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641B1 -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641B1
KR101831641B1 KR1020110059417A KR20110059417A KR101831641B1 KR 101831641 B1 KR101831641 B1 KR 101831641B1 KR 1020110059417 A KR1020110059417 A KR 1020110059417A KR 20110059417 A KR20110059417 A KR 20110059417A KR 101831641 B1 KR101831641 B1 KR 10183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cution screen
application
mode execution
mini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485A (ko
Inventor
성진하
김민경
이성식
김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215490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487579A1/en
Priority to BR112013020544A priority patent/BR112013020544A2/pt
Priority to CN201611170797.5A priority patent/CN107102789B/zh
Priority to EP18155188.8A priority patent/EP3336672B1/en
Priority to AU2012214993A priority patent/AU2012214993B2/en
Priority to CN201280018049.9A priority patent/CN103492993A/zh
Priority to CA2826933A priority patent/CA2826933C/en
Priority to JP2013553365A priority patent/JP6002688B2/ja
Priority to US13/370,568 priority patent/US9569090B2/en
Priority to PCT/KR2012/000997 priority patent/WO2012108714A2/en
Priority to RU2013137438A priority patent/RU2607272C2/ru
Publication of KR2012009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GUI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기능 이용 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서 볼 수 있게 되며,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GUI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스크린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태블릿(tablet) PC 등의 휴대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이용한다. 최근에 출시되는 휴대 단말기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켜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멀티태스킹 기능 지원 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실행시키기는 하나,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만을 표시할 뿐,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는데 불과했다. 즉, 사용자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서 볼 수 없었다. 또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 알림을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기는 하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서 구현할 수 있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기능 이용 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서 볼 수 있게 되며,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단한 터치 동작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종료, 숨김, 미니 모드에서 전체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멀티태스킹 기능을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서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복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과 구분되어 형성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은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과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은 미니 모드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이고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은 전체 모드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위치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과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은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가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며, 인디케이터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이전(back) 키, 홈(home) 키, 최근 실행 목록(recent) 키 및 검색(search)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인디케이터 영역이 다른 영역으로 전환 가능함을 나타내는 큐(cue)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뉴 바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인디케이터 영역이 위치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홈 화면, 메뉴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구분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 또는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일 형태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 전체로 구성되는 실행 화면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홈 화면 또는 메뉴 화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터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 또는 '축소 모드 실행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다른 형태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의 일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실행 화면에 해당한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전체 모드 실행 화면 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며,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은 서로 다른 GUI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터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저장부(120), 터치스크린부(130), 키 입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고,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및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30)는 터치센서부(131) 및 표시부(13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터치센서부(13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의 터치 감지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3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 터치센서부(13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표시부(13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입력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32)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고,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선택 입력 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
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터치스크린부(130)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는 입력 장치로서, 터치센서부(131)와 마찬가지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4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별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키 입력부(140)는 버튼식 또는 터치센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3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14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선택을 입력받으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며,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디케이터 영역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통해 인디케이터 영역 및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의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으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하면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인디케이터 영역 표시를 유지한다.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터치 이동 위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포커스 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OK 키' 및 'Cancel 키'를 포함하는 팝 업(pop-up) 창을 표시한다.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OK 키'가 선택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포커스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Cancel 키'가 선택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멀티태스킹 기능 지원을 위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2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을 표시부(132)의 하단에 바(bar) 형태로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의 상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는 메뉴 아이콘 또는 위젯으로 구성되는 홈(home) 화면, 메뉴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메뉴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포함될 수 있다. 대기 상태(standby)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홈 화면 또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202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으로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터치를 입력하며,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터치 입력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판단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 내로 이동시킨 후 터치를 해제하는 드래그 및 드롭(drag and drop)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다.
