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066A -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066A
KR20100090066A KR1020090009340A KR20090009340A KR20100090066A KR 20100090066 A KR20100090066 A KR 20100090066A KR 1020090009340 A KR1020090009340 A KR 1020090009340A KR 20090009340 A KR20090009340 A KR 20090009340A KR 20100090066 A KR20100090066 A KR 20100090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lamp
connection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695B1 (ko
Inventor
고경록
전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695B1/ko
Priority to US12/652,696 priority patent/US8596851B2/en
Publication of KR2010009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램프의 전극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조립이 쉬우며, 제조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램프 소켓은 상단이 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연결 단자,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마주보며 상단이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제 2 연결 단자,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바라보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돌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버터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 백라이트, 램프 소켓

Description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FABRICATING METHOD OF THE LAMP SOCKET}
본 발명은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자체발광을 하지 못하거나 발광하는 빛의 세기가 약한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표시 패널로 전달하는 광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으로는 램프가 주로 사용된다. 램프 소켓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램프를 수납용기에 쉽고 안정적으로 고정하며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램프 소켓은 일반적으로 소켓 하우징, 단자부 및 소켓 커버를 포함한다. 단자부는 소켓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인버터와 램프의 전극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조립공정에서 단자부는 소켓 하우징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삽입되고, 램프의 전극은 단자부에 형성된 램프 연결 단자에 삽입된다. 이후 소켓 바디의 상부에 소켓 커버를 끼워 램프의 전극을 소켓에 고 정시킨다. 소켓 커버는 공정 순서 상 램프의 전극이 연결 단자에 삽입된 후 결합하므로 공정의 증가를 수반하며, 개별 소켓 하우징에 결합되므로 소켓 하우징의 수만큼 소켓 커버가 필요해 부품 수가 증가되어 공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램프의 전극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조립이 쉬우며, 제조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램프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램프 소켓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램프 소켓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은 상단이 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연결 단자,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마주보며 상단이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제 2 연결 단자,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바라보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돌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버터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바라보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2 연결 단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가 하부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향하며, 상기 내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연결 단자의 타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고정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파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돌기는 하부를 향하며 제 1 곡률을 가지는 제 1 곡면과 상부를 향하며 제 2 곡률을 가지는 제 2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곡률은 상기 제 1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고정 돌기는 하부를 향하는 제 1 경사면과 상부를 향하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에 대한 상기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의 경사도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의 경사도는 상기 제 2 경사면의 경사도보다 가파를 수 있다.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극 멈춤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극 멈춤부는 상기 제 1 단자의 내면과 수직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홀 및 상기 연결 홀 과 연결된 인버터 수납 홀을 포함하는 소켓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는 상기 연결 홀을 통 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는 상기 인버터 수납 홀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멈춤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의 반대 방향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소켓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극 멈춤부 및 상기 고정판은 각각 상부 방향으로 개구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바닥 판과 상기 바닥 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램프 바디와 상기 램프 바디의 일단에 형성된 전극 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와 복수의 램프 소켓 및 인버터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 소켓은 상단이 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연결 단자,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마주보며 상단이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된 제 2 연결 단자,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바라보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돌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버터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판의 복수의 개구부에 구비된다.
상기 인버터 기판은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와 결합되며 램프 구동 전류을 상기 단자부에 공급한다.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바라보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연결 단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항하며, 상기 내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연결 단자의 타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고정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파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극 멈춤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멈춤부는 상기 제 1 단자의 내면과 수직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연결 홀 및 상기 연결 홀과 연결돤 인버터 수납 홀을 포함하는 램프 소켓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는 상기 연결 홀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는 상기 인버터 수납 홀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바닥 판에 결합되며 상기 램프 복수의 램프 소켓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램프 소켓 고정홈을 포함하는 램프 소켓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기판은 상기 인버터 수납 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바닥 판과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 용기, 램프 바디와 상기 램프 바디의 일단에 형성된 전극 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판의 복수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램프 소켓, 램프 구동 전류를 상기 단자부에 공급하는 인버터 기판, 상기 복수의 램프 소켓의 상부를 커버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에 놓이는 복수의 광 가이드 유닛,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 유닛의 상부에 놓이는 미들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 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자부는 상단이 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연결 단자,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마주보며 상단이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된 제 2 연결 단자,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바라보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돌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버터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 기판은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제조방법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 및 인버터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의 펼친 그림에 대응하는 금속 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결 단자에 고정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금속 판을 접어 단자부의 형상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돌기를 형성 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에서 상기 고정 돌기의 돌기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돌기부가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상기 절곡부를 비스듬하게 접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기 일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연결 단자의 타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고정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파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타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일면 방향으로 눌러찍어서 형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사시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 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I - 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램프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따르면, 표시 장치(1000)는 수납 용기(110), 램프 소켓(120), 램프(150), 램프 소켓 가이드(160), 인버터 기판(170), 사이드 프레임(180), 복수의 광 가이드 유닛(210) 및 표시 패널(250)을 포함한다.
