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629B1 - 운송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운송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629B1
KR101830629B1 KR1020150178691A KR20150178691A KR101830629B1 KR 101830629 B1 KR101830629 B1 KR 101830629B1 KR 1020150178691 A KR1020150178691 A KR 1020150178691A KR 20150178691 A KR20150178691 A KR 20150178691A KR 101830629 B1 KR101830629 B1 KR 10183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dy
liquid
spaces
water lev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765A (ko
Inventor
김균
윤준헌
신창현
윤이
민들레
박광석
김경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7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6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F25B41/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를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 상기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홀;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유로; 상기 배출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액체를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액체를 상기 저장바디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저장바디를 연결하는 순환유로;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순환유로의 연결점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순환유로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는 전환밸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압력이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차단부; 상기 저장바디가 지지되는 이송바디 및 상기 이송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휠이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이송부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이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펌프를 작동시킨 후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압력이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압력이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면, 상기 차단부를 작동시켜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운송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Transporter}
본 발명은 액체를 운반하는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운송장치(200)는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부(4), 상기 저장부를 이동시키는 이송부(2)로 구비되었다.
종래 이송부(2)는 저장부(4)가 지지되는 이송바디(21), 상기 이송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휠(23), 상기 휠을 작동시키는 구동부, 운전자가 탑승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구동부를 제어 가능한 수단이 구비된 조작부(25)로 구비되었다.
한편, 종래 저장부(4)는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41), 상기 저장바디 내부를 구분하도록 구비된 격벽으로 구비되었다. 도 1은 상기 격벽이 저장바디 내부를 3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격벽(42)과 제2격벽(43)으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격벽들에 의해 상기 저장바디(41) 내부는 서로 독립된 제1공간(411), 제2공간(413) 및 제3공간(415)으로 구분되었다.
상기 저장바디(41) 내부가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 구분될 경우, 각 공간은 제1공급구(441), 제2공급구(443) 및 제3공급구(445)를 통해 액체를 공급받게 되고, 각 공간에 저장된 액체는 배출부(45)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저장바디(41)에 저장되는 액체가 휘발성이 강한 경우 저장바디(41) 내부의 압력 관리가 중요하므로, 휘발성이 강한 액체를 운반하는 운송장치(200)에는 저장바디 내부를 저장바디의 외부와 연통시켜 유증기(oil mist)를 배출하는 통기부(47), 상기 각 공간(411, 443, 445) 내부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각 공간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감지부(461, 463, 465)가 구비되어야만 했다.
즉, 종래 운송장치(200)는 각 공간(411, 443, 445)마다 통기부(47) 및 감지부(461, 463, 465)를 구비해야만 하고, 각 감지부(461, 463, 465)를 통해 각각의 공간(411, 443, 445)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감지부를 통해 액체가 저장되도록 구비된 다수 공간의 압력이나 수위를 제어 가능한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가 저장되는 두 개 이상의 공간을 구비한 저장부가 파손된 경우 파손이 발생한 공간을 나머지 공간과 격리시켜 저장부에 저장된 액체의 누출을 최소화 가능한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를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 상기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홀;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유로; 상기 배출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액체를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액체를 상기 저장바디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저장바디를 연결하는 순환유로;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순환유로의 연결점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순환유로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는 전환밸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압력이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차단부; 상기 저장바디가 지지되는 이송바디 및 상기 이송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휠이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이송부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이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펌프를 작동시킨 후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압력이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압력이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면, 상기 차단부를 작동시켜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송부의 이동속도가 상기 기준속도보다 크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압력 또는 수위가 감소한 때 상기 차단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의 이동속도가 상기 기준속도보다 크면,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준속도는 상기 이송바디가 정지된 상태의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감지부를 통해 액체가 저장되도록 구비된 다수 공간의 압력이나 수위를 제어 가능한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액체가 저장되는 두 개 이상의 공간을 구비한 저장부가 파손된 경우 파손이 발생한 공간을 나머지 공간과 격리시켜 저장부에 저장된 액체의 누출을 최소화 가능한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운송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운송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운송장치(100)는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5), 상기 저장부를 이동시키는 이송부(1), 상기 이송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로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1)는 저장부(5)가 지지되는 이송바디(11), 상기 이송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휠(111), 상기 휠을 작동시키는 구동부(13), 운전자가 탑승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구동부를 제어 가능한 수단이 구비된 조작부(1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엔진 또는 모터) 및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휠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가 엔진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어부(3)는 엔진 컨트롤 유닛(Engine Control Unit)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에는 상기 이송바디(11)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속도감지부(17)는 동력발생부에서 제공되는 정보(엔진 회전수 등)를 통해 이송바디(11)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이송바디(11)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5)는 이송바디(11)에 지지되어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51), 상기 저장바디 내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으로 구비된다.
