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821B1 - 전선연합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선연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821B1
KR101829821B1 KR1020170123686A KR20170123686A KR101829821B1 KR 101829821 B1 KR101829821 B1 KR 101829821B1 KR 1020170123686 A KR1020170123686 A KR 1020170123686A KR 20170123686 A KR20170123686 A KR 20170123686A KR 101829821 B1 KR101829821 B1 KR 10182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res
winding roll
center shaf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장옥
Original Assignee
남궁장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장옥 filed Critical 남궁장옥
Priority to KR102017012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심제공장치에 연동풀림수단 및 위치정렬수단을 구성하여, 연합장치에서 발생되는 비틀림에 의해 선심들이 비틀려질 수 있으나, 상기 연동풀림수단에 의해 선심들에 가해지는 비틀림을 상쇄시켜 연합선을 형성하는 선심들을 균등하고 정밀한 연합상태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연합선에 대한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선심들을 제공하는 선심제공장치와, 고정테이프제공장치 및 상기 선심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선심들을 꼬아지도록 하면서 상기 고정테이프를 외주연에 감싸도록 하여 일체형의 연합선이 제조되도록 하는 연합장치를 포함하는 전선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심제공장치(10)는, 상기 연합장치(3)에서 선심을 꼬아질 때 발생하는 비틀림을 상쇄시키도록 유도하는 연동풀림수단(100)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풀림수단(100)은,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선심이 권취된 권취롤(126)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래부(120)와; 상기 타래부(1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권취롤(126)에 권취된 선심이 원활하게 풀려지도록 유도하는 풀림유도부(130); 및 상기 타래부(12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타래부(120)에서 풀려지는 선심에게 전달되는 비틀림을 상쇄시키도록 하는 구동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연합시스템{A wire gathering equipment system}
본 발명은 전선연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연합시스템에서, 선심제공장치에 연동풀림수단 및 위치정렬수단을 구성하여, 연합장치에서 발생되는 비틀림에 의해 선심들이 비틀려질 수 있으나, 상기 연동풀림수단에 의해 선심들에 가해지는 비틀림을 상쇄시켜 연합선을 형성하는 선심들을 균등하고 정밀한 연합상태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연합선에 대한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선연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의 구조를 살펴보면, 피복체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다. 사람이나 생물의 직접적인 접촉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는 전선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전기가 통하는 금속도체 위에 절연피복을 하기 되며, 건물의 옥내, 외 환경에서 다양한 규격으로 사용된다. 반면, 사람이나 생물의 직접적인 접촉 가능성이 크지않을 경우에는 금속도체 위에 절연피복체를 제거함으로써, 제조상 비용절감과 사용시에 가볍게 하여 다양한 규격으로 사용하며, 철탑을 경유라는 원거리 전력 전송로에 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피복체가 있는 경우의 전력케이블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체, 절연체, 외장 및 시스(seath)로 구성된다.
먼저, 전력케이블의 가장 중심부에 위치한 도체는 전류를 흘려주기 위한 금속으로 구성되며, 보통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체의 외부에는 절연체가 위치하게 된다. 절연체는 전압에 견딜 수 있고, 전류가 도체의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이다. 또한, 내부 반도전층과 외부 반도전도층이 존재하는데, 이는 도체 표면의 평활성을 확보하여 절연체와의 밀착효과를 통하여 계면에서의 부분방전을 억제하고 국부적인 전기 스트레스의 집중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절연체의 외부에 시스라는 절연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피복이 구성된다. 시스에는 보통 PVC 또는 PE 등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기계적인 강도를 증가시켜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피복으로 외장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의 선심들이 꼬아져 형성되는 케이블은 전력선에 한정하지 않고, 데이터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광섬유다발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케이블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구리 등과 같은 재료를 통해 단선을 형성하는 신선공정과, 상기 신선공정을 통해 제조된 선재를 중심선 1개와 상기 중심선의 외주연으로 통상 6개를 꼬아진 형태로 형성하는 연선공정과, 상기 연선공정을 통해 제조된 연선의 외주연에 절연체를 입혀 피복하는 1차 절연공정과, 상기 1차 절연공정을 통해 피복되어 절연상태의 선심별로 연합하고, 이 과정에서 선심과 그 홈을 메우기 위한 게재물을 함께 꼬아 합침하여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며, 그 위에 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횡권하여 선심들과 게재물이 풀리지 않게 하는 연합공정, 및 상기 연합공정을 통해 선심연합된 연합선의 외주연에 절연체를 피복하여 연합선을 보호 및 제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쇄하는 2차 