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582B1 - 격납벽의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격납벽의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582B1
KR101829582B1 KR1020170066075A KR20170066075A KR101829582B1 KR 101829582 B1 KR101829582 B1 KR 101829582B1 KR 1020170066075 A KR1020170066075 A KR 1020170066075A KR 20170066075 A KR20170066075 A KR 20170066075A KR 101829582 B1 KR101829582 B1 KR 10182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plate
welding
hole
concrete wall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석
이장욱
정광운
조상범
최광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96Repairing or restoring fac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내면이 격납 건물의 내부와 대향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와, 라이너 플레이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고,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이 접하는 부분에서 라이너 플레이트에 손상된 영역이 발생한 격납벽의 보수 방법은, 손상된 영역이 제거되도록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라이너 플레이트의 일부를 제거하는 손상부 제거단계; 콘크리트벽에서 손상된 영역과 접했던 부분을 제거하는 콘크리트벽 치핑단계; 및 손상부 제거단계에서 제거된 영역과 대응하는 크기의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제거된 영역에 설치하는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에서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는,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격납 건물의 내부가 통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격납벽의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REPAIR METHOD FOR CONTAINMENT WALL AND LINER PLATE USED FOR REPAIR}
본 발명은 격납벽의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격납 건물 및 격납 건물의 격납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자로 건물과 같은 격납 건물(1)의 격납벽(10)은 격납 건물 라이너 플레이트(Containment Liner Plate)(11)와 콘크리트벽(19)을 포함한다. 격납 건물 라이너 플레이트란, 격납벽(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강판으로, 격납 건물의 누설 방지 기능의 유지 등을 위해 설치되는 강판을 의미한다. 그리고 격납벽(10)의 외측에는 라이너 플레이트(11)를 둘러싸는 콘크리트벽(19)이 형성된다.
그런데 원자로 건물과 같은 격납 건물의 설치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설치과정 및 격납 건물의 사용 중에 라이너 플레이트(11)와 콘크리트벽(19) 사이로 이물질, 해수비말, 염분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콘크리트벽(19)과 접촉되는 라이너 플레이트(11)가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너 플레이트(11)에 부식이 발생한 격납벽의 보수를 위해 종래에는 격납 건물의 외부에서 부식이 발생한 부분의 콘크리트벽과 라이너 플레이트를 제거한 후, 제거된 라이너 플레이트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라이너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콘크리트벽이 제거된 부분에 새로 콘크리트벽을 양생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보수 방법은,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을 모두 제거하기 때문에, 새로 콘크리트벽을 양생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으며,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수가 완료된 후 교체한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미세한 기공들이 형성되어, 부식을 야기하는 물질들이 또다시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유입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보수에 요구되는 시간 및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보수가 완료된 후 또다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내면이 격납 건물의 내부와 대향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와, 라이너 플레이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고,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이 접하는 부분에서 라이너 플레이트에 손상된 영역이 발생한 격납벽의 보수 방법은, 손상된 영역이 제거되도록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라이너 플레이트의 일부를 제거하는 손상부 제거단계; 콘크리트벽에서 손상된 영역과 접했던 부분을 제거하는 콘크리트벽 치핑단계; 손상부 제거단계에서 제거된 영역과 대응하는 크기의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제거된 영역에 설치하는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손상부 제거단계에서 제거되지 않고 남은 기존의 라이너 플레이트를 서로 용접하는 제1 용접단계; 및 제1 용접단계 이후,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지계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를 포함하고, 충전재 주입단계는,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격납 건물의 내부가 통하도록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관통하게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수지계 충전재를 주입하는 단계이며, 제1 용접단계에서 용접 시 발생하는 열은, 콘크리트벽과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관통홀을 통해 격납 건물의 내부로 방출된다.
