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895B1 - 다채널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다채널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895B1
KR101830895B1 KR1020170057926A KR20170057926A KR101830895B1 KR 101830895 B1 KR101830895 B1 KR 101830895B1 KR 1020170057926 A KR1020170057926 A KR 1020170057926A KR 20170057926 A KR20170057926 A KR 20170057926A KR 101830895 B1 KR101830895 B1 KR 10183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supply line
supplied
wa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택
박상도
박홍성
강범석
Original Assignee
피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7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8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involving trading of energy or energy transmission r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는, 전력공급회사로부터의 제1 공급선로(L1)에 연결되어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되어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한 제1 전력량 계산부; 및 자체 발전소로부터의 제2 공급선로(L2)에 연결되어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의 자체 발전소에서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한 제2 전력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측 입력단자부 및 각 가정이나 건물 내의 전기 부하로 연결되는 부하단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채널 전력량계{Multi Channel Watt-Hour Meter}
본 발명은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력사업자로부터 공급받는 전력량과 태양광등의 신 재생 에너지 발전소로부터 공급받는 전력량을 동시에 입력받아 각 가정 등의 세대에 공급하는 전력사용량을 계측하기 위한 다채널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가용전기설비에 해당하는 태양광발전장치는 자체적으로 발전된 전력은 자체부하(전원사용처)에만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발전된 전력량이 자체부하의 사용량보다 클 경우 한전계통(전원공급처)으로 다시 역송전(逆送電)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단방향 전력량계 2개를 설치한 전력 계량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2는 기존의 양방향 전력량계를 설치한 전력 계량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발전을 이용해 발전된 전기는 직류전류(DC)의 형태로 배터리에 저장되고 인버터를 통해 교류전류(AC)의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상용전원으로 사용한다. 한국 전력과 같은 전력사업자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사용량을 계측하거나, 태양광 등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을 이용하여 발전된 전력사용량을 계측하기 위해 양방향 전력량계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양방향 전력량계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보면 태양광 발전기를 통해 사용된 전력량 계측에 있어서 각 가정이나 건물 등의 세대 또는 댁내에서의 사용량과 외부로 공급한 양을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전력 계량 시스템에서는 양방향 전력량계를 설치하기 보다는 단방향 전력량계 2대(10)를 설치했다. 그러나 이와 같이 2개의 단방향 전력량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 및 도입 비용이 2배가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전력 계량 시스템에서는 양방향 디지털 전력량계(20) 1대를 설치하여 송수신 전력량을 구분 적산하고 이를 통해 송전 전력량만큼 요금을 상계하는 방식을 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전력 계량 시스템에서와 같이 양방향 전력량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2대의 전력량계를 설치하는 경우보다 설치 및 도입 비용은 절감되지만,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발전설비로부터의 공급 전력선이 부하 측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 수전 및 송전 전력량을 계량하는 양방향 전력량계의 특성상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 의한 발전 소비량 및 댁네의 전체 전기사용량을 확인 못한다는 점은 2대의 단방향 전력량계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10-1548127 한국 등록특허 10-1705499
본 발명은 설치 및 도입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전력공급회사에서 들어오는 전력량과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나가는 전력량, 그리고 개인 발전설비에서 들어오는 전력량과 상기 개인 발전설비로 나가는 전력량을 각각 계산할 수 있는 전력량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입력 전력량계로부터의 각 전력 수전 및 송전량과 세대내 전력 소비량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는 새로운 전력량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는, 전력공급회사로부터의 제1 공급선로(L1)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되어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한 제1 전력량 계산부; 및 자체 발전소로부터의 제2 공급선로(L2)에 연결되어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의 상기 자체 발전소에서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한 제2 전력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측 입력단자부; 및 상기 각 가정이나 건물 내의 전기 부하로 연결되는 부하단자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다채널 전력량계에 있어서, 상기 자체 발전소는 상기 전력공급회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전력을 발전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이고, 상기 제1 공급선로(L1) 및 상기 제2 공급선로(L2)는 상기 하나의 다채널 전력량계를 관통하여 상기 전력 공급 측 입력단자부와 상기 부하단자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다채널 전력량계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공급선로(L1) 및 상기 제2 공급선로(L2)가 상호간 결선되며, 상기 하나의 다채널 전력량계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전력량 계산부는 상기 제1 공급선로(L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급선로(L1)를 