와 함께 용기 본체(20)의 개구부(23)(도 5 참조)를 폐지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내측 마개부(50)는 도전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마개부(50)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고, 또는 도전성 재료로 표면이 코팅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마개부(50)는, 대략 원형의 내측 마개부 본체(51)와, 내측 마개부 본체(51)의 외주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부(52)를 가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3개의 걸림부(52)가 내측 마개부 본체(51)에 설치된다. 내측 마개부(50)는, 예를 들면 약 0.7㎜의 두께를 가진다.
내측 마개부(5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덮개부(40)의 3조의 나사 홈(43)에 3개의 걸림부(52)를 끼워 넣음으로써, 덮개부(40)의 내부에 걸려 유지된다.
도 8은, 용기 본체(20)의 개구부(23)를 덮개부(40)로 폐지한 상태의 땜납 볼 용기(10)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40)는, 나사 홈(25)에 대하여 나사 홈(43)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용기 본체(20)를 폐지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40)의 평판부(41) 상에 형성된 제 1 돌조부(45)는, 제 2 돌조부(46)보다도 높게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덮개부(40)의 내부에 배치된 내측 마개부(50)는, 제 1 돌조부(45) 및 제 2 돌조부(46)와, 용기 본체(20)의 가장자리부(24)의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덮개부(40)를 용기 본체(20)에 대하여 나사 끼움 함으로써, 내측 마개부(50)에는, 제 1 돌조부(45) 및 제 2 돌조부(46)와 가장자리부(24)에 의해 응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내측 마개부(50)는, 용기 본체(20)의 개구부(23)를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변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돌조부(45)의 직경이 가장자리부(24)의 내경보다도 작아지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마개부(50)에는, 제 1 돌조부(45)와 가장자리부(24)에 의해 전단 응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내측 마개부(50)는, 용기 본체(20)의 개구부(23)를 향하여 보다 한층 볼록 형상으로 변형된다.
내측 마개부(50)가 용기 본체(20)의 개구부(23)를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내측 마개부(50)와, 용기 본체(20)의 가장자리부(24)의 내주 에지의 간극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작은 입경(예를 들면, 0.1㎜ 이하)의 땜납 볼이 땜납 볼 용기(10)에 수납된 경우라도, 용기 본체(20)의 가장자리부(24)와 내측 마개부(50)의 사이에 땜납 볼이 끼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땜납 볼 용기(10)의 반송 중에, 땜납 볼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땜납 볼 용기(10)에서는, 내측 마개부(50)가 덮개부(40)의 나사 홈(43)에 의해, 덮개부(40)의 내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땜납 볼 용기(10)를 개폐한 경우라도, 덮개부(40)로부터 내측 마개부(5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땜납 볼 용기(10)에서는, 내측 마개부(50)가 도전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땜납 볼 용기(10)에 수납되는 땜납 볼이 대전해도, 내측 마개부(50)에는, 땜납 볼이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 본체(20) 및 덮개부(40)도 도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땜납 볼 용기(10)를 기울이는 등, 땜납 볼이 굴러 대전해도, 내측 마개부(50), 용기 본체(20) 및 덮개부(40)를 개재하여 땜납 볼로부터 제전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측 마개부(50), 용기 본체(20) 및 덮개부(40)는, 카본을 함유한 수지 등의 도전성 수지를 이용해도 되고, 일반의 용기에 도전성의 도료를 도포하여, 도전성을 갖게 해도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서는, 땜납 볼 용기(10) 내의 땜납 볼을 팔레트 등에 옮길 때에, 땜납 볼이 정전기에 의해 용기 본체(20), 덮개부(40), 및 내측 마개부(50)에 부착되어,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땜납 볼 용기(10)에서는, 용기 본체(20)의 축 방향 길이가 바닥부(21)의 직경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땜납 볼 용기(10)의 용기 본체(20)를 잡기 쉬워진다. 사용자가 땜납 볼 용기(10)의 용기 본체(20)를 잡기 쉬워짐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땜납 볼 용기(10)와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땜납 볼의 정전기가 사용자의 손을 개재하여 방전되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밀폐 전의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밀폐 후의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60)는,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설명한 땜납 볼 용기(10)와, 땜납 볼 용기(10)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62)와, 탈산소 건조제(63)와, 땜납 볼 용기(10)와 유지 부재(62)와 탈산소 건조제(63)를 수용하여 밀폐 상태로 밀봉하기 위한 봉지 부재(64)를 가진다.