절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합공정은, 도 1과 같이, 선심제공장치(1)와, 고정테이프제공ㅈ장치(2) 및 연합장치(3)를 포함하고, 상기 연합장치(3)를 통해 다수의 선심들이 연합된 연합선의 외주연에 절연체를 피복하는 2차 절연공정이 수행되도록 구성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합장치(3)를 통해 다수의 선심들이 연합된 연합선을 권취하여, 별도로 구성된 2차 절연공정으로 이송한 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선심제공장치(1)는 연선공정을 통해 선심들이 권취된 다수의 권취롤 각각을 지지하는 다수의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심제공장치(1)의 일단에는 다수의 선심들이 연합장치(3)로 안정적으로 제공되도록 위치를 정렬시키는 위치정렬부재(1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테이프제공장치(2)는 상기 연합장치(3)를 통해 다수의 선심들이 꼬아져 연합선을 형성할 때, 꼬아진 연합선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합선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고정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연합장치(3)는 상기 선심제공장치(1)를 통해 다수의 선심들을 제공받아 상기 다수의 선심들이 꼬아져 연합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연합장치(3)에는 선심제공장치(1)를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선심 각각이 위치되어 꼬아질 수 있도록 집중시키는 집중부재(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합장치(3)에는 상기 집중부재(32)를 통해 집중되는 다수의 선심들이 꼬아지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재(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합장치(3)의 집중부재(32) 및 회전부재(34) 사이에는 고정테이프제공장치(2)를 통해 제공되는 고정테이프에 의해 꼬아진 연합선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유도하는 유도부재(3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합장치(3)에는 다수의 선심들이 꼬아진 연합선을 권취하는 권취부 또는 2차 절연공정으로 투입되도록 당김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이에 따라, 선심제공장치(1)를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선심들이 연합장치(3)에 의해 꼬아지면서 외주연에 고정테이프가 감겨진 한 가닥의 연합선이 제조된다.
상기와 같은 연합공정은 연선공정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한 공정으로 선심에서 연선을 제조한다.
그러나, 종래의 연합공정(또는 연선공정)에서, 연합장치의 회전부재에서 작용하는 회전에 의한 비틀림이 선심제공장치에 구성되는 선심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꼬아진 연합선들에 구성되는 선심들의 길이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심들의 길이편차에 대한 문제점에 의해 전력, 특히 데이터정보를 송,수신하는 테이터량이 불규칙하게 제공됨에 따라 결국, 케이블(또는 전선)에 의해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수의 선심들에서 길이편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연합장치에서 선심들이 꼬아지도록 하기 위해 연합선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러한 선심들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집중부재에서부터 선심제공장치에 구성되는 권취롤 사이의 거리, 권취롤의 위치에 따른 편차, 회전부재에서 작용하는 당김력과 함께, 상기 권취롤에 권취된 선심이 회전부재에 작용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으려는 관성력 등의 여러 요인들을 유발시키고, 이러한, 여러 요인들에 의해 다수의 선심들 사이에서 길이편차가 발생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270930호(2013.06.11. 공고) 대한민국 특허 제10-1527823호(2015.06.04. 공고) 대한민국 특허 제10-1658232호(2016.09.23.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연합시스템에서, 선심제공장치에 연동풀림수단 및 위치정렬수단을 구성하여, 연합장치에서 발생되는 비틀림에 의해 선심들이 비틀려질 수 있으나, 상기 연동풀림수단에 의해 선심들에 가해지는 비틀림을 상쇄시켜 연합선을 형성하는 선심들을 균등하고 정밀한 연합상태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연합선에 대한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선연합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권취롤에 권취된 선심들을 제공하는 선심제공장치와, 고정테이프를 제공하는 고정테이프제공장치 및 상기 선심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선심들을 꼬아지도록 하면서 상기 고정테이프를 외주연에 감싸도록 하여 일체형의 연합선이 제조되도록 하는 연합장치를 포함하는 전선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심제공장치는, 연합장치에서 선심을 꼬아질 때 발생하는 비틀림을 상쇄시키도록 유도하는 연동풀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풀림수단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선심이 권취된 권취롤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래부와; 상기 타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권취롤에 권취된 선심이 원활하게 풀려지도록 유도하는 풀림유도부; 및 상기 타래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타래부에서 풀려지는 선심에게 전달되는 비틀림을 상쇄시키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래부는, 몸체의 일측에 구성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몸체에 지지되면서 상기 중심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하우징과;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어 상기 중심축과 함께 회전되는 권취롤; 및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어 상기 권취롤에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기 