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129B1 -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 Google Patents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129B1
KR101831129B1 KR1020170164499A KR20170164499A KR101831129B1 KR 101831129 B1 KR101831129 B1 KR 101831129B1 KR 1020170164499 A KR1020170164499 A KR 1020170164499A KR 20170164499 A KR20170164499 A KR 20170164499A KR 101831129 B1 KR101831129 B1 KR 10183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error
base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티스
Priority to KR102017016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15/00Screen printing machines
    • B41P2215/10Screen print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의 스크린 프린트 작업시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라인흐름의 저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을 라인흐름의 방해없이 배제할 수 있는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와 셔틀유닛과 비젼유닛과 이송유닛으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 스크린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비젼유닛은 인쇄회로기판의 에러여부를 확인하고,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셔틀유닛의 대피장치에 의해 상부로 대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에러기판 대피장치는, 상부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일측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가 설치된 상기 베이스판의 면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대피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Screen pinter with device to remove th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error}
본 발명은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의 스크린 프린트 작업시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라인흐름의 저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을 라인흐름의 방해없이 배제할 수 있는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 실장 기술(Surface mounter technology, SMT)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의 상부에 반도체, 다이오드 또는 칩 등의 부품을 다수의 장비를 이용하여 실장하고, 이를 경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로써, 이 중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크림 솔더(Cream solder)를 도포하는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공정을 위하여 표면 실장용 스크린 프린터(Screen printer)가 사용되고 있다.
스크린 프린터에 의해 크림 솔더가 인쇄회로기판에 도포하는 장치는 이미 알려져 있는데, 대표적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하여 공급과 배출이 라인의 흐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 라인 생산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오류를 가진 하나의 생산품이 라인 내에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할 수 없고, 또한 이러한 오류를 가진 생산품의 제거나 수정을 위하여 라인 전체를 중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라인의 중지는, 컨베이어 시스템 라인 생산이 지향하는 라인 흐름에 의한 연속적인 생산 공정의 지속성을 해치는 결과와 함께, 생산량이 저하되고, 비상정지에 따른 장비에 가해지는 비정상적 부하로 인한 고장의 발생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스크린 프린터와 같이 정밀함을 요하는 공정에서 라인의 연속성의 저하는 생산품의 품질과 직결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KR 1020110093617 A KR 101226762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스크린 프린팅 공정 중 에러가 발생된 인쇄회로기판을 스크린 프린터로 공급되기 전 또는 스크린 프린트 후에 대피시키되, 라인 흐름이 저해되지 않도록하여 연속적으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는 본체와 셔틀유닛과 비전유닛으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 스크린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비전유닛은 인쇄회로기판의 에러여부를 확인하고,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셔틀유닛의 대피장치에 의해 상부로 대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에러기판 대피장치는, 상부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일측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가 설치된 상기 베이스판의 면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대피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을 스크린 프린터의 스크린 프린팅 공정 전후에 라인의 흐름에 저해되지 않는 방법으로 대피시킴으로써, 스크린 프린팅 공정의 라인정지 없이도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라인의 흐름이 연속적으로 행해지게 됨으로써, 스크린 프린터에 가해지는 비상정지와 같은 급작스런 부하가 사라지게 되어, 스크린 프린터의 고장발생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고, 가동년한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에러가 있는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스크린 프린팅 작업 자체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스크린 프린팅에 소요되는 재료, 예를 들면 크림 솔더의 낭비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스크린 프린팅 공정 전후에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스크린 프린터 내부에 존재하는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을 제거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제거된다.