도 2는 상기 격벽이 제1격벽(53)과 제2격벽(54)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저장바디(51) 내부는 제1공간(511), 제2공간(513) 및 제3공간(515)으로 구분될 것이다.
상기 제1격벽(53)과 제2격벽(54)은 수격작용(water hammering)에 의한 진동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3.2mm 이상의 두께를 가진 강철(탄소가 약 0.04~1.7% 함유된 철)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53)에는 상기 제1공간(511)과 제2공간(513)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이하, 제1연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연통홀(531)은 상기 제1격벽(53)의 최하단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격벽(54)에는 상기 제2공간(513)과 제3공간(515)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홀(이하, 제2연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연통홀(541) 역시 상기 제2격벽(54)의 최하단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저장부(5)는 공급부를 통해 액체를 공급받고, 배출부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51) 내부의 액체를 배출시킨다.
상기 공급부는 제1공간(511)으로 액체를 유입시키는 제1공급구(561), 제2공간(513)으로 액체를 유입시키는 제2공급구(563), 제3공간(515)으로 액체를 유입시키는 제3공급구(565)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공간(511)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관(961), 상기 제2공간(513)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2배출관(963), 상기 제3공간(515)의 액체를 배출하는 제3배출관(965), 상기 각 배출관(961, 963, 965)에 연결되어 펌프(97)의 작동 시 각 공간(511, 513, 515)에 저장된 액체를 저장바디(5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96)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배출관(961)에는 제1밸브(962)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출관(963)에는 제2밸브(964)가 구비되며, 상기 제3배출관(965)에는 제3밸브(96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구비된 각 공간(511, 513, 515)은 연통홀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배출관(961, 963, 965)에 밸브가 구비되지 않으면 다수의 공간(511, 513, 515) 중 하나의 공간이 파손되어 액체가 누출될 경우, 다른 공간에 저장된 액체도 파손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배출유로(96)에는 펌프(97)에서 배출된 액체를 상기 저장바디(51)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98)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순환유로(98)의 일단은 상기 펌프(97)에서 배출된 액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펌프(97)의 배출단에 연결되고, 상기 순환유로(98)의 타단은 상기 저장바디(51)를 관통하여 제1공간(511), 제2공간(513) 및 제3공간(515) 중 어느 하나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순환유로(98)의 타단은 상기 저장바디(51)의 상부면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순환유로(98)의 타단이 저장바디(51) 내부에 저장 가능한 액체의 최고수위보다 높은 위치를 통과하도록 구비되어야만 상기 펌프(97)의 작동 시 저장바디(51) 내부의 수위변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상기 순환유로(98)의 타단이 제1공간(511)의 상부면에 연통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유로(96)와 순환유로(98)의 연결점에는 상기 배출유로(96)와 순환유로(98)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전환밸브(9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밸브(962, 964, 966)가 개방되고, 상기 순환밸브(99)에 의해 상기 배출유로(96)가 개방(순환유로(98)는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97)가 작동하면, 각 공간(511, 513, 515)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배출유로(96)를 통해 저장바디(51)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각 밸브(962, 964, 966)가 개방되고, 상기 순환밸브(99)에 의해 상기 순환유로(98)만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97)가 작동하면, 상기 펌프(97)의 작동 시 각 공간(511, 513, 515)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순환유로(98)를 통해 저장바디(51)로 재공급될 것이다.
이 때 상기 저장바디(51) 내부의 액체 중 일부가 액체가 채워지지 않은 순환유로의 상부공간(W1)을 채우게 될 것이므로, 상기 저장바디(51) 내부의 수위와 압력이 변화된다(상기 저장바디가 파손되지 않았다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수위와 압력은 약간 감소한 뒤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다).
