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795B1 -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3795B1 KR101833795B1 KR1020170123392A KR20170123392A KR101833795B1 KR 101833795 B1 KR101833795 B1 KR 101833795B1 KR 1020170123392 A KR1020170123392 A KR 1020170123392A KR 20170123392 A KR20170123392 A KR 20170123392A KR 101833795 B1 KR101833795 B1 KR 1018337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reference point
- module
- aerial
- photograph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1416181 Axis ax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 G06T5/001—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사진을 토대로 정밀한 정사영상 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항공촬영장치를 통해 획득되어 이미지 출력모듈에 제공되는 촬영이미지가 기설정되는 촬영기준점을 중심으로 항시 정해진 고도 및 위치에서 획득되면서 이미지 출력모듈에 매번 큰 편차 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제공됨에 따라, 해당 촬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정사보정해서 해당 정사영상 출력과 더불어 최소한의 시간과 시스템 부하로 해당 촬영이미지에 적용되는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해당 촬영이미지에 합성 출력하는 기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동시에 작업 효율성이 높아지는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는 지상기준점DB, 이미지DB, 이미지 출력모듈, 이미지 제어모듈, 관계식 연산모듈, 왜곡비율 확인모듈, 좌표값 설정모듈, GPS모듈, 좌표보정모듈 및 항공촬영장치를 통한 촬영이미지의 획득 작업이 기설정된 촬영기준점을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촬영기준점별 매칭되어 설치되는 항공촬영 유도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는 촬영기준점을 중심으로 원형의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표시블록, 위치표시블록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및 메인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사영상 기술 분야 중 항공사진을 토대로 정밀한 정사영상 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항공촬영장치를 통해 획득되어 이미지 출력모듈에 제공되는 촬영이미지가 기설정되는 촬영기준점을 중심으로 항시 정해진 고도 및 위치에서 획득되면서 이미지 출력모듈에 매번 큰 편차 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제공됨에 따라, 해당 촬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정사보정해서 해당 정사영상 출력과 더불어 최소한의 시간과 시스템 부하로 해당 촬영이미지에 적용되는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해당 촬영이미지에 합성 출력하는 기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동시에 작업 효율성이 높아지는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사영상지도의 제작을 위해서는 항공측량이 우선되고, 항공측량을 통해 수집된 항공사진은 ‘영상지도 제작에 관한 작업규정’에 근거하여 정사보정이 이루어진다.
정사 보정의 정식 명칭은 ‘정사편위수정’이며, 사진 촬영 시 중심투영에 의한 대상물의 왜곡과 지형의 기복에 따라 발생하는 기복 변위를 제거하여 영상 전체의 축척이 일정하게 하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정사영상’은 중심투영에 의하여 취득된 영상의 지형, 지물 등에 대한 정사편위수정을 실시한 영상을 뜻한다.
항공사진으로부터 정사영상을 제작하는 종래 방법은, 항공사진 자체가 지닌 왜곡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내부 표정 과정을 거쳐 보정된 항공사진을 만들고, 보정된 항공사진의 사진좌표와 지상좌표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선조건식과 GPS 측량에 의한 지상기준점을 이용하여 번들조정법으로 외부표정을 수행함으로써 표정 6요소를 구하며, 이렇게 구해지는 표정 6요소와 수치표고자료를 이용하여 정사영상을 제작했다. 참고로, 현재 상용 R/S 툴에서 IKONOS영상을 이용하여 정사영상이 제작 가능한 프로그램은, Socet Set ver4.3 이상, ZI Imaging 3.0 이상, ERDAS IMAGING 8.5.1 이상, PCI 7.0 이상, JX4A, ER-Mapper에 사용할 수 있는 OrthoWarp ER라는 프로그램들이 예시된다.
또한, 항공사진으로부터 정사영상을 제작하는 상술한 종래 방법은 내부표정과정을 통해 보정된 항공사진을 만들 때와 정상영상을 만들 때 뉴튼-랍슨(Newton-Rapson)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뉴튼-랍슨 방법은 해를 구하는 방법이 초기치의 반복적인 갱신에 의해 근접한 해를 구하는 방법이어서, 계산과정에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컴퓨터에 스캐닝하여 저장되는 항공사진은 보통 한 장에 400 메가바이트 정도의 데이터 용량을 갖는데, 종래와 같이 왜곡이 보정된 항공사진을 별도로 제작하여 저장하게 되면 그 만큼의 데이터 용량이 더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등록특허 제10-0544345호(발명의 명칭 : 항공사진의 정사영상 제작방법)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항공사진의 정사영상 제작방법’은 상술한 항공사진으로부터 정사영상을 제작하는 종래의 방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컴퓨터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항공사진의 기준점 별로 정사영상 좌표 연산 및 이를 위한 왜곡 값 연산을 일일이 수행해야 하므로, 실제로 컴퓨터가 부담해야 하는 부하가 크게 줄지 못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항공측량을 통해 항공사진을 수집하는 항공기에서는 항공사진의 정사보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346206호(발명의 명칭 : 정사영상의 정밀 처리를 위한 GPS 기반 항공측량시스템)가 제안되었다.
상기 ‘정사영상의 정밀 처리를 위한 GPS 기반 항공측량시스템’은 항공기 내에서 항공측량으로 수집된 항공사진의 정사보정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지상촬영이 이루어지는 항공기에서 항공사진 내 지상기준점 좌표값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출력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아울러 항공사진에 적용되는 지상 기준점 좌표값의 위치가 높은 신뢰도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상술한 정사영상의 정밀 처리를 위한 GPS 기반 항공측량시스템의 기능을 보다 개선하는 방안으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항공촬영장치를 통해 획득되어 이미지 출력모듈에 제공되는 촬영이미지가 기설정되는 촬영기준점을 중심으로 항시 정해진 고도 및 위치에서 획득되면서 이미지 출력모듈에 매번 큰 편차 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제공됨에 따라, 해당 촬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정사보정해서 해당 정사영상 출력과 더불어 최소한의 시간과 시스템 부하로 해당 촬영이미지에 적용되는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해당 촬영이미지에 합성 출력하는 기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동시에 작업 효율성이 높아지는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는, 제어값에 따라 동작하면서 촬영이미지를 출력하되, 상기 촬영이미지 내 각 지점의 좌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X축선 및 Y축선이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촬영이미지 좌표계를 적용하여 동작하는 이미지 출력모듈(21)과, 상기 이미지 출력모듈(21)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값을 생성해서 상기 이미지 출력모듈(21)로 전달하는 이미지 제어모듈(22)과, 항공기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확인하는 GPS 모듈(26)과,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수정공선조건식인
을 통해 촬영이미지 좌표값으로 연산하는 관계식 연산모듈(23)과, 입력된 둘 이상의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촬영이미지 좌표값으로 연산하도록 상기 관계식 연산모듈(23)에 전달하고, 상기 관계식 연산모듈(23)로부터 수신한 촬영이미지 좌표값의 위치를 상기 촬영이미지 좌표계를 기준으로 확인하고, 상기 촬영이미지 좌표계의 원점과 상기 촬영이미지 좌표값 간 거리인 제1거리를 지점별로 각각 연산하고, 상기 GPS모듈(26)에서 확인한 상기 원점의 지상기준점 좌표값과 상기 입력된 지상기준점 좌표값 간 거리인 제2거리를 지점별로 각각 연산하고, 지점별로 확인한 제2거리 차를 기준으로 지점별로 확인한 제1거리 차를 확인해서 상기 원점과의 거리에 따른 지점별 제1거리 차의 증가 또는 감소비율인 왜곡비율을 확인하는 왜곡비율 확인모듈(24)과, 상기 원점을 중심으로 위도방향과 경도방향을 따라 지상기준점을 설정하되, 상기 왜곡비율로 변하는 상기 지상기준점 간의 간격을 확인해서 상기 촬영이미지에 상기 지상기준점의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지상기준점을 잇는 다수의 위도축선과 경도축선이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지상기준점 좌표계를 생성하고, 상기 지상기준점 좌표계와 촬영이미지 좌표계를 서로 연계해서 지상기준점 좌표값에 대응하는 촬영이미지 좌표값이 링크되도록 처리하는 좌표값 설정모듈(25) 및 촬영이미지 내 확인대상 지상물을 선택해서 상기 확인대상 지상물 이미지가 겹치는 상기 지상기준점 좌표계의 제1좌표값을 확인하고, 지상기준점DB(11)에서 상기 확인대상 지상물의 실제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검색해서 상기 지상기준점 좌표계에 적용한 수정대상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수정대상 좌표값에 해당하는 경도축선과 위도축선이 상기 제1좌표값에 해당하는 경도축선과 위도축선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이동된 상기 경도축선 및 위도축선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다른 경도축선 및 위도축선이 상기 왜곡비율에 따라 배치되도록 수정해서 상기 촬영이미지에 적용하는 좌표보정모듈(27)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출력모듈(21)에 촬영이미지를 전송하는 항공촬영장치(30) 및 상기 항공촬영장치(30)를 통한 촬영이미지의 획득 작업이 기설정된 촬영기준점을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촬영기준점별 매칭되어 설치되는 항공촬영 유도장치(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40)는 상기 촬영기준점을 중심으로 원형의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표시블록(41) 및 상기 항공촬영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40)의 