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040B1 - 감요 장치 및 선박 - Google Patents

감요 장치 및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040B1
KR101827040B1 KR1020140096250A KR20140096250A KR101827040B1 KR 101827040 B1 KR101827040 B1 KR 101827040B1 KR 1020140096250 A KR1020140096250 A KR 1020140096250A KR 20140096250 A KR20140096250 A KR 20140096250A KR 101827040 B1 KR101827040 B1 KR 10182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air
wing tanks
wing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667A (ko
Inventor
유타 스도
구니아키 야마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선체의 감요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감요 장치, 및 그 감요 장치를 구비한 선박은, 선체 (2) 의 선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설치되고, 상부에 기체 공간 (A) 을 갖도록 액체 (L) 를 수용하는 1 쌍의 윙 탱크 (20) 와, 상기 1 쌍의 윙 탱크 (20) 의 하부끼리를 연통시키는 유로 (32) 를 갖는 덕트 (30) 와, 덕트 (30) 에 설치되고, 액체 (L) 를 압송하여 그 액체 (L) 에 1 쌍의 윙 탱크 사이에서의 왕복동을 실시시키는 펌프 (60)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감요 장치 및 선박{SWING MOTION REDUCING APPARATUS AND SHIP}
본 발명은 감요 장치 및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2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03939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연구선, 순시선, 취체선, 연습선 등에는, 항행 중이나 정선 중에 선체의 횡요 (橫搖) 를 저감시키기 위한 감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감요 장치의 하나로서, ART (안티 롤링 탱크) 가 알려져 있다.
ART 는, 선체의 상부의 최대폭 위치의 좌우현에 서로 선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설치된 1 쌍의 윙 탱크와, 이들 윙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윙 탱크 및 덕트 내에는 청수 (淸水), 해수, 기름 등의 액체가 수용되어 있고, 그 액체가 덕트를 통하여 1 쌍의 윙 탱크 사이에서 선폭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선체의 흔들림을 저감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선체가 횡파를 받으면, 선체에는 그 횡파에 대해 90°의 위상차를 갖는 횡요가 발생한다. 그래서, ART 에서는, 횡파에 대해 역위상 (180°의 위상차) 의 주기로 액체를 1 쌍의 윙 사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횡파에 의한 동요 모멘트를 없애고 있다.
또한, 선체의 횡요는 선체의 고유 주기로 동요할 때에 최대가 되기 때문에, 통상 ART 는, 액체의 이동 주기가 선체의 고유 주기에 합치하도록 설계된다. 이로써 동조 (同調) 횡요를 억제하는 감요 모멘트를 발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선박의 종류나 선박이 항행하는 해양 상태에 따라서는, 선체가 그 선체의 고유 주기로 동요하는 것이 상정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선체의 고유 주기에 기초하여 설계된 ART 에서는 적절한 감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선체의 고유 주기보다 짧은 파 (波) 주기나 긴 파주기의 발생 확률이 높은 해역에서의 운용을 주로 하고 있는 선박에서는, ART 의 감요 효과를 적절히 발휘할 수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ART 에 의해 선체의 횡요를 증폭시켜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를 3 방 밸브를 통하여 1 쌍의 윙 탱크의 일방에 도입하고, 윙 탱크 내의 액체의 액면의 초기 높이를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ART 의 고유 주기를 가변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8490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압축 공기에 의해 윙 탱크 내의 액면의 높이를 조정할 뿐에 머물기 때문에, 감요 장치의 고유 주기의 조정폭은 넓지는 않다. 따라서, 선박의 종류나 해양 상태에 적절히 따른 감요 효과를 유연하게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선체의 감요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감요 장치, 및 그 감요 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감요 장치는, 선체의 선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설치되고, 상부에 기체 공간을 갖도록 액체를 수용하는 1 쌍의 윙 탱크와, 상기 1 쌍의 윙 탱크의 하부끼리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갖는 덕트와, 상기 액체에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액체에 상기 1 쌍의 윙 탱크 사이에서의 상기 외력에 기초하는 왕복동을 실시시키는 외력 부여부를 구비한다.
이 감요 장치에 의하면, 부여하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 1 쌍의 윙 탱크 사이에서 액체를 임의의 주기로 왕복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감요 장치의 상기 외력 부여부는, 상기 덕트의 유로 내에 형성되고, 그 유로 내의 상기 액체를 상기 선폭 방향으로 압송하는 펌프를 포함해도 된다.