유지 부재(62)는, 평판 형상의 판 부재(65)와, 땜납 볼 용기(10)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61)와, 탈산소 건조제(63)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66)를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부재(62)는, 4개의 땜납 볼 용기(10)를 유지하기 위해 4개의 수용부(61)를 가진다. 복수의 땜납 볼 용기(10)는, 유지 부재(62)의 수용부(61)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서로의 상대 위치가 유지된다. 오목부(66)는, 탈산소 건조제(63)가 수용부(61)에 수용된 각각의 유지 부재(62)와 대략 등거리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도록, 4개의 수용부(61)의 대략 중심에 설치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61)의 각각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용 팽출부(67)가 형성된다. 이 경우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은, 예를 들면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60)가 낙하하는 것에 의한 충격이다.
땜납 볼 용기(10)를 포장할 때에는, 우선, 땜납 볼 용기(10)에 땜납 볼을 충전한다. 그 후, 땜납 볼 용기(10)를 유지 부재(62)의 수용부(61)에 수용하고, 오목부(66)에 탈산소 건조제(63)를 배치한다. 또한, 탈산소 건조제(63)가 오목부(66)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오목부(66)에 탈산소 건조제(63)를 밀어붙이는 누름 부재 등을 설치해도 된다.
계속해서, 땜납 볼 용기(10), 유지 부재(62), 및 탈산소 건조제(63)를, 봉지 부재(64)에 넣는다. 봉지 부재(64)의 단부를 밀폐함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땜납 볼 용기(10), 유지 부재(62), 및 탈산소 건조제(63)가 밀폐 상태로 밀봉된다.
또한, 봉지 부재(64)는, 비통기성의 재료로부터 구성된다. 봉지 부재(64)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산소 투과도 및 수증기 투과도가 충분히 낮은 것이 채용된다. 산소 투과도에 대해서는, 온도 23℃, 습도 0%, 기압 1㎫의 환경하에서, 1㎡당의 시트를 하루에 투과하는 산소량이 10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투과도에 대해서는, 온도 40℃, 상대 습도 90%의 환경하에서, 1㎡당의 시트를 하루에 투과하는 수분량이 1그램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 부재(64)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시트 재료로 작성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통기성 재료로 작성된 봉지 부재(64)에 알루미늄 등으로 코팅함으로써, 봉지 부재(64)에 비통기성을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탈산소 건조제(63)는, 탈산소 기능을 가지면서, 수분도 흡수함으로써, 산소와 수분을 원인으로 하는 대상물의 산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탈산소 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으로서는 RP제(미쓰비시 가스 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상품명)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땜납 볼 용기(10)의 덮개부(40)는, 용기 본체(20)의 내부공간을 완전하게는 밀폐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땜납 볼 용기(10)가 봉지 부재(64) 내에 탈산소 건조제(63)와 함께 수납됨으로써, 땜납 볼 용기(10)의 내부 분위기의 산소 및 수분을 탈산소 건조제(63)가 흡수하여, 땜납 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62)가 유지하는 땜납 볼 용기(10)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수용부(61)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유지 부재(62)가 유지 가능한 땜납 볼 용기(10)의 수를 적절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62)가 유지하는 땜납 볼 용기(10)의 수가 보다 많아지는 경우에는, 탈산소 건조제(63)의 수를 늘려도 된다.
