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689B1 -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 - Google Patents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689B1
KR101826689B1 KR1020160102888A KR20160102888A KR101826689B1 KR 101826689 B1 KR101826689 B1 KR 101826689B1 KR 1020160102888 A KR1020160102888 A KR 1020160102888A KR 20160102888 A KR20160102888 A KR 20160102888A KR 101826689 B1 KR101826689 B1 KR 10182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ens
housing
light emitt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복
오석연
조민승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60102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렌즈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로 이루어진 투명관과, 렌즈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형성되어 배터리 커버에 형성된 커버홀에 삽입되는 헤드부와, 투명관의 하측에 연결되어 내측에 비중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커버와 하우징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전원을 발생시키는 압전스위치 및 렌즈와 투명관중 적어도 하나를 조명하도록 배터리의 커버 또는 인디케이터 헤드부에 고정되어 압전스위치에서 발전된 전원에 의하여 발광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LED)를 포함하는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의 시인성과 기밀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BATTERY FOR VEHICLE HAVING A LED LIGHTING STRUCTURE COVER OF BUTTON TYPE}
본 발명은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배터리는 양과 음의 전극판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어, 화학작용에 의해 직류 기전력을 생기게 하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차량용 배터리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가 상호 전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해액과 전극판의 화학적 작용을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배터리는 사용시간에 따라 전해액이 소모되어 전해액을 보충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전해액의 보충 시기는 차량용 배터리 인디케이터를 통해 알 수 있다.
차량용 배터리 인디케이터는, 전해액의 비중 변화에 따라 부상(浮上) 또는 침하(沈下)하는 지시볼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양호상태와 방전상태 및 전해액 부족 상태를 지시볼의 색깔로 나타냄으로써, 차량용 배터리의 충, 방전 상태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배터리 인디케이터는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그 시인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상태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용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배터리 커버로 돌출되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발광소자로 인디케이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스위치와 배터리의 각 단자에 연결되는 전원선 및/또는 케이블을 별도로 구비해야되고,이를 배터리에 설치(예를 들면, 커버의 상면) 하였다.
즉, 종래의 인디케이터는 전원선이나 스위치와 같은 부품이 추가되었고, 특히 별도의 커버가 설계되어야 함에 따라 금형의 제작 및 설계와 부품 구매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인디케이터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수지와 같은 단일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되어 구성되어 있어 차량용 배터리 인디케이터와 차량용 배터리 커버간에 기계적 결합이 확고하지 못하고 또한 틈새가 발생하기 쉬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량용 배터리 인디케이터와 차량용 배터리 커버 사이에 생긴 미세한 틈새로 전해액이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9405호(2012.11.02, 등록)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5542호(2005.06.13,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2687호(2015.11.26)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7967호(2015.09.24)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인성과 기밀성이 모두 향상될 수 있는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렌즈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로 이루어진 투명관과, 렌즈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형성되어 배터리 커버에 형성된 커버홀에 삽입되는 헤드부와, 투명관의 하측에 연결되어 내측에 비중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배터리의 커버와 하우징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전원을 발전시키는 압전스위치 및 압전스위치에서 발전된 전원에 의하여 발광되어 인디케이터를 조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헤드부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외면에 커버홀의 내면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가 구비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면에서 커버홀과의 틈새를 방지하도록 커버홀 내면으로 돌출되는 복 수개의 탄성돌기와, 탄성돌기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과, 상측 또는 하측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하우징의 외면과의 접착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판을 구비하는 제1탄성수단 및 하우징의 내측에서 렌즈의 하면과 상하 이격된 공간에서 설치되어 렌즈의 하면과, 몸체의 외면과 하우징 내면 사이의 틈새를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는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외면에서 단차 형성되어 제1탄성수단의 탄성돌기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지지수단 및 렌즈의 하면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수평면에서 하향되는 고정홈으로 이루어져 제2탄성수단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제2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전스위치를 이용하여 발광소자(LED)의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전원 공급 라인을 간소화할 수 있어 부품 숫자의 감소로 인하여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외면과 내측 모두에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된 인디케이터에 발광소자(LED)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시인성 및 기밀성이 모두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발광부재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b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인디케이터의 헤드부를 도시한 확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헤드부의 A-A'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발광부재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배터리용 인디케이터의 제1실시예는 배터리의 전해액을 수용하는 하우징(40)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커버(20)와, 전해액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커버(20)의 상면에 노출되는 인디케이터(10)와, 인디케이터(10)를 조명하는 발광부재(30)를 포함한다.
