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878B1 -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878B1
KR101830878B1 KR1020160167046A KR20160167046A KR101830878B1 KR 101830878 B1 KR101830878 B1 KR 101830878B1 KR 1020160167046 A KR1020160167046 A KR 1020160167046A KR 20160167046 A KR20160167046 A KR 20160167046A KR 101830878 B1 KR101830878 B1 KR 101830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delete delete
aba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유안
김수민
강금숙
조민경
남영주
고나연
Original Assignee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6016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복 또는/및 소라의 패각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단계와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분쇄하는 패각분쇄단계와 분쇄된 패각에 추출용매를 가해 일정시간 동안 일정 온도에서 유지하여 패각추출물을 얻는 추출물수득단계와 패각추출물에서 분말추출물과 액상추출물을 분리하는 추출물분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발추출물은 각질 제거 효능을 가지고 상기 액상추출물은 향균 효능을 가지는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using shell of abalone and con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복 또는/및 소라의 패각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단계와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분쇄하는 패각분쇄단계와 분쇄된 패각에 추출용매를 가해 일정시간 동안 일정 온도에서 유지하여 패각추출물을 얻는 추출물수득단계와 패각추출물에서 분말추출물과 액상추출물을 분리하는 추출물분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발추출물은 각질 제거 효능을 가지고 상기 액상추출물은 향균 효능을 가지는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의 겉모습을 미화시켜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공해 물질 및 자외선 등의 외적인 요인과 세포 활성 저하 등의 내적 요인에 기인한 자유 라디칼, 활성산소, 과산화물 등에 의한 단백질, 핵산, 세포막 지질 파괴 등의 피부 노화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한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1처럼 항균 기능, 하기 특허문헌 2 및 3처럼 각질 제거 기능 등을 갖춘 기능성 화장품들이 널리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2-0119637호(2012. 10. 31. 공개)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2: 특허 제10-0793825호(2008. 01. 04. 등록)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3: 공개특허 제10-2016-0091166호(2016. 08. 02. 공개) "각질제거 및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하지만, 종래의 항균 기능 및/또는 각질 제거 기능을 갖춘 화장료 조성물은 대부분 화학적 합성 물질로 이루어져 인체에 유해한 문제가 있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천연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항균 또는 각질 제거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복 및/또는 소라 패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 또는 각질 제거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농도의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일정 크기로 분쇄하며, 분쇄된 패각에 대해 일정 농도의 에탄올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패각추출물을 얻고, 상기 패각추출물을 분말추출물과 액상추출물로 분리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므로, 유용 성분의 추출 효율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패각에 추출용매를 가해 일정시간 동안 일정 온도에서 유지하여 패각추출물을 얻는 추출물수득단계와, 패각추출물에서 분말추출물과 액상추출물을 분리하는 추출물분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발추출물은 각질 제거 효능을 가져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며, 상기 액상추출물은 향균 효능을 가져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각은 전복 패각 또는 소라 패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각은 전복 패각과 소라 패각이 중량비로 1 대 1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수득단계는 패각에 50 내지 70% 에탄올을 가하고, 15 내지 25℃의 온도로 10 내지 14시간 동안 유지한 한 후, 70 내지 90℃의 온도로 10 내지 14시간 동안 유지하여 패각추출물을 얻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패각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단계와,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분쇄하는 패각분쇄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수득단계에서는 패각분쇄단계에서 분쇄된 패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단계는 수집한 패각을 물로 3 내지 5회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패각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된 패각에 5 내지 1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해 1 내지 3일 동안 유지하고 물로 3 내지 5회 세척하는 수산화나트륨처리단계와, 상기 수산화나트륨처리단계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각분쇄단계는 상기 이물질제거단계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분쇄하여 100 내지 250um의 직경을 가지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화장품 조성물은 전복 또는 소라의 패각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은 전복 또는 소라의 패각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균용 화장품 조성물은 정제수, 강황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베타인, 글리세레스-26, 캐모마일꽃추출물, 아르니카꽃추출물, 겐티아나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쓴쑥추출물, 다시마추출물, 연꽃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추룰, 화이트윌로우껍질추출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소나무잎추출물, 감국추출물, 오배자추출물, 황금추출물, 알란토인, 베르가모트열매오일, 라벤더오일, 자몽껍질오일, 유향유, 말로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카우슬립추출물, 성모초추출물, 꼬리풀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제라늄오일, 청각추출물 및 톳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셀루로오스, 규조토,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펜틸렌글라이콜, 세테아릴알코올, 티타늄디옥사이드,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60, 네이커가루(Nacre Powder), 청각추출물, 톳추출물, 감태추출물, 우뭇가사리추출물, 잔탄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솔비탄카프릴레이트, 알란토인 및 향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복 및/또는 소라 패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 또는 각질 제거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농도의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일정 크기로 분쇄하며, 분쇄된 패각에 대해 일정 농도의 에탄올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패각추출물을 얻고, 상기 패각추출물을 분말추출물과 액상추출물로 분리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므로, 유용 성분의 추출 효율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패각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단계(S1)와,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분쇄하는 패각분쇄단계(S2)와, 분쇄된 패각에 추출용매를 가해 일정시간 동안 일정 온도에서 유지하여 패각추출물을 얻는 추출물수득단계(S3)와, 패각추출물에서 분말추출물과 액상추출물을 분리하는 추출물분리단계(S4) 등을 포함한다. 상기 패각은 전복, 소라, 굴, 꼬막, 가리비 등의 다양한 조개의 껍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복 또는/및 소라의 껍데기가 사용되게 된다.