작동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표시블록(41)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42) 그리고 상기 항공촬영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40)의 작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제어부(42)에 전달하고 상기 메인제어부(42)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위치표시블록(41)들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를 상기 위치표시블록(41)들에 전송하는 메인통신모듈(43)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표시블록(41)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를 지면에 노출하는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며, 상면에는 개방 영역을 중심으로 양측에 단차홈(411)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형성되되, 단차홈(411)들의 바닥면에는 관통홀(412)이 각각 형성되며, 하면에 복수의 배수홀(413)이 형성되는 블록본체(410)와, 상기 블록본체(410)의 한쪽 단차홈(411)에 수납 설치되는 정역회전모터(420)와, 상기 블록본체(410)의 다른 한쪽 단차홈(411)에 수납 설치되는 힌지블럭(430)과,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정역회전모터(420)의 구동축(421)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블럭(430)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덮개와, 상기 보호덮개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면에는 복수의 LED(441a)로 형성되는 제1 표시부(441)가 설치되고 타면에는 사전에 정해진 특정 색상의 도색판(442a)으로 형성되는 제2 표시부(442)가 설치되는 위치표시덮개(440)와, 상기 블록본체(410)의 한쪽 관통홀(412)을 통해 제1 로드(461a)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블록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로드(461a)의 선단이 상기 정역회전모터(420)에 결합되는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1)와, 상기 블록본체(410)의 다른 한쪽 관통홀(412)을 통해 제2 로드(462a)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블록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로드(462a)의 선단이 상기 힌지블럭(430)에 결합되는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2)와, 상기 블록본체(4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471)와, 상기 블록본체(410)의 내측 측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물감지센서(472)와, 상기 블록본체(4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통신모듈(43)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메인제어부(42)의 상기 위치표시블록(41)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통신모듈(480) 및 상기 위치표시덮개(440)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표시덮개(440)의 상기 제1 표시부(441) 작동을 위한 임계 조도범위가 기설정되고, 상기 메인제어부(42)의 상기 위치표시블록(41)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가 상기 서브통신모듈(480)을 통해 수신 시 상기 조도센서(471)를 통해 감지되는 주변의 조도 정보가 상기 임계 조도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위치표시덮개(440)의 상기 제2 표시부(442)가 지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정역회전모터(420)의 작동을 제어하고 반대로 상기 조도센서(471)를 통해 감지되는 주변의 조도 정보가 상기 임계 조도범위에 해당되거나 낮은 경우 상기 위치표시덮개(440)의 상기 제1 표시부(441)가 지면에 노출되도록 정역회전모터(4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제1 표시부(441)의 LED(441a)를 작동시키며, 상기 물감지센서(472)를 통해 물 감지신호가 전송 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1)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2)를 작동시켜 상기 위치표시덮개(44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승강시키는 제어부(490)를 포함하고, 상기 항공촬영장치(30)는 촬영이미지의 획득 시 사전에 정해진 고도에서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40)의 상기 위치표시블록(41)들이 모두 촬영 범위에 들어오는 조건일 때 촬영을 진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항공촬영장치를 통해 획득되어 이미지 출력모듈에 제공되는 촬영이미지가 기설정되는 촬영기준점을 중심으로 항시 정해진 고도 및 위치에서 획득되면서 이미지 출력모듈에 매번 큰 편차 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제공됨에 따라, 해당 촬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정사보정해서 해당 정사영상 출력과 더불어 최소한의 시간과 시스템 부하로 해당 촬영이미지에 적용되는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해당 촬영이미지에 합성 출력하는 기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동시에 작업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진행되는 촬영이미지 내 지상기준점 좌표계 생성 과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촬영이미지의 왜곡 비율을 연산하기 위해 지상기준점 좌표값에 해당하는 지점을 촬영이미지 좌표계에 표시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촬영이미지 내에 지상기준점을 입력하기 위한 지상기준점 좌표계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작업자가 선택한 촬영이미지의 특정 지점에 대한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도 4의 지상기준점 좌표계에 표시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지상기준점 좌표계와 촬영이미지 간의 매칭 상태를 확인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지상기준점 좌표계의 수정 모습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진행되는 촬영이미지의 정사처리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의 구동 시 형성된 촬영기하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의 구동 시 형성된 촬영이미지의 좌표값과 촬영방향 벡터 u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촬영이미지의 왜곡을 보정하는 모습을 그래프화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에서 위치표시블록을 예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따른 위치표시블록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따른 위치표시블록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16은 도 12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를 통해 항공촬영장치에서 촬영이미지의 획득 위치가 정해지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진행되는 촬영이미지 내 지상기준점 좌표계 생성 과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촬영이미지의 왜곡 비율을 연산하기 위해 지상기준점 좌표값에 해당하는 지점을 촬영이미지 좌표계에 표시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촬영이미지 내에 지상기준점을 입력하기 위한 지상기준점 좌표계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작업자가 선택한 촬영이미지의 특정 지점에 대한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도 4의 지상기준점 좌표계에 표시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지상기준점 좌표계와 촬영이미지 간의 매칭 상태를 확인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지상기준점 좌표계의 수정 모습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진행되는 촬영이미지의 정사처리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의 구동 시 형성된 촬영기하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의 구동 시 형성된 촬영이미지의 좌표값과 촬영방향 벡터 u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촬영이미지의 왜곡을 보정하는 모습을 그래프화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에서 위치표시블록을 예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따른 위치표시블록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따른 위치표시블록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16은 도 12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를 통해 항공촬영장치에서 촬영이미지의 획득 위치가 정해지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는 항공촬영장치가 촬영한 항공사진(이하 “촬영이미지”라 함)을 실시간으로 정사보정해서, 해당 정사영상 출력과 더불어 최소한의 시간과 시스템 부하로 상기 촬영이미지에 적용되는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상기 촬영이미지에 합성 출력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는 지상기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지상기준점DB(11)와, 항공촬영장치(30)가 촬영한 촬영이미지에 지상기준점 좌표값의 위치정보를 링크해 저장하는 이미지DB(12)와, 이미지DB(12)에 저장된 촬영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모듈(21)과, 이미지 출력모듈(21)에 출력되는 촬영이미지를 작업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이미지 출력모듈(21)을 제어하는 이미지 제어모듈(22)과, 촬영이미지 좌표값과 지상기준점 좌표값 간의 관계식을 활용해서 지상기준점 좌표값으로부터 촬영이미지 좌표값을 연산하는 관계식 연산모듈(23)과, 촬영이미지의 왜곡 비율을 연산하는 왜곡비율 확인모듈(24)과, 상기 촬영이미지에 위치별로 해당하는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링크하는 좌표값 설정모듈(25)과, 항공기의 현 위치를 GPS로 측정하는 GPS모듈(26)과, 상기 촬영이미지에 링크된 지상기준점 좌표값의 위치를 확인하고 오류 확인시 이를 보정하는 좌표보정모듈(27) 그리고 상기 항공촬영장치(30)를 통한 촬영이미지의 획득 작업이 기설정된 촬영기준점을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촬영기준점별 매칭되어 설치되는 항공촬영 유도장치(40)로 구성된다.
