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407B1 -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407B1
KR101827407B1 KR1020160133519A KR20160133519A KR101827407B1 KR 101827407 B1 KR101827407 B1 KR 101827407B1 KR 1020160133519 A KR1020160133519 A KR 1020160133519A KR 20160133519 A KR20160133519 A KR 20160133519A KR 101827407 B1 KR101827407 B1 KR 101827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cover
rear bumper
bracket
upper flange
hous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3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5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lights or registrat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30)의 탄성편(33a)이 리어범퍼커버(10)의 상부플랜지(11)를 눌러주는 구조로 조립되어 리어범퍼커버(10)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20) 사이의 유동이 방지된다. 브라켓(30)에 의해 직접 조립되고 그 외 별도의 체결용 부품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부품수와 조립공수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STRUCTURE FOR ASSEMBLING REAR BUMPER COVER AND HOUSING PANNEL OF REAR COMBINATION LAMP}
본 발명은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에 필요한 부품수가 감소되어 보다 간편하게 조립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미에는 후방 충격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리어범퍼와, 후속 차량에게 전방 차량의 진행 방향, 제동 상태 등을 알려주기 위한 리어콤비네이션램프가 구비되어 있다.
리어범퍼는 내측의 충격흡수부재와 외관을 이루는 범퍼커버로 이루어진다.
리어콤비네이션램프는 하우징패널과, 여기에 장착되는 복수의 기능별 램프와, 외관을 이루는 커버(또는 렌즈)로 이루어진다.
리어콤비네이션램프는 리어범퍼의 양측 모서리 상부에 접하여 설치되는 바, 이들의 사이에는 상호 연결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보다 상세히는 리어범퍼의 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하우징패널의 일부가 상호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범퍼커버(1)는 내측의 충격흡수부재를 감싸는 메인바디와, 차량의 리어펜더와 연결되는 측면바디로 이루어지며, 메인바디와 측면바디는 부드럽게 라운드 형성되어 있다.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하우징패널(2)은 대체로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이고, 전구설치홀(2a)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리어범퍼커버(1)의 모서리부 라운드 형상에 대응하여 부드럽게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어범퍼커버(1)의 모서리 상단부와 상기 하우징패널(2)의 하단부는 브라켓(3)을 매개로 연결된다.
브라켓(3)의 일단부는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하우징패널(2)에 용접된다. 브라켓(3)의 타단부에 리어범퍼커버(1)의 상부플랜지(1a)가 결합되는데, 양자의 결합에는 리테이너(4)가 사용된다.
즉, 브라켓(3)의 단부와 리어범퍼커버(1)의 상부플랜지(1a)에 동일한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들 관통홀이 겹쳐지도록 브라켓(3)과 리어범퍼커버(1)의 위치가 조절된 후, 겹쳐진 관통홀로 리테이너(4)가 삽입 체결됨으로써 리어범퍼커버(1)와 브라켓(3)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브라켓(3)을 매개로 리어범퍼커버(1)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하우징패널(2)이 서로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는 브라켓(3) 이외에도 리테이너(4)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품을 더 사용하므로 부품수가 증가하여 조립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4)는 중앙의 메인돌기(4a) 외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편(4b)이 리테이너(4)의 상향 분리를 방지하기는 하지만, 상기 이탈방지편(4b)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것이어서 횡방향 및 종방향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3)과 리어범퍼커버(1) 사이의 유동이 발생되고, 이는 결국 리어범퍼커버(1)와 하우징패널(2)의 상대적인 거동을 발생시켜 차량 주행 중 진동 및 소음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002547(2002.01.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품수가 감소되고, 리어범퍼커버와 하우징패널 사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범퍼커버의 상단에 절곡 형성된 상부플랜지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하우징패널에 용접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 하방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가 탄성편의 하부에 끼워져서 조립된다.
상기 브라켓은 용접부와, 그 용접부의 일단이 절곡 연장된 연결부와, 그 연결부의 일단이 절곡 연장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부는 상기 하우징패널에 용접되고, 상기 체결부의 일부가 디귿자 형상으로 절개된 후 상방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상기 탄성편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은 체결부의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의 중앙에 삼각뿔 형상의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의 중앙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홀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가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려질 때 상기 상부플랜지의 단부는 탄성편과 체결부의 연결부분에 맞닿게 된다.
상기 탄성편의 자유단부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곡 성형된 가이드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의 리어범퍼커버측 단부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 성형된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과 리어범퍼커버의 상부플랜지에 상호 결합을 위한 형상(탄성편과 걸림부 및 걸림홀)이 형성됨으로써 리테이너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부품수와 조립 공수가 감소되어 제조 비용과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에 탄성편과 걸림부가 형성되어 횡방향 및 종방향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리어범퍼커버와 하우징패널 사이의 유동이 방지되어 주행 중 진동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가 적용된 리어범퍼커버와 상기 하우징패널의 조립 상태 사시도와 그 요부 확대도.(차량의 후단 우측 모서리 부분을 후방 상부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것임)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로서 리어범퍼커버와 하우징패널의 조립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가 적용된 리어범퍼커버와 상기 하우징패널의 조립 상태 사시도와 그 요부 확대도. (차량의 후단 좌측 모서리 부분을 후방 상부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것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브라켓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브라켓의 탄성편 부분의 조립 구조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브라켓의 걸림부 부분의 조립 구조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가 적용된 리어범퍼커버와 상기 하우징패널의 조립 상태 사시도와 그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는 리어범퍼커버(10)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하우징패널(20)과 이들을 연결하는 브라켓(3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부분은 차량의 후단 좌측 모서리 부분이다. 리어범퍼커버(10)의 모서리부 상단에는 상부플랜지(11)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플랜지(11)는 리어범퍼커버(10)의 상단에서 대략 차량 내측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얇은 판재이며, 중앙 부분에는 브라켓(30)과의 결합을 위한 직사각형의 걸림홀(11a)이 형성된다. 걸림홀(11a)의 장변은 상부플랜지(11)의 단부 변과 평행한 관계로 형성된다.