커버(20)는 하우징(40)의 상면을 밀폐하되, 인디케이터(10)가 체결되는 커버홀(21, 도 3a 및 3b 참조)과, 발광부재(30)가 수용되는 수용홈(20a)을 구비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0)는 커버(20)의 상면에서 관통형성된 커버홀(21)에 체결되어 하우징(40)에 충진된 전해액의 상태를 표시한다.
발광부재(30)는 가압되면 전원을 발생시키는 압전스위치(31)와, 압전스위치(31)에서 발생된 전원으로 발광되는 발광소자(LED)와, 압전스위치(31)와 발광소자(LED)를 상호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원배선(32)을 포함한다.
압전스위치(31)는 커버(20)의 상면에서 내향된 수용홈(20a)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가압되면 전원을 발전시켜 발광소자(LED)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압전스위치(31)의 작용 및 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발광소자(LED)는, 예를 들면, 압전스위치로부터 연장되는 전원배선(32)을 통하여 압전스위치(31)에서 공급된 전원을 발광한다. 이때, 발광소자(LED)는 커버(20)의 하면(또는 하우징의 벽면)에 고정되어 하우징(40)의 내측에서 인디케이터(10)를 조명한다.
여기서, 전원배선(32)은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되는 인쇄 필름에 전도성 잉크로 전원의 통전이 가능한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인쇄전자 회로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발광소자는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실장되는 칩엘이디(CHIP LED)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전자 회로기판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되는 인쇄필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요성을 갖는 띠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어 간단하게 접착제로 접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발광소자는 가요성의 띠 형상으로 실장되어 배터리 커버의 하면에 간단하게 접착될 수 있다.
또는, 전원배선은 전도성 금속판 또는 전선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원배선과 발광소자는 절연성 수지(예를 들면, 액상의 실리콘 수지)로서 코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커버의 하면 또는 하우징의 내면에 발광소자를 고정하고, 자체 발전 가능한 압전스위치로 배터리용 인디케이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인디케이터에 발광소자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인디케이터의 헤드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2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하기에서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제2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도 3b의 확대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서 압전소자(31)는 커버(20)의 상면 또는 상술한 수용홈(20a)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발광소자(LED)는 헤드부(100)의 상면에 매립 또는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인디케이터(10)는 커버홀(21)에 체결되는 헤드부(100)와, 렌즈(210)로부터 연장되는 투명재질의 투명관(200)과, 비중볼(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을 수용하는 수용부(300)를 포함한다.
헤드부(100)는 외면에서 커버(20)의 커버홀(21)에 밀착 및 체결되고, 내면에서 투명관(200)의 상단에 형성된 렌즈(210)가 상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내측에 중공(114)이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부(100)는 외면과 내면에서 각각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0)는 커버홀(21)에 체결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외면에서 커버홀(21)과의 틈새를 방지하는 제1탄성수단(120)과,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투명관(200)과의 틈새를 방지하는 제2탄성수단(130, 도 6 참조)을 포함한다.
이중 하우징(110)은 커버홀(21)의 내면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111)와,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판(112)과, 걸림판(112)에서 내향되어 발광소자(LED)를 수용하는 발광수용홈(116)을 포함한다.
걸림판(112)은 하우징(110)의 상단에서 중공(114)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면이 커버홀(2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22)에 걸림된다.
발광수용홈(116)은 걸림판(112)의 상면에서 하향되도록 형성되어 발광소자(LED)가 실장된 인쇄전자회로기판이 접착 또는 수용된다. 예를 들면, 발광수용홈(116)은 발광소자(LED)가 실장된 인쇄전자회로기판이 수용된 이후에 별도의 수단(투명재질의 액상 실리콘)등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아울러, 발광수용홈(116)은 인쇄전자회로기판이 실장되는 내측과 걸림턱(22)에 접촉되는 걸림판(112)의 하면까지 연통되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연결단자(33)가 형성된다. 아울러, 연결단자(33)는 발광소자가 실장된 인쇄전자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의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로, 발광소자(LED)는 발광수용홈(116)의 내측에서 렌즈(210) 또는 투명관(200)을 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발광수용홈(116)은 렌즈(210) 또는 투명관(200)측과 시각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걸림턱(22)은, 예를 들면, 커버(2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 압전스위치(31)부터 걸림턱(22)으로 연장 및 연결되는 전원배선(32)이 연결되는 전원배선단자(32')가 형성된다.
