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603B1 -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603B1
KR101827603B1 KR1020150102570A KR20150102570A KR101827603B1 KR 101827603 B1 KR101827603 B1 KR 101827603B1 KR 1020150102570 A KR1020150102570 A KR 1020150102570A KR 20150102570 A KR20150102570 A KR 20150102570A KR 101827603 B1 KR101827603 B1 KR 101827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coupling
bricks
joi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958A (ko
Inventor
유세환
Original Assignee
유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세환 filed Critical 유세환
Priority to KR1020150102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6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이 이격되어 3개의 결합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조적부가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고, 한쌍의 조적부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일체로 이루어져 H형상의 판으로 구성되며 외측 단부에는 수직 상부와 수직 하부로 각각 돌출하여 줄눈조절 턱이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앙부와 양측에 위치한 결합공에서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엇갈리도록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가이드 편이 형성되는 결합기둥;로 구성되어, 이중벽 조적을 위하여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중 벽체의 조적시에도 정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 조적하도록 하여 이중벽의 벽돌의 조적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조적된 벽돌간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Brick Connectors for Assembly}
본 고안은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돌을 조적하여 이중벽을 형성할 때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과 벽돌의 사이에 끼워져 정확한 위치에서의 수직방향의 줄눈이 엇갈리도록 하여 수직 조적시에 조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중벽 조적을 위하여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중 벽체의 조적시에도 정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 조적하도록 하여 이중벽의 벽돌의 조적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조적된 벽돌간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건설 공사시 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벽돌이 사용된다. 벽돌은 그 형태가 다양하지만 주로 사용되는 것은 직각 육면체 모양의 벽돌이며 그 재질에 있어서는 시멘트, 점토, 플라스틱, 나무 등이고, 시멘트 블록으로는 직육면체 모양에 가운데 구멍을 형성하여 경량화 등을 시도하고 있다.
상기 벽돌의 종류로는 보통 벽돌, 내화 벽돌, 특수 벽돌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벽돌은 붉은 보통벽돌과 시멘트 벽돌이다.
그러나 종래의 벽돌은 조적시에 정확한 위치에 정밀하게 조적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며, 수직으로 조적된 벽돌간의 결합력이 떨어져 조적된 벽돌이 무너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으며, 이중벽의 조적시에는 정확하게 이격되어 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2015-0024458호 "벽돌 조적용 연결구"(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결합공(2a)이 통공된 벽돌(2)의 조적시 수직으로 인접한 벽돌(2)과 벽돌(2) 사이에 끼워지는 연결구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일정간격으로 벽돌(2)의 결합공(2a)과 동일한 위치에 결합공(11)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10)와; 결합 플레이트(10)의 결합공(11)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엇갈리도록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결합기둥(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결합기둥(20)의 단면의 크기가 일정하여 벽돌의 결합공(2a)에 삽입이 어렵다. 결합공(2a)의 제작 특성상 원형이 찌그러지거나 단면크기의 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지만, 상기 배경기술의 결합기둥(20)는 단면의 크기가 동일하여 결합공(2a)의 오차에 대응하지 못한다. 즉, 결합기둥(20)의 단면의 크기를 결합공(2a)의 단면과 동일하게 구성하면 결합기둥(20)의 외주면 전체가 결합공(2a)의 내주면에 면접하며 결합되기에 결합기둥(20)의 삽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합공(2a)의 제작 오차에 대응하지 못하며, 결합기둥(20)의 단면의 크기를 결합공(2a)의 단면보다 작게 구성하면 유격이 발생하여 삽입 이후에 조적된 벽돌(2)이 흔들려 분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장 큰 문제점은 벽돌의 조적시에는 벽돌과 벽돌사에에 모르타르를 발라 시공하도록 하는데, 상기 배경 기술은 결합 플레이트(10)가 벽돌(2)의 상부면 전체를 덮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르타르 시공시에 모르타르가 침투할 공간이 전단 연결공(13)으로만 존재하여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과 벽돌이 모르타르에 의하여 결합되지 않고 분리되는 구조를 갖게되며, 특히, 벽돌과 벽돌의 사이에는 판 형상이 결합 플레이트(10) 만이 존재하여 모르타르가 정착될 공간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줄눈의 두께 자체도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 제2015-0024458호 "벽돌 조적용 연결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는 벽돌을 조적하여 이중벽을 형성할 때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과 벽돌의 사이에 끼워져 정확한 위치에서의 수직방향의 줄눈이 엇갈리도록 하여 수직 조적시에 조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중벽 조적을 위하여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중 벽체의 조적시에도 정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 조적하도록 하여 이중벽 구조 형성시에 내벽과 외벽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빠르게 조적 시공할 수 있으며, 조적된 