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162U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62U
KR20180003162U KR2020170002146U KR20170002146U KR20180003162U KR 20180003162 U KR20180003162 U KR 20180003162U KR 2020170002146 U KR2020170002146 U KR 2020170002146U KR 20170002146 U KR20170002146 U KR 20170002146U KR 20180003162 U KR20180003162 U KR 201800031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concrete
hole
connecting member
intermediate connecting
embe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017Y1 (ko
Inventor
진언식
Original Assignee
진언식
(주)유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언식, (주)유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진언식
Priority to KR2020170002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1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부 프리캐스크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부 철근의 하부가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상부 매립부재와, 상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가 상기 상부 매립부재의 관통공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중간 연결부재와, 상부에는 상기 중간 연결부재의 하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매립된 하부 철근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하부 매립부재와, 중앙에는 상기 중간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상기 중간 연결부재가 삽입된 상태로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상기 하부 매립부재의 결합홈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부 매립부재의 결합홈에 안착된 상기 중간 연결부재의 하부를 상기 하부 매립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환형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Connecting member for precast concrete}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시공시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방법으로서 건설현장에서 기둥 또는 보 등의 구성요소를 모두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공법은 현장에서 모든 해당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고, 이 거푸집에 타설한 콘크리트를 완전히 굳힌 다음 그 위에 계속해서 그 다음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둥 또는 보 등의 부재를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부재로 미리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는 피씨(PC)공법이 있다.
이와 같은 피씨공법에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를 현장에서 서로 연결하기 위해 도1에서와 같은 콘크리트 연결부재가 사용된다.
도1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연결부재는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7)에 주물로 제작되는 슬리브부재(1)가 매설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재(1)의 내부에는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7)에 매설되는 이형철근(4)이 슬리브부재(1)의 내부공간에 삽입된다. 또한, 슬리브부재(1)의 상, 하부에는 충진제 배출구(2)와, 충진제 주입구(3)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연결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공법에서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에 매설되는 이형철근(5)의 하부가 돌출되도록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가 제조되고, 이 제조된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를 시공현장에서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7)의 상부에 배치하되,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에 매설되는 이형철근(5)의 돌출된 하부가 슬리브부재(1)의 상단을 통해 슬리브부재(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배치한다.
그 다음, 슬리브부재(1)의 충진제 주입구(3)에 결합된 주입파이프를 통해 충진제인 모르타르를 슬리브부재(1)의 내부로 주입하여 슬리브부재(1)의 내부를 충진제로 채우고 충진제를 완전히 경화시켜 상,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7)를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콘크리트 연결부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공법은 현장타설 콘크리트공법에 비해 거푸집이 필요없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현장타설 콘크리트공법에 비해 콘크리트 연결부위의 결합강도가 약한 단점이 있고,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7)에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가 안착 설치됨으로써 상,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시 수평 및 수직도를 정확하게 조절하면서 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현장타설 콘크리트공법에 비해 그 연결부위의 결합강도가 약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공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전술한 종래 피씨연결구에 추가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결합강도를 강화시키고 또한 용이하게 수평,수직도를 맞춰 시공할 수 있어 정밀한 시공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연결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부 프리캐스크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부 철근의 하부가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상부 매립부재와, 상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가 상기 상부 매립부재의 관통공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중간 연결부재와, 상부에는 상기 중간 연결부재의 하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매립된 하부 철근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하부 매립부재와, 중앙에는 상기 중간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상기 중간 연결부재가 삽입된 상태로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상기 하부 매립부재의 결합홈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부 매립부재의 결합홈에 안착된 상기 중간 연결부재의 하부를 상기 하부 매립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환형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매립부재의 결합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매립된 하부 철근의 상부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 연결부재(40)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되고 상기 하부 매립부재의 결합홈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확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측에서 상기 확장부의 