즉, 인디케이터(10)는 커버홀(21)에서 걸림판(112)의 하면으로 노출된 연결단자(33)와 걸림턱(22)에 형성된 전원배선단자(32')가 상호 접촉되도록 고정된다.
투명관(200)은 투명재질(예를 들면, 유리)로 제조되어 상단에 고정되는 렌즈(210)를 통하여 하측에 연결되는 수용부(300)의 비중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투명관(200)은 상단에서 렌즈(210)가 고정되고, 렌즈(210)의 하측에서 연장되어 수용부(300)에 연결된다.
여기서, 발광소자(LED)에서 발광된 광은 투명관(200)을 통하여 하우징의 내측으로 조사되어 수용부(300)에 수용된 비중볼의 형상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한다.
상술한 투명관(200) 및 수용부(30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인디케이터(10)에 포함된 구성임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상술한 발광부재(3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인디케이터와 동일한 것이나, 설명의 이해를 위하여 발광부재(30)를 생략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인디케이터의 헤드부를 도시한 확대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헤드부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헤드부(100)는 커버홀(21)에 체결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외면에서 커버홀(21)과의 틈새를 방지하는 제1탄성수단(120)과,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투명관(200)과의 틈새를 방지하는 제2탄성수단(13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투명관(200)의 몸체(220) 및 렌즈(210)가 삽입되는 중공(114)과, 커버홀(21)의 내면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111)와,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판(112)과, 외면에서 제1탄성수단(120)을 지지하는 제1지지수단(115)과, 내측에서 제2탄성수단(130)을 지지하는 제2지지수단(113)을 포함한다.
리브(111)는 하우징(110)의 외면, 즉 제1탄성수단(120)의 하측에서 복 수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리브(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의 하면이 하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수평면으로 형성된다.
걸림판(112)은 하우징(110)의 상단에서 중공(114)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면이 커버홀(2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22)에 걸림된다.
제1지지수단(115)은 하우징(110)의 외면에서 단차 형성되어 제1탄성수단(120)의 반대면이 걸림 및 접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지지수단(115)과 제1탄성수단(120)간의 결합 구조는 제1탄성수단(120)과 함께 후술한다.
제2지지수단(113)은 하우징(110)의 내측 벽면중(예를 들면, 중공(114)의 외면)에서 렌즈(210)의 하측에서 돌출된 수평면에서 하향되는 고정홈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수평면은 렌즈(210)의 하면과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제2탄성수단(130)의 설치공간을 형성한다.
제1탄성수단(120)은 이중 사출방식으로 하우징(110)의 외면에 고정되는 최상위 리브로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제1탄성수단(120)과 제2탄성수단(130)은 서로 다른 재질로서 제작될 수 있다.
커버홀(21) 내면으로 돌출되는 복 수개의 탄성돌기(121, 121')와, 탄성돌기(121, 121')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122)과, 상측 또는 하측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하우징(110)의 외면과의 접착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판(123)을 포함한다.
탄성돌기(121, 121')는 커버홀(21)의 내면측으로 돌출되고,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돌기(121, 121')는 커버홀(21) 내면과의 마찰력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판(122)은 탄성돌기(121, 121')들 사이를 연결시킨다. 예를 들면, 연결판(122)은 제1탄성돌기(121)의 하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2탄성돌기(121')에 연결된다.
확장판(123)은 제1탄성수단(120)의 상측 또는 하측중 어느 하나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탄성수단(120)과 하우징(110)과의 접착면적을 확장시킨다.
여기서, 제1탄성돌기(121)와 연결판(122) 및 제2탄성돌기(121')가 연결되는 일측의 반대면은 하우징(110)의 외면에서 단차 형성된 제1지지수단(115)에 삽입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제1지지수단(115)은 하우징(110)의 외면에서 제1탄성수단(120)과의 접착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단차(115b) 형성되거나 내향된 홈(115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지수단(115)은 제1탄성돌기(121) 내지 제2탄성돌기(121')로 연장되는 반대면이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내향된 홈(115a)과, 홈(115a)에서 단차 형성되어 하여 확장판(123)의 반대면과 상면이 밀착되는 단(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수단(113)은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몸체(220)의 외면으로 연장되는 수평면(113a)과, 수평면(113a)에서 하향된 고정홈(113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평면(113a)과 고정홈(113b)은 렌즈(210)의 하면과 몸체(220)의 외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한다.