지상기준점DB(11)는 지상의 특정 지점들에 대한 각각의 지상기준점 정보를 저장한다. 촬영이미지를 내부표정 및 외부표정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촬영이미지에 기준점을 잡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촬영이미지에 잡아야 하는 기준점을 지상기준점DB(11)에 저장된 지상기준점에 맞춰서 진행할 수 있다. 참고로, 지상기준점 정보는 지상에 선정된 특정 지점의 GPS 좌표로 된 좌표값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지상기준점DB(11)가 상기 촬영이미지에 위치한 지상 지점의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저장한다.
이미지DB(12)는 항공촬영장치(30)에 의해 지상이 촬영된 촬영이미지와, 상기 촬영이미지에 링크된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저장한다. 상기 촬영이미지에 지상기준점을 링크하는 과정 및 기술내용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미지 출력모듈(21)은 이미지DB(12)에 저장된 촬영이미지와 정사영상을 출력하는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일반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이미지 출력모듈(21)은 출력되는 촬영이미지의 각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X축선과 Y축선이 격자형태로 배열된 촬영이미지 좌표계(AX; 도 3 참조)를 갖춘다. 따라서, 촬영이미지 상에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이미지 출력모듈(21)은 해당 화면 내 상기 특정 지점에 대한 촬영이미지 좌표값을 추적해 확인한다.
이미지 제어모듈(22)은 이미지 출력모듈(21)이 출력하는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수단으로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값을 생성하여 이미지 출력모듈(21)에 전달한다. 이미지 제어모듈(22)은 터치스크린 기술 방식으로 실행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자판 또는 조이스틱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관계식 연산모듈(23)은 촬영이미지 좌표값과 지상기준점 좌표값 간의 관계식을 활용해서, 왜곡비율 확인모듈(24)이 제시한 지상기준점 좌표값으로부터 촬영이미지 좌표값을 연산한다. 상기 관계식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수정공선조건식이 적용될 수 있다.
왜곡비율 확인모듈(24)은 촬영이미지에 적용되는 지상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해서 해당 촬영이미지의 실제 왜곡상태를 확인하고 왜곡비율을 연산해서, 상기 촬영이미지의 이미지 배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좌표값 설정모듈(25)은 왜곡비율 확인모듈(24)이 연산한 왜곡비율을 기초로 해당 지상기준점 좌표계를 생성하고, 상기 좌표계에 촬영이미지의 좌표값과 지상기준점의 좌표값이 링크돼 이루어지도록 한다.
GPS모듈(26)은 항공기의 현재 위치를 GPS로 측정해서 확인한다. GPS측정을 위한 장치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GPS모듈(26)의 동작 원리 및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좌표보정모듈(27)은 촬영이미지에 결합된 지상기준점 좌표계의 좌표정보와, 촬영이미지에 촬영된 특정 지점에 대한 실제 좌표정보를 비교해서, 상기 실제 좌표정보에 상기 지상기준점 좌표계를 맞춘다. 좌표보정모듈(27)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사 처리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는 좌표계 설정을 통해 촬영이미지의 좌표값별 지상기준점의 해당 좌표값을 별도의 복잡한 연산 과정없이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촬영이미지의 각 지점별로 일일이 내부표정 및 외부표정 처리를 진행하지 않아도 최소한의 시스템 부하와 시간으로 정밀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측량시스템의 구조를 처리방법을 순차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진행되는 촬영이미지 내 지상기준점 좌표계 생성 과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촬영이미지의 왜곡 비율을 연산하기 위해 지상기준점 좌표값에 해당하는 지점을 촬영이미지 좌표계에 표시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촬영이미지 내에 지상기준점을 입력하기 위한 지상기준점 좌표계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작업자가 선택한 촬영이미지의 특정 지점에 대한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도 4의 지상기준점 좌표계에 표시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지상기준점 좌표계와 촬영이미지 간의 매칭 상태를 확인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지상기준점 좌표계의 수정 모습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S10; 왜곡비율 확인단계
작업자는 이미지 출력모듈(21)에 출력되고 있는 촬영이미지 내 특정 지상물을 선택해서 상기 지상물의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입력하면, 상기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입력받은 왜곡비율 확인모듈(24)은 상기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관계식 연산모듈(23)에 전달하고, 관계식 연산모듈(23)은 촬영이미지 좌표값과 지상기준점 좌표값 간의 관계식을 활용해서 이에 대응하는 촬영이미지 좌표값을 연산한다. 여기서, 상기 관계식은 수정공선조건식이 예시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관계식 연산모듈(23)은 작업자가 입력한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상기 수정공선조건식에 입력해서 해당하는 촬영이미지의 좌표값을 연산하고, 왜곡비율 확인모듈(24)은 관계식 연산모듈(23)로부터 수신한 결과인 촬영이미지 좌표값을 해당 촬영이미지의 좌표계(AX)에 적용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선택지점(AP)은 상기 수정공선조건식을 통해 연산한 결과 원점(O)을 중심으로 촬영이미지 좌표값(-6, -4)에 위치하고, 제2선택지점(BP)은 상기 수정공선조건식을 통해 연산한 결과 원점(O)을 중심으로 촬영이미지 좌표값(6, 6)에 위치하며, 제3선택지점(CP)은 상기 수정공선조건식을 통해 연산한 결과 원점(O)을 중심으로 촬영이미지 좌표값(8,-11)에 위치한다.
계속해서, 왜곡비율 확인모듈(24)은 확인된 선택지점(AP, BP, CP)의 촬영이미지 좌표값을 기초로 원점(O)과 각 선택지점(AP, BP, CP) 간의 제1거리를 연산한다.
계속해서, 왜곡비율 확인모듈(24)은 작업자가 입력한 선택지점(AP, BP, CP)의 지상기준점 좌표값과, GPS모듈(26)이 측정한 원점(O)의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확인해서, 이를 기초로 원점(O)과 각 선택지점(AP, BP, CP) 간의 제2거리를 연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거리는 촬영이미지를 배경으로 하는 선택지점(AP, BP, CP)과 원점(O) 간의 거리이고, 상기 제2거리는 지상기준점을 기초로 하는 선택지점(AP, BP, CP)과 원점(O) 간의 거리이다. 따라서, 상기 제2거리가 원점(P)의 위치와 선택지점(AP, BP, CP)의 위치 간 실제거리이고, 상기 제1거리는 해당 촬영이 미지의 왜곡으로 거리의 변화가 발생한 왜곡된 거리이다. 여기서, 원점(O)의 좌표값은 GPS모듈(26)이 확인한 GPS 좌표값으로서, 상기 촬영이미지를 촬영할 당시의 항공기 위치이다.
왜곡비율 확인모듈(24)은 지점 간 제2거리 차이 대비 제1거리 차이에 대한 거리별 차이비율을 확인한다. 즉, 원점(O)으로부터 거리가 먼 선택지점(AP, BP, CP)일수록 지점 간 제2거리 차이 대비 제1거리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거리에 따른 지점별 제1거리 차이의 증가 또는 감소비율인 왜곡비율을 확인하는 것이다. 일 예를 들어, 원점(O)과 제4선택지점 간의 제1거리가 10, 제2거리는 300m이고, 원점(O)과 제5선택지점 간의 제1거리가 21, 제2거리는 600m이며, 원점(O)과 제6선택지점 간의 제1거리가 33, 제2거리는 900m으로 확인되면, 제1거리는 지점별로 10(10 - 0), 11(21 - 10), 12(33 - 21) 등의 차이를 보이고, 제2거리는 지점별로 300(300 - 0), 300(600 - 300), 300(900 - 600) 등의 차이를 보인다. 결국, 제2거리 차이 대비 제1거리에 대한 거리별 차이비율은 10%로 증가하고, 이를 통해 거리가 멀어질수록 10%의 왜곡비율로 촬영이미지가 왜곡됨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카메라에 촬영된 촬영이미지는 촬영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왜곡이 발생한다. 따라서, 촬영이미지의 외곽으로 갈수록, 촬영 대상물의 형태 변형 및 크기 증가가 심화한다. 결국, 촬영이미지는 그 외곽으로 갈수록 실제 위치보다 먼 위치에 위치하고 큰 형상으로 왜곡돼 출력된다.