하우징패널(20)은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내측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전구가 삽입 설치되는 전구설치홀(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 모서리는 상기 리어범퍼커버(10)의 모서리 상단부와 동일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패널(20)은 스틸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30)도 스틸 재질로 제작되며, 양자는 상호 용접 결합된다.
도 4는 상기 브라켓(3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0)은 직사각형 플레이트가 수 회 절곡되어 도시된 형상으로 가공된 것이다.
브라켓(30)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하우징패널(20)에 용접되는 용접부(31)와, 용접부(31)의 일단에 절곡 연장 성형된 연결부(32)와, 연결부(32)의 일단에 절곡 연장 성형되어 리어범퍼커버(10)의 상기 상부플랜지(11)와 체결되는 체결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용접부(31)와 연결부(32)는 단순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서 서로 직각에 가까운 예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2)와 체결부(33)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3)에는 한 쌍의 탄성편(33a)과 하나의 걸림부(33b)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33a)은 체결부(33)의 상면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데, 체결부(33)가 디듣자(ㄷ) 형상으로 절개된 뒤 상방으로 볼록하게 벤딩 가공된 것으로 연결부(32)측 연결단부를 기준으로 반대쪽 자유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거동할 수 있다.
탄성편(33a)의 단부(자유단부)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벤딩 가공된 가이드(33aa)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33aa)는 리어범퍼커버(10)의 상부플랜지(11)가 탄성편(33a)의 하부로 진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걸림부(33b)는 상기 탄성편(33a)들 사이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것으로 체결부(33)의 표면에서 상방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도 3 동시 참조). 걸림부(33b)는 B-B선을 기준으로 양측 빗변의 길이가 같고 밑변(연결부(32)쪽 변)은 상부플랜지(11) 걸림홀(11a)의 장변과 평행인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밑변의 중앙부분이 삼각뿔의 정점이 된다.
걸림부(33b)의 밑변은 체결부(33)에서 절개되어 있으며 용접부(31)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동공이 보이게 된다.
체결부(33)의 전방(리어범퍼커버(10)쪽 방향) 단부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가이드부(34)가 형성된다. 가이드부(34)는 상기 상부플랜지(11)가 체결부(33)의 상면으로 접촉하여 진입되는 것을 유도하는 안내면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범퍼커버(10)의 상부플랜지(11)는 브라켓(30)의 체결부(33)와 유사한 폭을 가짐으로써 탄성편(33a)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과 체결부(33)의 탄성편(33a) 외측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 충분히 존재하는 면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상부플랜지(11)의 중간 부분 즉, 상기 걸림부(33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상의 걸림홀(11a)이 형성된다.
리어범퍼커버(10)의 상부플랜지(11)와 브라켓(30)은 도 3과 같이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조립되며, 조립 상태의 단면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부플랜지(11)는 브라켓(30)의 체결부(33)와 탄성편(33a)의 사이 틈으로 진입하여 결합된다. 먼저 브라켓(30)의 가이드부(34)에 의해 상부플랜지(11)가 체결부(33)의 상면으로 안내되며, 이후 탄성편(33a)의 가이드(33aa)에 의해 상부플랜지(11)가 탄성편(33a)의 하부로 안내된다. 따라서 상부플랜지(11)가 체결부(33)와 탄성편(33a)의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부플랜지(11)의 단부는 브라켓(30)의 걸림부(33b)의 중앙 빗변을 타고 오르게 되고, 상부플랜지(11)의 진입이 계속됨에 따라 걸림부(33b)가 걸림홀(11a)에 삽입되면서 상부플랜지(11)는 체결부(33)의 상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플랜지(11)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탄성편(33a) 역시 동일한 상태로 높이가 변화된다. 즉, 탄성편(33a)은 상부플랜지(11)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상부플랜지(11)를 하방으로 눌러준다.
상기와 같이 걸림부(33b)가 걸림홀(11a)에 삽입되는 순간 상부플랜지(11)의 진입도 완료되어 상부플랜지(11)의 진입 방향쪽 단부가 탄성편(33a)의 연결단부(체결부(33)와 연결된 부분)에 닿게 된다.
또한, 그 상태에서 걸림부(33b)의 밑변은 걸림홀(11a)의 일측 장변에 맞닿아 상호 걸려지는 상태가 된다. 즉, 도 5와 같이, 상부플랜지(11)의 단부가 탄성편(33a)의 연결단부에 맞닿아 상부플랜지(11)가 더 이상 진입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때 도 6과 같이, 걸림부(33b)의 밑변측 단부가 걸림홀(11a)의 마주보는 장변에 맞닿아 상부플랜지(11)가 분리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없다. 즉, 상부플랜지(11)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된다.(횡방향은 도 5,6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한 쌍의 탄성편(33a)이 상부플랜지(11)의 상면을 항상 하방으로 강하게 눌러주고 있기 때문에 상부플랜지(11)는 상하 즉, 종방향으로도 유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리어범퍼커버(10)와 브라켓(30) 사이에는 횡방향 및 종방향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브라켓(30)은 하우징패널(20)에 용접되어 있으므로 브라켓(30)과 하우징패널(20)의 사이에는 원래 유동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어범퍼커버(10)와 하우징패널(20)의 사이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차량 주행 중 이들 두 부분 사이에는 상대 유동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어범퍼커버(10)와 하우징패널(20)이 브라켓(30)만으로 상호 체결되고, 종래의 리테이너와 같은 별도의 체결용 부품이 사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부품수가 줄어 들어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부품수가 줄고, 그에 따라 조립 공수가 감소됨으로써 제조 비용과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리어범퍼커버 11 : 상부플랜지
11a : 걸림홀 20 : 하우징패널
21 : 전구설치홀 30 : 브라켓
31 : 용접부 32 : 연결부
33 : 체결부 33a : 탄성편
33aa : 가이드 33b : 걸림부
34 : 가이드부