제2탄성수단(130)은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렌즈(210)의 하면과 상하 이격된 공간에서 설치되어 렌즈(210)의 하면과, 몸체(220)의 외면과 하우징(110) 내면 사이의 틈새를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다. 이때, 제2탄성수단(130)은 렌즈(210)의 하면과 몸체(220)의 외면을 모두 감싸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렌즈(210)의 하측의 이격된 공간을 모두 채울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고 형성된다.
또한, 제2탄성수단(130)은 고리 형상의 몸체(131)에서 하향되어 제2지지수단(11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탄성수단(130)은 제2지지수단(113)의 제2지지수단(113)의 고정홈(113b)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32)와, 렌즈(210) 및 몸체(220)의 가압에 의하여 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배터리 커버(20)에 형성된 커버홀(21)에 인디케이터를 삽입후 회전시켜 헤드부(100)의 외면에 형성된 리브(111)가 커버홀(21)의 내면에 일치되도록 회전 및 가압한다.
아울러, 제1탄성수단(120)은 인디케이터가 하강 되면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커버홀(21)의 내면에 밀착된다. 즉, 제1탄성돌기(121)와 제2탄성돌기(121')는 커버홀(21)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그 형상이 확장되면서 커버홀(21)과 하우징(110) 외면 사이에 밀착된다.
아울러, 제1탄성돌기(121)와 제2탄성돌기(121')는 끝단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반구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커버홀(21)의 내면과의 마모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인디케이터의 걸림판(112)은 커버홀(21)의 걸림턱(22)에 걸림되면서 더 이상 하강되지 않는다. 이때, 걸림판(112)의 하면에 노출된 연결단자(33)는 압전스위치(31)로부터 연장된 전원배선(32)이 연결되는 전원배선단자(32')에 밀착된다.
따라서, 걸림판(112)의 상면에 형성된 발광수용홈(116)에 설치된 발광소자(LED)와 압전스위치(31)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통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1탄성수단(120)은 커버홀(21)의 내면과 헤드부(100) 외면 사이를 압착된 형상으로서 밀폐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우징(110)의 내면에서 투명관(200)(렌즈(210)의 하면과 몸체(220)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제2탄성수단(130)으로 채울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전해액이 투명관(200)의 외면을 타고 헤드부(100)의 상면으로 누출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배터리가 차량에 장착된 이후에 주행이나 주정차 상황에서 가해지는 진동으로 인하여 전해액이 커버홀(21)과 헤드부(100) 사이의 틈새로 누출되거나, 헤드부(100)의 내면에서 투명관(200)과의 틈새로 인한 전해액의 누출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탄성수단과 제2탄성수단에 의한 기밀성의 향상과 함께, 발광소자(LED)로 인하여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전해액의 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엔느 커버(20)의 상면, 또는 배터리 하우징의 외면중 선택된 어느하나에 설치된 압전스위치(31)를 가압한다.