S20; 지상기준점 좌표계 생성단계
좌표값 설정모듈(25)은 왜곡비율 확인모듈(24)이 확인한 왜곡비율에 따라 해당 촬영이미지 전용 지상기준점 좌표계(BX)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좌표값 설정모듈(25)은 촬영이미지의 방위를 확인해서 지상기준점 좌표계(BX)의 축 방향을 결정하고, 해당 촬영이미지에 적용할 지상기준점들 간의 간격을 결정한다.
계속해서, 좌표값 설정모듈(25)은 원점(O)을 중심으로 상기 간격에 위치한 위도방향과 경도방향의 지상기준점을 입력하고, 앞서 확인된 왜곡비율로 상기 위도방향과 경도방향을 따라 지상기준점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설정해서, 도 4 및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지상기준점을 잇는 다수의 위도축선과 경도축선이 격자형태로 배열돼 이루어진 지상기준점 좌표계(BX)를 완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보인 지상기준점 좌표계(BX)는 왜곡비율 확인모듈(24)이 확인한 왜곡비율만큼 원점(O)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상기준점 간 간격이 증가한다.
계속해서, 좌표값 설정모듈(25)은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상기준점 좌표계(BX)와 촬영이미지 좌표계(AX)의 연계를 통해 지상기준점 좌표값과 촬영이미지 좌표값이 링크되도록 해서, 임의의 지상기준점이 촬영이미지의 어떤 좌표값에 대응해 위치하는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촬영이미지 좌표계(AX)는 이미지 출력모듈(21)이 해당 촬영이미지를 출력할 때, 이미지의 출력 지점 등을 결정하기 위해 당연히 생성하는 공지,공용의 기술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공측량시스템은 상기 기술을 응용해 활용한다.
결국, 좌표값 설정모듈(25)에 의해 생성된 지상기준점 좌표계(BX)가 촬영이미지 좌표계(AX)와 연계하면서 정사영상 처리 효과를 주므로, 작업자가 촬영이미지의 일 지점(TP)을 선택하거나 상기 일 지점(TP)의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입력하면, 상기 일 지점(TP)과 연계하는 촬영이미지 좌표계(AX)가 바로 확인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촬영이미지의 정사영상 처리를 위해서 해당 촬영이미지 내 지상기준점을 복잡한 관계식 등을 통해 일일이 연산처리하지 않아도 촬영이미지의 좌표에 대응하도록 보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항공촬영 중 촬영되는 촬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S25; 지상기준점 좌표계 보정단계
좌표보정모듈(27)은 촬영이미지에 적용된 지상기준점 좌표계(BX)를 확인하고, 촬영이미지에 촬영된 지상물의 지상기준점 좌표값과의 비교해서, 촬영이미지에 적용된 지상기준점 좌표계(BX)의 오차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표보정모듈(27)은 확인대상 지상물(ST)을 선택하고, 지상기준점 좌표계(BX)를 기준으로 확인대상 지상물(ST)의 지상기준점 좌표값인 제1좌표값(OP1)을 확인한다. 참고로, 제1좌표값(OP1)은 확인대상 지상물(ST)의 이미지가 겹치는 지상기준점 좌표계(BX)의 일 지점의 좌표값으로 한다.
계속해서, 좌표보정모듈(27)은 지상기준점DB(11)에서 확인대상 지상물(ST)의 실제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지상기준점 좌표계(BX)에 적용해서 수정대상 좌표값(TP2)을 확인한다.
여기서, 확인대상 지상물(ST)이 위치한 제1좌표값(OP1)과 수정대상 좌표값(TP2)의 위치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좌표보정모듈(27)은 해당 지상기준점 좌표계(BX)에 오류가 있음을 확인한다. 이러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해서, 좌표보정모듈(27)은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좌표값(OP1)과 경도 위치에 차이가 있는 수정대상 좌표값(TP2)의 '경도축선'을 제1좌표값(OP1)이 위치한 '경도축선'으로 이동시킨다. 더불어서, 좌표보정모듈(27)은 본 지상기준점 좌표계(BX)에 적용된 왜곡비율에 따라 상기 '경도축선'에 이웃하도록 지상기준점 좌표계(BX)에 구성된 다른 '경도축선'들을 이동시켜서(도 7(b) 참고), 보정된 지상기준점 좌표계의 해당 지점에 확인대상 지상물(ST)의 지상기준점 좌표값이 정확히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수정대상 좌표값(TP2)과 경도 차이만 있는 제1좌표값(OP1)을 예시하였으나, 이외에도, 위도 차이만 있을 수도 있고(OP2), 경도와 위도 모두가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OP3).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진행되는 촬영이미지의 정사처리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의 구동 시 형성된 촬영기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의 구동 시 형성된 촬영이미지의 좌표값과 촬영방향 벡터 u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촬영이미지의 왜곡을 보정하는 모습을 그래프화한 도면이다.
S30; 기준점 선택단계
항공측량시 항공기에 장착된 촬영장치(30)가 지상을 실시간으로 측정해서 이미지DB(12)에 저장하고, 이미지 출력모듈(21)은 정사보정 대상 구역이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출력한다. 아울러, GPS모듈(26)은 현재 항공기의 촬영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해서, 촬영된 촬영이미지에 링크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이미지 출력모듈(21)에 출력된 촬영이미지에서 기준점을 선택하고, 관계식 연산모듈(23)은 이를 입력받아 확인한다.
항공촬영된 촬영이미지는 통상적으로 스캐닝 과정을 거쳐 파일로 저장되는데, 스캐닝 과정을 거쳐 파일로 저장된 촬영이미지는 지상 좌표값을 지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촬영이미지에서 식별이 용이한 지점인 도로의 교차점, 교량, 수로 또는 도로 굴곡부 정점 및 산 정상부 등을 기준점 좌표(xa ,ya)로 결정한다.
참고로, 작업자는 이미지 제어모듈(22)을 조작해서, 이미지 출력모듈(21)에 출력되고 있는 촬영이미지 내에서 상기 기준점을 선택하고, 관계식 연산모듈(23)은 상기 기준점을 입력받아 확인한다.
S40; 지상기준점 검색단계
작업자는 촬영이미지 내 기준점을 선택하고, 선택한 지점에 대응한 지상기준점 좌표값인 (Px, Py, Pz)를 지상기준점DB(11)에서 검색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항공측량시스템이 제시하는 해당 입력란(미도시함)에 상기 지상기준점을 입력한다.
항공측량 과정은 기존 수치지도의 배경 이미지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므로, 작업자가 촬영이미지에서 선택한 기준점에 대응하는 지상기준점은 바로 확인 가능한다.
S50; 제1연산 단계
표정6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촬영이미지의 내부표정 및 외부표정을 수행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내부표정은 항공사진 자체가 지니고 있는 왜곡을 보정하는 것이다.
참고로, 항공기에서 지상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는 카메라의 특성, 대기의 굴절, 지구의 곡률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왜곡을 갖는다. 이와 같은 왜곡으로 촬영이미지 상에서 왜곡이 없는 경우 (xa', ya')의 수정좌표값을 갖고 있어야 할 지점이, 왜곡으로 인해 (xa, ya)의 좌표값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왜곡을 갖는 상기 촬영이미지의 각 좌표값인 (xa, ya)를 왜곡이 보정된 새로운 수정좌표값인 (xa', ya')로 재배열시키는 것이 내부표정이다.