펌프가 유로 내의 액체를 압송함으로써, 액체에 적절히 왕복동을 실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요 장치는, 상기 유로를 서로 평행하게 선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소유로로 구획되는 유로 구획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복수의 소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소유로 내의 액체를 펌프가 압송함으로써, 액체에 적절히 왕복동을 실시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감요 장치는, 상기 복수의 소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그 소유로를 유통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정 가능한 댐퍼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댐퍼가 액체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그 액체의 왕복동의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펌프와 조합하는 것에 의해, 액체의 왕복동의 주기를 보다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요 장치는, 상기 1 쌍의 윙 탱크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를 통하여 그 일방의 윙 탱크에 유통하는 상기 액체가 충돌하는 방해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외력 부여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유통되는 액체가 방해판에 충돌함으로써, 소음의 발생이나, 윙 탱크의 외판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감요 장치는, 상기 선체의 횡요를 검지하는 센서와, 그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외력 부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로써, 선체의 횡요에 따른 외력을 액체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횡요에 따른 주기로 1 쌍의 윙 탱크 사이에서 액체를 왕복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감요 장치의 상기 외력 부여부는, 상기 윙 탱크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고, 그 윙 탱크의 상기 기체 공간에 압축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함으로써 상기 액체의 액면에 외력을 부여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에 의해 액체에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그 액체에 적절히 왕복동을 실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요 장치의 상기 외력 부여부는, 상기 액체의 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가압부, 및 그 가압부를 선 (船) 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가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왕복 구동부에 의해 왕복 구동되는 가압부에 의해 액체에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그 액체에 적절히 왕복동을 실시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외력 부여부는, 상기 액체에 단진동 주기로 변동하는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액체에 상기 1 쌍의 윙 탱크 사이에서의 단진동 주기에 따른 왕복동을 실시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이로써 액면이 물결치지 않고 액체를 자연스럽게 왕복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절히 감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선체와 그 선체에 설치된 상기 어느 하나의 감요 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선박에 의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감요 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감요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감요 장치 및 선박에 의하면, 선체의 감요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감요 장치 및 선박의 선수미 방향으로 직교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단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감요 장치 및 선박에 있어서의 펌프의 회전수의 시간적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 의 A-A 단면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 의 A-A 단면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윙 탱크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감요 장치의 선수미 방향으로 직교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감요 장치에 있어서의 압축기의 회전수의 시간적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감요 장치의 선수미 방향으로 직교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감요 장치에 있어서의 가압 장치의 변위의 시간적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종래의 감요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감요 장치에 있어서의 선의 횡요 주기와 감요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 에 대해 도 1 ∼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양을 항행 가능한 선체 (2) 및, 그 선체 (2) 의 횡요를 감요시키는 감요 장치 (10) 를 구비하고 있다. 선체 (2) 의 선종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구선, 순시선, 취체선, 연습선 등, 여러 가지의 선종을 채용할 수 있다.
감요 장치 (10) 는, 1 쌍의 윙 탱크 (20) 와, 덕트 (30) 와, 에어 파이프 (40) 와, 조정 밸브 (42) 와, 방해판 (50) 과, 펌프 (60) (외력 부여부) 를 구비하고 있다.
윙 탱크 (20) 는, 선의 높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직방형 상자형을 이루는 부재이다. 이 윙 탱크 (20) 의 내부는 중공상의 공간으로 되어 있고, 그 공간은 액체 (L) 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윙 탱크 (20) 는, 선체 (2) 의 상부에 있어서의 선수미 방향의 최대 선폭 위치에, 그 선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1 쌍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일방의 윙 탱크 (20) 는 선체 (2) 의 상부에 있어서의 좌현측에 설치되고, 타방의 윙 탱크 (20) 는 우현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1 쌍의 윙 탱크 (20) 는,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동일한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덕트 (30) 는, 선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상기 1 쌍의 윙 탱크 (20) 를 접속하는 덕트 본체 (31) 를 가지고 있다. 이 덕트 본체 (31) 의 일단은 일방의 윙 탱크 (20) 에 접속되고, 타단은 타방의 윙 탱크 (20) 에 접속되어 있다. 이 덕트 본체 (31) 는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고, 그 중공 부분은 선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 (32) 로 되어 있다. 이 유로 (32) 의 양단은, 각각 1 쌍의 윙 탱크 (20) 내의 공간과 연통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1 쌍의 윙 탱크 (20) 내의 공간끼리는, 덕트 본체 (31) 의 유로 (32) 를 통하여 연통 상태가 된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 본체 (31) 내에는, 유로 (32) 를 서로 평행하게 선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소유로 (34) 로 구획하는 유로 구획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 구획부 (33) 는, 덕트 (30) 의 내벽면에 있어서의 천정면 및 바닥면에 걸치도록, 또한 덕트 (30) 의 선폭 방향 전체 길이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로 구획부 (33) 는 선수미 방향으로 덕트 (30) 를 분할하도록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가 배치되어 있고, 이로써, 유로 (32) 를 서로 평행한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5 개) 의 소유로 (34) 로 구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윙 탱크 (20) 및 덕트 (30) 내에는, 예를 들어, 청수, 해수, 기름 등의 액체 (L) 가 수용되어 있다. 이로써, 1 쌍의 윙 탱크 (20) 내의 액체 (L) 는, 덕트 (30) 의 유로 (32) 를 통하여 이들 윙 탱크 (20) 끼리를 왕복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윙 탱크 (20) 내에 액체 (L) 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1 쌍의 윙 탱크 (20) 내의 공간의 상부에는 공기가 남겨져 있고, 즉, 윙 탱크 (20) 내의 상부에는 기체 공간 (A)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윙 탱크 (20) 내는, 항상, 하부가 액체 (L) 로 채워지면서 상부에 기체가 존재하게 된다.