또한, 하나의 라인에서 복수의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스크린 프린팅을 하는 경우에는, 라인의 흐름이 단절되는 경우 복수의 스크린 프린팅이 모두 되지 않게 되어 두가지 형태의 인쇄회로기판의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라인의 생산 흐름이 정체되지 않도록 하게 되므로, 복수의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스크린 프린팅의 적용시 공정의 안정성을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의 대피플레이트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가 정상상태일 때의 작동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가 에러기판의 대피상태일 때의 작동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의 대피플레이트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가 정상상태일 때의 작동 개념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가 에러기판의 대피상태일 때의 작동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셔틀유닛(20), 비젼유닛(30) 및 이송유닛(40)으로 이루어져 있되, 스크린 프린터의 구성요소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나타나는 에러기판 대피장치는 상기 셔틀유닛(20)에 설치되어 있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 가이드(200), 실린더(300) 및 대피플레이트(400)로 구성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에러기판 대피장치의 사시도에서 위쪽 방향을 상부, 아래쪽 방향을 하부, 가운데 인쇄회로기판이 이송되는 측을 내부, 내부의 반대인 바깥을 외부로 설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100)에 대해 살펴본다.
베이스판(100)은 후술할 가이드(200), 실린더(300) 및 대피플레이트(400) 등의 부속품이 설치되는 베이스가 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후술할 대피플레이트(400)가 상승하기 위한 지지대가 될 수 있다.
베이스판(100)은 두께가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평면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셔틀유닛(20)의 양측에 인쇄회로기판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판(100)의 상부는 내측으로 절곡되거나, 인쇄회로기판의 이동시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댐퍼(110)가 내측으로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판(100)의 내부면에는 복수개의 롤러(130)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130)는 모터(170)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롤러(131)와 이에 연동되는 종동롤러(133)로 이루어져 있고, 구동롤러(131)의 구동력을 종동롤러(133)에 전달하여 주는 벨트(135)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롤러(131)는 베이스판(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종동롤러(133)들은 베이스판(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상부에 설치된 종동롤러(133)의 위에 배치되어 구동롤러(131)에 의해 움직이는 종동롤러(133)의 회전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종래에는 복수개의 종동롤러(133)가 베이스판(100)의 상부에 인쇄회로기판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렬로 동일한 위상으로 배치되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후술할 베이스판(100)의 상부에 삽입되는 대피플레이트(400)의 존재로 인하여 벨트(135)가 일직선으로 배치될 경우에 대피플레이트(400)의 제2돌기(450)와의 간섭이 생길 수 있어, 베이스판(100) 상부의 홈(150)의 위치에서는 종동롤러(133)를 상대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배치하여 벨트(135)를 우회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종동롤러(133)를 2개 내지 3개가 배치되었으나, 본 발명은 종동롤러(133)가 베이스판(100) 상부의 홈(150)의 갯수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은 수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판(100)의 상부는 복수개의 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홈(150)은 후술할 대피플레이트(400)의 제1돌기(430)가 삽입 안착되는 곳으로써, 그 갯수를 유동적으로 할 수 있으나, 상술한 바대로 홈(150)의 갯수에 따라 종동롤러(133)의 갯수가 증가하는 면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판(100)의 외측면에는 구동롤러(131)의 구동을 위한 모터(170) 및 후술할 가이드(200)와 실린더(300)가 상부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대피플레이트(400)는 가이드(200)와 실린더(300)의 상부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200)와 실린더(300) 및 대피플레이트(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가이드(200)는 베이스판(100)의 외측면에 복수개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실린더(300)의 갯수에 따라 실린더(300)와 동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가이드(200)는 베이스판(10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홀(210)과 가이드홀(2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바(230)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바(230)의 상부 일측은 후술할 대피플레이트(400)에 부착되되, 하부 일측은 대피플레이트(400)의 상승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홀(210)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00)는 후술할 실린더(300)가 대피플레이트(400)의 상승을 위하여 상승할 때, 대피플레이트(400)의 상승이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며 상승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과 함께, 대피플레이트(400)의 상승시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200)의 가이드홀(210)은 볼부시로 이루어져 있고, 가이드바(2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가이드홀(210)을 관통하는 가이드바(230)의 상승과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300)를 살펴본다.