한편, 외부표정은 상기 지상기준점으로부터 항공촬영시 알려지지 않은 미지수인 표정6요소 (ω, Φ, ψ, Sx, Sy. Sz)를 계산해서 내부표정을 통해 왜곡이 보정된 촬영이미지의 기준점 좌표값인 (xa', ya')와 해당 지상기준점 좌표값인 (Px, Py, Pz)의 관계를 정립한다.
본 발명은 내부표정을 별도로 수행하여 왜곡이 보정된 정사영상을 제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내부표정을 포함하는 새로운 수정공선조건식을 정립하고 상기 수정공선조건식으로부터 표정6요소를 계산한다.
참고로, 표정요소(orientation elements, 標定要素)는 항공사진의 표정에 필요한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기선의 성분과 그 기선 주위의 회전각 등으로 구성된다.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구중심에서 항공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벡터와 지구중심에서 촬영되는 지상기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벡터 및 촬영방향을 나타내는 벡터 사이의 관계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μ는 임의의 스케일 변수이다. 상기 [수학식 1]에서 와 는 지구 중심좌표계로 표현되지만, 는 도 10처럼 사진좌표계에 의해서 표현된다. 서로 다른 좌표계를 지니고 있는 벡터를 동일 좌표계로 맞추기 위하여 x, y, z방향으로의 회전행렬이 정의되어야 하며, 이 회전행렬 M은 아래와 같다.
[수학식 2]
여기서, ω, Φ, Ψ는 x, y, z방향으로의 회전각을 나타낸다.
[수학식 3]
하지만, 사진촬영시 렌즈에 의한 왜곡, 지구곡률에 대한 왜곡 및 대기의 굴절에 의한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수학식 4]
여기서, 왜곡량 δr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5]
여기서, △r1은 렌즈의 왜곡을 나타내며, △r2는 지구곡률에 대한 왜곡을 나타내고, △r3는 대기의 굴절에 대한 왜곡을 나타낸다. 이들 값은 항공기의 높이와 촬영하는 촬영장치(30)의 특성(렌즈의 굴절률, 초점거리 등)에 의해서 정의된 값으로, 사진측량학에서 일반적으로 쉽게 그 해를 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수학식 1]은 [수학식 2, 4]로부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6]
여기서, m11 [0095] 내지 m33은 M의 요소이다.
[수학식 6]은 항공기의 촬영기하로부터 얻어진 것이며, μ는 알려지지 않은 미지수이므로 μ를 소거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7]
[수학식 8]
관계식 연산모듈(23)이 전술한 절차를 통해 연산한 관계식인 [수학식 7] 및 [수학식 8]은 왜곡이 보정된 좌표값 (xa' ,ya')=(xa(1-δr), ya(1-δr))와 지상기준점의 좌표값 (Px, Py, Pz)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식으로 수정공선조건식이라 정의한다.
상기 수정공선조건식[수학식 7,8]을 이용하여 촬영이미지가 지닌 왜곡을 보정하는 내부표정과, 촬영이미지의 기준점 좌표값에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적용하는 외부표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정공선조건식에 촬영이미지의 좌표값(xa, ya)과 이에 대응하는 지상기준점의 좌표값(Px, Py, Pz), 그리고 촬영이미지의 좌표값(xa, ya)으로부터 얻어지는 왜곡량을 대입하면, 표정6요소(ω, Φ, ψ, Sx, Sy. Sz)이 계산된다.
상기 표정6요소의 미지수는 6개이므로 방정식은 6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촬영이미지의 좌표값(xa, ya)과 이에 대응하는 지상기준점의 좌표값(Px, Py, Pz)은 3점 이상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해당 좌표값은 5점 또는 6점이 이용된다. 상기 표정6요소를 구하는 과정은 항공측량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광속조정법(Bundle Block Adjustment)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참고로, 광속조정법은 다수의 중첩된 영상의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하는 대표적인 지오레퍼런싱(Georeferencing) 방법이다.
상기 정사영상을 제작하는 제1연산단계(S50)는 중심투영에 의한 항공사진을 정사투영에 의한 정사영상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즉, 중심투영에 의해 발생하는 편위를 제거하는 것이다. 정사영상의 제작은 외부표정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이는 정사영상의 제작은 중심투영된 촬영이미지의 좌표값(xa, ya)을 정사투영된 정사영상의 좌표값(xb, yb)으로 옮기는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수정공선조건식을 이용하여 지상기준점의 좌표값(Px, Py, Pz)으로부터 각각의 촬영이미지의 좌표값(xa, ya)을 구하고, 상기 각각의 촬영이미지의 좌표값(xa, ya)이 갖고 있는 밝기값(Brightness Value or Digital Number)을 추출하고, 추출된 밝기값을 각각의 정사영상 좌표값(xb, yb)에 부여함으로써 정사영상은 제작된다. 스캐닝되어 이미지DB(12)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이미지는 좌표값(xa, ya)과 이에 대한 밝기값을 갖고 있으므로, 정사영상 좌표값(xb, yb)에 대응하는 촬영이미지의 좌표값(xa, ya)을 구하면 정사영상은 쉽게 제작될 수 있다.
S60; 제2연산단계
제1연산단계(S30)를 통해 관계식 연산모듈(23)이 표정6요소를 연산하면, 상기 수정공선조건식[수학식 7,8]에서 미지수는 지상기준점 좌표값(Px, Py, Pz)과 촬영이미지 좌표값(xa, ya)이다.
여기서, 상기 지상기준점의 좌표값은 수치표고자료인 지상기준점DB(11)의 검색을 통해 확인한다. 따라서, 실제 미지수는 촬영이미지의 좌표값(xa, ya)이 된다. 그런데 상기 수정공선조건식의 좌변에 있는 (1-δr)은 r(사진원점에서의 거리)에 관련된 함수([수학식 5] 참조)이고, r은 또한 xa, ya에 관련된 함수인 이다. 따라서 단순한 방법으로는 해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계산 과정을 보다 간단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계식 연산모듈(23)은 r-f(r) 테이블을 이용한다.
상기 [수학식 7]과 [수학식 8]의 양변을 제곱하고 더하면 아래와 같은 수학식이 유도된다.
[수학식 9]
[수학식 10]
[수학식 11]
[수학식 12]
[수학식 13]
상기 [수학식 9]에서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특성과 촬영시의 고도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값이므로, 촬영된 촬영이미지에 대해 r에 대한 f(r)의 값을 쉽게 계산가능하며, 이를 [도 11]와 같이 r-f(r) 테이블화할 수 있다. 상기 [도 11]를 참조하여 f(r)로부터 r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예를 들면, 지상기준점 좌표값 (Px, Py, Pz)이 주어지면, 상기 지상점을 이용하여 [수학식 11, 12 및 13]으로부터 U1(Px, Py,Pz), U2(Px, Py, Pz), U3(Px, Py, Pz)를 계산하고, [수학식 9]을 이용하여 f(r)을 계산한다. [도 11]에 보이는 것처럼 f(r)=120이라면, r과 f(r)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r=122.037값을 찾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원하는 모든 지상점에 대하여 f(r)을 구하고, f(r)에 해당하는 r값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f(r)/r=1-δr 이므로 상기 [수학식 7]과 [수학식 8]은 아래와 같이 다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4]
[수학식 15]
상기 [수학식 14]와 [수학식 15]는 상기 [수학식 7]과 [수학식 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수치표고자료를 통해 지상기준점 좌표값(Px, Py, Pz)을 입력하면 f(r)값이 결정되고, r-f(r)테이블을 통해 결정된 f(r)로부터 r값이 결정되고, 수정공선조건식([수학식 7,8] 또는 [수학식 14,15])으로부터 왜곡되어 있는 항공 촬영이미지의 좌표값(xa, ya)이 쉽고 빠르게 계산된다.