중심축에서 권취롤의 착탈되도록 지지하는 고정지그를 포함하고; 풀림유도부는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고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되는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구성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되고, 상기 권취롤에 권취된 선심에 대한 풀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들롤과;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중심축의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과 고정브라켓 사이에 구성되어 선심이 풀림될 때 연합장치에서 작용하는 당김력에 탄력적으로 작용하여 선심의 원활한 풀림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선심제공장치에는, 상기 연동풀림수단과 연합장치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연동풀림수단을 통해 인출되는 선심이 연합장치를 통해 원활한 꼬임이 이루어지도록 간격을 지지하는 위치정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연합시스템에서, 선심제공장치에 연동풀림수단 및 위치정렬수단을 구성하여, 연합장치에서 발생되는 비틀림에 의해 선심들이 비틀려질 수 있으나, 상기 연동풀림수단에 의해 선심들에 가해지는 비틀림을 상쇄시켜 연합선을 형성하는 선심들을 균등하고 정밀한 연합상태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연합선에 대한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합시스템의 구성사진으로서,
1a는 개략적인 사진이고, 1b는 위치정렬부재의 확대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심제공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풀림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풀림수단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래부 및 풀림유도부의 구성관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렬수단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전선연합시스템은, 다수의 선심들을 제공하는 선심제공장치(10)와, 고정테이프제공장치(2) 및 연합장치(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테이프제공장치(2) 및 연합장치(3)는 종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 또는 구성은 사용목적 또는 공간활용 등에 의해 변경이 가능함으로써,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선심제공장치(1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풀림수단(100) 및 위치정렬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연동풀림수단(100)은, 연합장치(3)에서 작용하는 회전력에 연동하여 선심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회전력을 상쇄시킴으로써, 상기 연합장치(3)를 통해 논스트레스(non stress) 상태로 연합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연동풀림수단(100)은 몸체(110)와, 타래부(120)와, 풀림유도부(130) 및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수단이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구성요소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일단 즉, 배면측에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부(140)를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개폐작용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타래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되어, 선심이 안정적으로 풀어지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타래부(120)는 중심축(122)과, 상기 중심축(122)의 일측에 구성되는 고정하우징(124)과, 상기 중심축(122)에 삽입되는 권취롤(126) 및 고정지그(128)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축(122)은 일측이 몸체(110)에 지지되어, 구동부(140)를 통해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하우징(124)은 상기 중심축(12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중심축(122)이 몸체(110)에 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권취롤(126)은 상기 중심축(122)에 삽입되어 상기 중심축(122)의 회전에 따라 동반하면서 상기 권취롤(126)에 권취된 선심이 원활하게 풀림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지그(128)는 상기 중심축(122)에 지지되면서 권취롤(126)의 양단 각각을 압박시켜 상기 권취롤(126)이 중심축(122)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동반회전이 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지그(128)의 어느 하나는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롤(126)의 일단에 일단이 밀착되어 압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외주연에 레버가 돌출되고 내측에 상기 중심축(122)의 일부와 체결되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체결방식으로 상기 권취롤(126)의 일단을 압박 및 해제시킴에 따라 상기 중심축(122)에서 권취롤(126)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풀림유도부(130)는 가이드브라켓(132)과, 아이들롤(134)과, 지지브라켓(136)과, 고정브라켓(138) 및 스프링(139)을 포함하여, 상기 권취롤(126)에 권취된 선심이 안정적으로 풀어지면서 연합장치(3)로 진입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132)은 상기 중심축(122)에 삽입되어 상기 중심축(122)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선심의 원활한 풀림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브라켓(132)의 중앙부에는 중심축(122)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베어링(133)이 구성된다.