통해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제1전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량 계산부는 상기 제2 공급선로(L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급선로(L2)를 통해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제2전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다채널 전력량계는 상기 부하단자부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하나의 전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량 계산부와 상기 제2 전력량 계산부는 상기 제1,2전류 센서와 상기 하나의 전압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전력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력량 계산부는,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되어 수전되는 전력량이 양수이면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전기를 공급받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되어 수전되는 전력량이 음수이면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전기를 역 공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공급회사로부터의 제1 공급선로(L1)에 흐르는 전류를 I1, 상기 부하단자부의 전압을 V1, 상기 전류 및 전압과의 위상차를 θ라 하면,
상기 제1 전력량 계산부에서 계산되는 제1 전력은 V1×I1×cosθ으로 계산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제1 전력의 값이 양수이면 제1 수전 전력량(P1)으로 계산하며, 상기 제1 전력의 값이 음수이면, 제1 송전 전력량(P2)으로 계산하고,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로부터의 제2 공급선로(L2)에 흐르는 전류를 I2, 상기 부하단자부의 전압을 V1, 상기 전류 및 전압과의 위상차를 θ라 하면, 상기 제2 전력량 계산부에서 계산되는 제2 전력은 V1×I2×cosθ으로 계산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제2 전력의 값이 양수이면 제2 수전 전력량(P3)으로 계산하며, 상기 제2 전력의 값이 음수이면, 제2 송전 전력량(P4)으로 계산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받은 전기로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에서 사용한 전력 소비를 제외한 세대내 전기 사용량(Pa)은 제1 수전 전력량(P1)에서 제2 송전 전력량(P4)을 제외한 값(Pa = P1 - P4)으로 계산하며,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역 공급한 역송 전력량(Pb)은 제2 수전 전력량(P3)에서 제1 송전 전력량(P2)을 제외한 값(Pb = P3 - P2)으로 계산하여, 상기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사용한 총 세대 사용량(Pt)은 상기 전기 사용량(Pa)과 상기 역송 전력량(Pb)으로 계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된 전기 사용을 바탕으로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지불할 전기 요금은 상기 제1 수전 전력량(P1)에서 상기 제1 송전 전력량(P2)을 제외한 값을 바탕으로 계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에 따르면, 1대의 전력량계로 수전 전력량과 송전 전력량을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에 따르면, 가정 내 신재생 에너지 발전을 통해 얻은 전력 소모량을 측정하고 세대 내 전체 전기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에 따르면, 전력공급회사에서 들어오는 전력량과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나가는 전력량, 그리고 개인 발전설비에서 들어오는 전력량과 상기 개인 발전설비로 나가는 전력량을 각각 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단방향 전력량계 2개를 설치한 전력 계량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기존의 양방향 전력량계를 설치한 전력 계량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량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의 외부 및 내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의 구성 및 회로 연결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량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의 외부 및 내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의 구성 및 회로 연결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a,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계량 시스템은 다채널 전력량계(30)가 입력단자부(31) 및 부하단자부(32)를 포함하며, 입력단자부(31)에는 전력공급회사로부터의 공급선로(L1) 및 각 가정이나 건물 등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자체적인 발전소(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이나, 풍력 발전 등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서 공급되는 공급선로(L2)에 연결된다. 이때 자체 발전소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인 것이 바람직하나 소형 디젤 발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다채널 전력량계(30)의 부하단자부(32)에는 각 가정이나 건물 등의 각 세대로 연결되어, 각 세대 내의 전기 부하로 연결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30)는 입력단자부(31)의 제1 공급선로(L1)에는 제1 전력량 계산부(33)를 포함하고, 입력단자부(31)의 제2 공급선로(L2)에는 제2 전력량 계산부(34)를 포함한다.
제1 전력량 계산부(33)는 전력공급회사로부터의 제1 공급선로(L1)에 연결되어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되어 수전되는 전력량 및/또는 송전되는 전력량을 계산하며, 제2 전력량 계산부(34)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로부터의 제 2 공급선로(L2)에 연결되어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에서 공급되어 수전되는 전력량 및/또는 송전되는 전력량을 계산한다.
한편, 제1 전력량 계산부(33)와 제2 전력량 계산부(34)는 각각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30)는 2개의 공급라인(L1, L2)에서 전기가 공급되지만, 부하단자부(32)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가 동일하여 각 전류 센서에서 측정한 전류량을 측정하여 각각의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30)는 중앙처리장치(40), 계측부(41), 메모리부(42), 지시부(43) 및 통신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측부(4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공급선로(L1)와 제2 공급선로(L2)에서의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센서(45, 46)와 부하단자부(32)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센서(47)를 포함하여, 각각 전류와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계측부(41)에서는 측정된 교류 전류와 교류 전압의 위상차(θ)도 검출한다.