수납용기(110)는 바닥판(105), 제 1측벽(111), 제 2측벽(113), 제 3측벽(115) 및 제 4측벽(117)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들은 바닥판(105)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들의 상부에는 광 가이드 유닛 또는 다른 부품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측벽(111)과 제 2측벽(113)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3측벽(115)과 제 4측벽(117)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단부는 제 1측벽(111)및 제 2측벽(113)의 단부와 연결된다. 바닥판(105)에는 제 1및 제 2측벽(111,113)에 인접한 영역을 따라 복수의 개구부(107)가 형성된다.
램프 소켓(120)은 램프(150)를 고정하고, 램프(150)를 구동하기 위한 램프 구동 전류를 램프(150)에 공급한다. 램프 소켓 하우징(130)은 단자부(140)을 수납 및 보호한다. 램프 소켓 하우징(130)의 상부에는 연결 홀(135)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인버터 수납 홀(131)이 구비된다. 연결 홀(135)은 램프 소켓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램프(150)와 연결되는 단자부(14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인버터 수납 홀(131)은 램프 소켓 하우징(130)의 하부에서 인버터 기판(170)과 연결되는 단자부(14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연결 홀(135)와 인버터 수납 홀(131)은 램프 소켓 하우징(130) 내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램프 가이드 홈(137)은 램프(1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반원 형상의 홈을 포함하며 램프 소켓 하우징(130)의 상단에서 연결 홀(135)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램프 소켓 하우징(130)은 바닥판(105)의 개구부(107)를 통해 바닥판의 하면에 고정되는 램프 소켓 가이드(160)에 고정된다. 또한, 램프 소켓 하우징(130)은 바닥판(105)의 개구부(107)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램프 소켓 하우징(130)의 외부 표면에는 램프 소켓(120)이 바닥판(105)의 개구부(107) 또는 소켓 가이드(16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돌기 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램프 소켓 하우징(130)은 다양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단자부(140)와 다른 부품과의 접지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부(140)는 인버터 기판(170)의 인버터가 램프 전극(15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금속물질 또는 전기 전도성이 좋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140)는 제 1연결 단자(141), 제 2연결 단자(145), 인버터 연결 단자(148)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연결 단자(141)과 제 2연결 단자(145)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 1연결 단자(141)의 상단과 제 2연결 단자(145)의 상단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다. 구체적으로, 제 1연결 단자(141)의 상단은 중단을 기준으로 볼 때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제2 연결 단자(145)의 상단은 중단을 기준으로 불 때 제1 연결 단자(141)의 상단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서술된 구조를 적용한 단자부(140)에서 제 1연결 단자(141) 및 제 2연결 단자(145)의 상단을 누르면 제 1연결 단자(141)와 제 2연결 단자(145)가 마주보는 공간이 쉽게 열리게 되어, 램프(150)를 램프 소켓(120)에 조립하는 공정 진행시 지그 또는 수작업으로 제 1 및 제 2단자(141,145)의 상단을 누르고 램프 전극(155)을 두 단자(141,145) 사이에 내려 놓음으로써 간단히 조립 할 수 있다. 또한, 램프 소켓(120)에 램프(150)가 조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연결 단자(141)의 중단과 제2 연결 단자(145)의 중단은 서로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인버터 연결 단자(148)는 제 1연결 단자(141) 및 제 2연결 단자(14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버터 연결 단자(148)는 제 1연결 단자(141) 및 제 2연결 단자(145)와 분리될 수 있도록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 될 수도 있다.