상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매립부재의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세로홈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연결강도가 강화되면서도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시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상,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1, 15)를 서로 연결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로서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에 매립되어 상부 철근(11)의 하부가 결합되는 상부 매립부재(30)와, 상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41)가 상부 매립부재(30)의 관통공(31)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중간 연결부재(40)와, 상부에는 중간 연결부재(40)의 하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결합홈(51)이 형성되고 결합홈(5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5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5)에 매립된 하부 철근(16)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53)가 형성되는 하부 매립부재(50)와, 중앙에는 중간 연결부재(40)가 삽입되는 삽입공(6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61)에 상기 중간 연결부재(40)가 삽입된 상태로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62)가 상기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의 암나사부(52)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에 안착된 상기 중간 연결부재(40)의 하부를 상기 하부 매립부재(50)에 고정하기 위한 환형의 고정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 매립부재(3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전체가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에 매립되는 것으로, 중앙에 관통공(31)이 상,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관통공(3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32)가 형성된다. 이 관통공(31)에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 기둥에 매립된 상부 철근(11)이 결합되는데, 상부 철근(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가 이 관통공(31)의 암나사부(32)와 나사결합되게 된다. 상부 철근(11)의 하부 수나사부가 관통공(31)에 결합되는 깊이는 전체 관통공(31)의 약 1/2이하가 되고 관통공(31)의 아래쪽에는 중간 연결부재(40)의 수나사부(41)가 결합된다. 또한 상부 매립부재(30)의 외주면에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부착력이 증대되도록 하기 위해 길이 전체에 걸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5개의 세로홈(33)이 상부 매립부재(30)의 둘레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중간 연결부재(40)는 상부가 상부 매립부재(30)에 결합되고 하부가 하부 매립부재(50)에 안착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수나사부(41)가 형성되고 하부는 육각기둥으로 이루어지고 그 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수나사부(41)의 직경보다 크고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확장부(42)가 형성된다. 이 확장부(42)는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부 수나사부(41)는 상부 매립부재(30)의 관통공(31)에 나사결합되어 상,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1, 15) 기둥을 연결 및 고정하게 된다. 중간 연결부재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부 매립부재(30)의 관통공(31)에 중간 연결부재(40)의 상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의 내주면과 확장부(42) 사이 공간을 통해 좌우 위치를 조정하면서 아울러 중간 연결부재(40)를 회전시켜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 및 수직도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 매립부재(50)는 전체가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5)에 매립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중간 연결부재(40)의 하부 확장부(42)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결합홈(5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5)에 매립된 하부 철근(16)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53)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52)가 형성되는데, 중간 연결부재(40)의 확장부(42)가 결합홈(51)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로 환형의 고정부재(60)가 결합홈(51)의 암나사부(52)와 나사결합되어 중간 연결부재(40)를 고정하게 된다.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부(53)는 하부 철근(16)이 결합되도록 암나사부(54)가 형성되어 하부 철근(16)의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결합부(53)의 암나사부(54)에 나사결합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60)는 환형으로 이루어져 중간 연결부재(40)를 하부 매립부재(5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는 수나사부(6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중간 연결부재(40)가 삽입되는 삽입공(61)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재(60)의 삽입공(61)에 상기 중간 연결부재(40)의 수나사부(41)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부재(60)의 수나사부(62)가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부재(60)가 상측에서 중간 연결부재(40)의 확장부(42)의 상면을 지지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의 작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종단면도에서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가 두 개 도시되었지만 사각형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네 모서리와 중앙에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가 각각 설치되어 상, 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각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의 설치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5) 기둥에는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부(53)가 하부 철근(16)에 결합된 상태로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5) 기둥에 매립되게 되고 이러한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5) 기둥이 현장에 세워지게 된다.
그 다음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 기둥에는 상부 철근(11)이 결합된 상부 매립부재(30)가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 기둥에 매립되고 고정부재(60)의 삽입공(61)에 중간 연결부재(40)가 삽입된 상태로 중간 연결부재(40)의 상부 수나사부(41)를 상부 매립부재(30)의 관통공(31)에 결합시킨다. 그 후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 기둥을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5) 기둥의 위쪽에 배치시키고 중간 연결부재(40)의 하부를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에 안착시킨다.