에어 파이프 (40) 는, 1 쌍의 윙 탱크 (20) 의 상부끼리를 접속하는 관형상의 부재이다. 이 에어 파이프 (40) 는 선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일방의 윙 탱크 (20) 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이 타방의 윙 탱크 (20) 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에어 파이프 (40) 의 내부는 중공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공 부분은 기체 유통로 (41) 로 되어 있다. 이 기체 유통로 (41) 는, 1 쌍의 윙 탱크 (20) 각각의 기체 공간 (A) 에 연통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1 쌍의 윙 탱크 (20) 의 기체 공간 (A) 끼리는, 에어 파이프 (40) 의 기체 유통로 (41) 를 통하여 서로 연통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1 쌍의 윙 탱크 (20) 의 기체 공간 (A) 내의 공기는, 에어 파이프 (40) 의 기체 유통로 (41) 를 통하여 1 쌍의 윙 탱크 (20) 끼리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조정 밸브 (42) 는, 에어 파이프 (40) 의 연장 방향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 밸브 (42) 는, 1 쌍의 윙 탱크 (20) 중 일방의 윙 탱크 (20) (좌현측의 윙 탱크 (20)) 측에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 밸브 (42) 는, 조작됨으로써 에어 파이프 (40) 내의 기체 유통로 (41) 를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조정 밸브 (42) 는, 좌현측의 윙 탱크 (20) 에 인접하여 형성된 밸브실 (43) 내에 배치되어 있다. 조타실 등으로부터의 원격 조작, 혹은, 밸브실 (43) 내에 입실한 작업원이 조정 밸브 (42) 를 조작함으로써, 기체 유통로 (41) 를 열린 상태 (기체가 유통 가능한 상태) 로 할 수 있다. 또, 조정 밸브 (42) 를 조작함으로써, 닫힌 상태 (기체가 유통 불능인 상태), 즉 감요 장치 (10) 를 비작동 상태로 할 수 있다.
방해판 (50) 은, 1 쌍의 윙 탱크 (20) 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방해판 (50) 은, 윙 탱크 (20) 내에 있어서의 바닥면 상에, 덕트 (30) 내의 유로 (32) 로부터 선폭 방향으로 이간되고, 또한 그 유로 (32) 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방해판 (50) 에 있어서의 유로 (32) 에 대한 대향면에는, 그 방해판 (50) 을 선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방해판 (50) 에 있어서는, 관통공이 유로 (32) 의 복수의 소유로 (34) 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각 관통공은 소유로 (34) 에 대해 선폭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펌프 (60) 는, 펌프 본체 (61) 및 펌프 구동부 (62) 를 구비하고 있다.
펌프 본체 (61) 는, 회전함으로써 액체 (L) 를 압송 가능한 장치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역 (正逆) 회전함으로써 회전축의 축선 방향 양측의 어느 것에 임의로 액체 (L) 를 압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펌프 본체 (61) 는, 덕트 (30) 내의 유로 (32) 에 있어서의 복수의 소유로 (34) 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즉 소유로 (34) 의 수에 따라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5 개)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회전축을 선폭 방향으로 일치시킨 자세로 배치됨으로써, 회전축을 정회전시킴으로써 액체 (L) 를 일방의 윙 탱크 (20) 로부터 타방의 윙 탱크 (20) 를 향해 압송할 수 있는 한편, 회전축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액체 (L) 를 타방의 윙 탱크 (20) 로부터 일방의 윙 탱크 (20) 를 향해 압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복수의 펌프 본체 (61) 는, 유로 (32) 에 있어서의 선폭 방향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펌프 본체 (61) 가, 일방의 윙 탱크 (20) 측에 치우친 위치인 밸브실 (43) 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선수미 방향으로 정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펌프 구동부 (62) 는, 펌프 본체 (61) 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펌프 본체 (61) 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전동기에 전력 공급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펌프 본체 (61) 를 구동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펌프 구동부 (62) 는, 펌프 본체 (61) 의 바로 윗쪽이 되는 밸브실 (43) 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펌프 구동부 (62) 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조작부로부터의 조작 지령에 기초하여 펌프 본체 (61) 를 임의로 구동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또, 펌프 구동부 (62) 는, 예를 들어 선체 (2) 에 배치된 자이로 센서 등의 횡요를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가 그 펌프 구동부 (62) 를 제어함으로써 펌프 본체 (61) 를 임의로 구동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펌프 (60) 구동은,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수가 시간과 함께 sin 주기로 변동하도록 펌프 본체 (61) 를 구동시켜도 된다. 즉, 펌프 본체 (61) 의 회전수가 그 회전수 0 을 기준으로 한 단진동 주기로 변동하도록 그 펌프 본체 (61) 를 구동시켜도 된다. 이 경우, 단진동의 진폭의 크기 (회전수의 최대치) 는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횡요의 크기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진동의 주기는,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횡요의 주기에 기초하여, 그 횡요에 대해 90°위상이 상이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감요 장치 (10) 및 이것을 구비한 선박 (1) 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선박 (1) 의 항행 중, 또는 정선 중에 그 선박 (1) 이 횡파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정 밸브 (42) 는 닫힌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에어 파이프 (40) 내의 기체 유통로 (41) 를 공기가 유통하는 경우는 없다. 그 때문에, 1 쌍의 윙 탱크 (20) 내의 기체 공간 (A) 에 있어서의 공기의 양이 변동하는 경우는 없고, 이들 1 쌍의 윙 탱크 (20) 내에 수용된 액체 (L) 의 액면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로써, 1 쌍의 윙 탱크 (20) 끼리에서 액체 (L) 가 갑자기 왕복동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선박 (1) 이 횡요에 노출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조정 밸브 (42) 를 열린 상태로 한다. 이로써, 1 쌍의 윙 탱크 (20) 내의 기체 공간 (A) 끼리의 공기가 에어 파이프 (40) 의 기체 유통로 (41) 를 통하여 왕복동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이들 윙 탱크 (20) 내에 수용된 액체 (L) 도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에서 덕트 (30) 의 유로 (32) 를 통한 왕복동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윙 탱크 (20) 나 덕트 (30) 의 치수, 및 액체 (L) 의 용적은, 선체 (2) 의 고유 주기 및 소요 감요 모멘트에 따라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선체 (2) 의 고유 주기와 가까운 횡파를 받을 때에는, 감요 장치 (10) 의 액체 (L) 가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를 횡파와 역위상의 주기로 자연스럽게 왕복동함으로써, 그 횡파의 동요 모멘트가 없어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체 (2) 의 고유 주기보다 짧은 주기의 횡파, 또는 선체 (2) 의 고유 주기보다 긴 주기의 횡파가 발생한 경우에는, 펌프 (60) 를 구동시킴으로써, 감요 장치 (10) 내의 액체 (L) 를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에서 강제적으로 왕복동시킨다. 이로써, 횡파에 의한 선체 (2) 의 동요의 감쇠를 실시한다.