Claims (7)

  1. 리어범퍼커버의 상단에 절곡 형성된 상부플랜지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하우징패널에 용접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 하방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가 탄성편의 하부에 끼워져서 조립되며,
    상기 브라켓은 용접부와, 그 용접부의 일단이 절곡 연장된 연결부와, 그 연결부의 일단이 절곡 연장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부는 상기 하우징패널에 용접되고, 상기 체결부의 일부가 디귿자 형상으로 절개된 후 상방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상기 탄성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체결부의 양측 부분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중앙에 삼각뿔 형상의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의 중앙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려질 때 상기 상부플랜지의 단부는 탄성편과 체결부의 연결부분에 맞닿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

  6. 삭제
  7. 삭제
KR1020160133519A 2016-10-14 2016-10-14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 KR101827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519A KR101827407B1 (ko) 2016-10-14 2016-10-14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519A KR101827407B1 (ko) 2016-10-14 2016-10-14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407B1 true KR101827407B1 (ko) 2018-02-08

Family

ID=6123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519A KR101827407B1 (ko) 2016-10-14 2016-10-14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4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340Y1 (ko) * 1996-12-20 1999-05-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뒷범퍼 체결구조
JP2009001198A (ja) * 2007-06-22 2009-01-08 Honda Motor Co Ltd バンパー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340Y1 (ko) * 1996-12-20 1999-05-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뒷범퍼 체결구조
JP2009001198A (ja) * 2007-06-22 2009-01-08 Honda Motor Co Ltd バンパー取付け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760B2 (en) Sensor bracket
US9630573B2 (en) Clip mounting seats of interior components or exterior components
JP5018012B2 (ja) バンパーの車体取付構造
US20070200273A1 (en) Vibration welding structure for fixing instrument panel attachment
JP5185264B2 (ja) 自動車のリアパネル構造
US8585123B2 (en) Door trim for vehicle
JP2004210040A (ja) 衝撃吸収部材の取付構造
US8276861B2 (en) Clips for mounting a panel to a vehicle
US20110186704A1 (en) Mudguard mounting structure
KR101827407B1 (ko) 리어범퍼커버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하우징패널의 조립 구조
JP2006192975A (ja) カバー部材のフロントフェンダー取付部構造
JPH08150885A (ja) 車両のバンパフェイシア構造
JP2022048562A (ja) ルーフライニングの取付構造
JP7402958B2 (ja) 振動溶着成形品
JP2021098399A (ja) 外装部材の接続構造
JP2016120736A (ja) バンパークリップ
KR20190011376A (ko) 클립을 이용한 내장재 결합 구조
JP2008143366A (ja) 車両用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取付構造
KR101987876B1 (ko) 트림 고정용 클립 어셈블리
JP5613959B2 (ja) 車両のリヤバンパ取付構造
JP2011247394A (ja) 樹脂部品の取付固定構造
KR101896792B1 (ko) 차체 하부 측면구조
JP2007153007A (ja) 車両前部合わせ部構造及び車両前部合わせ部装着用ラバー部材
JP2018203128A (ja) 車体と外装部品の連結構造
KR101640811B1 (ko) 자동차 프런트 범퍼 몸체 고정을 위한 브라켓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