또 다른 예에서, 내면이 격납 건물의 내부와 대향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와, 라이너 플레이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공정에 사용되어, 기존 라이너 플레이트의 일부를 대체하는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는, 기존 라이너 플레이트의 손상된 일부를 제거한 영역에 결합되는 본체; 본체가 제거한 영역에 결합되었을 때 본체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격납 건물의 내부가 통하도록, 본체를 관통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및 본체가 제거한 영역에 결합되었을 때 본체의 콘크리트벽과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며,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봤을 때 일부가 관통홀로 노출되도록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관통홀을 폐쇄하기 위해 관통홀에 장착되는 플러그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라이너 플레이트 및 콘크리트벽을 제거함으로써, 제거되는 콘크리트벽의 양을 최소화하여 보수에 요구되는 시간 및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에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관통홀을 제거된 콘크리트벽에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고, 충전재를 주입하는 것은 콘크리트벽을 양생하는 것보다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벽의 접합력을 향상시켜 또 다른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격납 건물 및 격납 건물의 격납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벽의 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부 제거단계 및 콘크리트벽 치핑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격납벽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 및 충전재 주입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격납벽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관통홀 폐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격납벽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관통홀 폐쇄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격납벽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터드가 결합되어 있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격납벽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벽의 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벽의 보수 방법은 손상부 제거단계(S10), 콘크리트벽 치핑단계(S20),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S30), 제1 비파괴검사단계(S40), 충전재 주입단계(S50), 관통홀 폐쇄단계(S60) 및 제2 비파괴검사단계(S70)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격납벽의 보수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순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일부 단계는 제외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손상부 제거단계 및 콘크리트벽 치핑단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부 제거단계 및 콘크리트벽 치핑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격납벽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격납벽(10)은 라이너 플레이트(11)와 콘크리트벽(19)을 포함한다. 라이너 플레이트(11)는 내면이 격납 건물의 내부와 대향하고, 콘크리트벽(19)은 라이너 플레이트(11)의 외면을 둘러싼다.
먼저, 손상부 제거단계(S10)는 라이너 플레이트(11)와 콘크리트벽(19)이 접하는 부분에서, 라이너 플레이트(11)에 손상된 영역(111)이 발생한 경우, 손상된 영역(111)이 제거되도록 라이너 플레이트(11)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상부 제거단계(S10)는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라이너 플레이트(11)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콘크리트벽 치핑단계(S20)는 콘크리트벽(19)에서 손상된 영역(111)과 접했던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너 플레이트(11)의 손상은 콘크리트벽(19) 사이에 축적된 염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라이너 플레이트(11)의 손상을 야기한 물질이 여전히 콘크리트벽(19)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벽 치핑단계(S20)를 통해 콘크리트벽(19)에서 손상된 영역(111)과 접했던 부분을 제거한다.
이때 콘크리트벽 치핑단계(S20)는 콘크리트벽(19)의 일부 표면만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라이너 플레이트(11)의 손상은 콘크리트벽(19)의 표면에 부착된 물질에 의해 야기되기 때문에, 콘크리트벽(19)의 일부 표면만 제거함으로써 또 다른 손상은 방지하되, 제거되는 콘크리트벽(19)의 양은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격납 건물의 외부에서 콘크리트벽과 라이너 플레이트를 모두 제거했던 종래의 보수 방법에 비해 콘크리트벽을 양생하는 시간 및 자원이 절약될 수 있다.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 및 충전재 주입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 및 충전재 주입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격납벽의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S30)에 대해 설명한다.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S30)는 손상부 제거단계(S10)에서 제거된 영역에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본체, 15)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는 손상부 제거단계(S10)에서 제거된 영역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기존 라이너 플레이트의 일부를 대체한다.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는 관통홀(15a)을 구비한다.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S30)에서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가 설치됐을 때, 관통홀(15a)은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와 콘크리트벽(19)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격납 건물의 내부가 통하도록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를 관통되게 형성된다. 