상기 이물질제거단계(S1)는 패각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세척단계(S11), 수산화나트륨처리단계(S12), 건조단계(S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단계(S11)는 수집한 패각을 세척하는 단계로, 깨끗한 물로 3 내지 5회 세척하여 수행되게 된다.
상기 수산화나트륨처리단계(S12)는 세척된 패각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된 패각에 수산화나트륨(NaOH)을 가해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고 세척하는 단계로, 구체적으로 세척된 패각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농도 5 내지 10%)을 가해 1 내지 3일 동안 유지하고 깨끗한 물로 3 내지 5회 세척하여 수행되게 된다. 하기의 실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으나,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의 농도가 5 내지 10%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물질 제거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건조단계(S13)는 상기 수산화나트륨처리단계(S12)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건조하는 단계로, 구체적으로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행되게 된다.
상기 패각분쇄단계(S2)는 상기 이물질제거단계(S1)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일정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로, 구체적으로 패각을 100 내지 250um의 직경을 가지도록 분쇄하여 수행되게 된다. 하기의 실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으나, 패각의 직경이 100 내지 250um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패각추출물의 추출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추출물수득단계(S3)는 분쇄된 패각에 추출용매를 가해 일정시간 동안 일정 온도에서 유지하여 패각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구체적으로 분쇄된 패각에 50 내지 70% 에탄올을 가하고(에탄올 양은 중량비로 패각의 18 내지 22배가 사용됨), 15 내지 25℃의 온도로 10 내지 14시간 동안 유지한 한 후, 70 내지 90℃의 온도로 10 내지 14시간 동안 유지하여 패각추출물을 얻는다. 하기의 실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으나, 에탄올의 농도가 60%일 때 가장 높은 추출효율을 가지게 된다.
상기 추출물분리단계(S4)는 패각추출물에서 분말추출물과 액상추출물을 분리하는 단계로, 구체적으로 100um 미만의 포어를 가지는 여과지를 이용하여 패각추출물을 여과하여 분말추출물과 액상추출물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액상추출물은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되게 된다. 상기 분말추출물은 각질 제거 효능을 가져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고, 상기 액상추출물은 향균 효능을 가져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복 및/또는 소라의 패각추출물을 포함하며, 항균 및 각질 제거 효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클렌징, 크림, 토너, 필링제, 마스크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필링제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경우, 정제수, 셀루로오스, 규조토,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펜틸렌글라이콜, 세테아릴알코올, 티타늄디옥사이드,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60, 네이커가루(Nacre Powder), 제주정제해수추출물, 청각추출물, 톳추출물, 감태추출물, 우뭇가사리추출물, 잔탄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솔비탄카프릴레이트, 알란토인, 향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클렌징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경우, 정제수,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시트릭애씨드, 진주층추출물(Mother of Pearl Extract), 제주정제해수추출물, 청각추출물, 톳추출물, 감태추출물, 우뭇가사리추출물, 카프릴릴글라이콜, 솔비탄카프릴레이트, 판테놀, 동백오일, 향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토너의 제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정제수, 강황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베타인, 글리세레스-26, 캐모마일꽃추출물, 아르니카꽃추출물, 겐티아나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쓴쑥추출물, 다시마추출물, 연꽃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추룰, 화이트윌로우껍질추출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소나무잎추출물, 감국추출물, 오배자추출물, 황금추출물, 알란토인, 베르가모트열매오일, 라벤더오일, 자몽껍질오일, 유향유, 말로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카우슬립추출물, 성모초추출물, 꼬리풀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제라늄오일, 청각추출물, 톳추출물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크림의 제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정제수, 강황추출물, 