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825B1 -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 - Google Patents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825B1
KR101827825B1 KR1020160035755A KR20160035755A KR101827825B1 KR 101827825 B1 KR101827825 B1 KR 101827825B1 KR 1020160035755 A KR1020160035755 A KR 1020160035755A KR 20160035755 A KR20160035755 A KR 20160035755A KR 101827825 B1 KR101827825 B1 KR 10182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ossing
roll
synthetic resin
she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551A (ko
Inventor
이안섭
이장섭
Original Assignee
(주)원진우드
(주)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진우드, (주)케데코 filed Critical (주)원진우드
Publication of KR2017008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of layered or coated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구 등의 표면에 접착되는 데코시트에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는, 합성수지가 권취되어 있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부와;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데코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건조된 상기 데코시트에 압력을 가하여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이 형성된 데코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엠보싱부는, 외주면에 제1요철부가 형성된 엠보싱롤과; 상기 엠보싱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엠보싱롤과 동기화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이 상기 엠보싱롤과 접촉하는 피동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코시트는 상호 접촉된 상기 엠보싱롤과 피동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요철부에 의해 상기 데코시트의 합성수지 및 인쇄층이 모두 함께 변형되면서 상기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ECO-SHEET FOR FURNITURE MATERIALS AND DECO-SHEET FOR FURNITURE MATERIALS }
본 발명은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구 등의 표면에 접착되는 데코시트에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에 관한 것이다.
데코시트는 목질판 등의 피착재의 표면 보호, 장식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이것을 MDF 등의 가구재의 표면에 점착함으로써 사용된다.
또한, 이에 의해 얻어진 장식판은 각종 건재, 가구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코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기재시트, 도안층, 합성수지층 등을 적층한 적층체가 사용된다.
상기 데코시트는, 그 최외측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통상적으로는 코팅층을 형성한다.
특히, 내마모성, 내찰상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코팅층에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거나 또는 UV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데코시트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경우, 종래에는 가열된 엠보싱롤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데코시트에 열을 가하여 엠보싱을 형성하였다.
또한, 데코시트의 폭이 넓을 경우 이동되는 데코시트가 접히는 등의 문제가 있어, 제조되는 데코시트의 폭이 한정적이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934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엠보싱롤에 열을 가하지 않고 가압하여 엠보싱을 형성하고, 제조하는 데코시트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는, 합성수지가 권취되어 있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부와;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데코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건조된 상기 데코시트에 압력을 가하여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이 형성된 데코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엠보싱부는, 외주면에 제1요철부가 형성된 엠보싱롤과; 상기 엠보싱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엠보싱롤과 동기화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이 상기 엠보싱롤과 접촉하는 피동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코시트는 상호 접촉된 상기 엠보싱롤과 피동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요철부에 의해 상기 데코시트의 합성수지 및 인쇄층이 모두 함께 변형되면서 상기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엠보싱롤 또는 피동롤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 상호 가압 접촉되되, 상기 데코시트는 상호 가압접촉되는 상기 엠보싱롤과 피동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요철부의 누르는 압력에 의해 상기 엠보싱이 형성된다.
상기 피동롤은 다수개의 낱장펄프가 상기 피동롤의 축방향으로 가압 적층되어 상기 낱장펄프의 단면이 상기 피동롤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펄프롤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동롤의 외주면에는 상기 엠보싱롤과의 가압 접촉시 상기 제1요철부에 의해 제2요철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요철부는 상기 제1요철부에 의해 상기 피동롤의 외주면이 소성 변형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요철부는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요철부는 양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엠보싱롤의 원주길이와 상기 피동롤이 원주길이는 자연수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상기 엠보싱롤의 회전축의 양측을 상기 피동롤 방향으로 밀어 상기 엠보싱롤의 외주면과 상기 피동롤의 외주면을 상호 가압 접촉시키되, 상기 피동롤은 중심부가 양측보다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엠보싱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외주면이 상기 데코시트와 접촉하면서 상기 데코시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롤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엠보싱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외주면이 상기 데코시트와 접촉하면서 상기 데코시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롤은 중심부가 양측보다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송되는 상기 데코시트의 장력을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된 상기 데코시트의 장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쇄부는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에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되, 상기 인쇄부와 건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코시트는 합성수지, 인쇄층 및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데코시트를 이루는 합성수지, 인쇄층 및 코팅층이 모두 함께 변형시켜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인쇄부는 상기 합성수지의 하면에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수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쇄부와 건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코시트는 인쇄층, 합성수지 및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데코시트를 이루는 인쇄층, 합성수지 및 코팅층이 모두 함께 변형시켜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합성수지가 변형되면서 엠보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에 인쇄된 인쇄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합성수지 및 인쇄층이 모두 함께 변형되면서 엠보싱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합성수지의 하면에 인쇄된 인쇄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합성수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수지 및 인쇄층이 모두 함께 변형되면서 엠보싱이 형성된다.