또한, 선체 (2) 가 짧은 주기로 동요하는 경우에는, 덕트 (30) 내의 유속을 빠르게, 한편, 긴 주기로 동요하는 경우에는, 덕트 (30) 내의 유속을 느리게 함으로써, 감요 장치 (10) 의 윙 탱크 (20) 및 덕트 (30) 의 형상에 구애되지 않고, 감요 장치 (10)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감요 장치 (10) 내에 액체 (L) 를 펌프 (60) 에서 압송함으로써, 그 액체 (L) 를 강제적으로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에서 왕복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발생하는 횡파의 주기나 크기에 따른 적절한 감요 모멘트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횡파에 의한 동요 모멘트를 가장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는 주기 또한 위상 (선체 (2) 의 횡요의 주기로부터 90°지연된 위상의 주기) 으로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를 왕복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횡파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감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선체 (2) 의 고유 주기보다 짧은 주기의 횡파에 대한 감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윙 탱크 (20) 나 덕트 (30) 의 대형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펌프 (60) 로 액체 (L) 를 임의로 왕복동시킴으로써, 윙 탱크 (20) 나 덕트 (30) 의 컴팩트화를 유지하면서 적절한 감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선체 (2) 의 무게 중심 상승에 의한 복원 성능의 악화나 중량 증가에 수반하는 추진 성능 및 재화 (載貨) 성능에 대한 영향, 혹은 거주구 배치의 축소 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소유로 (34) 내의 액체 (L) 를 이들 소유로 (34) 내에 배치된 펌프 (60) 가 압송함으로써, 액체 (L) 에 적절히 왕복동을 실시시킬 수 있다. 즉, 유로 (32) 내의 대부분의 액체 (L) 가 펌프 (60) 를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그 펌프 (60) 에 의한 액체 (L) 의 유통이 지배적이 되어, 펌프 (60) 의 구동에 따른 주기 및 진폭으로 적절히 액체 (L) 를 왕복동시킬 수 있다.
또, 펌프 본체 (61) 의 회전수를 단진동 주기로 변동하도록 구동시킨 경우, 액체 (L) 의 왕복동 자체가 단진동이 되기 때문에, 보다 횡파를 없애기 위해서 적합한 왕복동을 시킬 수 있다. 또, 액체 (L) 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면서도 단진동 주기로 왕복동시킴으로써, 액면이 갑자기 물결쳐버리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액체 (L) 가 상정 외의 거동을 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한 주기 및 진폭으로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에서의 왕복동을 실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윙 탱크 (20) 내에 방해판 (50) 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 (60) 에 의해 강제적으로 유통되어 각 윙 탱크 (20) 내로 유입되는 액체 (L) 는 방해판 (50) 에 충돌한다. 이로써, 감요 장치 (10) 의 외형을 이루는 윙 탱크 (20) 에 직접적으로 액체 (L) 가 충돌하는 경우에 비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 외에, 그 윙 탱크 (20) 의 외판을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방해판 (50) 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방해판 (50) 이 액체 (L) 의 자연스러운 왕복동을 방해해 버리는 것을 최대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소유로 (34) 의 각각에 펌프 본체 (61) 를 배치했는데, 복수의 소유로 (34) 의 일부에만 펌프 본체 (61) 를 배치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덕트 (30) 에 있어서의 일방의 윙 탱크 (20) 에 치우친 위치에 각 펌프 본체 (61) 를 배치했는데, 덕트 (30) 내에 있어서의 어느 지점에 펌프 본체 (61) 를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덕트 (30) 의 연장 방향, 즉 선폭 방향의 중앙에 각 펌프 본체 (61) 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유로 (32) 를 소유로 (34) 로 구획하여 이들 소유로 (34) 에 펌프 본체 (61) 를 배치했는데, 유로 (32) 를 소유로 (34) 로 구획하지 않고, 단일의 유로 (32) 만을 형성하고, 당해 단일의 유로 (32) 에 단일 또는 복수의 펌프 본체 (61) 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감요 장치 (10) 는,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이 제 1 변형예에서는, 덕트 (30) 내의 복수 (5 개) 의 소유로 (34) 중 일부의 소유로 (34) (2 개의 소유로 (34)) 에 펌프 본체 (61) 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펌프 본체 (61) 대신에 댐퍼 (65)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댐퍼 (65) 는, 펌프 본체 (61) 의 설치 지점과는 이간되어, 타방의 윙 탱크 (20) 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설치된 소유로 (34) 를 유통하는 