글리세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디메치콘,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베타인, 1,2-헥산디올,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사이클로메치콘,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스테아릭애씨드, 소르비탄올리베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부틸렌글라이콜, 캐모마일꽃추출물, 아르니카꽃추출물, 겐티아나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쓴쑥추출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다시마추출물, 대나무잎추출물, 베르가모트열매오일, 알펜로제추출물, 라벤더오일, 자몽껍질오일, 유향유, 차가버섯추출물, 표고버섯추출물, 상황버섯추출물, 영지줄기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 감국추출물, 오배자추출물, 황금추출물, 레몬밤꽃/잎/줄기추출물, 병풀추출물, 자작나무싹추출물, 개암싹추출물, 올리브싹추출물, 제라늄오일, 호두나무잎추출물, 말로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카우슬립추출물, 성모초추출물, 꼬리풀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 청각추출물, 톳추출물, 감태추출물, 우뭇가사리추출물,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프로필렌글라이콜,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이소부텐, 피이지-7트리메칠올프로판코코넛에텔, 잔탄검, 카보머, 트로메타민, 디소듐이디티에이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의 제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정제수,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1,2-헥산디올, 글리세레스-26, 베타인, 부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해수, 페퍼민트추출물, 퉁퉁마디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청각추출물, 톳추출물, 감태추출물, 우뭇가사리추출물, 다시마추출물,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이소부텐, 잔탄검,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20 ,센티드제라늄꽃오일, 라반딘오일, 오렌지껍질오일, 멕시칸주니퍼오일, 아데노신, 카프릴릴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 에칠헥산디올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산화나트륨 농도에 따른 이물질 제거 효율 평가
(1) 세척된 전복 패각을 농도를 달리하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각각 침지하고, 2일 동안 유지한 다음 물로 4회 세척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2)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처리하기 전의 세척된 패각 및 상기 시료의 무게를 측정하고 무게의 변화를 이용하여 이물질 제거율을 계산하여 표 1에 표기하였다(이물질 제거율(%)=(1-시료의 무게/세척된 패각의 무게)×100). 또한, 시료를 멸균수에 담아 2일간 유지한 후, 상기 멸균수에 대하여 납 및 비소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표기하였다.
(3) 표 1을 보면 3%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경우 50%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경우 92%의 이물질이 제거되며, 1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경우 85%의 이물질이 제거됨을 알 수 있고, 납, 비소 등이 검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시료 제조에 사용된 수산화나트륨의 농도 3% 5% 10%
이물질 제거율 50% 92% 85%
납 및 비소 포함여부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실시예 2> 추출 수율의 평가
(1) 패각추출물 시료의 준비
수집한 전복 패각을 물로 4회 세척하고, 세척된 전복 패각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 농도)에 2일 동안 침지한 후 물로 4회 세척하고, 상기 패각을 4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고, 패각을 분쇄하여 150um의 직경을 가지는 분말로 제조하고, 상기 분말을 60% 에탄올에 침지하고(에탄올 양은 중량비로 분말의 20배가 사용됨), 2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유지한 한 후 8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유지하여 패각추출물을 얻었다. 이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패각추출물을 여과하여 분말추출물과 액상추출물을 분리하고, 분말추출물은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분말추출물 시료를 얻고, 액상추출물은 -70℃의 냉동기에서 냉동을 한 후 동결건조하여 액상추출물 시료를 얻었다.
(2) 분말의 크기를 달리하여 패각추출물 시료의 준비
직경이 각각 100, 250um인 분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추출물 시료와, 액상추출물 시료를 얻었다.
(3) 에탄올 농도를 달리하여 패각추출물 시료의 준비
농도가 각각 50%, 70%, 80%, 90%인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추출물 시료와, 액상추출물 시료를 얻었다.
(4) 추출 수율의 평가 방법
추출 수율은 사용된 분말의 무게와 액상추출물 시료의 무게를 측정하고 무게의 변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표기하였다(추출 수율(%)=액상추출물 시료의 무게/분말의 무게×100).