땜납 볼 용기(10)를 사용할 때에는, 도 10에 나타낸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60)의 봉지 부재(64)의 일부를 찢어, 유지 부재(62)를 봉지 부재(64)로부터 꺼낸다. 땜납 볼 용기(10)의 덮개부(40)를 떼어내고, 안의 땜납 볼을 팔레트 상으로 공급한다. 사용하지 않는 땜납 볼 용기(10)는, 유지 부재(62) 내에 수용한 채 미사용의 새로운 탈산소 건조제(63)와 함께 봉지 부재(64) 내로 되돌린다. 봉지 부재(64)의 찢은 부분은 열압착 등, 확실한 밀봉을 행하여 외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막아 놓는다. 하나의 땜납 볼 용기(10) 내의 땜납 볼의 전부를 다 쓰지 않은 경우에는, 그 땜납 볼 용기(10)를 덮개부(40)로 닫아, 유지 부재(62)로 되돌려 봉지 부재(64) 내에 수납하고, 봉지 부재(64)를 재밀봉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전술한 발명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또는, 효과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범위에 있어서, 특허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
10 : 땜납 볼 용기
20 : 용기 본체
21 : 바닥부
22 : 측면부
23 : 개구부
24 : 가장자리부
25 : 나사 홈
40 : 덮개부
41 : 평판부
42 : 측부
43 : 나사 홈
45 : 제 1 돌조부
46 : 제 2 돌조부
50 : 내측 마개부
60 : 땜납 볼 보존용 패키지
61 : 수용부
62 : 유지 부재
63 : 탈산소 건조제
64 : 봉지 부재

Claims (15)

  1.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부를 가지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내측 마개부를 가지고,
    상기 평판부는, 그 외주를 따라 설치되는 돌조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 마개부는, 상기 덮개부로 상기 용기 본체를 폐지했을 때에, 상기 돌조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는, 그 외주면에 제 1 나사 홈을 가지고,
    상기 덮개부의 상기 측부는, 그 내주면에 제 2 나사 홈을 가지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 나사 홈에 대하여 상기 제 2 나사 홈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를 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마개부는, 상기 덮개부가 열린 때에 상기 제 2 나사 홈의 내부에 유지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부는, 도전성을 갖는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측면부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바닥부의 직경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는,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는, 상기 평판부의 외주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조부의 직경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내경보다도 작은,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입경이 0.1㎜ 이하의 땜납 볼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용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부는, 내측 마개부 본체와, 당해 내측 마개부 본체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 마개부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 2 나사 홈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제 2 나사 홈의 내부에 유지되는,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부는, 복수의 상기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나사 홈은, 상기 걸림부의 수와 동수의 조수(條數)를 가지고,
    상기 내측 마개부는, 복수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 2 나사 홈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제 2 나사 홈의 내부에 유지되는, 용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용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한 유지 부재와,
    상기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탈산소 건조제와,
    상기 용기와,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탈산소 건조제를 수용하여 밀폐 상태로 밀봉된 비통기성의 봉지 부재를 가지는 패키지.
  9.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부를 가지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내측 마개부를 가지고,
    상기 평판부는, 그 외주를 따라 설치되는 돌조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는, 그 외주면에 제 1 나사 홈을 가지고,
    상기 덮개부의 상기 측부는, 그 내주면에 제 2 나사 홈을 가지고,
    상기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은,
    상기 덮개부가 열린 때에 상기 내측 마개부를 상기 제 2 나사 홈의 내부에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나사 홈에 대하여 상기 제 2 나사 홈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를 상기 덮개부로 폐지하는 공정과,
