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799B1 -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799B1
KR101828799B1 KR1020170177735A KR20170177735A KR101828799B1 KR 101828799 B1 KR101828799 B1 KR 101828799B1 KR 1020170177735 A KR1020170177735 A KR 1020170177735A KR 20170177735 A KR20170177735 A KR 20170177735A KR 101828799 B1 KR101828799 B1 KR 101828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frame
virtual
frame part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수
Original Assignee
조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수 filed Critical 조민수
Priority to KR102017017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공간 속에서 실제로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등을 주행하는 것과 동일하게 움직이면서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플레이트부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수직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노즐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제어되는 반원형 에어블로워(air blower)와; 상기 프레임부의 둘레에 설치되되 상기 플레이트부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수평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 노즐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제어되는 원형 에어블로워를 포함하되, 상기 반원형 에어블로워와 상기 원형 에어블로워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바람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각기 회전 및 압축공기의 세기가 제어되고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환경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의 온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실제 라이딩(riding)과 같이 다양한 주행환경과 탑승자세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주행공간현실에서도 실제로 주행하는 것과 같은 박진감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SMART RIDING SIMULATOR FOR LINKING TO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공간 속에서 실제로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등을 주행하는 것과 동일하게 움직이면서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상현실과 연동되는 라이딩 시뮬레이터(riding simulator), 예를 들어 자전거는 단순히 자전거를 타는 일정한 동작만으로 가상현실 속을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관계로 실제 지면과 같은 상황에서 현실감 있는 체험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즉, 자전거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전방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현실이 변화함에 따라 단순히 페달을 고속이나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운동만 할 수 있을 뿐이어서 비탈길, 앞바퀴 또는 뒷바퀴만으로 구르는 한바퀴 구름, 좌우 기울임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실제 주행환경 및 탑승자세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실제 주행하는 것과 같은 박진감을 얻기에는 매우 부족한 면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 제2016-0025399호 '스마트 사이클링 시뮬레이터'(출원일자: 2016.03.03.)를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라이딩(riding)과 같이 다양한 주행환경과 탑승자세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주행공간현실에서도 실제로 주행하는 것과 같은 박진감을 줄 수 있도록 개선된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플레이트부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수직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노즐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제어되는 반원형 에어블로워(air blower)와; 상기 프레임부의 둘레에 설치되되 상기 플레이트부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수평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 노즐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제어되는 원형 에어블로워를 포함하되, 상기 반원형 에어블로워와 상기 원형 에어블로워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바람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각기 회전 및 압축공기의 세기가 제어되고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환경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의 온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반원형 에어블로워와 상기 원형 에어블로워는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바람의 방향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 노즐 및 상기 다수의 제2 노즐이 부분적으로 개폐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에 의하면, 실제 라이딩(riding)과 같이 다양한 주행환경과 탑승자세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주행공간현실에서도 실제로 주행하는 것과 같은 박진감을 줄 수 있도록 개선된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를 후방 및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가 후방 및 전방으로의 회동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가 측면으로 경사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1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의 일 구성요소인 실린더 구동부의 진동 발생을 위한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1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의 일 구성요소인 전후 경사도 구현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1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의 일 구성요소인 핸들부의 윌리(willie) 기능 구현을 위한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1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가 윌리(willie) 기능이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1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의 일 구성요소인 프레임부의 엔도(endo) 기능 구현을 위한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1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가 엔도(endo) 기능이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의 변형례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에 에어블로워 수단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에 좌우 경사도 구현부의 다른 예가 적용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의 변형례로서 좌우 경사도 구현부의 다른 예가 적용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에 적용된 예로서 사용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부(110), 이 프레임부(11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틸팅 플레이트부(120), 프레임부(1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 조절하기 위한 전후 경사도 구현부(130), 상기 틸팅 플레이트부(120)를 하부에서 좌우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부(140), 이 베이스 플레이트부(140) 상에 탑재되어 상기 틸팅 플레이트부(120)의 좌우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좌우 경사도 구현부(15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140)를 하부에서 회전 조절하는 회전구동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110)는 하단부가 틸팅 플레이트부(12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전후 경사도 구현부(130)는 상측의 일단이 프레임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측의 타단이 틸팅 플레이트부(120)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실린더 구동부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전후 경사도 구현부(130), 즉 실린더 구동부는 예를 들어 프레임부(110)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노면이 오르막길이거나 내리막길일 경우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경사도에 관한 신호를 외부의 제어부(도면 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신축 구동된다. 즉,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이 오르막길인 경우 실린더 구동부(130)는 수축 구동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가 후방으로 회동하고,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이 내리막길인 경우 실린더 구동부(130)는 신장 구동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가 전방으로 회동한다.