(5) 실험 결과 평가
표 2를 보면, 입자 크기가 150um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높고, 에탄올의 농도가 60%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의 (1) 및 (2)에서 제조된 시료에 대한 추출 수율 평가 시료 제조에 사용된 분말의 입자 직경(um) 추출 수율(%)
100 20
150 34
250 28
실시예 2의 (1) 및 (3)에서 제조된 시료에 대한 추출 수율 평가 시료 제조에 사용된 에탄올 농도(%) 추출 수율(%)
50 22
60 34
70 29
80 25
90 24
<실시예 3> 각질 제거 효능의 평가
(1) 패각 종류를 달리하여 패각 추출물 시료의 준비
각각 소라 패각, 굴 패각, 가리비 패각, 전복 및 소라 혼합 패각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추출물 시료와, 액상추출물 시료를 얻었다. 전복 및 소라 혼합 패각의 경우 중량비로 전복 패각과 소라 패각이 1 대 1로 혼합되게 된다.
(2) 각질 제거 효능의 평가 방법
각질 제거 효능의 평가는 각질측정용테이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험자(10명)의 얼굴 부위를 선정하여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였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과 후에 각질측정용테이프를 1분간 부착한 후 떼어내어 측정하도록 하였다.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후에는 물로 세정하고 완전히 건조된 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는 일정한 조도를 가지는 60X Scope를 이용하여 일반조도 및 UV조도에서 촬영을 실시하였다. 촬영된 결과는 Densitometer를 측정할 수 있는 Image J Program을 이용하여 검은색 테이프에 흡착된 흰색 각질의 평균밀도를 측정하고 각질 제거율을 계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각질 제거율(%)=(1-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 각질의 평균밀도/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 각질의 평균밀도)×100).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 2의 (1) 및 (3),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된 각각의 분말추출물 시료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총 100중량%)은 각각의 분말추출물 시료 3중량%, 셀루로오스 1중량%, 규조토 2중량%, 글리세린 5중량%, 펜틸렌글라이콜 1중량%, 세테아릴알콜 1중량%, 잔탄검 0.5중량%, 소리비타올리베이트 0.5중량%, 알란토인 0.5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3) 실험 결과 평가
표 3을 보면, 시료의 제조에 사용된 에탄올의 농도가 60%일 때 각질 제거율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고, 패각 종류에 따라서 각질 제거율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을 파악되었다.
실시예 2의 (1) 및 (3)에서 제조된 분말 추출물 시료를 사용한 경우의 각질 제거율 평가 시료 제조에 사용된 에탄올 농도(%) 각질 제거율(%)
50 84
60 86
70 80
80 83
90 85
실시예 2의 (1) 및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된 분말 추출물 시료를 사용한 경우의 각질 제거율 평가 시료 제조에 사용된 패각의 종류 각질 제거율(%)
전복 86
소라 87
85
가리비 88
전복 및 소라 혼합(1:1) 87
<실시예 4> 항균 효능의 평가
(1) 항균 효능의 평가 방법
하기의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 균주를 배양하였다. 시험 균주 1 및 2의 경우 액체배지(Nutrient broth 또는 sabouraud dextrose) 3ml가 들어 있는 14ml 튜브에 105 CFU/g 이상의 시험균주 각각을 접종한 뒤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된 액상 추출물 시료를 1mg/ml 농도로 처리한 후 시험 균주의 성장을 1일간 관찰하였고, 흡광도기로 OD 600nm에서 측정하여 시험 균주에 대한 항균능을 측정하였다. 시험 균 3의 경우 배양된 colony 1개를 칼로 잘라내어 0.8% saline solution으로 막자 사발에 넣고 분쇄한 뒤 갈아진 균체액을 거즈로 여과한 후 액상 배지가 3ml 들어있는 14ml 튜브에 105 CFU/g 이상의 시험 균주를 접종한 뒤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된 액상 추출물 시료를 1mg/ml 농도로 처리한 후 시험 균주의 성장을 1일간 관찰하였고, 흡광도기로 OD 600nm에서 측정하여 시험균주에 대한 항균능을 측정하였다. 항균능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5에 표기하였다.