중앙처리장치(40)는 계산된 각각의 전력량을 바탕으로, 제1 공급라인(L1)과 제2 공급라인(L2)에서 전기가 수전되는지 또는 송전(또는 역송전)되는지를 판단하고,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받은 전기로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에서 사용한 전력 소비를 제외한 세대내 전기 사용량(Pa),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전력공급회사로 역 공급한 역송 전력량(Pb),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사용한 총 세대 사용량(Pt)을 산출하며, 아울러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된 전기 사용을 바탕으로 전력공급회사로 지불할 전기 요금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40)는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되어 수전되는 전력량이 양수이면 전력공급회사에서 전기를 공급받는 것으로 판단하며,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되어 수전되는 전력량이 음수이면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전기를 역 공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측부(41)에서, 전력공급회사로부터의 제1 공급선로(L1)에 흐르는 전류를 I1, 상기 부하단자부의 전압을 V1, 상기 전류 및 전압과의 위상차를 θ라 검출하면, 중앙처리장치(40)는, 제1 전력량 계산부(33)의 제1 전력을 V1×I1×cosθ으로 계산하며, 제1 전력의 값이 양수이면 제1 수전 전력량(P1)으로 계산하며, 제2 전력의 값이 음수이면, 제1 송전 전력량(P2)으로 계산한다.
또한, 계측부(41)에서,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로부터의 제2 공급선로(L2)에 흐르는 전류를 I2, 상기 부하단자부의 전압을 V1, 상기 전류 및 전압과의 위상차를 θ라 검출하면, 중앙처리장치(40)는, 제2 전력량 계산부(34)의 제2 전력을 V1×I2×cosθ으로 계산하며, 상기 제2 전력의 값이 양수이면 제2 수전 전력량(P3)으로 계산하며, 상기 제2 전력의 값이 음수이면, 제2 송전 전력량(P4)으로 계산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40)는,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받은 전기로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에서 사용한 전력 소비를 제외한 세대내 전기 사용량(Pa)은 제1 수전 전력량(P1)에서 제2 송전 전력량(P4)을 제외한 값(Pa = P1 - P4)으로 계산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40)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역 공급한 역송 전력량(Pb)은 제2 수전 전력량(P3)에서 제1 송전 전력량(P2)을 제외한 값(Pb = P3 - P2)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40)는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사용한 총 세대 사용량(Pt)은 상기 전기 사용량(Pa)과 상기 역송 전력량(Pb)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40)는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된 전기 사용을 바탕으로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지불할 전기 요금은 제1 수전 전력량(P1)에서 제1 송전 전력량(P2)을 제외한 값을 바탕으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전기요금은 (P1- P2)×요금체계로 계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요금체계는 전력량의 누적 사용량에 따라 요금비율이 달라지면, 상기 요금비율에 따라 전기요금을 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에 다르면, 전력공급회사에서 들어오는 전력량과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나가는 전력량, 그리고 개인 발전설비에서 들어오는 전력량과 상기 개인 발전설비로 나가는 전력량을 각각 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력량계에 따르면, 1대의 전력량계로 수전 전력량과 송전 전력량을 계측하여, 가정 내 신재생 에너지 발전을 통해 얻은 전력 소모량을 측정하고 세대 내 전체 전기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 다채널 전력량계 31; 입력단자부
32; 출력단자부 33; 제1 전력량 계산부
34; 제2 전력량 계산부

Claims (8)

  1. 전력공급회사로부터의 제1 공급선로(L1)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되어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한 제1 전력량 계산부; 및 자체 발전소로부터의 제2 공급선로(L2)에 연결되어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의 상기 자체 발전소에서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한 제2 전력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측 입력단자부; 및
    상기 각 가정이나 건물 내의 전기 부하로 연결되는 부하단자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다채널 전력량계에 있어서,
    상기 자체 발전소는 상기 전력공급회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전력을 발전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이고,
    상기 제1 공급선로(L1) 및 상기 제2 공급선로(L2)는 상기 하나의 다채널 전력량계를 관통하여 상기 전력 공급 측 입력단자부와 상기 부하단자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다채널 전력량계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공급선로(L1) 및 상기 제2 공급선로(L2)가 상호간 결선되며,
    상기 하나의 다채널 전력량계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전력량 계산부는 상기 제1 공급선로(L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공급선로(L1)를 통해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제1전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량 계산부는 상기 제2 공급선로(L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급선로(L2)를 통해 수전 또는 송전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제2전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다채널 전력량계는 상기 부하단자부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압을 센싱하는 하나의 전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량 계산부와 상기 제2 전력량 계산부는 상기 제1,2전류 센서와 상기 하나의 전압 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전력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전력량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량 계산부는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되어 수전되는 전력량이 양수이면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전기를 공급받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되어 수전되는 전력량이 음수이면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전기를 역 공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전력량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회사로부터의 제1 공급선로(L1)에 흐르는 전류를 I1, 상기 부하단자부의 전압을 V1, 상기 전류 및 전압과의 위상차를 θ라 하면,