관통홀(15a)의 개수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S30)는, 제1 용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접단계는 설치된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와 손상부 제거단계(S10)에서 제거되지 않고 남은 기존의 라이너 플레이트(11)를 서로 용접하는 단계이다. 즉, 제1 용접단계는 손상부 제거단계(S10)에서 제거되지 않고 남은 기존의 라이너 플레이트(11)와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가 서로 마주보는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1 용접단계에서의 용접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GTAW(Gas Tungsten Arc Welding) 또는 SMAW(Shielded Metal Arc Welding) 용접 방식에 의해 완전 용입이 이루어지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1 용접단계는 맞대기 용접 방식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와 기존의 라이너 플레이트(11)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용접단계에서 용접 시 발생하는 열은 관통홀(15a)을 통해 격납 건물의 내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시 발생하는 열이 콘크리트벽(19)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용접단계에 의해 용접이 완료되면, 제1 비파괴검사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비파괴검사단계(S40)는 제1 용접단계에서 수행된 용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단계이다. 제1 비파괴검사단계(S40)는 초음파 탐상 검사 또는 액체 침투 탐상 검사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비파괴검사단계(S40)에서 용접 부위를 향해 조사된 초음파 등은 용접 부위를 통과한 후 초음파의 산란, 간섭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용접 부위가 양호하게 용접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초음파가 다른 재질을 갖는 층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용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충전재 주입단계(S50)는, 제1 비파괴검사단계(S40)에서 제1 용접단계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여, 용접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재 주입단계(S50)에 대해 설명한다. 충전재 주입단계(S50)는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와 콘크리트벽(19)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지계 충전재(17)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수지계 충전재(17)는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에 형성된 관통홀(15a)을 통해 주입될 수 있다.
수지계 충전재(17)가 주입됨으로써,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와 콘크리트벽(19)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빈틈없이 채워,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와 콘크리트벽(19)의 밀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공간에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거나 습분이 잔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수지계 충전재(17)는 용접 등에 의한 가열 환경을 고려할 때, 불연성 및 난연성을 갖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수지계 충전재로 사용되는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모르타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에는 관통홀(15a)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충전재 주입단계(S50)는 복수 개의 관통홀(15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충전재(17)를 주입하되, 충전재(17)의 주입에 사용되지 않는 관통홀에서, 주입된 충전재(17)가 나올 때까지 주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충전재 주입단계(S50)는 충전재(17)의 주입에 사용되지 않은 모든 관통홀에서 충전재(19)가 나올 때까지 주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와 콘크리트벽(19)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재(17)가 빈틈없이 채워졌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와 콘크리트벽(19)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빈틈없이 채워짐으로써, 라이너 플레이트(11)와 콘크리트벽(19) 사이에 라이너 플레이트(11)의 손상을 야기하는 물질이 개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홀 폐쇄단계
도 5는 관통홀 폐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격납벽의 부분 단면도이다. 관통홀 폐쇄단계(S60)는 플러그(16)를 관통홀(15a)에 결합하여 관통홀(15a)을 폐쇄하는 단계이다.
관통홀 폐쇄단계(S60)는, 충전재 주입단계(S50)에서 관통홀(15a)로 배출된 충전재(17)가 관통홀(15a)에 채워져 있는 경우, 관통홀(15a)에 채워진 충전재를 드릴 등을 통해 제거한 후 플러그(16)를 결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플러그(16)는 관통홀(15a)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러그(16)는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관통홀(15a)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라이너 플레이트(11)와 플러그(16)가 동일 평면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는, 관통홀 폐쇄단계(S60)는 관통홀(15a)에 플러그(16)를 결합한 후 관통홀(15a)에 용가재(미도시)를 채워 넣는 단계일 수 있다. 즉, 관통홀 폐쇄단계(S60)는 관통홀(15a)의 깊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플러그(16)를 관통홀(15a)에 결합한 후, 그 위에 용가재를 채워 넣어 플러그(16)와 용가재가 관통홀(15a)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는, 용가재를 대신하여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기존 라이너 플레이트에서 플러그(16)와 인접한 부분을 녹여, 플러그(16) 위에 채워 넣을 수도 있다.