시험 균주 배지 배양 온도 배양 시간
1(P. aeruginosa ) Nutrient broth/Agar 34℃ 50시간
2(P. acnes ) Nutrient broth/Agar 34℃ 50시간
3(A. niger) Sabouraud Dextrose/Agar 25℃ 5일
(2) 실험 결과 평가
표 5를 보면, 시료의 제조에 사용된 에탄올의 농도가 60%일 때 항균능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고, 전복 패각 또는 소라 패각이 사용되었을 때 굴 패각 또는 가리비 패각이 사용되었을 때보다 항균능이 높고, 전복 패각, 소라 패각을 각각 사용하였을 때보다 1:1의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였을 때 항균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패각의 종류에 따라 구성 아미노산이나 결합구조 및 함량의 차이가 있으므로, 이로 인해 패각 종류에 따라 항균능이 달라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실시예 2의 (1) 및 (3)에서 제조된 액상 추출물 시료를 사용한 경우의 시험 균류 1에 대한 항균능 평가 시료 제조에 사용된 에탄올 농도(%) 항균능(%)
50 83.5
60 89
70 87
80 83
90 84
실시예 2의 (1) 및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된 액상 추출물 시료를 사용한 경우의 시험 균류 1에 대한 항균능 평가 시료 제조에 사용된 패각의 종류 항균능(%)
전복 89
소라 87
69
가리비 56
전복 및 소라 혼합(1:1) 93
실시예 2의 (1) 및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된 액상 추출물 시료를 사용한 경우의 시험 균류 2에 대한 항균능 평가 시료 제조에 사용된 패각의 종류 항균능(%)
전복 77
소라 79
56
가리비 46
전복 및 소라 혼합(1:1)
85
실시예 2의 (1) 및 실시예 3의 (1)에서 제조된 액상 추출물 시료를 사용한 경우의 시험 균류 3에 대한 항균능 평가 시료 제조에 사용된 패각의 종류 항균능(%)
전복 70
소라 74
44
가리비 41
전복 및 소라 혼합(1:1) 80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패각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단계와;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분쇄하는 패각분쇄단계와; 분쇄된 패각에 추출용매를 가해 일정시간 동안 일정 온도에서 유지하여 패각추출물을 얻는 추출물수득단계와; 패각추출물을 여과하여 분말추출물과 액상추출물을 분리하는 추출물분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추출물은 각질 제거 효능을 가져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고, 상기 액상추출물은 향균 효능을 가져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며,
    상기 패각은 전복 패각과 소라 패각이 중량비로 1 대 1로 혼합되어 사용되고,
    상기 이물질제거단계는 수집한 패각을 물로 3 내지 5회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패각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된 패각에 5 내지 1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해 1 내지 3일 동안 유지하고 물로 3 내지 5회 세척하는 수산화나트륨처리단계와, 상기 수산화나트륨처리단계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패각분쇄단계는 상기 이물질제거단계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패각을 분쇄하여 150um의 직경을 가지도록 수행되고,
    상기 추출물수득단계에서는 패각에 60% 에탄올을 가하고, 15 내지 25℃의 온도로 10 내지 14시간 동안 유지한 한 후, 70 내지 90℃의 온도로 10 내지 14시간 동안 유지하여 패각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67046A 2016-12-08 2016-12-08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0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046A KR101830878B1 (ko) 2016-12-08 2016-12-08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046A KR101830878B1 (ko) 2016-12-08 2016-12-08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878B1 true KR101830878B1 (ko) 2018-02-21

Family

ID=6152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046A KR101830878B1 (ko) 2016-12-08 2016-12-08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843A (ko) * 2019-12-24 2021-07-02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map-18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47B1 (ko) 2009-11-17 2011-04-11 (주)전복미가 전복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47B1 (ko) 2009-11-17 2011-04-11 (주)전복미가 전복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843A (ko) * 2019-12-24 2021-07-02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map-18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9244B1 (ko) * 2019-12-24 2022-02-28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map-18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0022B2 (ja) ニキビ予防・改善剤および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762594B1 (ko) 담수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치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044939A (ja) 藻類ネオクロリス・オレオアブンダンスのバイオマスの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としての痩身組成物
JP2003104835A (ja) 化粧料組成物
JP2018520985A (ja) 抗菌漢方薬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KR102401083B1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JP2007131571A (ja) 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
KR20190060511A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039263A (ko) 천연 식물 발효 추출물 및 해양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096146A (zh) 具有美白、抗衰老、消炎功效的玫瑰酵素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267321B1 (ko) 지렁이 점액 및 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2675B1 (ko) 천연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bd-Elrahman et al. Antiparasitic activity of myrrh crude extract and myrrh volatile oil compared to albendazole against Trichinella spiralis muscular larvae in vitro
JP2006347995A (ja) 美容用組成物
KR101830878B1 (ko) 전복 및 소라 패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089660B (zh) 樱花花提取物在维持皮肤菌群平衡和/或抗蓝光中的应用
JP2005089355A (ja) イソマルトオリゴ糖含有皮膚常在菌叢改善剤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08779B1 (ko)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7641A (ko) 천연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0527A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155811A (ja) 免疫細胞賦活剤
JP2014131965A (ja) ベニバナ発酵液
KR101508717B1 (ko) 누에 유래 혈림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13B1 (ko) 아레카야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