실린더(300)는 베이스판(100)의 외측면에 복수개 설치되되, 대피플레이트(400)의 원활한 상승을 위하여 복수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실린더(300)는 로더(310)와 로더(310)가 내부로부터 상하부 방향으로 상승과 하강시킬 수 있는 바디(330)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바디(330)는 베이스판(100)의 외측면에 고정설치되고, 로더(310)가 상승하도록 로더(310)에 상승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로더(310)의 하부 일측은 바디(330)의 내측에 구비된 상승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부터 힘을 부여받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부 일측은 후술할 대피플레이트(400)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실린더(300)의 바디(330)에서 로더(310)에 상승력을 전달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되, 실린더(300)의 상승에 의해 가이드(200)와 대피플레이트(400)가 구동하는 방식은 후술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대피플레이트(400)를 살펴본다.
대피플레이트(400)는 베이스판(100)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피플레이트(400)의 하부에는 실린더(300)의 로더(310) 상부측과 가이드(200)의 가이드바(230) 상부측이 결합될 수 있다.
대피플레이트(400)는 실린더(300)의 로더(310)가 상승함에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을 라인으로부터 상부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대피플레이트(400)의 형상은 베이스판(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디부(410)와 바디부(4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즉 내측으로 복수개 형성된 제1돌기(430) 및 제1돌기(430) 하부에 제1돌기(430)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은 제2돌기(450)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300)의 로더(310) 상부측과 가이드(200)의 가이드바(230) 상부측이 부착되어 있어, 실린더(300)의 로더(310) 상승시 대피플레이트(400)가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한채로 상승할 수 있도록 힘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제1돌기(430)는 바디부(410)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되, 상술한 베이스판(10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15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돌기(430)는 후술할 제2돌기(450)가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안착될 수 있는 곳까지 바디부(410)로부터 연결하여 주는 브릿지 역할을 한다.
바디부(410)로부터 제2돌기(450)까지의 거리가 가깝지 않으므로, 바디부(410)의 상승시 변형없이 상승하기 위하여 제1돌기(430)는 바디부(410)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제1돌기(430)부는 바디부(410)로부터 베이스판(100)의 내측면의 위치까지 바디부(410)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형성된다.
제2돌기(450)는 제1돌기(430)의 내측 끝단 하부에 제1돌기(43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지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돌기(450)는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되, 상세하게는 상술한 베이스판(100) 내측의 상부 종동롤러(133)의 우회로 인하여 형성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돌기(450)는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에러가 발생하는 인쇄회로기판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은 제2돌기(450)에 의해 하부지지되어 상승하도록 될 수 있다.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이 대피되는 상황을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인쇄회로기판은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셔틀유닛(20)에 인입되게 된다. 이 때, 인쇄회로기판은 상술한 베이스판(100) 상부의 종동롤러(133)와 벨트(13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벨트(135)의 구동에 의해 스크린 프린터 장치의 내부로 이동되게 된다.
스크린 프린터에 장착된 비젼유닛(30)은 인입된 인쇄회로기판의 상태를 측정하여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제어부에 에러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 때 에러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에러기판 대피장치를 작동하게 된다.
에러기판 대피장치는 베이스판(100) 외측면에 설치된 실린더(300)에 상승력을 줌으로써 로더(310)가 실린더(300)의 바디(330)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로더(310)의 상승과 함께 로더(310)의 상부측에 부착 설치된 대피플레이트(400)의 바디부(410)는 상승하게 되고, 그러한 상승은 베이스판(100) 외측면에 설치된 가이드(200)의 가이드홀(210)의 볼부시와 가이드바(230)에 의해 흔들림없이 원활하게 상승될 수 있다.
대피플레이트(400)의 바디부(410)의 상승에 의해 제1돌기(430)와 제2돌기(450)가 상승하게 되는데, 인쇄회로기판은 제2돌기(45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양측의 제2돌기(450) 사이에 위치한 에러기판은 베이스판(100) 내부면의 벨트(135)로부터 분리되어 상부로 들어올려진다.