벽돌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여 보강효과를 증진시켜, 내진 및 외부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벽돌의 결합공의 제작상의 단면의 오차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이후에 벽돌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별도의 모르타르 타설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직 조적의 벽돌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면서도 줄눈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이 이격되어 3개의 결합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조적부가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고, 한쌍의 조적부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일체로 이루어져 H형상의 판으로 구성되는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에 있어서, 외측 단부에는 수직 상부와 수직 하부로 각각 돌출하여 줄눈조절 턱이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앙부와 양측에 위치한 결합공에서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엇갈리도록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가이드 편이 형성되는 결합기둥;로 구성되며,
가이드 편은 결합기둥의 외주면 중 연결부에 반대방향의 외주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
삭제
삭제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는 벽돌을 조적하여 이중벽을 형성할 때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과 벽돌의 사이에 끼워져 정확한 위치에서의 수직방향의 줄눈이 엇갈리도록 하여 수직 조적시에 조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중벽 조적을 위하여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중 벽체의 조적시에도 정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 조적하도록 하여 이중벽 구조 형성시에 내벽과 외벽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빠르게 조적 시공할 수 있으며, 조적된 벽돌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여 보강효과를 증진시켜, 내진 및 외부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벽돌의 결합공의 제작상의 단면의 오차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이후에 벽돌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별도의 모르타르 타설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직 조적의 벽돌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면서도 줄눈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의 벽돌과의 결합위치를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의 시공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수직방향으로 결합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벽돌을 조적하여 이중벽을 형성할 때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과 벽돌의 사이에 끼워져 정확한 위치에서의 수직방향의 줄눈이 엇갈리도록 하여 수직 조적시에 조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중벽 조적을 위하여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중 벽체의 조적시에도 정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 조적하도록 하여 이중벽의 벽돌의 조적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조적된 벽돌간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의 벽돌과의 결합위치를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의 시공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1)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이 이격되어 3개의 결합공(111)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조적부(11)가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고, 한쌍의 조적부(11)(11)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연결부(12)로 연결하여 일체로 이루어져 H형상의 판으로 구성되며 외측 단부에는 수직 상부와 수직 하부로 각각 돌출하여 줄눈조절 턱(15)이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10)와; 결합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중앙부와 양측에 위치한 결합공(111)에서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엇갈리도록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가이드 편(22)이 형성되는 결합기둥(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H형 판형상의 결합 플레이트(10)와 결합기둥(20)가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 플레이트(10)와 결합기둥(20)는 합성수지재, 금속 등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1)는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결합공(2a)이 통공된 벽돌(2)의 조적시 수직으로 인접한 벽돌(2)과 벽돌(2) 사이에 끼워져 구성된다.
즉, 벽돌(2)을 일렬로 쌓고 그 상부에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1)의 하부에 돌출된 결합기둥(20)를 벽돌(2)의 결합공(2a)에 끼워 구성하고,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1)의 상부에 또 다른 벽돌(2)을 연결구(1)의 상부에 돌출된 결합기둥(20)에 끼워 조적하도록 하여, 벽돌(1)의 조적이 용이하도록 하고 수직방향으로 조적된 벽돌(2)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벽돌(2)은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형상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벽돌(2)에 수직방향으로 결합공(2a)이 통공되도록 하여 벽돌(2)의 조적시에, 상하로 인접한 벽돌(2)(2)간의 결합공(2a)(2a)이 상호 일치하도록 하여 수직방향으로 수직재등을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결합공(2a)이 형성된 벽돌(2)의 조적시에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플레이트(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H형상을 갖도록 한 쌍의 평행한 조적부(11)와 한 쌍의 조적부(11)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2)로 이루어진다.