따라서, 압전스위치(31)는 전원을 발전시킨다. 발광소자(LED)는 전원배선단자(32')와 연결단자(33)를 통하여 압전스위치(31)로부터 생산된 전원으로 발광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주변 환경에 상관없이 인디케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인디케이터의 시인성과 기밀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인디케이터 20 : 커버
21 : 커버홀 22 : 걸림턱
30 : 발광부재 31 : 압전스위치
32 : 전원배선 33 : 연결단자
100 : 헤드부 110 : 하우징
111 : 리브 112 : 걸림판
113 : 제2지지수단 114 : 중공
115 : 제1지지수단 116 : 발광수용홈
120 : 제1탄성수단 121, 121' : 탄성돌기
122 : 연결판 123 : 확장판
130 : 제2탄성수단 131 : 본체
132 : 고정돌기 200 : 투명관
210 : 렌즈 220 : 몸체
300 : 수용부

Claims (5)

  1. 렌즈(210)와, 렌즈(210)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로 이루어진 투명관(200);
    렌즈(210)가 상면에 노출되도록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111)가 형성되어 배터리 커버(20)에 형성된 커버홀(21)에 삽입되는 헤드부(100);
    투명관(200)의 하측에 연결되어 내측에 비중볼을 수용하는 수용부(300);
    배터리의 커버(20)와 하우징(40)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전원을 발전시키는 압전스위치(31); 및
    압전스위치(31)에서 발전된 전원에 의하여 발광되어 인디케이터를 조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헤드부(100)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외면에 커버홀(21)의 내면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111)가 구비된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외면에서 커버홀(21)과의 틈새를 방지하도록 커버홀(21) 내면으로 돌출되는 복 수개의 탄성돌기(121, 121')와, 탄성돌기(121, 121')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122)과, 상측 또는 하측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하우징(110)의 외면과의 접착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판(123)을 구비하는 제1탄성수단(120); 및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렌즈(210)의 하면과 상하 이격된 공간에서 설치되어 렌즈(210)의 하면과, 몸체(220)의 외면과 하우징(110) 내면 사이의 틈새를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는 제2탄성수단(130);을 포함하고,
    하우징(110)은
    외면에서 단차 형성되어 제1탄성수단(120)의 탄성돌기(121, 121')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지지수단(115); 및
    렌즈(210)의 하면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수평면에서 하향되는 고정홈으로 이루어져 제2탄성수단(130)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제2지지수단(113);을 포함하는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발광소자는
    배터리의 커버(20) 내면에 고정되어 하우징(110)의 내측을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발광소자는
    압전스위치(31)에서 연장되는 전원배선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인쇄전자회로기판에 실장된 칩엘이디(CHIP LED)로서, 렌즈(210)와 투명관(200)중 적어도 하나를 조명하도록 헤드부(10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인쇄전자 회로기판은 가요성을 갖는 띠 형상의 인쇄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헤드부(100)는
    렌즈(21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확장되어 커버홀(21)에 걸림턱(22)에 걸림되어 상면이 커버(20)로 노출되는 걸림판(112); 및
    걸림판(112)의 상면에서 발광소자(LED)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용홈(116); 을 포함하고,
    발광수용홈(116)은
    인쇄전자 회로기판이 실장되는 내측과 걸림턱(22)에 접촉되는 걸림판(112)의 하면까지 연통되는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연결단자(33);를 포함하고,
    걸림턱(22)은
    커버(2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 압전스위치(31)부터 걸림턱(22)으로 연장 및 연결되는 전원배선(32)이 연결되는 전원배선단자(32')를 포함하는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

  5. 삭제
KR1020160102888A 2016-08-12 2016-08-12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 KR101826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888A KR101826689B1 (ko) 2016-08-12 2016-08-12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888A KR101826689B1 (ko) 2016-08-12 2016-08-12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689B1 true KR101826689B1 (ko) 2018-02-08

Family

ID=6123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888A KR101826689B1 (ko) 2016-08-12 2016-08-12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6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903B1 (ko) * 2006-12-15 2008-05-06 주식회사 델코 축전지용 충전 지시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903B1 (ko) * 2006-12-15 2008-05-06 주식회사 델코 축전지용 충전 지시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608B2 (en) Straight tube LED lamp, lamp socket set, and lighting fixture
KR20100090066A (ko)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
WO2013141389A1 (en) Wire protection structure
KR101826689B1 (ko) 버튼식 엘이디 점등구조 커버가 적용된 자동차용 연축전지
US20220252231A1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lighting
KR20090003437A (ko) 착탈식 led 모듈을 갖는 발광장치
JP2012216307A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214258B1 (ko) 칩 타입의 슈퍼 커패시터의 테스트 장치
JP7285402B2 (ja) 蓄電モジュール
US11397122B2 (en) Pressure sensor module
CN208158189U (zh) 耐高电压车载充电器
JP2003015573A (ja) 表示装置
JP3823663B2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装置
RU2011103797A (ru) Несущий модуль для твердотельного источника света,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й модуль,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219397268U (zh) 穿戴装置和步态感测设备
JP3101365U (ja) 装飾ランプ
KR100562131B1 (ko) 장착 안내용 조명을 구비하는 배터리팩
CN217482720U (zh) 照明装置
US20110052958A1 (en) Battery holder and electrical device having thereof
CN216673615U (zh) 一种卡槽固定型控制装置
CN213481432U (zh) 一种高防水性能的智能水表
CN214223029U (zh) 直立式多功能驱动电源
JP6883782B2 (ja) 照明装置
US20060158150A1 (en) Power supply device
EP4362188A2 (en) Waterproof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