액체 (L) 의 유량을 댐퍼 (65) 의 자세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 변형예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펌프 (60) 에 의해 임의의 주기 및 위상의 왕복동을 액체 (L) 에 실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댐퍼 (65) 에 의해 소유로 (34) 의 액체 (L) 의 유량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액체 (L) 의 왕복동의 주기 및 위상의 미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횡파 상태가 일시적으로 다소 변동한 경우에는, 펌프 (60) 의 구동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당해 댐퍼 (65) 만을 조정함으로써 횡파에 따른 적절한 감요 모멘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펌프 본체 (61) 대신에 댐퍼 (65) 를 배치하는 소유로 (34) 는, 어느 소유로 (34) 를 선정해도 된다. 또, 펌프 본체 (61) 와 댐퍼 (65) 를 동일한 소유로 (34) 에 설치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감요 장치 (10) 는,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이 제 2 변형예에서는, 펌프 본체 (61) 는 정역 회전 가능하다고는 되어 있지 않고 정회전만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 본체 (61) 는 일방향으로만 액체 (L) 를 압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 (30) 내의 복수 (6 개) 의 소유로 (34) 중 절반의 소유로 (34) 에는, 일방의 윙 탱크 (20) 측에 치우친 위치에, 타방의 윙 탱크 (20) 측을 향해서만 액체 (L) 를 압송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절반의 소유로 (34) 에는, 타방의 윙 탱크 (20) 측에 치우친 위치에, 일방의 윙 탱크 (20) 측을 향해서만 액체 (L) 를 압송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 변형예에 의하면, 일방의 윙 탱크 (20) 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 펌프 (60) 와 타방의 윙 탱크 (20) 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 펌프 (60) 가 교대로 액체 (L) 를 압송함으로써, 그 액체 (L) 를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끼리에서 왕복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펌프 (60) 의 압송의 타이밍을 변화시킴으로써, 횡파에 따른 감요 모멘트를 얻을 수 있는 액체 (L) 의 왕복동을 용이하게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펌프 본체 (61) 의 배치는 제 2 변형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모든 펌프 본체 (61) 를 덕트 (30) 의 연장 방향, 즉 선폭 방향의 중앙에 설치해도 된다. 또, 동일한 소유로 (34) 에 압송 방향이 서로 역방향인 펌프 본체 (61) 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감요 장치 (10) 는,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내는 제 3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이 제 3 변형예에서는, 에어 파이프 (40) 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각 윙 탱크 (20) 의 상부에 윙 탱크 (20) 내외를 연통시키는 통기공 (22) 이 형성됨과 함께, 그 통기공 (22) 을 개폐 가능한 개폐 덮개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폐 덮개부 (23) 는, 수동 또는 조작부로부터의 개폐 지령에 의해, 통기공 (22) 을 임의로 개방,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감요 장치 (10) 를 비작동시킬 때에는 통기공 (22) 을 폐색시켜 윙 탱크 (20) 사이의 공기량을 유지함으로써 액체 (L) 의 왕복동을 억제하는 한편, 감요 장치 (10) 를 작동시킬 때에는 통기공 (22) 을 개방하여 윙 탱크 (20) 사이의 공기량을 변화 가능하게 함으로써 액체 (L) 의 왕복 운동을 허용한다. 이에 의해서도, 에어 파이프 (40) 의 조정 밸브 (42) 와 마찬가지로, 감요 장치 (10) 의 작동·비작동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감요 장치 (10) 는, 제 1 실시형태의 펌프 (60), 에어 파이프 (40) 및 조정 밸브 (42) 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이들 대신에 압축기 (70) (외력 부여부) 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감요 장치 (10) 에서는, 1 쌍의 윙 탱크 (20) 의 상면에 각각 압축기 (70)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축기 (70) 는, 예를 들어 회전함으로써 공기를 압송하는 회전 날개를 가지고 있고, 회전에 수반하여 공기를 흡인하여 압축하고, 압축 공기로서 배출한다. 