상기 저장바디(51)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압력(또는 수위)는 감지부(58)를 통해 측정되는데, 각 공간(511, 513, 515)은 연통홀(531, 54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은 하나의 감지부(58)만으로 각 공간(511, 513, 515)의 압력(또는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감지부(58)가 저장바디(51)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저장바디(51)의 상부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감지부(58)가 저장바디(51)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면 저장바디(51)의 하부(바닥면 등)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장바디(51)에 저장되는 액체가 휘발성이 약한 액체라면 저장바디(5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수단이 불필요하겠지만, 저장바디(51)에 저장되는 액체가 휘발성이 강한 액체라면 상기 저장부(5)에는 저장바디(51) 내부의 압력이 유증기(oil mist)에 의해 지나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통기부(9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각 공간(511, 513, 515)은 연통홀(531, 541)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본 발명은 하나의 통기부(91)만으로 각 공간(511, 513, 515)의 압력이 유증기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나의 감지부(58)만으로 각 공간(511, 513, 515)의 압력이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저장부(5)는 감지부(58)의 수, 통기부(91)의 수, 공급부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사고에 의해 저장바디(51)가 파손될 경우 저장바디(51) 내부의 액체가 모두 누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고발생 시 상기 각 연통홀(531, 541)을 폐쇄하는 차단부(71, 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71, 73)는 상기 제어부(3)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1연통홀(531)과 제2연통홀(541)을 개폐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각 차단부가 각 격벽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바디, 상기 바디를 왕복시키는 바디작동부, 상기 바디의 이동거리에 따라 연통홀을 개폐하는 개폐부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차단부는 제1연통홀(531)을 개폐하는 제1차단부(71), 제2연통홀(541)을 개폐하는 제2차단부(73)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격벽(53)은 제1연통홀(531)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차단부(7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삽입홈(이하, 제1바디삽입홈, 533), 상기 제1바디삽입홈(533)과 제1연통홀(531)을 연결하는 관통홀(이하, 제1관통홀, 53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격벽(54)은 제2연통홀(541)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차단부(7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삽입홈(이하, 제2바디삽입홈, 543), 상기 제2바디삽입홈(543)과 제2연통홀(541)을 연결하는 관통홀(이하, 제2관통홀, 5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삽입홈(533)과 제2바디삽입홈(543)은 각 연통홀(531, 541)에 연결될 수 있는 한 각 격벽(53, 54)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제1바디삽입홈(533)과 제2바디삽입홈(543)이 저장바디(51)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차단부(71)는 제1바디삽입홈(533)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이하, 제1바디, 711), 상기 제1바디(711)에 고정된 개폐부(이하, 제1개폐부, 713), 제어부(3)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바디(711)의 위치를 제어하는 바디작동부(이하, 제1바디작동부, 715, 717, 71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713)는 상기 제1연통홀(531)을 개폐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개폐부(713)의 자유단은 상기 제1관통홀(535)을 통해 제1바디삽입홈(533)에서 제1연통홀(53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작동부는 상기 제1바디(7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된 자성체(이하, 제1자성체, 715), 상기 제1자성체를 감싸는 코일형상으로 구비되어 제어부(3)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는 전자석(717, 이하 제1전자석), 상기 제1바디(71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이하, 제1탄성력 제공부, 719)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제1전자석(717)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제1연통부(53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탄성력 제공부(719)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의 제1탄성력 제공부(719)는 상기 제1바디(711)가 저장바디(51)의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전자석(717)은 제어부(3)에 의해 전류가 공급될 경우 상기 제1바디(711)를 제1연통홀(531)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력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도 2의 제1차단부(71)는 제1전자석(7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1연통홀(531)을 폐쇄시키고, 제1전자석(717)에 전류공급이 차단되면 제1연통홀(531)을 개방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제2차단부(73)는 상술한 제1차단부(71)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차단부(73)는 제2바디삽입홈(543)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이하, 제2바디, 731), 상기 제2바디(731)에 고정된 개폐부(이하, 제2개폐부, 733), 제어부(3)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2바디(731)의 위치를 제어하는 바디작동부(이하, 제2바디작동부, 735, 737, 73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작동부는 상기 제2바디(73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된 자성체(이하, 제2자성체, 735), 상기 제1자성체를 감싸는 코일형상으로 구비되어 제어부(3)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는 전자석(이하, 제2전자석, 737), 상기 제2바디(73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이하, 제2탄성력 제공부, 739)로 구비될 수 있다.