    상기 제1 전력량 계산부에서 계산되는 제1 전력은 V1×I1×cosθ으로 계산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제1 전력의 값이 양수이면 제1 수전 전력량(P1)으로 계산하며, 상기 제1 전력의 값이 음수이면, 제1 송전 전력량(P2)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전력량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로부터의 제2 공급선로(L2)에 흐르는 전류를 I2, 상기 부하단자부의 전압을 V1, 상기 전류 및 전압과의 위상차를 θ라 하면,
    상기 제2 전력량 계산부에서 계산되는 제2 전력은 V1×I2×cosθ으로 계산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제2 전력의 값이 양수이면 제2 수전 전력량(P3)으로 계산하며, 상기 제2 전력의 값이 음수이면, 제2 송전 전력량(P4)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전력량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받은 전기로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에서 사용한 전력 소비를 제외한 세대내 전기 사용량(Pa)은 제1 수전 전력량(P1)에서 제2 송전 전력량(P4)을 제외한 값(Pa = P1 - P4)으로 계산하며,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역 공급한 역송 전력량(Pb)은 제2 수전 전력량(P3)에서 제1 송전 전력량(P2)을 제외한 값(Pb = P3 - P2)으로 계산하여,
    상기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사용한 총 세대 사용량(Pt)은 상기 전기 사용량(Pa)과 상기 역송 전력량(Pb)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전력량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상기 전력공급회사에서 공급된 전기 사용을 바탕으로 상기 전력공급회사로 지불할 전기 요금은 상기 제1 수전 전력량(P1)에서 상기 제1 송전 전력량(P2)을 제외한 값을 바탕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전력량계.
KR1020170057926A 2017-05-10 2017-05-10 다채널 전력량계 KR101830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26A KR101830895B1 (ko) 2017-05-10 2017-05-10 다채널 전력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26A KR101830895B1 (ko) 2017-05-10 2017-05-10 다채널 전력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895B1 true KR101830895B1 (ko) 2018-02-21

Family

ID=6152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926A KR101830895B1 (ko) 2017-05-10 2017-05-10 다채널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0226A1 (en) * 2019-01-10 2022-10-26 Landis+Gyr Innov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nd metering distributed energy resource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131B1 (ko) * 2012-05-14 2013-05-29 박양석 스마트 멀티채널 전력량계를 이용한 누설전류 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2017028986A (ja) * 2015-07-17 2017-02-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力データ管理システム、需要家集合体及び電力融通街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131B1 (ko) * 2012-05-14 2013-05-29 박양석 스마트 멀티채널 전력량계를 이용한 누설전류 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2017028986A (ja) * 2015-07-17 2017-02-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力データ管理システム、需要家集合体及び電力融通街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0226A1 (en) * 2019-01-10 2022-10-26 Landis+Gyr Innov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nd metering distributed energy resource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6268B2 (en) Power management device and system
JP5126308B2 (ja) 電力コントロール装置
CN103947122A (zh) 无线通信设备、具有无线通信设备的无线通信系统、及电力消耗管理设备
US10630076B2 (e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system
Lestari et al. IoT based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prototype: Case study in G4 building Universitas Negeri Malang
US20160344188A1 (en) Controlling a distributed generation management system
US20160131688A1 (en) Determining an orientation of a metering device in an energy generation system
CN103069285A (zh) 双向数字功率计
CN114728599A (zh) 用于能量控制的电气设备
Hussain et al. IoT enabled real-time energ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swin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Smart Energy Meter with Fault Detection Feature Using MQTT Protocol
RU24020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отребл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KR101830895B1 (ko) 다채널 전력량계
CN113228449A (zh) 基于传感器的能量管理壳体和基于传感器数据的分布式能量资源管理
JP2014171282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110603706A (zh) 多单元建筑物中太阳能受控分配的电表后端系统和方法
JP2011120460A (ja) 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発電量及び負荷量測定装置
KR101719953B1 (ko) 전력량 모니터링 장치
EP2902792A1 (en) Power measurement
KR20120073941A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관리 방법
RU92197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за потреблением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KR101825060B1 (ko) 전력 요금을 절약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운영 방법
US20190353691A1 (en) Electricity submeter
WO2023171100A1 (ja) 電力変換システム、計量方法
US20240128751A1 (en) Extended duration ac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