2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구성하고 표시부(132)에 표시한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의 일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실행 화면으로서, 홈 화면, 메뉴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layer) 상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은 서로 다른 GUI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31),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 미니 모드 실행 화면(33)을 도시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31)에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33)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서,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표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33)은 전체 모드 전환 키(34) 및 종료키(35)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을 전체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 모드 전환 키(34)에 터치를 입력하며,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종료키(35)를 입력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들(321 내지 327)이 포함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재설정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빈번히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들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에 해당하는 아이콘(323)에 터치를 입력했을 때 표시되는 결과에 해당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32)을 다른 영역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종료 키(328)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2) 영역은 기능키들로 구성되는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종료 키(328)를 입력하여 전환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과 인디케이터 영역이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 해당한다.
4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이전(back) 키, 홈(home) 키, 최근 실행 목록(recent) 키 및 검색(search) 키가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는 도 2와 같이 홈 화면, 메뉴 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된다.
402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는다. 402단계에서 입력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터치 이동 후 터치를 바로 해제하는 플릭(flick) 동작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다.
4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막대(bar)가 회전하는 효과 이미지를 표시하면서, 인디케이터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전환하게 된다.
404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으며, 405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의 전환을 위한 전환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전환키에 터치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종료 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키에 터치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을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상에 터치 후 아래 방향(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을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은 플릭(flick) 동작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전환한 후, 타이머(timer)를 구동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T)이 경과되는지 체크하며, T를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을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은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과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의 하부는 인디케이터 영역,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의 3가지 영역이 순차적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과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구성되며,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132)에 표시하고,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에 포함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132)에 표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51)과 메뉴 바 영역(52)을 도시하고 있다. 메뉴 바 영역(52)은 입체적인 막대 형상의 메뉴 바를 포함하며, 메뉴 바는 3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뉴 바에는 인디케이터 영역(521),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522) 및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523)이 포함된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메뉴 바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전하며, 메뉴 바 영역(52)은 인디케이터 영역(521),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522) 또는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523)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도 6은 도 4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의 [a]는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구성된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과 인디케이터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인디케이터 영역은 이전 키(61), 홈 키(62), 최근 실행 목록 키(63), 검색 키(64)를 포함한다. 또한 인디케이터 영역에는 다른 영역으로 전환 가능함을 나타내는 큐(cue) 이미지(65)와 현재 시각이 포함되어 있다. 도 6의 [a]는 사용자가 인디케이터 영역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b]는 도 6의 [a]에서 사용자가 인디케이터 영역에 터치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의 [b]에서 인디케이터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도 6의 [b]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은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도 6의 [b]는 사용자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23)을 선택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c]는 도 6의 [b]에서 사용자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23)을 선택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의 [c]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layer) 상에 표시된 형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서 다시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종료 키(328)를 선택하게 된다.
도 6의 [d]는 도 6의 [c]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종료 키(328)를 선택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하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이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전환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미니 모드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과정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7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과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701단계는 도 2의 203단계 또는 도 4의 405단계의 과정 이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이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다시 전환된 상태에 해당한다.
702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현재 미니 모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기 위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다.
7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터치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704단계에서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의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하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하단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인디케이터 영역의 하위 레이어 상에 표시하게 된다. 이어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단과 하단의 중심선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705단계로 진행하고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중심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706단계로 진행하고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포커스를 표시할 수 있다.