상기 합성수지의 상부에 위치되는 PET층과; 상기 PET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광택처리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PET층 및 고광택처리층은 엠보싱이 형성되지 않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PET층은 레진이 액상도포된 후 경화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코시트는,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합성수지, 인쇄층 및 코팅층이 모두 함께 변형되면서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인쇄층이 상기 합성수지의 하면에 인쇄된 경우, 상기 데코시트는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쇄층, 합성수지 및 코팅층이 모두 함께 변형되면서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종이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곳 이상에는 프라이머층이 도포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엠보싱롤과 피동롤 사이의 가압력에 의해 열을 가하지 않고 데코시트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인쇄층 및 코팅층을 함께 변형시켜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 등에 의해 이동되는 데코시트가 접히지 않고 평평하게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제조하는 데코시트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
도 4는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의 사시도 및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단면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단면구조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싱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의 사시도 및 단면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단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롤러(10)와, 인쇄부(20)와, 코팅부(25)와, 건조부(30)와, 엠보싱부(40)와, 권취롤러(50)와, 가이드롤(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롤러(10)에는 합성수지(81)가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다.
상기 합성수지(81)는 PP, PET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는 종이가 접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종이를 접착하여 이를 사용함으로써, 최종제품에서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인쇄부(20)는 상기 공급롤러(10)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81)의 상면에 다양한 컬러의 인쇄층(8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인쇄층(82)이 상기 합성수지(18)의 상면에 잘 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합성수지(18)의 상면에는 프라이머층이 먼저 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18)의 하면에 프라이머층이 도포되어, MDF 등의 합판에 데코시트가 보다 잘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부(25)는 상기 인쇄층(82)의 상면에 다양한 합성수지 재질의 코팅층(83)을 형성한다.
상기 건조부(30)는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면에 상기 인쇄층(82) 및 코팅층(83)이 형성된 데코시트(80)를 건조시킨다.
상기 엠보싱부(40)는 상기 건조부(30)에 의해 건조된 상기 데코시트(80)에 압력을 가하여 엠보싱(85)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엠보싱부(40)는 열을 가하지 않고, 압력에 의해 상기 데코시트(80)에 엠보싱(85)을 형성한다.
상기 엠보싱부(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롤(41)과, 구동부(42)와, 피동롤(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엠보싱롤(41)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요철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42)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엠보싱롤(41)을 회전시킨다.
상기 피동롤(43)은 상기 엠보싱롤(41)과 동기화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이 상기 엠보싱롤(41)과 접촉한다.
상기 엠보싱롤(41)과 피동롤(43)은 기어결합되어 상기 피동롤(43)이 상기 엠보싱롤(41)과 동기화되어 회전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엠보싱부(40)에 의해 상기 데코시트(80)는 상호 접촉된 상기 엠보싱롤(41)과 피동롤(43)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요철부(41a)에 의해 상기 데코시트(80)의 합성수지(81), 인쇄층(82) 및 코팅층(83)이 모두 함께 변형되면서 다양한 형상의 올록볼록한 엠보싱(85)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엠보싱롤(41) 또는 피동롤(43)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 상호 가압 접촉되고, 이로 인해 상기 데코시트(80)는 상호 가압접촉되는 상기 엠보싱롤(41)과 피동롤(43)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요철부(41a)의 누르는 압력에 의해 상기 엠보싱(85)이 형성된다.