사고에 의해 저장바디(51)가 파손되면, 저장바디(51) 내부의 압력(또는 수위)가 낮아질 것이므로, 제어부(3)는 감지부(58)가 측정한 저장바디(51) 내부의 압력(또는 수위)가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된 때 상기 차단부(71, 73)를 작동시켜 저장바디(51)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유출을 최소화한다.
사고에 의해 저장바디가 파손되지 않는 한 본 발명 운송장치(100)가 이동 중인 경우에는 저장바디(51) 내부의 압력(또는 수위)에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상술한 방법으로도 저장바디(51)의 파손여부를 확인 가능하다.
그러나, 감지부가 측정한 저장바디(51) 내부의 압력(또는 수위)만을 측정하여 저장바디의 파손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운송장치(100)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 운송장치(100)의 정지상태가 사고에 의한 것인지 운행 중 일시적인 것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 저장바디(51) 내부의 압력변화(또는 수위변화)는 사고에 의해 액체가 저장바디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지만, 운송장치(100)가 이동 중 정지(급정거 등)할 경우 관성에 의해 액체가 각 공간 내부에서 요동칠 때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송장치(100)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예: 정지상태의 속고)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3)가 각 밸브(962, 964, 966)는 개방시키고, 전환밸브(99)는 순환유로(98)만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펌프(97)를 작동시켜 저장바디(51) 내부의 압력(또는 수위)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저장바디(51)가 파손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구조를 가진 운송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은 속도감지부(17)를 이송바디(11)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단계(S10)를 먼저 진행한다.
상기 속도측정단계(S10)는 속도감지부(17)를 통해 측정된 이송바디(11)의 이동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준속도는 감속에 의해 이송바디(11)가 정지 상태와 유사한 상태로 판단 가능한 속도(예: 0 내지 시속 5km 등)로 설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바디(11)가 정지된 상태의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속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이송바디(11)의 속도가 상기 기준속도 이하이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각 밸브(962, 964, 966)를 개방시키는 단계(S30), 전환밸브(99)를 제어하여 상기 순환유로(98)만을 개방하는 단계(S40)를 진행한다.
각 밸브 및 순환유로가 개방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펌프(97)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부 및 순환유로(98)를 통해 저장바디(51) 내부의 액체를 순환시키는 단계(S50)를 진행한다.
상기 펌프 작동단계의 개시 후 본 발명은 상기 저장바디(51) 내부의 압력(또는 수위)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를 진행한다.
상기 감지부(58)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저장바디(51)의 압력(또는 수위)가 유지되지 않으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어부(3)가 차단부(71, 73)를 작동시켜 각 연통홀(531, 541)을 폐쇄하는 폐쇄단계(S80)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장바디(51)가 파손된 경우 파손이 발생한 공간을 나머지 공간과 격리시켜 저장바디에 저장된 액체의 누출을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속도측정단계(S10)에서 측정된 상기 이송바디(11)의 이동속도가 상기 기준속도보다 크면, 각 밸브의 개방단계(S30), 순환유로를 개방하는 단계(S40) 및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S50)는 진행되지 않고 곧바로 압력감지단계(S60, 또는 수위감지단계) 및 저장바디(51)의 파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운송장치 1: 이송부 11: 이송바디
111: 휠 15: 조작부 17: 속도감지부
3: 제어부 5: 저장부 51: 저장바디
511: 제1공간 513: 제2공간 515: 제3공간
53: 제1격벽 531: 제1연통홀 533: 제1바디삽입홈
535: 제1관통홀 54: 제2격벽 541: 제2연통홀
543: 제2바디삽입홈 545: 제2관통홀 561: 제1공급구
563: 제2공급구 565: 제3공급구 58: 감지부
71: 제1차단부 711: 제1바디 713: 제1개폐부
715: 제1자성체 717: 제1전자석 719: 제1탄성력 제공부
73: 제2차단부 731: 제2바디 733: 제2개폐부
735: 제2자성체 737: 제2전자석 739: 제2탄성력 제공부
96: 배출유로 961: 제1배출관 962: 제1밸브
963: 제2배출관 964: 제2밸브 965: 제3배출관
966: 제3밸브 97: 펌프 98: 순환유로
99: 전환밸브

Claims (5)