707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터치 이동 위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종료를 위해 터치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까지 이동시킨 후 터치를 해제한다. 터치 이동 위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708단계로 진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유지하며, 터치 이동 위치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7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축소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방향으로 수렴되는 효과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는 어플리케이션 종료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종료키에 터치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디케이터 영역에 포함된 이전(back) 키에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 미니 모드로 실행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의 [a]는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구성된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구성된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 및 인디케이터 영역을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a]에서 'a'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8의 [b]는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8의 [b]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도 8의 [a]와 비교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으며, 일부만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나머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 밑으로 가려져 있다. 또한 도 8의 [a]의 인디케이터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변경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50)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길이(b)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 전체 길이(a)의 절반(1/2*a)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b가 1/2*a보다 작아지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인디케이터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도 8의 [b]는 또한 현재 미니 모드로 실행 중인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에 포커스가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사용자는 터치 위치를 계속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도 8의 [c]는 사용자가 터치 위치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까지 이동시켰을 때, 변경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의 [c]에서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사라지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만이 표시된다. 도 8의 [c]는 도 8의 [b]와 비교하여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종료에 따라 현재 미니 모드 실행 중을 나타내는 포커스가 함께 삭제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8의 [a]에서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포함된 종료키(81)를 입력하거나 인디케이터 영역에 포함된 이전 키(82)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도 8의 [c]와 같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제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때,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축소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으로 수렴하는 효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선택이 입력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부터 확대되는 형태의 효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향하는 방향으로 축소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는 전체 모드 전환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체 모드 전환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서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의 [a]에서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는 전체 모드 전환키(10)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을 전체 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 모드 전환키(10)를 입력하게 된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서 사용자가 전체 모드 전환키(10)를 입력했을 때, 전환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0의 [b]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은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전체 모드로 실행 중인 경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영역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실행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함께 표시하게 된다.
도 11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은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커스는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미니 모드 실행 화면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며, 사용자는 포커스를 이동시켜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1에서 사용자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체 모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처리하는 과정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12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포커스 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제1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2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전체 모드 실행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포커스를 표시한다.
1202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시간 또는 스케줄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이벤트는 알람 이벤트가 될 수 있으며,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이벤트는 통화 호 착신 이벤트가 될 수 있고,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이벤트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12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OK 키' 및 'Cancel 키'를 포함하는 팝 업(pop-up) 창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OK 키'는 Ok, confirm, done, delete 등의 확인(confirmation) 명령을 입력하는 키에 해당하며, 'Cancel 키'는 No, cancel 등의 취소 명령을 입력하는 키에 해당한다. 이 때, 팝 업 창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 상에 표시된다.
1204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 또는 키 입력부(140)를 통해 'OK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1205단계로 진행하고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포커스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사용자가 'OK 키'를 선택한 것은 이벤트를 확인하고자 하는 명령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이벤트를 발생시킨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 포커스를 맞추게 된다.
1204단계에서 'OK 키'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1206단계로 진행하고 터치센서부(131) 또는 키 입력부(140)를 통해 'Cancel 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Cancel 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1207단계에서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Cancel 키'를 선택하는 것은 이벤트를 나중에 확인하고 우선적으로 현재 포커스 되어 있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이용하겠다는 명령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 13은 도 12의 과정에 따라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의 [a]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 팝업 창 및 인디케이터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현재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포커스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며,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알람 이벤트를 알리는 팝업 창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어그라운드에 표시되어 있다. 팝업 창에는 'OK 키' 및 'Cancel 키'가 포함되어 있다.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서 사용자가 'OK 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한다. 도 13의 [b]에서 포커스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도 13의 [c]는 도 13의 [a]에서 사용자가 'Cancel 키'를 입력했을 때 변경되는 화면에 해당하며,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상태는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복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은 각각 레이어(layer)를 달리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최상위 레이어에 위치하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포커스가 위치할 수 있다.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실행 명령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최상위 레이어에 위치시키고 포커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현재 표시 중인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삭제하고, 실행 명령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복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표시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서는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어 있으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하위 레이어에 위치하고 있다.