관통홀 폐쇄단계(S60)는 제2 용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용접단계는 관통홀(15a)에 장착된 플러그(16)와,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를 서로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이다. 제2 용접단계에서 사용되는 용접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GTAW 또는 SMAW 용접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관통홀 폐쇄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격납벽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러그(16)는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5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15b)는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의 콘크리트벽(19)과 대향하는 면에서, 관통홀(15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b)는 일부가 관통홀(15a)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15b)는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를 설치한 후 격납벽을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봤을 때, 지지부(15b)의 일부가 관통홀(15a)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b)는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15b)가 제2 용접단계의 용접 부위에 형성됨으로써, 제2 용접단계에서 발생하는 열이 콘크리트벽(19)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갖는 충전재(17) 역시 열이 콘크리트벽(19)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벽(19)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용접단계가 완료되면, 제2 비파괴검사단계(S7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비파괴검사단계(S70)는 제2 용접단계에서 수행된 용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단계로서, 초음파 탐상 검사, 액체 침투 탐상 검사 등을 통해 용접 상태가 양호한지 검사할 수 있다. 제2 비파괴검사(S70)를 통해 용접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격납벽의 보수 방법은 마지막으로 도장 작업을 수행하여 보수를 마무리할 수 있다.
변형례
도 7은 스터드가 결합되어 있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격납벽의 부분 단면도이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격납벽은 콘크리트벽(19')에 스터드(19'a)와 같은 내부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격납벽의 보수에도 전술한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손상된 영역(111)이 제거되도록 라이너 플레이트(11)의 일부를 제거하는 손상부 제거단계, 콘크리트벽(19')에서 손상된 영역(111)과 접했던 부분을 제거하는 콘크리트벽 치핑단계, 손상부 제거단계에서 제거된 영역에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를 설치하고,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와 기존의 라이너 플레이트(11)를 용접하는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와 콘크리트벽(19')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15)에 형성된 관통홀(15a)에 플러그(16)를 결합하고, 플러그(16)와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관통홀 폐쇄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벽(19')에 스터드(19'a)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콘크리트 치핑단계에서 콘크리트벽(19')의 표면만 일부 제거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스터드(19'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더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격납 건물
10: 격납벽
11: 라이너 플레이트
15: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
15a: 관통홀
15b: 지지부
16: 플러그
17: 충전재
19: 콘크리트벽

Claims (20)

  1. 내면이 격납 건물의 내부와 대향하는 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의 외면을 둘러싸는 콘크리트벽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벽이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에 손상된 영역이 발생한 격납벽의 보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영역이 제거되도록 상기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의 일부를 제거하는 손상부 제거단계;
    상기 콘크리트벽에서 상기 손상된 영역과 접했던 부분을 제거하는 콘크리트벽 치핑단계;
    상기 손상부 제거단계에서 제거된 영역과 대응하는 크기의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상기 제거된 영역에 설치하는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
    상기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손상부 제거단계에서 제거되지 않고 남은 기존의 라이너 플레이트를 서로 용접하는 제1 용접단계; 및
    상기 제1 용접단계 이후, 상기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지계 충전재를 주입하는 충전재 주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재 주입단계는, 상기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상기 격납 건물의 내부가 통하도록 상기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관통하게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수지계 충전재를 주입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1 용접단계에서 용접 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콘크리트벽과 상기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격납 건물의 내부로 방출되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단계는, GTAW(Gas Tungsten Arc Welding) 또는 SMAW (Shielded Metal Arc Welding) 용접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벽 치핑단계는, 상기 콘크리트벽의 표면을 제거하는 단계인, 격납벽의 보수 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에폭시가 사용되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주입단계는, 상기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에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충전재를 주입하되, 상기 충전재의 주입에 사용되지 않는 관통홀에서, 주입된 상기 충전재가 나올 때까지 주입하는 단계인, 격납벽의 보수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기 위한 플러그를 상기 관통홀에 결합하는 관통홀 폐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폐쇄단계는, 상기 충전재 주입단계에서 상기 관통홀에 채워진 충전재를 제거한 후 상기 플러그를 결합하는 단계인, 격납벽의 보수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신규 