좌우 경사도 구현부(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부(140) 상에서 가로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151), 이 구동축(151)에 일체로 결합하여 회전되는 복수의 캠(152)을 포함한다. 틸팅 플레이트부(120)는 상기 복수의 캠(152)에 의해 좌우측 저면이 지지된다. 이에 더하여, 틸팅 플레이트부(120)는 중앙 부분이 전후 종방향 축(121)을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부(140)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좌우 경사도 구현부(15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가상의 주행공간의 노면 상태, 특히 노면의 좌우 경사도에 관한 신호에 따라 구동축(151)이 회전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캠(152)을 통해 지지되는 틸팅 플레이트부(120)의 좌우 경사도를 조절한다.
한편,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한 실린더 구동부(130)는 프레임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131), 이 커넥팅 로드(131)가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132), 이 피스톤 로드(132) 속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커넥팅 로드(131)를 접촉 지지하는 캠(13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노면 상태, 구체적으로 노면의 거칠기(ex. 아스팔트, 산길)에 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캠(133)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가상공간의 주행중 상기 커넥팅 로드(131)에 축방향으로 진동을 가한다. 이러한 진동은 그대로 프레임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됨으로써 실제와 같은 노면 상태를 그대로 느끼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등을 참조하면, 하단의 회전구동부(160)는 지면 상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상부에서 고정된 상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부(140)는 지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부(140)의 저면에는 링기어(ring gear, 도면 미도시)가 고정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회전구동부(160)에는 상기 링기어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 도면 미도시)가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14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프레임부(110)의 전방 단부에는 핸들부(18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회전구동부(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핸들부(180)의 회전각도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부(14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에 연동하여 전방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기 회전각도만큼 주행공간이 회전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도 6은 상기한 전후 경사도 구현부(130), 즉 실린더 구동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단이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피스톤 로드(131'), 일단이 틸팅 플레이트(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을 통해 상기 피스톤 로드(131')가 삽입되는 피스톤 실린더(132'), 이 피스톤 실린더(1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131')의 타단을 접촉 지지하는 제2 캠(133')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캠(133')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노면의 전후 경사도에 관한 신호에 따라 자체 회전각도가 조절됨으로써 피스톤 실린더(132')로부터 피스톤 로드(131')가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110)의 전후방향 회동이 조절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린(lean) 모션 구현부(170)는 틸팅 플레이트부(120) 상면에 설치되되 그 전단부와 후단부의 힌지 브래킷(171)을 통해 좌우로 약간씩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각 힌지 브래킷(171)의 좌우측 단부의 저면으로는 스프링(도면 미도시)이 개재되어 린 모션 시 정상위치로 복원되도록 해준다.