상기 아이들롤(134)는 상기 가이드브라켓(13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어, 선심이 가이드브라켓(132)의 회전에 따라 안정적으로 풀려지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아이들롤(134)은 상기 가이드브라켓(132)에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들롤(134)은 롤형상이면서 중앙에 일정깊이로 구성되어, 풀려지는 선심이 상기 아이들롤(134)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풀려지도록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아이들롤(134)은 상기 가이드브라켓(132)에 복수로 구성되어 선심이 안정적으로 풀려지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아이들롤(134)은 선심과의 마찰시 마모가 최소화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브라켓(136)은 상기 중심축(122)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132)의 일단을 압박시키는 압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38)은 상기 중심축(122)의 끝단부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브라켓(136)과 고정브라켓(138) 사이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136) 및 고정브라켓(138) 사이에는 스프링(139)이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13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136)이 항상 가이드브라켓(132)에 미는 작용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풀림유도부(130)는 연합장치(3)로 진입되는 선심에 작용하는 상기 연합장치(3)의 당김력에 따라 가이드브라켓(132)이 스프링(139)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브라켓(136)과 고정브라켓(138) 사이의 이격 간격만큼 상기 가이드브라켓(132)이 왕복 이송됨에 따라, 상기 연합장치(3)에 진입되는 선심이 항상 일정한 긴장감을 가지도록 한 상태로 진입을 유도하여 다수의 권취롤(126) 각각에서 진입되는 선심의 길이가 항상 일정하도록 유도한다.
즉, 상기 타래부(120)는 권취롤(126)에 권취된 선심이 연합장치(3)에서 작용하는 회전력 즉, 비틀림에 의해 상기 선심이 비틀려지지 않는 상태로 연합장치(3)로 제공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풀림유도부(130)는 선심이 비틀려지지 않는 상태에서 연합장치(3)로 제공되도록 상기 권취롤(126)의 선심이 안정적으로 풀려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타래부(12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타래부(120)에서 풀려지는 선심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즉, 연합장치(3)의 비틀림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풀려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연합장치(3)의 비틀림을 상쇄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부(14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42)와, 상기 모터(142)의 일단에 구성되는 원동롤(144)과, 상기 타래부(120)의 중심축(122) 일단에 고정되는 종동롤(146), 및 상기 원동롤(144)과 종동롤(146) 사이를 선회하여 상기 모터(142)의 회전력을 중심축(122)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벨트(14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터(142)는 연합장치(3)에서 선심들을 꼬아지도록 하기 위해 작용하는 회전력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회전력을 제공함으로써, 권취롤(126)에서 연합장치(3)로 진입되는 선심에 작용하는 비틀림을 상쇄시켜 안정적인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원동롤(144)과 종동롤(146) 및 벨트(148)는 벨트풀리 구동방식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체인과 체인스프로킷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원거리 동력전달방식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고, 구조 또는 형상 등에 따라 다수의 기어열로 구성되는 기어방식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정렬수단(200)은 연동풀림수단(100)과 연합장치(3)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연동풀림수단(100)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선심이 안정적으로 상기 연합장치(3)에 제공되도록 지지하여, 상기 연합장치(3)에서 연합작용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위치정렬수단(200)은 분배부(210) 및 가이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부(210)는 본체(212) 및 상기 본체(212)의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선심유도판(2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심유도판(214)은 본체(212)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타단에 선심이 통과되는 통과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통과공을 통해 선심이 연합장치(3)로 안정적으로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선심의 종류, 예컨대, 크기나 길이 등의 조건에 따라 상기 연동풀림수단(100) 및 연합장치(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선심이 연동풀림수단(100)에서 연합장치(3)로 안정적으로 제공되도록 지지하여 원활한 연합공정이 수행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지면에 일정길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22) 및 상기 분배부(210)의 본체(212) 하단에 고정되는 가이드블록(224)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블록(224)은 상기 가이드레일(222)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위치정렬수단(200)을 연동풀림수단(100)과 연합장치(3) 사이에서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위치정렬수단(200)은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선연합시스템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심제공장치(1)의 연동풀림수단(100)과 연합장치(3) 사이에 구성되는 위치정렬수단(200)의 위치를 설정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선심제공장치(1)의 연동풀림수단(100)에 구성되는 타래부(120)에 선심이 권취된 권취롤을 장착한다.