이렇게 항공 촬영이미지의 좌표값(xa, ya)이 추출되면, 이 촬영이미지의 좌표값([0122] xa, ya)이 갖고 있는 밝기값을 정사영상의 좌표값(xb, yb)에 부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모든 좌표에 대해 수행되어 결국 원하는 지역의 정사영상이 얻어지게 된다. 참고로, 정사영상의 좌표값(xb, yb)의 촬영이미지 좌표값(xa, ya)은 수치표고자료의 지상기준점 좌표값(Px, Py)에 대응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항공촬영 유도장치 및 그와 연계되어 항공촬영장치에 촬영이미지가 획득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에서 항공촬영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에서 위치표시블록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따른 위치표시블록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따른 위치표시블록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도 12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촬영 유도장치를 통해 항공촬영장치에서 촬영이미지의 획득 위치가 정해지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항공촬영 유도장치(40)는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항공촬영장치(30)를 통한 촬영이미지의 획득 작업이 기설정된 촬영기준점을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이에 따라 항공촬영 유도장치(40)는 상기 촬영기준점별로 매칭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항공촬영 유도장치(40)는 상기 촬영기준점을 중심으로 원형의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표시블록(41), 항공촬영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항공촬영 유도장치(40)의 작동 요청 신호에 따라 위치표시블록(41)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42) 및 항공촬영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항공촬영 유도장치(40)의 작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제어부(42)에 전달하고 메인제어부(42)로부터 전달되는 위치표시블록(41)들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를 위치표시블록(41)들에 전송하는 메인통신모듈(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위치표시블록(41)은 블록본체(410), 정역회전모터(420), 힌지블록(430), 위치표시덮개(440), 보호덮개(450),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1,462), 조도센서(471), 물감지센서(472), 서브통신모듈(480) 및 제어부(4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블록본체(41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를 지면에 노출하는 상태로 지중에 매설된다. 그리고 이러한 블록본체(410)의 상면에는 개방 영역을 중심으로 양측에 단차홈(411)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형성되되, 단차홈(411)들의 바닥면에는 관통홀(41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블록본체(410)의 하면에는 복수의 배수홀(413)이 형성된다.
정역회전모터(420)는 블록본체(410)의 한쪽 단차홈(411)에 수납 설치되며, 이러한 정역회전모터(420)는 위치표시덮개(440)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위치표시덮개(440)의 상하 반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힌지블록(430)은 블록본체(410)의 다른 한쪽 단차홈(411)에 수납 설치되며, 이러한 힌지블록(430)에 위치표시덮개(44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호덮개(450)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이러한 보호덮개(450)는 그 일측이 정역회전모터(420)의 구동축(421)에 결합되고 그 타측이 힌지블럭(4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보호덮개(450)는 정역회전모터(420)의 정역 구동에 따라 상하 반전이 이루어진다.
위치표시덮개(440)는 보호덮개(450)의 내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위치표시덮개(440)의 일면에는 복수의 LED(441a)로 형성되는 제1 표시부(441)가 설치되고, 타면에는 사전에 정해진 특정 색상의 도색판(442a)으로 형성되는 제2 표시부(442)가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442b는 도색판(442a)을 위치표시덮개(440)의 일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위치표시덮개(440)는 보호덮개(450)의 상하 반전에 연동하여 상하 반전이 이루어진다.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1)는 블록본체(410)의 한쪽 관통홀(412)을 통해 제1 로드(461a)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블록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 로드(461a)의 선단이 정역회전모터(420)에 결합된다.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2)는 블록본체(410)의 다른 한쪽 관통홀(412)을 통해 제2 로드(462a)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블록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로드(462a)의 선단이 힌지블럭(430)에 결합된다.
조도센서(471)는 블록본체(4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이러한 조도센서는 위치표시블록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물감지센서(472)는 블록본체(410)의 내측 측면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물감지센서(472)는 블록본체(410) 내로 빗물 등이 유입 시 그 수위가 소정 높이가 되면 해당 신호를 제어부(49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490)가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1,462)를 작동시켜 위치표시덮개(440) 및 그에 설치된 제어부(490) 등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서브통신모듈(480)은 블록본체(4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이러한 서브통신모듈은 메인통신모듈(43)을 통해 전송되는 메인제어부(42)의 위치표시블록(41)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490)는 보호덮개(450)에 설치되며, 위치표시덮개(440)의 제1 표시부(441) 작동을 위한 임계 조도범위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490)는 메인제어부(42)의 위치표시블록(41)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가 서브통신모듈(480)을 통해 수신 시 조도센서(471)를 통해 감지되는 주변의 조도 정보가 상기 임계 조도범위보다 높은 경우 위치표시덮개(440)의 제2 표시부(442)가 지면에 노출되도록 정역회전모터(420)의 작동을 제어하고, 이와 반대로 조도센서(471)를 통해 감지되는 주변의 조도 정보가 상기 임계 조도범위에 해당되거나 낮은 경우 위치표시덮개(440)의 제1 표시부(441)가 지면에 노출되도록 정역회전모터(4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제1 표시부(441)의 LED(441a)를 작동시킨다.
즉, 야간이나 기상 상태 등의 요인으로 위치표시블록(41)의 주변이 어두운 경우 제1 표시부(441)가 지면에 노출되는 동시에 그 LED(441a)를 작동시켜 위치표시덮개(440)의 위치를 항공촬영장치(30)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이와 반대로 주간이나 기상 상태 등이 양호하여 위치표시블록(41)의 주변이 밝은 경우 제2 표시부(442)가 지면에 노출되면서 그 도색판(442a)을 항공촬영장치(30)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490)는 물감지센서(472)를 통해 물 감지신호가 전송 시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1)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2)를 작동시켜 위치표시덮개(44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블록본체(410)의 내측으로 빗물 등이 많은 양으로 신속 유입 시 위치표시덮개(440)가 지상으로 소정 높이 상승되어 그에 설치된 제어부(490), 서브통신모듈(480) 및 여러 센서들이 물에 잠기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항공촬영장치(30)는 촬영이미지의 획득 시 사전에 정해진 고도에서 항공촬영 유도장치(40)의 위치표시블록(41)들이 모두 촬영 범위에 들어오는 조건일 때 촬영을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항공촬영장치(30)를 통해 획득되어 이미지 출력모듈(21)에 제공되는 촬영이미지가 기설정되는 촬영기준점을 중심으로 항시 정해진 고도 및 위치에서 획득될 수 있고, 이는 이미지 출력모듈(21)에 제공되는 촬영이미지들이 상기 촬영기준점을 기준으로 항시 큰 편차 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제공됨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가 촬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정사보정해서, 해당 정사영상 출력과 더불어 최소한의 시간과 시스템 부하로 상기 촬영이미지에 적용되는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상기 촬영이미지에 합성 출력하는 기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동시에 작업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 : 지상기준점DB 12 : 이미지DB
21 : 이미지 출력모듈 22 : 이미지 제어모듈
27 : 좌표보정모듈 30 : 항공촬영장치
40 : 항공촬영 유도장치 41 : 위치표시블록
42 : 메인 제어부 43 : 메인통신모듈
410 : 블록본체 411 : 단차홈
412 : 관통홀 413 : 배수홀
420 : 정역회전모터 421 : 구동축
430 : 힌지블럭 431 : 힌지핀
440 : 위치표시덮개 441 : 제1 표시부