한편, 프레임부(110)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1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샤프트(181)가 프레임부(110)의 축수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상하방향, 즉 축방향으로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축수부(111)의 상단에는 윌리(willie) 감지 버튼(112)이 설치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부(180)를 들어올리는 조작을 통해 상기 윌리 감지 버튼(112)이 스위칭 온(on) 되고, 이에 따라 전후 경사도 구현부(130)는 수축 구동하여 프레임부(110)를 후방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프레임부(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모니터(도 12의 190 참조) 또는 상기 사용자에 착용되는 헤드마운드디스플레이(도 15의 191 참조)로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의 주행공간을 디스플레이하는 가상현실표현부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또한 주행공간을 상부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마치 실제 윌리(willie) 기능, 즉 앞바퀴 들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프레임부(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113)에 대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부(114)가 승강 가능하게 삽탈되는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의 비착석 시 프레임 본체(113)에 삽입된 상기 안장부(114)를 탄성적으로 가압 상승시키는 스프링(114)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의 착석으로 하강하는 안장부(114)에 의해 스위칭 온(on) 되는 엔도(endo) 감지 버튼(115)을 더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통해 상기 엔도 감지 버튼(115)이 스위칭 오프(off) 되고, 이에 따라 전후 경사도 구현부(130)는 신장 구동하여 프레임부(110)를 전방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가상현실표현부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또한 주행공간을 하부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마치 실제 엔도(endo) 기능, 즉 뒷바퀴 들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가 오토바이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자전거에 적용된 경우와 달리 브레이크(101')와 변속기(102')와 가속핸들이 구비되어 가상현실과 연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는, 프레임부의 전방 하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노면의 낙하에 관한 신호에 따라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발판부(10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발판부(106')를 지지하던 수단이 해제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발판부(106')가 낙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추락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가 자동차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자전거에 적용된 경우와 달리 좌석(103')과 스티어링 휠(103')이 구비되어 가상현실과 연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100)에 추가적으로 에어 블로윙 시스템(air blowing system)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반원형 에어블로워(air blower, 200)는 틸팅 플레이트부(120)에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덕트 구조체(201)의 상단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수직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반원형 에어블로워(20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노즐(202)을 통해 내측의 프레임부(110)의 사용자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제어된다.
반원형 에어블로워(200)는 구동모터(203)에 의해 회전 제어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가상공간의 환경에 따라 바람부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제1 노즐(202)은 각기 밸브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독립적으로 개폐 제어되어 바람을 일으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원형 에어블로워(200)로의 압축공기 공급은 덕트 구조체(201)의 하단에 설치되는 팬(204)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프레임부(110)의 둘레에 설치되는 원형 에어블로워(210)는 틸팅 플레이트부(120)의 전방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덕트 구조체(211)의 상단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수평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원형 에어블로워(21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2 노즐(212)을 통해 내측의 프레임부(110)의 사용자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제어된다.
원형 에어블로워(210) 역시 구동모터(213)에 의해 회전 제어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가상공간의 환경에 따라 바람부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제2 노즐(212)은 각기 밸브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독립적으로 개폐 제어되어 바람을 일으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형 에어블로워(210)로의 압축공기 공급은 덕트 구조체(211)의 하단에 설치되는 팬(214)에 의해 이루어진다.
팬(214)의 유입구 부분에는 히터(도면 미도시)가 설치되어 가상의 주행공간의 환경에 맞추어 고온과 저온의 바람을 선택적으로 송풍할 수 있다.
상기 반원형 에어블로워(200)와 원형 에어블로워(2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바람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각기 회전 및 압축공기의 세기가 제어된다.
도 14는 앞서 설명한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도 1의 100)에 좌우 경사도 구현부에 대체되는 지면 구현부가 적용된 것으로서, 틸팅 플레이트부(도 1의 120) 없이 프레임부(110)가 직접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부(140)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때의 지면 구현부는 베이스 플레이트부(140) 상에서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가로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축(151') 및 각 구동축(151')에 일체로 결합하여 회전되는 복수의 캠(152')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딩 플레이트(116)의 좌우측 저면을 지지하는 구성을 취한다.