이 압축기 (70) 는, 감요 장치 (10) 의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윙 탱크 (20) 내의 기체 공간 (A) 에 압축 공기로서 공급함으로써, 기체 공간 (A) 내를 고압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이 압축기 (70) 는, 윙 탱크 (20) 내의 기체 공간 (A) 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감요 장치 (10)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기체 공간 (A) 내를 부압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 (70) 는 정역 회전함으로써, 윙 탱크 (20) 내의 기체 공간 (A) 을 고압 상태, 부압 상태로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1 쌍의 윙 탱크 (20) 에 각각 설치된 압축기 (70) 는, 기체 공간 (A)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회전수를 정 (正) 으로 한 경우에,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회전수 0 을 기준으로 한 sin 주기 (단진동 주기) 로 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1 쌍의 압축기 (70) 의 회전수의 주기는 서로 역위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압축기 (70) 의 회전수의 위상은,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등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횡요의 주기로부터 90°지연된 위상의 주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가 압축기 (70) 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 (70) 의 회전수가 원하는 위상으로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 (70) 는, 윙 탱크 (20) 의 기체 공간 (A) 을 고압 상태, 부압 상태로 함으로써, 액체 (L) 를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에서 이동시킬 만큼의 출력을 가지고 있다. 즉, 일방의 윙 탱크 (20) 의 기체 공간 (A) 을 고압 상태로 했을 때에는, 당해 기체 공간 (A) 의 공기의 압력에 의해 액면을 눌러, 액체 (L) 를 타방의 윙 탱크 (20) 를 향해 유동시킨다. 또, 일방의 윙 탱크 (20) 의 기체 공간 (A) 을 부압 상태로 했을 때에는, 당해 부압에 의해 액면을 밀어 올려 액체 (L) 를 일방의 윙 탱크 (20) 에 추가로 도입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압축기 (70) 가 1 쌍의 윙 탱크 (20) 각각에 설치되고, 또한 서로 역위상으로 구동됨으로써, 감요 장치 (10) 내의 액체 (L) 를 강제적으로 또한 원활히 왕복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의 감요 장치 (10) 에 의하면, 압축기 (70) 에 의해 윙 탱크 (20) 의 기체 공간 (A) 이 고압 상태 또는 부압 상태가 됨으로써, 액체 (L) 의 액면에 대해 그 액면을 누르는 외력, 또는 밀어 올리는 외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선체 (2) 가 받는 횡파에 따른 임의의 주기 또한 위상으로,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에서 액체 (L) 를 왕복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적절한 감요 모멘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횡파의 주기 및 크기에 관계없이, 선체 (2) 의 횡요를 원활히 감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예를 들어 만일 압축 공기를 급격하게 기체 공간 (A) 에 공급해 버리면, 그 압축 공기로부터 액면에 부여되는 외력에 의해 액면이 물결쳐 버려, 액체 (L) 의 왕복동의 거동이 상정 외의 것이 되어 버린다. 이 경우, 의도한 감요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이, 압축기 (70) 의 회전수를 단진동 주기로 변동시킨 경우에는, 액면의 변동에 수반하는 그 액체 (L) 의 왕복동 자체가 단진동이 되기 때문에, 액체 (L) 에 횡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없애는 데에 적합한 왕복동을 시킬 수 있다. 또, 액체 (L) 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면서도 단진동 주기로 왕복동시킴으로써, 액면이 갑자기 물결쳐버리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액체 (L) 가 상정 외의 거동을 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한 주기 및 진폭으로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에서의 왕복동을 실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윙 탱크 (20) 각각에 압축기 (70) 를 설치했는데, 일방의 윙 탱크 (20) 에만 압축기 (70) 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타방의 윙 탱크 (20) 에는, 그 윙 탱크 (20) 의 기체 공간 (A) 내외를 연통시키는 구멍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서도, 일방의 윙 탱크 (20) 의 기체 공간 (A) 을 하나의 압축기 (70) 로 고압 상태 또는 부압 상태로 함으로써 액체 (L) 를 왕복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횡파에 따른 임의의 감요 모멘트를 얻을 수 있다.
또, 1 쌍의 윙 탱크 (20) 에 설치되는 압축기 (70) 는, 각각 정회전만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도, 1 쌍의 압축기 (70) 를 연동시켜 1 쌍의 윙 탱크 (20) 의 기체 공간 (A) 의 각각을 고압 상태 또는 부압 상태로 함으로써, 액체 (L) 에 왕복동을 실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감요 장치 (10) 는, 제 2 실시형태의 압축기 (70) 대신에 가압 장치 (80) 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가압 장치 (80)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윙 탱크 (20) 각각에 설치되어 있고, 가압부 (81) 및 왕복 구동부 (82) 를 구비하고 있다.