사용자는 좌우방향의 플릭(flick) 동작 또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의 터치 동작을 통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4에서 사용자가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 후 드래그(drag) 동작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터치 위치 이동에 따라 표시되어 있는 모든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4에서 사용자가 좌측 방향의 플릭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포커스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세계 시각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터치 입력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포커스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의 두 지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되는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은 두 지점 터치 후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터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즉시 터치를 해제하는 플릭(flick) 동작에 해당함이 바람직하다. 두 지점 터치의 플릭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에 포함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들 전체를 삭제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미니 모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며, 미니 모드 실행 화면 숨김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의 하나의 지점 터치 후 인디케이터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터치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는 미니 모드 전환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미니 모드 전환키 입력을 인식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 어플리케이션 종료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때,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종료키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터치센서부(13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종료키가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종료하고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모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 포함된 미니 모드 전환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2)를 제어하여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면서, 현재 표시되어 있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삭제하거나 새로 생성되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하위 레이어로 위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의 [a]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미니 모드 전환키에 터치가 입력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의 [b]는 도 15의 [a]에서 전환되는 화면으로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이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의 [a]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종료 키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터치를 입력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의 [b]는 도 16의 [a]에서 전환되는 화면으로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이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전환되고,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위치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기능 이용 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서 볼 수 있게 되며,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터치스크린부
131 : 터치센서부
132 : 표시부
140 : 키 입력부
150 : 제어부

Claims (18)

  1. 휴대 단말기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 상에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실행하고 표시하는 동작;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과 함께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과 대응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 상에 실행하고 표시하는 동작으로,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의 일부 영역으로 설정된 실행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 상에서 전체 모드로 실행되며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감춰지면, 미니 모드 변경 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겹쳐지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은 각각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 및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표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 및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표시를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변경하는 동작 또는 다른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표시를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변경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표시를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 상에 전체 모드 변경 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체 모드 변경 키의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표시를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 상에 미니 모드 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미니 모드 키의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기 전에 표시되고,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에 포함된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메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뉴 영역은 사용자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전체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 상기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키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영역 중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의 터치 이동 위치가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 연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터치 이동 위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 연장되면, 상기 터치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동작은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축소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으로 수렴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포커스 하여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의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확인 키 및 취소 키를 포함하는 팝업 창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확인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에 포커스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동작;
    상기 취소 키가 입력되면,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포커스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으로부터 다른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의 추가 선택을 수신하는 동작;
    현재 표시되어 있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의 상위 레이어 상에 상기 추가 선택된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 3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플릭(flick) 동작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을 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 상에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 영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하여, 제 2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과 대응하는 제 2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의 일부 영역으로 설정된 실행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 상에서 전체 모드로 실행되며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감춰지면, 미니 모드 변경 키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전체 모드 실행 화면과 겹쳐지는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가 동시에 표시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입력부 상의 터치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으로의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의 표시를 변경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은 터치 센서가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미니 모드 실행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이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으로 변경되도록 표시를 제어하거나 다른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을 사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으로 변경하도록 표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영역 상의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모드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휴대 단말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모드 실행 화면 및 상기 전체 모드 실행 화면은 각각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표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10059417A 2011-02-11 2011-06-20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3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53365A JP6002688B2 (ja) 2011-02-11 2012-02-10 携帯端末機のgui提供方法及び装置