441a : LED 442 : 제2 표시부
442a : 도색판 442b : 체결구
450 : 보호덮개 461 :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461a : 제1 로드 462 :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462a : 제2 로드 471 : 조도센서
472 : 물감지센서 480 : 서브통신모듈
490 : 제어부 AP,BP,CP : 선택지점
AX : 촬영이미지 좌표계 BX : 지상기준점 좌표계
O : 원점 OP1, OP2, OP3 : 제1,2,3 좌표값
TP2 : 수정대상 좌표값
21 : 이미지 출력모듈 22 : 이미지 제어모듈
27 : 좌표보정모듈 30 : 항공촬영장치
40 : 항공촬영 유도장치 41 : 위치표시블록
42 : 메인 제어부 43 : 메인통신모듈
410 : 블록본체 411 : 단차홈
412 : 관통홀 413 : 배수홀
420 : 정역회전모터 421 : 구동축
430 : 힌지블럭 431 : 힌지핀
440 : 위치표시덮개 441 : 제1 표시부
441a : LED 442 : 제2 표시부
442a : 도색판 442b : 체결구
450 : 보호덮개 461 :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461a : 제1 로드 462 :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462a : 제2 로드 471 : 조도센서
472 : 물감지센서 480 : 서브통신모듈
490 : 제어부 AP,BP,CP : 선택지점
AX : 촬영이미지 좌표계 BX : 지상기준점 좌표계
O : 원점 OP1, OP2, OP3 : 제1,2,3 좌표값
TP2 : 수정대상 좌표값
Claims (1)
- 제어값에 따라 동작하면서 촬영이미지를 출력하되, 상기 촬영이미지 내 각 지점의 좌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X축선 및 Y축선이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촬영이미지 좌표계를 적용하여 동작하는 이미지 출력모듈(21);
상기 이미지 출력모듈(21)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값을 생성해서 상기 이미지 출력모듈(21)로 전달하는 이미지 제어모듈(22);
항공기의 현재 위치를 GPS 좌표로 확인하는 GPS 모듈(26);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수정공선조건식인
을 통해 촬영이미지 좌표값으로 연산하는 관계식 연산모듈(23);
입력된 둘 이상의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촬영이미지 좌표값으로 연산하도록 상기 관계식 연산모듈(23)에 전달하고, 상기 관계식 연산모듈(23)로부터 수신한 촬영이미지 좌표값의 위치를 상기 촬영이미지 좌표계를 기준으로 확인하고, 상기 촬영이미지 좌표계의 원점과 상기 촬영이미지 좌표값 간 거리인 제1거리를 지점별로 각각 연산하고, 상기 GPS모듈(26)에서 확인한 상기 원점의 지상기준점 좌표값과 상기 입력된 지상기준점 좌표값 간 거리인 제2거리를 지점별로 각각 연산하고, 상기 지점별로 확인한 상기 제2거리 및 상기 지점별로 확인한 상기 제1거리 간의 거리 차이를 상기 제2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지점별로 확인해서 상기 지점별 상기 제2거리 차이 대비 상기 제1거리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지점별 상기 제1거리 차이의 증가 또는 감소비율인 왜곡비율을 확인하는 왜곡비율 확인모듈(24);
상기 원점을 중심으로 위도방향과 경도방향을 따라 지상기준점을 설정하되, 상기 왜곡비율로 변하는 상기 지상기준점 간의 간격을 확인해서 상기 촬영이미지에 상기 지상기준점의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지상기준점을 잇는 다수의 위도축선과 경도축선이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지상기준점 좌표계를 생성하고, 상기 지상기준점 좌표계와 촬영이미지 좌표계를 서로 연계해서 지상기준점 좌표값에 대응하는 촬영이미지 좌표값이 링크되도록 처리하는 좌표값 설정모듈(25); 및
촬영이미지 내 확인대상 지상물을 선택해서 상기 확인대상 지상물 이미지가 겹치는 상기 지상기준점 좌표계의 제1좌표값을 확인하고, 지상기준점DB(11)에서 상기 확인대상 지상물의 실제 지상기준점 좌표값을 검색해서 상기 지상기준점 좌표계에 적용한 수정대상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수정대상 좌표값에 해당하는 경도축선과 위도축선이 상기 제1좌표값에 해당하는 경도축선과 위도축선이 되도록 이동시키고, 이동된 상기 경도축선 및 위도축선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다른 경도축선 및 위도축선이 상기 왜곡비율에 따라 배치되도록 수정해서 상기 촬영이미지에 적용하는 좌표보정모듈(27)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출력모듈(21)에 촬영이미지를 전송하는 항공촬영장치(30) 및 상기 항공촬영장치(30)를 통한 촬영이미지의 획득 작업이 기설정된 촬영기준점을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촬영기준점에 설치되는 항공촬영 유도장치(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40)는
상기 촬영기준점을 중심으로 원형의 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표시블록(41) 및 상기 항공촬영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40)의 작동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표시블록(41)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42) 그리고 상기 항공촬영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40)의 작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제어부(42)에 전달하고 상기 메인제어부(42)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위치표시블록(41)들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를 상기 위치표시블록(41)들에 전송하는 메인통신모듈(43)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표시블록(41)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를 지면에 노출하는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며, 상면에는 개방 영역을 중심으로 양측에 단차홈(411)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형성되되, 단차홈(411)들의 바닥면에는 관통홀(412)이 각각 형성되며, 하면에 복수의 배수홀(413)이 형성되는 블록본체(410)
상기 블록본체(410)의 한쪽 단차홈(411)에 수납 설치되는 정역회전모터(420);
상기 블록본체(410)의 다른 한쪽 단차홈(411)에 수납 설치되는 힌지블럭(430);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정역회전모터(420)의 구동축(421)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블럭(430)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덮개(450);
상기 보호덮개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면에는 복수의 LED(441a)로 형성되는 제1 표시부(441)가 설치되고 타면에는 사전에 정해진 특정 색상의 도색판(442a)으로 형성되는 제2 표시부(442)가 설치되는 위치표시덮개(440);
상기 블록본체(410)의 한쪽 관통홀(412)을 통해 제1 로드(461a)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블록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로드(461a)의 선단이 상기 정역회전모터(420)에 결합되는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1);
상기 블록본체(410)의 다른 한쪽 관통홀(412)을 통해 제2 로드(462a)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블록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로드(462a)의 선단이 상기 힌지블럭(430)에 결합되는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2);
상기 블록본체(4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471);
상기 블록본체(410)의 내측 측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물감지센서(472);
상기 블록본체(4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통신모듈(43)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메인제어부(42)의 상기 위치표시블록(41)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통신모듈(480);
상기 보호덮개(450)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표시덮개(440)의 상기 제1 표시부(441) 작동을 위한 임계 조도범위가 기설정되고, 상기 메인제어부(42)의 상기 위치표시블록(41)에 대한 작동 제어 신호가 상기 서브통신모듈(480)을 통해 수신 시 상기 조도센서(471)를 통해 감지되는 주변의 조도 정보가 상기 임계 조도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위치표시덮개(440)의 상기 제2 표시부(442)가 지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정역회전모터(420)의 작동을 제어하고 반대로 상기 조도센서(471)를 통해 감지되는 주변의 조도 정보가 상기 임계 조도범위에 해당되거나 낮은 경우 상기 위치표시덮개(440)의 상기 제1 표시부(441)가 지면에 노출되도록 정역회전모터(4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제1 표시부(441)의 LED(441a)를 작동시키며, 상기 물감지센서(472)를 통해 물 감지신호가 전송 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1)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462)를 작동시켜 상기 위치표시덮개(44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승강시키는 제어부(490)를 포함하고,
상기 항공촬영장치(30)는 촬영이미지의 획득 시 사전에 정해진 고도에서 상기 항공촬영 유도장치(40)의 상기 위치표시블록(41)들이 모두 촬영 범위에 들어오는 조건일 때 촬영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3392A KR101833795B1 (ko) | 2017-09-25 | 2017-09-25 |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3392A KR101833795B1 (ko) | 2017-09-25 | 2017-09-25 |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3795B1 true KR101833795B1 (ko) | 2018-04-13 |
Family