즉, 상기 타래부(120)의 중심축(122) 일단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38)을 해제시켜, 상기 중심축(122)을 통해 삽입된 스프링(139)과, 지지브라켓(136)과, 가이드브라켓(132)과, 고정지그(128) 및 권취롤(126)을 순차적으로 이탈시킨다.
그리고, 선심이 권취된 권취롤(126)을 상기 중심축(122)에 삽입하면서, 이탈시켰던 구성요소를 순차적으로 재삽입시켜, 상기 중심축(122)에 권취롤(126) 및 풀림유도부(130)가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권취롤(126)에 권취된 선심을 풀림유도부(130)의 가이드브라켓(132)에 장착된 다수의 아이들롤(134)을 통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연합장치(3)에 진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합장치(3)에서는 상기 선심제공장치(10)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선심을 꼬아지도록 하여 하나의 연합선을 형성하고, 이와 더불어, 고정테이프제공장치(2)에서 제공되는 고정테이프로 상기 연합선의 외주연을 감싸므로 일체형의 연합선이 제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합장치(3)에서 선심들을 회전에 의해 꼬아지도록 하는 비틀림이 발생되고, 이러한 비틀림이 선심들을 따라 선심제공장치(10)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선심제공장치(10)에 구성되는 다수의 권취롤(126)에 권취된 선심들이 비틀려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심제공장치(10)의 연동풀림수단(100)에 구성된 모터(142)에 의해 권취롤(126)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시 연합장치(3)에서 전달된 비틀림을 상쇄시킴으로써, 상기 권취롤(126)에 권취된 선심이 스트레스를 받지않고 안정적으로 풀림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선심제공장치(10)의 풀림유도부(130)에 의해 권취롤(126)에 권취된 선심이 안정적으로 풀림된 상태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권취롤(126)에서 연합장치(3)로 선심이 스트레스를 받지않는 상태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전선연합시스템에서, 선심제공장치에 연동풀림수단 및 위치정렬수단을 구성하여, 연합장치에서 발생되는 비틀림에 의해 선심들이 비틀려질 수 있으나, 상기 연동풀림수단에 의해 선심들에 가해지는 비틀림을 상쇄시켜 연합선을 형성하는 선심들을 균등하고 정밀한 연합상태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연합선에 대한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전선연합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선심제공장치 100: 연동풀림수단
110: 몸체 120: 타래부
122: 중심축 124: 고정하우징
126: 권취롤 128: 고정지그
130: 풀림유도부 132: 가이드브라켓
133: 베어링 134: 아이들롤
136: 지지브라켓 138: 고정브라켓
139: 스프링 140: 구동부
142: 모터 144: 원동롤
146: 종동롤 148: 벨트
200: 위치정렬수단 210: 분배부
212: 본체 214: 선심유도판
220: 가이드부 222: 가이드레일
224: 가이드블록

Claims (3)

  1. 권취롤에 권취된 선심들을 제공하는 선심제공장치와, 고정테이프를 제공하는 고정테이프제공장치 및 상기 선심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선심들을 꼬아지도록 하면서 상기 고정테이프를 외주연에 감싸도록 하여 일체형의 연합선이 제조되도록 하는 연합장치를 포함하는 전선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심제공장치(10)는,
    상기 연합장치(3)에서 선심을 꼬아질 때 발생하는 비틀림을 상쇄시키도록 유도하는 연동풀림수단(100)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풀림수단(100)은,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선심이 권취된 권취롤(126)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래부(120)와;
    상기 타래부(1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권취롤(126)에 권취된 선심이 원활하게 풀려지도록 유도하는 풀림유도부(130); 및
    상기 타래부(12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타래부(120)에서 풀려지는 선심에게 전달되는 비틀림을 상쇄시키도록 하는 구동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타래부(120)는, 몸체(110)의 일측에 구성되는 중심축(122)과;
    상기 중심축(12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몸체(110)에 지지되면서 상기 중심축(122)이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하우징(124)과;
    상기 중심축(122)에 삽입되어 상기 중심축(122)과 함께 회전되는 권취롤(126); 및
    상기 중심축(122)에 삽입되어 상기 권취롤(126)에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기 중심축(122)에서 권취롤(126)의 착탈되도록 지지하는 고정지그(128)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유도부(130)는 상기 중심축(122)에 삽입되고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되는 가이드브라켓(132)과;
    상기 가이드브라켓(132)에 구성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되고, 상기 권취롤(126)에 권취된 선심에 대한 풀림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들롤(134)과;
    상기 중심축(122)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132)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36)과;
    상기 중심축(122)의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38); 및
    상기 지지브라켓(136)과 고정브라켓(138) 사이에 구성되어 선심이 풀림될 때 연합장치(3)에서 작용하는 당김력에 탄력적으로 작용하여 선심의 원활한 풀림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3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합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심제공장치(10)에는,
    상기 연동풀림수단(100)과 연합장치(3)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연동풀림수단(100)을 통해 인출되는 선심이 연합장치(3)를 통해 원활한 꼬임이 이루어지도록 간격을 지지하는 위치정렬수단(2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합시스템.