플레이트 설치단계에서 상기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에는, 상기 콘크리트벽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봤을 때 일부가 상기 관통홀로 노출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 폐쇄단계는, 상기 지지부에 상기 플러그가 지지되며 장착되는 단계인, 격납벽의 보수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폐쇄단계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서로 용접하는 제2 용접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접단계는, GTAW 또는 SMAW(Shielded Metal Arc Welding)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인, 격납벽의 보수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접단계에서 수행된 용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제2 비파괴검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폐쇄단계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신규 라이너 플레이트를 서로 용접하는 제2 용접단계를 더 포함하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폐쇄단계에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관통홀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폐쇄단계는, 상기 관통홀에 상기 플러그를 결합한 후 상기 관통홀에 용가재를 채워 넣되, 상기 플러그와 용가재가, 상기 격납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관통홀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하는 단계인, 격납벽의 보수 방법.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단계에서 수행된 용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제1 비파괴검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 주입단계는, 상기 제1 비파괴검사단계에서 제1 용접단계의 용접 상태를 검사한 후 수행되는, 격납벽의 보수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066075A 2017-05-29 2017-05-29 격납벽의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 KR10182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75A KR101829582B1 (ko) 2017-05-29 2017-05-29 격납벽의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75A KR101829582B1 (ko) 2017-05-29 2017-05-29 격납벽의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582B1 true KR101829582B1 (ko) 2018-02-14

Family

ID=6122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075A KR101829582B1 (ko) 2017-05-29 2017-05-29 격납벽의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5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918B1 (ko) 2018-09-19 2019-08-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이동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시스템
KR102093082B1 (ko) * 2019-12-20 2020-03-2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라이너 플레이트용 방열장치
KR20200032975A (ko) 2018-09-19 2020-03-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격납건물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방법
CN113399929A (zh) * 2021-07-20 2021-09-17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一种焊接加固方法及焊接加固结构
KR102334020B1 (ko) 2020-06-17 2021-12-01 현대건설(주) 원자로 격납 건물의 콘크리트 공극 확인 및 보수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918B1 (ko) 2018-09-19 2019-08-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이동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시스템
KR20200032975A (ko) 2018-09-19 2020-03-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격납건물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방법
KR102093082B1 (ko) * 2019-12-20 2020-03-2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라이너 플레이트용 방열장치
KR102334020B1 (ko) 2020-06-17 2021-12-01 현대건설(주) 원자로 격납 건물의 콘크리트 공극 확인 및 보수 방법
CN113399929A (zh) * 2021-07-20 2021-09-17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一种焊接加固方法及焊接加固结构
CN113399929B (zh) * 2021-07-20 2022-11-22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一种焊接加固方法及焊接加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582B1 (ko) 격납벽의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라이너 플레이트
RU2536720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бетон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ного элемента
KR101855038B1 (ko) 원자로 격납 건물의 라이너 플레이트 보수 방법
JP2019514700A (ja) 金属レールのアルミテルミット溶接用の型及びそのような型を利用する修復方法
JP5819278B2 (ja) 連壁部材、連壁構築方法
KR101560884B1 (ko) 내화피복 일체형 강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77899B1 (ko) 균열보수공법
KR101879277B1 (ko) 지하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JP6830505B2 (ja) 鋼管杭の補修方法
CN113700333A (zh) 混凝土整体结构高密度加固方法
KR20070009272A (ko) 격자형 강섬유판 누드 에프알피이와 복합 강성부재 누드에프알피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공법
JP2019120056A (ja) 吊足場の防水構造
KR20080100591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2053112B1 (ko) 보강 섬유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보강 공법
KR20210077210A (ko) 폐공 마감 방법
JP4847148B2 (ja) 原子力圧力容器内構造物の補修方法
KR102404471B1 (ko) 원자로 격납 건물의 보수 방법
KR20170016058A (ko) 교량구조물 보수방법
JP2006038752A (ja) 鉄筋の検査方法、鉄筋の補修方法
JP7019504B2 (ja) ライニング施工方法およびライニング
JP5252208B2 (ja) 鉛直部材の接合方法及び鉛直部材の接合構造
KR20200134406A (ko) 신축이음장치
KR20140028464A (ko) 용접결함 부위에 대한 tsa 코팅 방법
KR102392237B1 (ko) 원자로 격납 건물의 보수 방법
RU140536U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таканного типа составной модульной сваи и наголовник для такой сва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