조적부(11)는 그 크기는 벽돌(2)의 평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벽돌(2)의 수직 조적시에 수직으로 인접한 벽돌(2)과 벽돌(2) 사이에 줄눈 형성을 위한 모르타르 타설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바람직한 조적부(11)의 크기는 도 3b에서와 같이, 그 길이는 수평으로 인접하는 벽돌(2)(2)의 인접한 결합공(2a)을 덮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면 되고 폭은 벽돌(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연결부(12)는 조적부(11)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조적부(11)와 조적부(11)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결부(12)의 길이에 따라 이중벽의 내벽과 외벽의 이격거리가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즉, 연결부(12)의 길이만큼 내벽과 외벽이 이격거리가 생기면서 조적되는 것이다.
결합 플레이트(10)의 조적부(11)에는 동일한 간격이 이격되어 3개의 결합공(111)이 통공되어 형성된다. 결합공(111)은 결합 플레이트(10)를 관통하여 상부와 하부를 연통되도록 하여, 별도의 철근, 강봉 등 보강재 또는 연결재 등을 관통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조적부(11)에는 결합기둥(20)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결합기둥(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중앙부의 결합공(111)에서는 수직 상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양측의 결합공(111)에서는 수직 하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각각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벽돌(2)의 결합공(2a)에 삽입되어, 조적된 벽돌(2)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도록 한다.
특히, 결합 플레이트(10)의 외측 단부에는 수직 상부와 수직 하부로 각각 돌출하여 줄눈조절 턱(15)이 형성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2)과 벽돌(2) 사이에 별도의 모르타르 타설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직 조적의 벽돌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면서도 줄눈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줄눈조절 턱(15)이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2) 간의 줄눈의 두께가 되도록 하여 일정 한 줄눈의 두께를 유지하여 수직방향의 오차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결합기둥(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결합공(111)의 크기와 동일한 단면을 갖게되며, 결합기둥(2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가이드 편(22)이 형성되는 형성된다.
벽돌(2)의 결합공(2a)은 벽돌의 제작 특성상 단면크기의 오차가 발생하며, 단면의 모양도 정확한 원형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기둥(20)의 단면의 크기는 벽돌(2) 결합공(2a)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공(2a)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다수개의 가이드 편(22)이 결합기둥(20)의 외주면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결합공(2a)에 결합기둥(20)의 삽입시에 결합기둥(20)와 결합공(2a) 간의 유격으로 인한 이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결합기둥(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편(22)은 결합기둥(20)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기둥(20)가 결합공(2a)에 삽입되면 결합공(2a)의 내주면에 가이드 편(22)이 밀착되어 결합기둥(20)와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다수의 가이드 편(22)으로 구성하여, 결합공(2a)의 단면의 크기가 작을 때는 가이드편(22)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여 억지 끼움이 가능하여 단면의 제작오차를 수렴할 수 있으며, 단면이 정원형이 아닌 경우에도 가이드 편(22)이 오차를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 편(22)은 결합기둥(20)의 외주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기둥(20)의 외주면 중 연결부(12)에 반대방향의 외주면에만 형성되도록 하여, 내벽과 외벽의 벽돌(2)간의 결합공(2a)의 내측에는 결합기둥(20)의 가이드편(22)이 가압하며 끼워지고, 결합공(2a)의 외측에는 결합기둥(20)의 연결부(12) 방향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하여,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내벽과 외벽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유지된 상태로 조적이 되게 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조적부(11)의 길이방향 양측의 결합기둥(20)는 같은 레벨의 수평으로 인접하는 벽돌(2)간을 연결시키도록 수평으로 인접한 벽돌(2)의 결합공(2a)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도록 위치가 형성되며, 조적부(11)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수직 상부로 형성되는 결합기둥(20)는 상부에 조적되는 벽돌(2)의 중앙부에 위치한 결합공(2a)에 삽입되어 하부와 상부의 벽돌(2)을 결합하도록 한다.