상기 피동롤(43)의 외주면에는 상기 엠보싱롤(41)과의 가압 접촉시 상기 제1요철부(41a)에 의해 제2요철부(43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요철부(43a)는 상기 제1요철부(41a)에 의해 상기 피동롤(43)의 외주면이 소성 변형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요철부(43a)는 상기 제1요철부(41a)에 의해 형성되고, 형성된 이후에는 원상복원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요철부(41a)는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요철부(43a)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요철부(41a)를 음각으로 형성함으로써, 금속롤 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엠보싱롤(41)에서 양각으로 상기 제1요철부(41a)를 형성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동롤(43)은 다양한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동롤(43)은 다수개의 낱장펄프가 상기 피동롤(43)의 축방향으로 가압 적층되어 상기 낱장펄프의 단면이 상기 피동롤(43)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펄프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피동롤(43)은 상기 제1요철부(41a)에 의해 상기 제2요철부(43a)가 형성되면서, 소성 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엠보싱롤(41)의 원주길이와 상기 피동롤(43)이 원주길이는 자연수의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엠보싱롤(41)에 형성된 상기 제1요철부(41a)와 상기 피동롤(43)에 형성된 제2요철부(43a)가 회전하면서 상호 반복하여 정확하게 맞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엠보싱롤(41)의 원주길이와 상기 피동롤(43)이 원주길이는 자연수의 비율 예를 들어 1:1, 1:2 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요철부(41a)와 제2요철부(43a)의 무늬가 상호 정확하게 맞으면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엠보싱롤(41)의 외주면과 상기 피동롤(43)의 외주면이 상호 가압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엠보싱롤(41)의 회전축(41b)의 양측을 상기 피동롤(43) 방향으로 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엠보싱롤(41)과 피동롤(43)에 양측에 상기 엠보싱롤(41)과 피동롤(4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4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45)에는 장공(4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엠보싱롤(41)의 회전축(41b)은 상기 장공(46)에 삽입되어 상기 피동롤(4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별도의 푸시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엠보싱롤(41)의 회전축(41b)을 상기 피동롤(43)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엠보싱롤(41)의 회전축(41b)은 상기 장공(46)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피동롤(43)의 외주면에 가압 밀착되게 된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엠보싱롤(41)과 피동롤(43)을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엠보싱롤(41)의 회전축(41b)의 양측을 상기 피동롤(43) 방향으로 강하게 밀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엠보싱롤(41)의 중심부는 상기 피동롤(43) 때문에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엠보싱롤(41)의 회전축(41b)의 양측에 힘이 집중되면서 상기 엠보싱롤(41)이 볼록하게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엠보싱롤(41)의 외주면과 상기 피동롤(43)의 외주면이 밀착되지 못하고 이격되어, 상기 데코시트(80)에 엠보싱을 형성하는데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동롤(43)의 중심부가 양측단보다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피동롤(43)의 중심부가 양측보다 볼록하게 돌출됨으로써, 상기 엠보싱롤(41)의 양측이 외력에 의해 휘어지더라도 상기 엠보싱롤(41)의 외주면과 상기 피동롤(43)의 외주면이 상호 가압 접촉되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엠보싱롤(41)과 피동롤(43)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데코시트(80)에 엠보싱(85)이 보다 잘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권취롤러(50)는 상기 엠보싱부(40)에 의해 엠보싱(85)이 형성된 데코시트(80)를 롤 형태로 권취한다.
상기 가이드롤(60)은 상기 엠보싱부(40)의 전방에 위치하여 외주면이 상기 데코시트(80)와 접촉하면서 상기 데코시트(80)를 안내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60)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나선형의 홈(6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선형의 홈(61)에 의해 상기 데코시트(80)와 상기 가이드롤(60)의 외주면이 상호 접촉할 때, 그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나선형의 홈(61)을 통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폭이 넓은 데코시트(80)의 경우에도 일부가 접혀지거나 밀폐된 공기기포 등에 의해 돌출됨이 없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전개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60)은 중심부가 양측보다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데코시트(80)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양측이 접혀지지 않고 상기 가이드롤(60)을 따라 평평하게 전개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코시트(80)는 상기 가이드롤(60)의 외주면과 면접촉하도록 상기 가이드롤(60)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로드셀(71)과 제어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드셀(71)은 이송되는 상기 데코시트(80)의 장력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71)에서 감지된 상기 데코시트(80)의 장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42)의 회전속도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로드셀(71) 및 제어부에 의해 상기 데코시트(80)는 팽팽하게 전개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는, EPC(Edge Position Control)롤러(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장착되어 이동되는 데코시트(80)가 양측으로 비틀어짐없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는 상기 인쇄부(20)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면에 인쇄층(82)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인쇄부(2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81)의 하면에 상기 인쇄층(8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81)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코팅부(25)는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면에 상기 코팅층(83)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코팅층(83)은 합성수지(81)를 보호하면서, 유광을 조절하며, 데코시트의 표면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8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81)와,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면에 인쇄된 인쇄층(82)과, 상기 인쇄층(82)의 상면에 도포된 코팅층(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81)와, 