ID=6197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3392A KR101833795B1 (ko) | 2017-09-25 | 2017-09-25 |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3795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1495B1 (ko) * | 2018-10-04 | 2019-01-24 |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 최소 왜곡상태로 대상물의 이미지를 확보하는 촬영장치 |
KR102016454B1 (ko) * | 2019-05-08 | 2019-09-02 | 천우항측 주식회사 |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수치지도 변화를 편집하기 위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
KR102159134B1 (ko) * | 2019-09-27 | 2020-09-23 | 네이버시스템(주) | 무인비행기를 이용한 비측량용 실시간 고해상도 정사지도 생성 방법 및 비측량용 실시간 고해상도 정사지도 생성 장치 |
KR102216887B1 (ko) * | 2020-12-08 | 2021-02-18 |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 영상 기준점 이미지 칩을 이용한 시계열 정사영상 제작방법 |
CN114782522A (zh) * | 2022-04-28 | 2022-07-22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电缆线路测绘方法、装置、设备及介质 |
KR102642144B1 (ko) * | 2023-09-14 | 2024-02-29 | (주)지오라인정보기술 | 위치정보를 촬영이미지에 합성하여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KR102709093B1 (ko) * | 2023-12-22 | 2024-09-24 | 지오랩스(주) | 왜곡된 영상이미지를 정사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4345B1 (ko) | 2005-11-30 | 2006-01-23 | 주식회사 한국지오매틱스 | 항공사진의 정사영상 제작방법 |
KR100928312B1 (ko) | 2008-11-13 | 2009-11-25 | (주)미도지리정보 | 항공촬영이미지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도화시스템 |
KR100967448B1 (ko) | 2009-10-28 | 2010-07-01 | 새한항업(주) | 수치지도데이터와 도화이미지합성을 통한 지형정보의 영상처리시스템 |
KR100995107B1 (ko) | 2009-10-29 | 2010-11-18 | (주)새한지오텍 | 항공촬영이미지의 이해도를 높인 영상이미지 편집처리시스템 |
US20100309310A1 (en) | 2007-04-19 | 2010-12-09 | Albright Dale | Aircraft monitoring and identification system |
KR101219162B1 (ko) | 2012-09-26 | 2013-01-09 |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
KR101231702B1 (ko) | 2012-11-30 | 2013-02-08 | 새한항업(주) | 일렬코드 입력을 통한 고해상도의 촬영영상이미지의 합성용 항공촬영시스템 |
KR101346206B1 (ko) | 2013-09-11 | 2014-02-07 | (주)아세아항측 | 정사영상의 정밀 처리를 위한 gps 기반 항공측량시스템 |
KR101346192B1 (ko) | 2013-09-11 | 2014-02-07 | (주)아세아항측 | 항공측량 전용 촬영이미지의 실시간 정사 보정용 항공측량시스템 |
KR101494828B1 (ko) | 2014-11-04 | 2015-02-23 | 김은경 | 오류 영상이미지의 자동인식 및 정밀 수정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수정시스템 |
KR101502866B1 (ko) | 2014-09-29 | 2015-03-18 | (주)아세아항측 | 3차원 입체이미지 형성을 위한 촬영이미지 편집형 영상처리시스템 |
-
2017
- 2017-09-25 KR KR1020170123392A patent/KR1018337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4345B1 (ko) | 2005-11-30 | 2006-01-23 | 주식회사 한국지오매틱스 | 항공사진의 정사영상 제작방법 |
US20100309310A1 (en) | 2007-04-19 | 2010-12-09 | Albright Dale | Aircraft monitoring and identification system |
KR100928312B1 (ko) | 2008-11-13 | 2009-11-25 | (주)미도지리정보 | 항공촬영이미지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도화시스템 |
KR100967448B1 (ko) | 2009-10-28 | 2010-07-01 | 새한항업(주) | 수치지도데이터와 도화이미지합성을 통한 지형정보의 영상처리시스템 |
KR100995107B1 (ko) | 2009-10-29 | 2010-11-18 | (주)새한지오텍 | 항공촬영이미지의 이해도를 높인 영상이미지 편집처리시스템 |
KR101219162B1 (ko) | 2012-09-26 | 2013-01-09 |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
KR101231702B1 (ko) | 2012-11-30 | 2013-02-08 | 새한항업(주) | 일렬코드 입력을 통한 고해상도의 촬영영상이미지의 합성용 항공촬영시스템 |
KR101346206B1 (ko) | 2013-09-11 | 2014-02-07 | (주)아세아항측 | 정사영상의 정밀 처리를 위한 gps 기반 항공측량시스템 |
KR101346192B1 (ko) | 2013-09-11 | 2014-02-07 | (주)아세아항측 | 항공측량 전용 촬영이미지의 실시간 정사 보정용 항공측량시스템 |
KR101502866B1 (ko) | 2014-09-29 | 2015-03-18 | (주)아세아항측 | 3차원 입체이미지 형성을 위한 촬영이미지 편집형 영상처리시스템 |
KR101494828B1 (ko) | 2014-11-04 | 2015-02-23 | 김은경 | 오류 영상이미지의 자동인식 및 정밀 수정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수정시스템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1495B1 (ko) * | 2018-10-04 | 2019-01-24 |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 최소 왜곡상태로 대상물의 이미지를 확보하는 촬영장치 |
KR102016454B1 (ko) * | 2019-05-08 | 2019-09-02 | 천우항측 주식회사 |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수치지도 변화를 편집하기 위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
KR102159134B1 (ko) * | 2019-09-27 | 2020-09-23 | 네이버시스템(주) | 무인비행기를 이용한 비측량용 실시간 고해상도 정사지도 생성 방법 및 비측량용 실시간 고해상도 정사지도 생성 장치 |
KR102216887B1 (ko) * | 2020-12-08 | 2021-02-18 |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 영상 기준점 이미지 칩을 이용한 시계열 정사영상 제작방법 |
CN114782522A (zh) * | 2022-04-28 | 2022-07-22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电缆线路测绘方法、装置、设备及介质 |
KR102642144B1 (ko) * | 2023-09-14 | 2024-02-29 | (주)지오라인정보기술 | 위치정보를 촬영이미지에 합성하여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KR102709093B1 (ko) * | 2023-12-22 | 2024-09-24 | 지오랩스(주) | 왜곡된 영상이미지를 정사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3795B1 (ko) | 왜곡된 항공영상의 정사영상 처리 장치 | |
US8897482B2 (en) | Stereo photogrammetry from a single station using a surveying instrument with an eccentric camera | |
JP4607095B2 (ja) | 測量機器において画像処理を行う方法と装置 | |
US10060739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a position and orientation offset of a geodetic surveying device and such a surveying device | |
US8629905B2 (en) | Localization of a surveying instrument in relation to a ground mark | |
US8625086B2 (en) | Determining coordinates of a target in relation to a survey instrument having a camera | |
US6442293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an image forming program | |
EP3333538A1 (en) | Scanner vis | |
EP2240740B1 (en) | Localization of a surveying instrument in relation to a ground mark | |
KR20200064542A (ko) | 드론을 이용한 지상기준점 측량장치 및 그 방법 | |
CN112334733B (zh) | 拍摄装置的校正装置、监视装置、作业机械及校正方法 | |
CN111678504B (zh) | 自动对中调平 | |
KR101346192B1 (ko) | 항공측량 전용 촬영이미지의 실시간 정사 보정용 항공측량시스템 | |
JP2011112556A (ja) | 捜索目標位置特定装置及び捜索目標位置特定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101346206B1 (ko) | 정사영상의 정밀 처리를 위한 gps 기반 항공측량시스템 | |
CN117782007A (zh) | 地面沉降高精度无人机近景摄影测量装置及测量方法 | |
Abdullah et al. | Camera Calibration Performance on Different Non-metric Cameras. | |
US20230142960A1 (en) | Construction of formwork and scaffolding using mobile devices | |
JP4359083B2 (ja) | 測量システム | |
JP4565898B2 (ja) | 傾き補正機能を備える3次元物体測量装置 | |
JP4167509B2 (ja) | 測量システム | |
JP2003083744A (ja) | 航空機搭載撮像装置および航空撮像データ処理装置 | |
JP2002236021A (ja) | 精密写真測量における測量対象点の座標算出方法及び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並びにランドマーク | |
KR102642144B1 (ko) | 위치정보를 촬영이미지에 합성하여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
Cannelle et al. | Off-line vs. on-line calibration of a panoramic-based mobile mapp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