가압부 (81) 는 윙 탱크 (20) 내의 액체 (L) 의 액면에 맞닿는 판상을 이루고 있다. 이 가압부 (81) 는, 액체 (L) 의 액면 전역에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가압부 (81) 는, 윙 탱크 (20) 에 대해 선의 높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왕복 구동부 (82) 는, 가압부 (81) 를 선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동시키는 것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공급되는 유체압에 의해 왕복동 가능한 피스톤 실린더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왕복 구동부 (82) 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구동을 왕복 구동으로 바꾸는 회전 크랭크 기구나, 전동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왕복동하는 볼 나사 구동 기구 등,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왕복 구동부 (82) 에 의해 가압부 (81) 가 액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선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동함으로써, 액체 (L) 의 액면을 변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당해 액면의 변동에 수반하여, 액체 (L) 를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에서 왕복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왕복 구동부 (82) 는,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 (81) 의 선의 높이 방향의 변위를,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한 sin 주기 (단진동 주기) 로 변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1 쌍의 윙 탱크 (20) 각각의 가압부 (81) 의 변위의 주기는, 서로 역위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가압부 (81) 의 변위의 진폭은,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등의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횡요의 진폭에 따라, 1 쌍의 가압부 (81) 와 동일한 진폭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변위의 주기도 횡요의 주기로부터 90°지연된 위상의 주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가 왕복 구동부 (82) 를 제어함으로써, 그 왕복 구동부 (82) 의 가압부 (81) 가 원하는 주기로 변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감요 장치 (10) 에 의하면, 선체 (2) 가 받는 횡파에 따른 임의의 주기 또한 위상으로 1 쌍의 가압 장치 (80) 에 의해 액체 (L) 를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에서 왕복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적절한 감요 모멘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횡파의 주기 및 크기에 관계없이, 선체 (2) 의 횡요를 원활히 감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가압부 (81) 의 변위를 단진동 주기로 변동시킨 경우에는, 액체 (L) 의 왕복동 자체가 단진동이 되기 때문에, 액체 (L) 에 횡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없애는 데에 적합한 왕복동을 시킬 수 있다. 또, 액체 (L) 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면서도 단진동 주기로 왕복동시킴으로써, 액면이 갑자기 물결쳐 버리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액체 (L) 가 상정 외의 거동을 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한 주기 및 진폭으로 1 쌍의 윙 탱크 (20) 사이에서의 왕복동을 실시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의 펌프 (60), 제 2 실시형태의 압축기 (70), 및 제 3 실시형태의 가압 장치 (80) 의 3 개 중 적어도 2 개를 조합하여, 액체 (L) 를 왕복동시키기 위한 외력 부여부를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서도, 각 실시형태와 같이, 액체 (L) 에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왕복동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횡파의 주기나 크기에 관계없이 선체 (2) 의 횡요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도 11 에, 종래형의 감요 장치 및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관련된 감요 장치의 선박의 횡요 주기와 감요율의 관계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여기서 감요율이란, 감요 장치가 비작동 상태인 경우의 횡요량에 대한 그 감요 장치가 작동 가능 상태인 경우의 횡요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종래형의 감요 장치는, 선의 고유 주기로 감요 효과가 최대가 되도록 설계된 것이기 때문에,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의 횡요 주기가 그 선의 고유 주기로부터 벗어나 버리면 적절한 감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감요 장치의 경우, 액체에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덕트 내의 유속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요율 곡선은, 덕트 내의 유속을 조정함으로써 얻어지는 겹쳐진 실선이 된다. 따라서, 선의 고유 주기 이외의 폭넓은 주기 범위에서 선이 동요하는 경우라도, 효과적으로 감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요 장치 및 선박에 의하면, 선체의 감요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1:선박
2:선체
10:감요 장치
20:윙 탱크
22:통기공
23:개폐 덮개부
30:덕트
31:덕트 본체
32:유로
33:유로 구획부
34:소유로
40:에어 파이프
41:기체 유통로
42:조정 밸브
43:밸브실
50:방해판
60:펌프 (외력 부여부)
61:펌프 본체
62:펌프 구동부
65:댐퍼
70:압축기
80:가압 장치
81:가압부
82:왕복 구동부
A:기체 공간
L 액체

Claims (10)

  1. 선체의 선폭 방향으로 이간되어 설치되고, 상부에 기체 공간을 갖도록 액체를 수용하는 1 쌍의 윙 탱크와,
    상기 1 쌍의 윙 탱크의 하부끼리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갖는 덕트와,
    상기 액체에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액체에 상기 1 쌍의 윙 탱크 사이에서의 상기 외력에 기초하는 왕복동을 실시시키는 외력 부여부와,
    상기 1 쌍의 윙 탱크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선체의 선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덕트를 통하여 그 일방의 윙 탱크에 유통하는 상기 액체가 충돌하는 방해판을 갖고 있고,
    상기 외력 부여부는,
    상기 액체의 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가압부, 및 그 가압부를 선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동시키는 왕복 구동부를 갖는 가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력 부여부는,
    상기 액체에 단진동 주기로 변동하는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액체에 상기 1 쌍의 윙 탱크 사이에서의 단진동 주기에 따른 왕복동을 실시시키는 감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횡요를 검지하는 센서와,
    그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외력 부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감요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선체와,
    그 선체에 설치된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된 감요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