상기 합성수지(81)의 하면에 인쇄된 인쇄층(82)과,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면에 도포된 코팅층(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합성수지(81)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81), 인쇄층(82) 및 코팅층(83)이 상기 엠보싱부(40)에 의해 모두 함께 변형되면서 상기 엠보싱(8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에는 상기 코팅부(25)를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코팅층을 형성하는 상기 코팅부(25)가 없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데코시트(80)는 상기 코팅층(83) 없이 합성수지(81)와 인쇄층(8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엠보싱(85)은 상기 합성수지(81)와 인쇄층(82)이 함께 변형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합성수지(81)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는 종이가 미리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곳 이상에는 상기 인쇄층(82) 또는 코팅층(83)의 형성 이전에 프라이머층이 미리 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면 또는 하면에 프라이머층이 도포되어 상기 인쇄층(82)이 상기 합성수지(81)에 보다 잘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프라이머층을 이용하여 데코시트를 합판에 보다 잘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코시트는, 합성수지(18)를 이용하기 때문에 종이만을 이용하는 시트보다 강도를 증가시켜 외력에 의해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코시트(8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81)와, 인쇄층(82)과, PET층(86)과, 고광택처리층(87)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데코시트(80)가 단색인 경우 상기 인쇄층(82)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PET층(86)은, 상기 데코시트가 상기 인쇄층이 없는 단색인 경우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면에 형성되고, 또는 상기 인쇄층(82)이 형성된 경우 상기 인쇄층(82)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PET층(86)은 PET시트로 이루어져 접착제의 의해 적층 결합되거나, T-다이 또는 드라이 라미네이팅 등의 방법을 통해 레진이 액상도포된 후 경화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PET층(86)은, 상기 데코시트에 상기 인쇄층이 없는 경우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면에 적층 결합 또는 액상도포되어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82)이 있는 경우 상기 인쇄층(82)의 상면에 적층결합 또는 액상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광택처리층(87)은 유광처리(포리 및 UV처리)를 통해 상기 PET층(86)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엠보싱은 상기 데코시트가 단색인 경우 상기 합성수지(81)에만 형성되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층(82)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합성수지(81)와 인쇄층(82)이 함께 변형되어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며, 상기 PET층(86)과 고광택처리층(87)에는 상기 엠보싱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프라이머층(89)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수지(81)의 하부에 결합된 프라이머층에는 상기 인쇄층(82)을 형성하며,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부에 결합된 프라이머층에는 상기 PET층(86)과 고광택처리층(87)을 각각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81)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 7(b)에서 상기 프라이머층(89)없이 상기 합성수지(81)의 하부에 상기 인쇄층(82)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수지(81)의 상부에 PET층(86)과 고광택처리층(87)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시트는 경우에 따라 상기 합성수지(81) 대신에 종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상기 PET층(86) 및 고광택처리층(87)에 의해 엠보싱이 형성된 하이그로시 데코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공급롤러, 20 : 인쇄부, 25 : 코팅부, 30 : 건조부,
40 : 엠보싱부, 41 : 엠보싱롤, 41a : 제1요철부, 41b : 회전축, 42 : 구동부, 43 : 피동롤, 43a : 제2요철부, 45 : 지지판, 46 : 장공,
50 : 권취롤러,
60 : 가이드롤, 61 : 홈,
71 : 로드셀,
80 : 데코시트, 81 : 합성수지, 82 : 인쇄층, 83 : 코팅층, 85 : 엠보싱, 86 : PET층, 87 : 고광택처리층, 88 : 프라이머층.

Claims (21)

  1. 합성수지가 권취되어 있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부와;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데코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건조된 상기 데코시트에 압력을 가하여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이 형성된 데코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롤러와;
    상기 엠보싱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외주면이 상기 데코시트와 접촉하면서 상기 데코시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엠보싱부는,
    외주면에 제1요철부가 형성된 엠보싱롤과; 상기 엠보싱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엠보싱롤과 동기화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이 상기 엠보싱롤과 접촉하는 피동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엠보싱롤 또는 피동롤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 상호 가압 접촉되며,
    상기 데코시트는 상호 가압접촉되는 상기 엠보싱롤과 피동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요철부의 누르는 압력에 의해 상기 데코시트의 합성수지 및 인쇄층이 모두 함께 변형되면서 상기 엠보싱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롤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2. 합성수지가 권취되어 있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부와;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데코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건조된 상기 데코시트에 압력을 가하여 엠보싱을 형성하는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이 형성된 데코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롤러와;
    상기 엠보싱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외주면이 상기 데코시트와 접촉하면서 상기 데코시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엠보싱부는,
    외주면에 제1요철부가 형성된 엠보싱롤과; 상기 엠보싱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엠보싱롤과 동기화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이 상기 엠보싱롤과 접촉하는 피동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엠보싱롤 또는 피동롤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 상호 가압 접촉되며,