전극 멈춤부(146)는 램프(150) 조립공정 진행시 램프(150)를 단자부에 내려놓을 때 램프 전극(155)이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램프 전극(155)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전극 멈춤부(146)은 단자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램프 전극(155)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멈춤부(146)의 상기 플레이트의 면방향과 제 1및 제 2연결 단 자(141,145)의 내면의 면방향은 서로 수직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단을 눌러 열린 제 1및 제 2연결 단자(141,145) 사이의 공간에서 램프 전극(155)이 유동할 수 있는 영역보다 전극 멈춤부(146)의 접촉부가 지지할 수 있는 영역을 좀 더 크게 하여 램프(150)를 내려놓는 공정에서의 마진을 키우는데 유리하다. 전극 멈춤부(146)의 접촉부는 램프 전극(155)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반구형의 홈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접촉부는 평평한 판 형태일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141,145)의 내면에는 고정 돌기(143)가 형성된다. 고정 돌기(143)는 제 1 연결 단자(141)의 내면으로부터 마주보는 제2 연결 단자(142)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제 2연결 단자(145)의 내면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 연결 단자(141)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고정 돌기(143)는 램프 전극(155)이 램프 전극 고정 영역(142)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고정 돌기(143)는 특히 램프 전극(155)이 램프 전극 고정 영역(142)의 상측 방향으로(즉, 제1 연결 단자(141) 및 제2 연결 단자(145)의 절곡된 상단 방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램프 전극(155)의 상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고정 돌기(143)는 서로 맞닿아 있는 제1 및 제2 연결 단자(141, 145)의 중단에 인접하여(또는, 중단에 바로 붙어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돌기(143)는 전극 멈춤부(146)의 접촉부보다 높게 구비된다. 고정 돌기(143)가 이와 같은 배치를 갖게 되는 이유는, 램프 소켓(120)에 램프(150)가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 돌기(143)와 전극 멈춤부(146) 사이의 공간에 램프 전극(155)이 위치하게 되기 때문이다.
고정 판(144)은 단자부(140)를 램프 소켓 하우징(130)에 단단히 고정하는 기 능을 한다. 고정 판(144)은 소켓 하우징(130)에 고정 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고정홈(132)에 끼워져 단자부(140)을 소켓 하우징(130)에 고정한다.
단자부(140)는 연결부(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9)는 인버터 연결 단자(148) 그리고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와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부(149)는 판 형태일 수 있으며 인버터 연결 단자(148)와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141,14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 1연결 단자(141)는 연결부(149)의 좌측 단부와 연결되며 이때, 제 1 연결 단자(141)와 연결부(149)는 서로 수직하다. 제 2 연결 단자(145)는 연결부(149)의 우측 단부와 연결되며 이때, 제 2연결 단자(145)와 연결부(149)는 서로 수직하다. 램프 소켓(1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11을 통해서 하도록 한다.
램프(150)는 램프 소켓(120)과 결합된다. 램프(150)는 바닥판(150)의 상부에 정렬된다. 예를 들어 램프(150)는 제 1측벽(111) 및 제 2측벽(113)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램프(150)는 램프 바디(151)와 램프 전극(155)을 포함한다. 램프 바디(151)는 원통형상일 수 있으며, 내부에 방전가스가 주입된다. 램프 전극(155)은 램프 바디(151)의 단부에 구비된다. 램프 전극(155)은 램프 바디(151)의 내부에 구비된 방전 전극 및 이와 연결되어 램프 바디(151) 외부로 노출되는 리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램프 전극(155)는 램프 바디(151)의 단부를 덮는 외부 전극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램프 소켓 가이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소켓 가이드(160)는 판 형태일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소켓 고정부(165)를 포함한다. 이때 소켓 고정부(165)는 바닥판(105)의 개구부(107)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소켓 고정부(165)에는 램프 소켓(120)을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램프 소켓(120)의 단자부(14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램프 소켓 가이드(160)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하여 형성된다. 이와 달리 복수의 소켓 고정부(165)는 서로 연결되어 램프 소켓 가이드(160) 전반에 걸쳐 형성된 하나의 길쭉한 직사각형 홀 형태일 수도 있다. 램프 소켓 가이드(160)는 제 1측벽(111)과 제 2측벽(113)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램프 소켓 가이드(160)은 바닥판(105)의 하면에 부착되어 램프 소켓(120)의 상부의 연결홀(135)은 바닥판(150)의 상부로 노출되고, 램프 소켓(120)의 하부의 인버터 수납 홀(131)은 바닥판(150) 하부에 구비되는 램프 소켓 가이드(160)의 하부로 노출된다.
반사시트(109)는 바닥판(105)의 상면에 놓여 램프(150)에서 하부로 출사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시킨다. 반사시트(109)의 단부는 접어올려져서 수납 용기(110)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인버터 기판(170)은 바닥판(105)의 하부에 구비되며, 램프 구동 전류를 생성한다. 인버터 기판(170)은 인버터 회로 및 상기 인버터 회로가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인버터 기판(170)의 일 측면은 램프 소켓(120)의 인버터 수납 홀(131)에 삽입된다. 상기 인버터 수납 홀(131)에 삽입되는 인버터 기판(170)의 일 측면은 각각의 인버터 수납 홀(13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돌출 연장되어 상기 측면은 돌출부와 홈부가 교차로 배치되는 노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인버터 수납 홀(131)에 삽입되는 인버터 기판(170)의 돌출부에는 인버터 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아웃 단자(173)가 노출되어 인버터 수납 홀(131)에 구비되는 단자부(150)의 인버터 연결 단자(148)와 접촉한다. 인버터 기판(17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 및 전자기적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호 케이스(175)로 둘러싸일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80)은 각각 수납 용기(110)의 제 1 및 제 2측벽(111,11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램프 소켓(120)의 상부를 덮는다.