그 다음 각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에서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의 내주면과 중간 연결부재(40)의 확장부(42) 사이 공간을 통해 상부 매립부재(30)에 나사결합된 중간 연결부재(40)를 좌우 위치를 조정하면서 아울러 중간 연결부재(40)를 회전시켜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직,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수직, 수평을 맞추는 작업이 완료되면 고정부재(60)를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에 나사결합시켜 중간 연결부재(40)를 하부 매립부재(50)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 기둥과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5) 기둥 사이 공간(20)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1, 15) 기둥의 연결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1, 15)의 연결강도를 강화하면서도 각 연결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직, 수평을 맞춤으로써 보다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11 : 상부 철근
15 :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16 : 하부 철근
30 : 상부 매립부재 31 : 관통공
40 : 중간 연결부재 50 : 하부 매립부재
51 : 결합홈 52 : 결합부
60 : 고정부재 61 : 삽입공

Claims (4)

  1. 상,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연결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32)가 형성되어 상부 프리캐스크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부 철근(11)의 하부가 상기 관통공(3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에 매립되는 상부 매립부재(30)와,
    상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41)가 상기 상부 매립부재(30)의 관통공(31)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중간 연결부재(40)와,
    상부에는 상기 중간 연결부재(40)의 하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결합홈(5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5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5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5)에 매립된 하부 철근(16)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53)가 형성되는 하부 매립부재(50)와,
    중앙에는 상기 중간 연결부재(40)가 삽입되는 삽입공(6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61)에 상기 중간 연결부재(40)가 삽입된 상태로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62)가 상기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의 암나사부(52)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에 안착된 상기 중간 연결부재(40)의 하부를 상기 하부 매립부재(50)에 고정하기 위한 환형의 고정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부(53)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하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5)에 매립된 하부 철근(16)의 상부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재(40)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확장되고 상기 하부 매립부재(50)의 결합홈(5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확장부(4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60)가 상측에서 상기 확장부(42)의 상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립부재(30)의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세로홈(33)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KR2020170002146U 2017-04-27 2017-04-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KR200490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46U KR200490017Y1 (ko) 2017-04-27 2017-04-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46U KR200490017Y1 (ko) 2017-04-27 2017-04-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62U true KR20180003162U (ko) 2018-11-06
KR200490017Y1 KR200490017Y1 (ko) 2019-09-10

Family

ID=6432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146U KR200490017Y1 (ko) 2017-04-27 2017-04-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90B1 (ko) * 2019-05-29 2020-05-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c 보-기둥 접합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604U (ja) * 1984-02-04 1985-08-26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ョン Pc部材の鉄筋鉛直継手
KR20150012790A (ko) * 2013-07-26 2015-02-0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공 프리캐스트 기둥 및 그 기둥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604U (ja) * 1984-02-04 1985-08-26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ョン Pc部材の鉄筋鉛直継手
JPH0225846Y2 (ko) * 1984-02-04 1990-07-16
KR20150012790A (ko) * 2013-07-26 2015-02-0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공 프리캐스트 기둥 및 그 기둥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90B1 (ko) * 2019-05-29 2020-05-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c 보-기둥 접합부
WO2020242094A1 (ko) * 2019-05-29 2020-12-0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c 보-기둥 접합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17Y1 (ko) 201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865B1 (ko) 증가된 시공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기둥과 보의 건식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TWI592546B (zh) Architectur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720473B1 (ko) 내진성능이 개선된 Partial-PC 벽체를 이용한 지하 PC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3042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고정구 어셈블리, 그 고정구 어셈블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컬럼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848727B1 (ko) 피씨기둥의 접합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KR102011412B1 (ko)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100862005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KR20130109298A (ko) 논-스리브 결합식 구조를 갖는 건축물용 상,하 1조식 피씨기둥의 연결구조
JP2014055517A (ja) プレキャスト柱梁の接合構造
JP4636538B2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構築方法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KR20180003162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구
KR101990065B1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KR101956606B1 (ko) 철근콘크리트 이음부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이어치기 방법
JP4966825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接合構造
KR101474948B1 (ko) 체험 시설물의 지지기둥 시공공법
KR101389485B1 (ko) 건축용 콘크리트 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83677B1 (ko) 거더와 연장 지지부 간의 단차 맞물림 구조를 구비하는 pc 접합 구조물
JP2012001936A (ja) 架構の建方方法
JP2006200270A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2017206844A (ja) 耐震壁構造
JP200702356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部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2019124063A (ja) 露出型柱脚構造
KR101657628B1 (ko) 강관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KR20200053874A (ko) 원심 성형 중공 사각 pc 기둥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