    상기 데코시트는 상호 가압접촉되는 상기 엠보싱롤과 피동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요철부의 누르는 압력에 의해 상기 데코시트의 합성수지 및 인쇄층이 모두 함께 변형되면서 상기 엠보싱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롤은 중심부가 양측보다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3. 삭제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피동롤은 다수개의 낱장펄프가 상기 피동롤의 축방향으로 가압 적층되어 상기 낱장펄프의 단면이 상기 피동롤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펄프롤로 이루어지되,
    상기 피동롤의 외주면에는 상기 엠보싱롤과의 가압 접촉시 상기 제1요철부에 의해 제2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요철부는 상기 제1요철부에 의해 상기 피동롤의 외주면이 소성 변형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제1요철부는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요철부는 양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엠보싱롤의 원주길이와 상기 피동롤이 원주길이는 자연수의 비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6.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롤의 회전축의 양측을 상기 피동롤 방향으로 밀어 상기 엠보싱롤의 외주면과 상기 피동롤의 외주면을 상호 가압 접촉시키되,
    상기 피동롤은 중심부가 양측보다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이송되는 상기 데코시트의 장력을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된 상기 데코시트의 장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10.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는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에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되,
    상기 인쇄부와 건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코시트는 합성수지, 인쇄층 및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데코시트를 이루는 합성수지, 인쇄층 및 코팅층이 모두 함께 변형시켜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11.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는 상기 합성수지의 하면에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수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쇄부와 건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합성수지의 상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코시트는 인쇄층, 합성수지 및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데코시트를 이루는 인쇄층, 합성수지 및 코팅층이 모두 함께 변형시켜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60035755A 2016-01-04 2016-03-25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 KR101827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417 2016-01-04
KR20160000417 2016-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551A KR20170081551A (ko) 2017-07-12
KR101827825B1 true KR101827825B1 (ko) 2018-02-09

Family

ID=5935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755A KR101827825B1 (ko) 2016-01-04 2016-03-25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8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463B1 (ko) 2018-03-23 2019-09-06 주식회사 두림 Pvc나 g-pet를 포함한 무광 co-pet 가공용 시트제조장치
KR20190111603A (ko)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두림 엠보롤과 고무롤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pvc나 g-pet 가공과 겸하여 무광 co-pet 가공이 가능한 시트제조장치
KR102390223B1 (ko) 2021-06-28 2022-04-22 (주)주성테크 데코 시트 제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679B1 (ko) * 2012-08-20 2013-03-07 (주)화인인더스트리 생분해성 시트의 합지와 엠보싱 동시 가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679B1 (ko) * 2012-08-20 2013-03-07 (주)화인인더스트리 생분해성 시트의 합지와 엠보싱 동시 가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463B1 (ko) 2018-03-23 2019-09-06 주식회사 두림 Pvc나 g-pet를 포함한 무광 co-pet 가공용 시트제조장치
KR20190111603A (ko)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두림 엠보롤과 고무롤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pvc나 g-pet 가공과 겸하여 무광 co-pet 가공이 가능한 시트제조장치
KR102390223B1 (ko) 2021-06-28 2022-04-22 (주)주성테크 데코 시트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551A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7690B2 (en) Directly laminated plate
KR101827825B1 (ko)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및 가구재용 합성수지 데코시트
US2010019667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 panel, an apparatus and a laminate panel
KR101634845B1 (ko) 적층 장식판
US20100212818A1 (en) Method for printing directly onto boards of wood-based material
JP6953981B2 (ja) 大柄凹凸模様と微細柄凹凸模様を同時に賦型する賦型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で作製された賦型シート
JP2018508382A5 (ko)
JP2004505817A (ja) 板紙及び板紙製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20080185092A1 (en) Tip printing embossed surfaces
PT2155490E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revestimento decorativo de uma placa
JP6970218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化粧板および熱プレスパネル
JP6953959B2 (ja) 微細柄凹凸模様賦型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で作製された賦型シート
KR101261090B1 (ko) 인쇄 무늬와 엠보 무늬가 일체화된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7003535B2 (ja) 大柄凹凸模様と微細柄凹凸模様を同時に賦型する賦型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で作製された賦型シート
KR100944271B1 (ko) 유성 잉크용 병렬 인쇄장치
KR101770173B1 (ko) 가구재용 데코시트의 제조장치
JP2022066171A (ja) 装飾デザインを備えた基材を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6520291B2 (ja) 化粧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RU258862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екорированного лист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US20170055753A1 (en) Process for Producing Printed Wooden Plaques and Trophies
KR20120078375A (ko) 시트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방법
EP3925788B1 (en) Inkjet printing method
KR20050080167A (ko) 라미네이터의 엠보싱 성형장치
US20170113248A1 (en) Method for printing directly onto boards of wood-based material
KR100734938B1 (ko) 인쇄용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