  1.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를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 상기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홀;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저장바디의 외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유로; 상기 배출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액체를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액체를 상기 저장바디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저장바디를 연결하는 순환유로;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순환유로의 연결점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순환유로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는 전환밸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압력이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차단부; 상기 저장바디가 지지되는 이송바디 및 상기 이송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휠이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운송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이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펌프를 작동시킨 후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압력이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압력이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면, 상기 차단부를 작동시켜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이동속도가 상기 기준속도보다 크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압력 또는 수위가 감소한 때 상기 차단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치의 제어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속도는 상기 이송바디가 정지된 상태의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178691A 2015-12-14 2015-12-14 운송장치의 제어방법 KR10183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691A KR101830629B1 (ko) 2015-12-14 2015-12-14 운송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691A KR101830629B1 (ko) 2015-12-14 2015-12-14 운송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765A KR20170070765A (ko) 2017-06-22
KR101830629B1 true KR101830629B1 (ko) 2018-02-23

Family

ID=5928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691A KR101830629B1 (ko) 2015-12-14 2015-12-14 운송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6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4612A (ja) 2003-03-20 2004-10-14 Kougi Kenkyusho:Kk タンクローリー車用液体供給制御装置
JP2006008228A (ja) 2004-06-29 2006-01-12 Osaka Gas Co Ltd 液化天然ガスタンクローリー
JP5882303B2 (ja) 2010-05-14 2016-03-09 レール・リキード−ソシエテ・アノニム・プール・レテュード・エ・レ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セデ・ジョルジュ・クロード 冷凍車及び低温液化可燃性ガスを使用するその冷凍室の冷却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4612A (ja) 2003-03-20 2004-10-14 Kougi Kenkyusho:Kk タンクローリー車用液体供給制御装置
JP2006008228A (ja) 2004-06-29 2006-01-12 Osaka Gas Co Ltd 液化天然ガスタンクローリー
JP5882303B2 (ja) 2010-05-14 2016-03-09 レール・リキード−ソシエテ・アノニム・プール・レテュード・エ・レ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セデ・ジョルジュ・クロード 冷凍車及び低温液化可燃性ガスを使用するその冷凍室の冷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765A (ko)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5794B2 (en) Purge device and purge method
JP5661057B2 (ja) 水素ステーション
KR100716492B1 (ko) 탱크로리용 밸브제어장치
KR20210101283A (ko) 압축 유체 저장용 탱크 장치의 작동 방법
RU2727773C2 (ru) Комплект для раздачи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US20190041003A1 (en) Gas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stopping operation of gas supply device
JP6219411B2 (ja) 充填部並びに充填システム
CN104126109A (zh) 测试气体关断阀的方法以及用于实施此方法的系统
KR101830629B1 (ko) 운송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070588A (ko) 운송장치
US20160184873A1 (en) Apparatus of inhalation type for stocking wafer at ceiling and inhaling type wafer stock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934765B1 (ko) 압력탱크 안전 제어 시스템
JP4654229B2 (ja) 自動弁
KR102095689B1 (ko) 가스 엔진 파워 플랜트의 배기 연료 처리 조립체 및 가스 엔진 파워 플랜트로부터 배기 연료 가스를 회수하는 방법
KR20170068698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 펌프 시스템
KR101973618B1 (ko) 가스 배관의 씰포트 장치
JP5379623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200012381A (ko) 선박 벙커링 관리시스템
KR102203485B1 (ko) 폐쇄형 탱크 시스템
KR100261567B1 (ko) 반도체 유기금속 화학증착장비용 엘디에스의 자동 리필장치
CN216425496U (zh) 一种平衡供油型储罐装置
JP6679795B1 (ja) 安全弁及び超伝導加速器
KR102123060B1 (ko) 밸브매니폴드 구조체
JP2018071559A (ja) タンク及び液圧装置
JP2018185029A (ja) タンク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