KR1020140096250A 2014-02-28 2014-07-29 감요 장치 및 선박 KR101827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39398A JP6226192B2 (ja) 2014-02-28 2014-02-28 減揺装置及び船舶
JPJP-P-2014-039398 2014-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667A KR20150102667A (ko) 2015-09-07
KR101827040B1 true KR101827040B1 (ko) 2018-02-07

Family

ID=5394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250A KR101827040B1 (ko) 2014-02-28 2014-07-29 감요 장치 및 선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26192B2 (ko)
KR (1) KR101827040B1 (ko)
CN (1) CN1048758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1708B (zh) * 2017-01-04 2018-07-13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防止核电平台破舱侧倾下沉的蜂窝气囊装置
CN106926973A (zh) * 2017-02-23 2017-07-07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船舶减摇水舱结构
CN107421715B (zh) * 2017-08-24 2019-06-11 哈尔滨工程大学 一种船模减纵摇控制算法验证与优化物理试验平台
CN108045523A (zh) * 2017-12-26 2018-05-18 无锡海核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可控被动式减摇水舱
CN109625204B (zh) * 2018-12-27 2020-12-25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基于被动式减摇水舱的快速减摇装置
CN109625192B (zh) * 2018-12-27 2020-12-25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具有智能减摇装置的科学考察船
CN109625203B (zh) * 2018-12-27 2020-12-15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船舶用智能化减摇水舱系统
CN109625194B (zh) * 2018-12-27 2020-12-15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具有减摇水舱系统的科学考察船
CN111232147A (zh) * 2020-03-02 2020-06-05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船用高置减摇水舱
CN111319728B (zh) * 2020-03-30 2021-06-29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保护冰区航行船舶的首部的方法
CN112722183B (zh) * 2020-07-15 2021-12-14 上海海事大学 一种航海船体平衡装置的安装方法
CN112519971B (zh) * 2020-12-09 2022-08-12 中船邮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设于泳池内用以减少船舶横摇的装置及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040A (ja) * 2002-06-26 2004-01-29 Jfe Soldec Corp 可変周期型減揺水槽
JP2004216917A (ja) * 2002-06-18 2004-08-05 Noritaka Matsumura 船舶の動揺軽減水槽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291314A (ja) *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Heavy Ind Ltd 制振装置
JP2006199052A (ja) * 2005-01-18 2006-08-03 Jfe Soldec Corp 減揺水槽装置
KR101052532B1 (ko) * 2008-11-11 2011-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횡동요 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92448A (en) * 1936-03-31 1938-09-21 Siemens App Und Maschinen Gmb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installation for effecting the stability of ships
GB1213853A (en) * 1968-02-02 1970-11-25 Muirhead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hip stabilizers
JPS5645835Y2 (ko) * 1978-04-20 1981-10-26
JPS588490A (ja) * 1981-07-02 1983-01-18 Furuno Electric Co Ltd 減揺装置
JP2511141B2 (ja) * 1989-04-18 1996-06-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防振タンク
JPH03114648U (ko) * 1990-03-06 1991-11-26
JPH0545281U (ja) * 1991-07-25 1993-06-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能動型流体式動吸振器
JPH0550982A (ja) * 1991-08-26 1993-03-02 Mitsubishi Heavy Ind Ltd 舶用減揺水槽装置
JPH0640381A (ja) * 1992-05-26 1994-02-15 Furuno Electric Co Ltd 受動型減揺タンク及び減揺方法
CN101624087B (zh) * 2008-07-11 2011-12-2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四研究所 减摇水舱控制装置
CN102101523A (zh) * 2009-12-22 2011-06-22 上海市向明中学 防船晃动的夹层注水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6917A (ja) * 2002-06-18 2004-08-05 Noritaka Matsumura 船舶の動揺軽減水槽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26040A (ja) * 2002-06-26 2004-01-29 Jfe Soldec Corp 可変周期型減揺水槽
JP2005291314A (ja) *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Heavy Ind Ltd 制振装置
JP2006199052A (ja) * 2005-01-18 2006-08-03 Jfe Soldec Corp 減揺水槽装置
KR101052532B1 (ko) * 2008-11-11 2011-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횡동요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667A (ko) 2015-09-07
CN104875862B (zh) 2018-01-09
JP6226192B2 (ja) 2017-11-08
JP2015163490A (ja) 2015-09-10
CN104875862A (zh)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040B1 (ko) 감요 장치 및 선박
ES2269470T3 (es) Procedimiento y maquinaria para el transporte de medios.
CN101072708A (zh) 使物体相对于流体运动的设备
KR101620884B1 (ko) 수중 글라이더
JP4903701B2 (ja) 対象物を洗浄するための簡単な装置
KR101491661B1 (ko) 추진 장치가 구비된 선박
KR20130009885A (ko) 애지머스 추진기
KR101225115B1 (ko) 추진체가 장착된 선박의 핀 스태빌라이저
JP2008502020A6 (ja) 対象物を洗浄するための簡単な装置
JP2006199052A (ja) 減揺水槽装置
KR101468227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가변형 빌지 킬을 이용한 횡요운동 제어방법
JP6060418B2 (ja) 推進装置
KR101912944B1 (ko) 선체 균형유지 장치
JP6014530B2 (ja) 船舶推進機用トリム・チルト装置
KR101052532B1 (ko) 선박의 횡동요 저감장치
KR101624876B1 (ko) 변동압력 저감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722092B1 (ko) 횡동요 저감장치
JP7023143B2 (ja) 船体摩擦抵抗低減装置及び船舶
KR101624877B1 (ko) 변동압력 저감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722016B1 (ko) 해적침입방지 해양구조물
KR101454387B1 (ko) 횡동요 저감장치
JP6285834B2 (ja) 船体突出部の振動抑制装置
KR101616354B1 (ko) 부유식 방파제 및 부유식 방파제의 운용 방법
RU2523725C2 (ru) Способ гашения вынужденной вибрации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ого стабилизатора судна
PL238525B1 (pl) Urządzenie balastujące do zanurzania pojazdu podwodne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