또한, 결합 플레이트(10)의 조적부(11)와 연결부(12)에는 다수의 전단 연결공(13)이 통공되도록 하여, 모르타르 타설시에 결합 플레이트(20)의 상부와 하부로 단절되지 않고 연결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단 연결공(13)은 외측 단부에 수직 상부와 수직 하부로 각각 돌출하여 줄눈조절 턱(15)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단 연결공(12)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부에 조적되는 벽돌(2)의 무게에 의하여 모르타르가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 한 두께의 줄눈이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전단 연결공(13)의 상부와 하부에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는 벽돌을 조적하여 이중벽을 형성할 때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과 벽돌의 사이에 끼워져 정확한 위치에서의 수직방향의 줄눈이 엇갈리도록 하여 수직 조적시에 조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중벽 조적을 위하여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중 벽체의 조적시에도 정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 조적하도록 하여 이중벽 구조 형성시에 내벽과 외벽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빠르게 조적 시공할 수 있으며, 조적된 벽돌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여 보강효과를 증진시켜, 내진 및 외부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벽돌의 결합공의 제작상의 단면의 오차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이후에 벽돌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수직으로 조적되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별도의 모르타르 타설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직 조적의 벽돌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면서도 줄눈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
2 : 벽돌
2a : 결합공
10 : 결합 플레이트
11 : 조적부
111 : 결합공
12 : 연결부
13 : 전단 연결공
15 : 줄눈조절 턱
20 : 결합기둥
22 : 가이드 편

Claims (4)

  1.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이 이격되어 3개의 결합공(111)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조적부(11)가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고, 한쌍의 조적부(11)(11)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연결부(12)로 연결하여 일체로 이루어져 H형상의 판으로 구성되는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에 있어서,
    외측 단부에는 수직 상부와 수직 하부로 각각 돌출하여 줄눈조절 턱(15)이 형성되는 결합 플레이트(10)와;
    결합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중앙부와 양측에 위치한 결합공(111)에서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엇갈리도록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가이드 편(22)이 형성되는 결합기둥(20);로 구성되며,
    가이드 편(22)은 결합기둥(20)의 외주면 중 연결부(12)에 반대방향의 외주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02570A 2015-07-20 2015-07-20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 KR101827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70A KR101827603B1 (ko) 2015-07-20 2015-07-20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70A KR101827603B1 (ko) 2015-07-20 2015-07-20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958A KR20170010958A (ko) 2017-02-02
KR101827603B1 true KR101827603B1 (ko) 2018-02-09

Family

ID=5815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70A KR101827603B1 (ko) 2015-07-20 2015-07-20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6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209B1 (ko) * 2013-07-12 2014-04-17 박영택 벽돌 조립용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690B1 (ko) 2013-08-26 2017-01-02 유세환 벽돌 조적용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209B1 (ko) * 2013-07-12 2014-04-17 박영택 벽돌 조립용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958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690B1 (ko) 벽돌 조적용 연결구
US9593480B2 (en) Building block, as well as an insert piece to be applied in such a building block
US8973322B2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US20080295440A1 (en) Building component
WO2016002851A1 (ja) 建築用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構造物
KR101827603B1 (ko) 벽돌 이중벽 조적용 연결구
KR20150000958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구조
JP6382263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8156912A (ja) 組立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物。
EP1984581B1 (en) Building blocks with mating coupling means for constructing a wall, and associated method
JP2002013226A (ja) ブロック体
KR101875008B1 (ko) 핀 타입 서포트 높이조절 부재
KR101639996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JP6945911B1 (ja) 透かしレンガ積み壁材の構築方法
KR101564435B1 (ko)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
JP6057516B2 (ja) 柱部材連結構造及び接合部材
KR102261341B1 (ko) 조립식 블록
JP3199083U (ja) 土木建築用組みブロックの中間ユニットブロック体
JP3199085U (ja) 土木建築用組みブロックの天端ユニットブロック体
JPH1181522A (ja) 構築用ブロック
JP5789589B2 (ja) 笠木ブロック
KR20180003162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KR102117333B1 (ko) 벽돌 조적용 연결구
JP6491063B2 (ja) 木造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100127519A (ko) 거푸집 겸용 벽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