이에 더하여, 프레임부(110)의 전방 하부를 지지하는 볼 조인트(도 15의 195 참조)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중앙 하부를 지지하되 제2 볼조인트(196-1)와 힌지(196-2)로 구성되는 지지축(196)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95, 196)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노면의 전후좌우 경사도에 관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축(151')이 회전함으로써 복수의 캠(152')을 통해 지지되는 상기 가이딩 플레이트(116)의 전후좌우 경사도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프레임부(11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틸팅(tilting)을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5')로 구성되는 프레임부에 대해서도 그 후방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딩 플레이트(116')를 통해 전후좌우 방향 틸팅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에서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0: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110: 프레임부 111: 축수부
112: 윌리(willie) 감지 버튼 113: 프레임 본체
114: 안장부 115: 엔도(endo) 감지 버튼
116: 가이딩 플레이트 120: 틸팅 플레이트부
121: 축 130: 전후 경사도 구현부
131: 커넥팅 로드 132: 피스톤 로드
133: 캠 140: 베이스 플레이트부
150: 좌우 경사도 구현부 151: 구동축
152: 캠 160: 회전구동부
170: 린(lean) 모션 구현부 180: 핸들부
181: 회전샤프트 190: 모니터
200: 반원형 에어블로워 201, 211: 덕트 구조체
202: 제1 노즐 203, 213: 구동모터
204, 214: 팬 210: 원형 에어블로워
212: 제2 노즐

Claims (2)

  1.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플레이트부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수직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노즐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제어되는 반원형 에어블로워(air blower)와;
    상기 프레임부의 둘레에 설치되되 상기 플레이트부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수평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 노즐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를 향해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제어되는 원형 에어블로워를 포함하되,
    상기 반원형 에어블로워와 상기 원형 에어블로워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바람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각기 회전 및 압축공기의 세기가 제어되고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환경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의 온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 에어블로워와 상기 원형 에어블로워는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상의 주행공간의 바람의 방향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 노즐 및 상기 다수의 제2 노즐이 부분적으로 개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KR1020170177735A 2017-12-22 2017-12-22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KR101828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735A KR101828799B1 (ko) 2017-12-22 2017-12-22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735A KR101828799B1 (ko) 2017-12-22 2017-12-22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000A Division KR101941865B1 (ko) 2016-03-03 2017-03-02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799B1 true KR101828799B1 (ko) 2018-02-13

Family

ID=6123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735A KR101828799B1 (ko) 2017-12-22 2017-12-22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7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095B1 (ko) * 2018-05-23 2019-11-18 문희열 가상현실 자전거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영상 확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시스템
KR102131072B1 (ko) * 2019-03-14 2020-08-05 주식회사 이노테크미디어 4d vr 관광시뮬레이션 장치
KR20200103430A (ko) 2019-02-25 2020-09-02 박무영 모터사이클 시뮬레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499B2 (ja) 1991-04-24 2000-1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型角速度センサ
KR101461817B1 (ko) 2013-08-12 2014-11-13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실감형 자전거 시뮬레이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499B2 (ja) 1991-04-24 2000-1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型角速度センサ
KR101461817B1 (ko) 2013-08-12 2014-11-13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실감형 자전거 시뮬레이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095B1 (ko) * 2018-05-23 2019-11-18 문희열 가상현실 자전거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영상 확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시스템
KR20200103430A (ko) 2019-02-25 2020-09-02 박무영 모터사이클 시뮬레이터
KR102131072B1 (ko) * 2019-03-14 2020-08-05 주식회사 이노테크미디어 4d vr 관광시뮬레이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799B1 (ko)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JP3199399U (ja) 立ち乗り電動車
US8298845B2 (en) Motion platform video game racing and flight simulator
JPH0975543A (ja) オートバイゲーム機の操作装置
CN105999706B (zh) 一种仿真驾驶游戏设备系统
KR101836181B1 (ko)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CN106428273A (zh) 载人翻滚双轮车
KR101757647B1 (ko) 스마트 사이클링 시뮬레이터
KR101941865B1 (ko)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KR101138270B1 (ko) 차량의 드라이브 시뮬레이터
KR20180047466A (ko) 모터사이클 시뮬레이션 게임시스템
CN204996141U (zh) 可行走的多维飞行动感模拟乘骑装置
CN107213645B (zh) 一种可上下左右倾翻的旋转游乐设备
KR101915639B1 (ko)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자전거 운동 기구
CN205469469U (zh) 一种电动平衡车的车轮连接机构
CN208493208U (zh) 一种三自由度赛车游戏平台
CN207101863U (zh) 一种多自由度翻转座舱
KR100470966B1 (ko) 시뮬레이션 시스템
JP3048277B2 (ja) 画像表示遊戯機
JP3844392B2 (ja) 二輪車のシミュレータ及びゲーム装置
JP2640329B2 (ja) 旋回遊戯乗物装置
CN220676732U (zh) 一种动感游戏摩托车及游戏设备
JP2920403B2 (ja) ドライブゲーム機
CN213555327U (zh) 一种vr赛车模拟装置
CN208302124U (zh) 自行车vr自驾三维仿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