    상기 덮개부로 상기 용기 본체를 폐지했을 때에, 상기 내측 마개부를 상기 돌조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끼우고, 상기 내측 마개부를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공정을 갖는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부는, 도전성을 갖는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측면부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바닥부의 직경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는, 상기 평판부의 외주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조부의 직경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내경보다도 작은,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입경이 0.1㎜ 이하의 땜납 볼을 상기 용기에 수납하는 공정을 가지는,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14.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부는, 내측 마개부 본체와, 당해 내측 마개부 본체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 마개부를 상기 제 2 나사 홈의 내부에 유지하는 공정은, 상기 걸림부를 상기 제 2 나사 홈에 끼워 넣는 공정을 포함하는,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마개부는, 복수의 상기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나사 홈은, 상기 걸림부의 수와 동수의 조수를 가지고,
    상기 내측 마개부를 상기 제 2 나사 홈의 내부에 유지하는 공정은, 복수의 상기 걸림부를 상기 제 2 나사 홈에 끼워 넣는 공정을 포함하는,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KR1020177018059A 2015-01-09 2015-12-24 용기, 패키지, 및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KR101833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3127 2015-01-09
JP2015003127 2015-01-09
PCT/JP2015/085999 WO2016111179A1 (ja) 2015-01-09 2015-12-24 はんだボール容器及びはんだボール保存用パッケー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333A KR20170084333A (ko) 2017-07-19
KR101833905B1 true KR101833905B1 (ko) 2018-04-13

Family

ID=5635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059A KR101833905B1 (ko) 2015-01-09 2015-12-24 용기, 패키지, 및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833905B1 (ko)
CN (1) CN107108104B (ko)
TW (1) TWI597218B (ko)
WO (1) WO2016111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0405A (zh) * 2018-02-06 2018-06-01 浙江万纳核电检修有限公司 一种核燃料通道密封塞专用容器
FR3130259B1 (fr) * 2021-12-13 2023-11-10 Langlet Eric Couvercle à vis dont les deux pièces sont solidarisées par un mécanisme à baïonnet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1426A (ja) * 2003-11-17 2007-05-10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 エイ 容器の首部を閉鎖するための装置、及びかかる装置が付いている容器
JP4868267B2 (ja) * 2008-12-01 2012-02-01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微小はんだボールの保存用パッケージ体および保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23263U (ko) * 1973-02-22 1974-10-22
US4620640A (en) * 1985-12-16 1986-11-04 Owens-Illinois, Inc. Lined child-resistant closure for widemouth liquid container
JP3446716B2 (ja) * 1999-03-24 2003-09-16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はんだボール用容器
GB9907338D0 (en) * 1999-03-31 1999-05-26 Rexam Containers Ltd Container and closure cap
JP2003312744A (ja) * 2002-04-26 2003-11-06 Hitachi Metals Ltd はんだボールのパッキング方法およびはんだボールパッキング容器
CN1493507A (zh) * 2002-10-30 2004-05-05 山东瑞阳制药有限公司 吸湿性药品的包装方法
JP2005206199A (ja) * 2004-01-23 2005-08-04 Key Tranding Co Ltd 気密容器
JP2007230613A (ja) * 2006-03-01 2007-09-13 Nippon Steel Materials Co Ltd ハンダボール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1426A (ja) * 2003-11-17 2007-05-10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 エイ 容器の首部を閉鎖するための装置、及びかかる装置が付いている容器
JP4868267B2 (ja) * 2008-12-01 2012-02-01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微小はんだボールの保存用パッケージ体および保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111179A1 (ja) 2017-04-27
CN107108104B (zh) 2018-09-04
CN107108104A (zh) 2017-08-29
KR20170084333A (ko) 2017-07-19
JP6108191B2 (ja) 2017-04-05
WO2016111179A1 (ja) 2016-07-14
TW201636283A (zh) 2016-10-16
TWI597218B (zh)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009B1 (ko) 미소 땜납볼의 보존용 패키지체 및 보존 방법
KR101833905B1 (ko) 용기, 패키지, 및 용기를 폐지하는 방법
US20120120547A1 (en)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418475B2 (ja) 容器及びパッケージ
US7141782B2 (en) Image sensor with protective package structure for sensing area
JP6108191B6 (ja) 容器、パッケージ、及び容器を閉止する方法
US11131568B2 (en) Sensor packag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d structure
US7728425B2 (en) Seal of fluid port
JP2010027621A (ja) 電気化学装置
US7612441B1 (en) Image-sensing chip package module adapted to dual-side soldering
KR100716546B1 (ko) 솔더볼용 용기
JP4158158B2 (ja) はんだボール用容器
JP2010280400A (ja) 表面実装部品の防湿梱包
JPS6344478A (ja) 半導体装置用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