에러기판이 상승하여 형성된 하부의 공간에는 정상적인 인쇄회로기판이 베이스판(100) 내부면의 벨트(135)의 상부에 얹혀져서 에러기판과의 간섭없이 내부로 이송되게 된다.
사용자는 상승된 에러기판을 들어올려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작업은 스크린 프린터 장치 내부가 아닌 입구와 출구에 형성된 셔틀유닛(20)에서 이루어지므로 안전하고도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에러기판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기판이고, 다음에 공급되는 기판이 B기판으로 서로 이종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에러기판에 의해 간섭되는 현상이 완벽하게 제거되므로, 메탈마스크를 이종으로 형성하는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본체
20: 셔틀유닛
30: 비젼유닛
40: 이송유닛
100: 베이스판
110: 댐퍼
130: 롤러
131: 구동롤러
133: 종동롤러
135: 벨트
150: 홈
170: 모터
200: 가이드
210: 가이드홀
230: 가이드바
300: 실린더
310: 로더
330: 바디
400: 대피플레이트
410: 바디부
430: 제1돌기
450: 제2돌기

Claims (5)

  1. 삭제
  2. 본체와 셔틀유닛과 비젼유닛과 이송유닛으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 스크린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비젼유닛은 인쇄회로기판의 에러여부를 확인하고, 에러가 발생한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셔틀유닛의 에러기판 대피장치에 의해 상부로 대피되되,
    상기 에러기판 대피장치는,
    상부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일측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가 설치된 상기 베이스판의 면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
    더;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대피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판의 복수개의 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1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의 끝단 하부에는 상기 제1돌기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은 제2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가이드의 내부에는 볼부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KR1020170164499A 2017-12-01 2017-12-01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KR10183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99A KR101831129B1 (ko) 2017-12-01 2017-12-01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499A KR101831129B1 (ko) 2017-12-01 2017-12-01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129B1 true KR101831129B1 (ko) 2018-02-22

Family

ID=6138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499A KR101831129B1 (ko) 2017-12-01 2017-12-01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1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922B1 (ko) * 2003-05-16 2006-08-30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평면 작업물의 품질을 검사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실행하기 위한 장치
KR101567898B1 (ko) 2014-09-30 2015-11-10 (주)대성하이텍 플레이트 가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922B1 (ko) * 2003-05-16 2006-08-30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평면 작업물의 품질을 검사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실행하기 위한 장치
KR101567898B1 (ko) 2014-09-30 2015-11-10 (주)대성하이텍 플레이트 가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0593B1 (en) Lift tool assembly for stencil printer
US20110315028A1 (en) Screen printing machine and screen printing method
JP5536470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8950321B2 (en) Screen printing device and screen printing method
KR101831129B1 (ko) 에러기판 대피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프린터
CN102177022B (zh) 印刷台设备
JP4946364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における下受交換作業方法
JP2009135215A (ja) 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US6854418B2 (en) Intensive machine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processes in fabrication of multilayer substrate
JP4872607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における基板搬送方法
JP7002181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10143085A (ja) 基板支持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5045140A (ja) 基板検出装置、基板搬送装置、部品実装装置、及び基板検出方法
EP3127650A1 (en) Laser processing machine and laser processing method
JPWO2020044388A1 (ja) はんだ印刷機
JP6175184B2 (ja) 基板処理装置
JP5096420B2 (ja) プリント基板の支持装置
JP2004172318A (ja) ワークテーブル、ワーク搬送装置、液滴吐出装置、ワーク受け渡し方法、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187265B1 (ko) 보강재 부착 장치
JP2001129962A (ja) スクリーン印刷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15196377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3078620B2 (ja) プリント基板ブレーキング装置およびブレーキング方法
WO2024075223A1 (ja) 印刷処理支援システム
KR101668864B1 (ko) 스크린 프린터의 감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인쇄방법
EP3735807B1 (en) Edge lock assembly for a stencil printer and method and syste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