KR1020170123686A 2017-09-25 2017-09-25 전선연합시스템 KR101829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686A KR101829821B1 (ko) 2017-09-25 2017-09-25 전선연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686A KR101829821B1 (ko) 2017-09-25 2017-09-25 전선연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821B1 true KR101829821B1 (ko) 2018-02-19

Family

ID=6138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686A KR101829821B1 (ko) 2017-09-25 2017-09-25 전선연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8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543A (ja) 2000-05-29 2001-12-07 Fujikura Ltd ケーブルの集合装置および集合方法
KR200352993Y1 (ko) 2004-03-29 2004-06-09 이주영 피치조절수단이 구비된 전선 및 실드선 연합장치
JP2006328603A (ja) 2005-05-27 2006-12-07 Sumitomo Electric Ind Ltd 極細撚線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543A (ja) 2000-05-29 2001-12-07 Fujikura Ltd ケーブルの集合装置および集合方法
KR200352993Y1 (ko) 2004-03-29 2004-06-09 이주영 피치조절수단이 구비된 전선 및 실드선 연합장치
JP2006328603A (ja) 2005-05-27 2006-12-07 Sumitomo Electric Ind Ltd 極細撚線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96522A (en) Stranding machine
US6032449A (en) Process and device for splicing an optical cable to the conductor strand of an aerial line
GB2168730A (en) Feeding optical fibres into helically extending grooves in cores
CN209291705U (zh) 一种铠装缠绕机
US20220169564A1 (en) Spool-free fiber optic cable configuration for cable installation onto a powerline conductor
JP2683461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KR101829821B1 (ko) 전선연합시스템
CN110844712B (zh) 一种岸电线缆管理装置
CN220106122U (zh) 一种电缆线芯绞线机
CN117012464A (zh) 一种柔性电缆加工用束绞机
CN116313294A (zh) 一种电缆绞合机
KR100955535B1 (ko) 연선기용 보빈의 선풀기 장치
US41705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communications cable containing fiber optic conductors
CN111863355B (zh) 一种用于电缆制造的绞线机
FI91681B (fi) Laitteisto optisen kuitukimpun kiinnittämiseksi kaapelirungon uriin menetelmä kuitujen ylipituuden säätämiseksi urissa
KR20170125299A (ko)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KR102037598B1 (ko) 강선이 일체로 결속된 전신주 설치용 케이블 복합체의 제조 시스템
EP0186437A2 (en) A stranding machine for making multi-stranded cables or ropes
CN110853845A (zh) 一种立式单层包带机及其工作方法
WO2000051137A2 (en) Group twinner for conductor bobbins and communication cables for high frequency use
CN220189322U (zh) 一种电缆制备用绞丝机
JPH0949952A (ja) ケーブル牽引装置
CN115538199B (zh) 一种基于双捻机的钢绳生产设备及其应用方法
CN113900202B (zh) 一种高密光缆的内分组式绕纱阻水系统
CN217902803U (zh) 一种三色电线绞线绕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