CN201611170797.5A CN107102789B (zh) 2011-02-11 2012-02-10 用于在移动终端中提供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EP18155188.8A EP3336672B1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AU2012214993A AU2012214993B2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EP12154904A EP2487579A1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CA2826933A CA2826933C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BR112013020544A BR112013020544A2 (pt) 2011-02-11 2012-02-10 método e aparelho para fornecer interface gráfica de usuário em terminal móvel
US13/370,568 US9569090B2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PCT/KR2012/000997 WO2012108714A2 (en) 2011-02-11 2012-0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RU2013137438A RU2607272C2 (ru) 2011-02-11 2012-02-10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графического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в мобильном терминале
CN201280018049.9A CN103492993A (zh) 2011-02-11 2012-02-10 用于在移动终端中提供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63044P 2011-02-11 2011-02-11
US61/463,044 2011-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85A KR20120092485A (ko) 2012-08-21
KR101831641B1 true KR101831641B1 (ko) 2018-04-05

Family

ID=4688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417A KR101831641B1 (ko) 2011-02-11 2011-06-20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002688B2 (ko)
KR (1) KR101831641B1 (ko)
CN (2) CN103492993A (ko)
AU (1) AU2012214993B2 (ko)
BR (1) BR112013020544A2 (ko)
CA (1) CA2826933C (ko)
RU (1) RU260727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329B1 (ko) * 2012-08-29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20799B1 (ko) * 2013-06-07 202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60328A (ko)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멀티 모달 입력을 처리하는 서버
CN107678654A (zh) * 2017-09-30 2018-02-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界面显示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089786B (zh) 2017-12-14 2019-12-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户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156382B1 (ko) * 2019-11-27 202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745585B2 (en) 2020-04-20 2023-09-05 Thinkware Corporation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using widg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67336A (ko) * 2020-11-17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멀티윈도우 제어방법
EP4318455A1 (en) * 2021-03-31 2024-02-07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3165A1 (en) 2009-06-08 2010-12-09 John Louch User interface for multiple display region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29662T2 (de) * 1995-11-10 2004-06-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system zu auswahl einer funktion in einem anwendungsprogramm
US6078308A (en) * 1995-12-13 2000-06-20 Immersion Corporation Graphical click surfaces for force feedback applications to provide user selection using cursor interaction with a trigger position within a boundary of a graphical object
US7421657B1 (en) * 2000-11-14 2008-09-02 Microsoft Corporation Handling open browser requests in a single window environment
US7234114B2 (en) * 2003-03-24 2007-06-19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object previewer in a shell browser
JP2005250550A (ja) * 2004-03-01 2005-09-15 Sharp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装置
US7761800B2 (en) * 2004-06-25 2010-07-20 Apple Inc. Unified interest layer for user interface
KR100700572B1 (ko) * 2005-01-28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선택 표시장치 및 방법
US7673255B2 (en) * 2005-04-22 2010-03-02 Microsoft Corporation Interface and system for manipulating thumbnails of live windows in a window manager
KR100763188B1 (ko) * 2005-07-21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장치
WO2007133294A2 (en) * 2005-12-30 2007-11-22 Bmo Llc Ubiquitous navbar user interface across multiple heterogeneous digital media devices
KR20080006666A (ko) * 2006-07-13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의 데이터처리 방법
JP4982505B2 (ja) * 2007-01-25 2012-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ウィンドウ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9086785B2 (en) * 2007-06-08 2015-07-21 Apple Inc. Visualization object receptacle
CN101334725B (zh) * 2007-06-29 2011-05-25 联想(北京)有限公司 提高窗口显示性能的方法与装置
KR101012300B1 (ko)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JP2011018085A (ja) * 2008-06-19 2011-01-27 Panasonic Corp 情報処理装置
US20100100824A1 (en) * 2008-10-16 2010-04-22 Claudio Bartolini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source management
KR101504210B1 (ko) * 2008-10-17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0282408A (ja) * 2009-06-04 2010-12-16 Sony Corp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3165A1 (en) 2009-06-08 2010-12-09 John Louch User interface for multiple display reg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26933C (en) 2019-04-30
KR20120092485A (ko) 2012-08-21
RU2013137438A (ru) 2015-02-20
CN103492993A (zh) 2014-01-01
JP2014508354A (ja) 2014-04-03
CN107102789B (zh) 2021-06-01
RU2607272C2 (ru) 2017-01-10
CA2826933A1 (en) 2012-08-16
JP6002688B2 (ja) 2016-10-05
CN107102789A (zh) 2017-08-29
AU2012214993B2 (en) 2016-11-24
BR112013020544A2 (pt)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641B1 (ko)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269486B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EP33366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KR101640464B1 (ko) 터치스크린 기반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680113B1 (ko)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JP5707035B2 (ja) モーションセンサーに基づくui運用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端末機
EP3617861A1 (en)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TWI381305B (zh) 使用者介面的顯示與操作方法以及電子裝置
KR101726607B1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1008798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interface and touch interface method
KR101538705B1 (ko)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901342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8106786B2 (en) Terminal including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of notifying selection of item using the terminal, and method of notifying occurrence of event using the terminal
US20110083105A1 (en) List-editing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US20140282272A1 (en) Interactive Inputs for a Background Task
KR20150081012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1530546B1 (ko) 휴대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50012396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30328827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4075103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301453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ask management screen of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KR2014014075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20094728A (ko)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352506B1 (ko) 단말 장치에서의 아이템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