광 가이드 유닛(210)은 램프(150)로부터 생성되는 광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구비되며, 확산 판(211), 확산 시트(213) 그리고, 프리즘 시트(213)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210)은 사이트 프레임(180) 또는 수납 용기(110)의 측벽들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미들 프레임(230)은 광 가이드 유닛(210)의 주변부를 덮으며 수납 용기(110)와 결합된다.
표시 패널(250)은 제 1기판(251), 제 2기판(255)과 그 사이에 구비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50)은 연결 필름(258)을 통해 패널 인쇄 회로 기판(257)으로부터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받는다. 연결 필름(258)은 패널 인쇄 회로 기판(257)와 표시 패널(2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부 수납 프레임(270)는 수납 용기(110) 또는 미들 프레임(230)과 결합하여 수납 용기(110) 내부에 수납되는 부품들을 보호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자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자부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따르면, 단자부(140)의 제 1연결 단자(141), 제 2연결 단자(145) 및 인버터 연결 단자(148)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체형 단자부(140)를 제작하는 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도성 물질 예를 들어 금속판을 각 연결단자(141,145,148)를 포함하는 단자부(150)의 펼친 그림에 대응하는 틀을 구비한 프레스 설비로 찍어내어 평평한 금속판 형태의 단자부(140)를 만든 후, 제1 연결 단자(141) 및/또는 제2 연결 단자(142)에 고정 돌기(143)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141, 142)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148)가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141, 14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금속판을 접어 단자부(140)의 형상을 완성한다.
한편, 전극 멈춤부(146)는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 사이의 공간에 램프 전극(155)이 내려올 때 램프 전극 고정 영역(142)를 벗어나지 않도록 램프 전극(155)을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극 멈춤부(146)의 상부에는 조립공정에서 램프 전극(155)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전극(155)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램프 전극(155)의 지름보다 폭이 큰 홈이 파여있다. 전극 멈춤부(146)는 플레이트 형태이며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의 내면과 수직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는 프레스 설비로 찍어낸 평평한 금속판 형태의 단자부(150)를 접어 제작하는 방식의 단자부(140)에서 각 연결 단자(141,145)의 면방향과 전극 멈춤부(146)의 면방향을 서로 교차시켜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 사이의 공간보다 전극 멈춤부(146)의 접촉부의 폭을 효과적으로 넓히는데 유리하다. 즉, 전극 멈춤부(146)가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을 키워 공정의 마진을 높일 수 있다.
고정 판(144)은 전극 멈춤부(146) 부의 앞에 배치되며, 소켓 하우징(130)에 형성된 고정 홈(132)에 끼워져 단자부(140)를 고정한다. 고정 판(144)은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제작되어, 램프 바디(151)와 간섭되지 않고 소켓 하우징(130)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하여 단자부(140)를 보다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140)에 가해지는 충격을 소켓 하우징(130)으로 분산시켜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단자부(140) 또는 램프(150)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고정 돌기(143)는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의 내면의 램프 전극 고정 영역(142)의 상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고정 돌기(143)는 램프 전극(155)이 전극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방지하며,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 사이의 영역에서 과도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소켓에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도 1의 램프 소켓에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램프 전극을 지지하고 잇는 도 6의 램프 소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따르면, 램프(150)는 백라이트 조립장치의 지그(2001)를 통해 램프 소켓(120)에 조립된다. 지그(2001)는 램프 전극(155)을 집은 상태에서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의 상부의 안쪽 면을 누른다.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 사이의 공간이 벌어져 두 단자의 내면이 마주보는 거리가 램프 전극(155)의 지름보다 커지면, 지그(2001)는 램프 전극(155)을 놓는다. 이때 램 프(150)는 램프 전극(155)이 전극 멈춤부(146)에 닿을 때까지 떨어진다.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의 상단을 누르고 있던 지그(2001)가 제거되면,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 사이의 공간이 다시 좁아져서 램프 전극(155)의 양 측면이 두 단자의 내면과 각각 접촉하게 되어 고정된다.
한편, 조립공정 또는 운반과정에서 표시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 램프 전극(155)은 단자부(140)로부터 빠지거나, 램프 전극(15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영역인 램프 전극 고정 영역(14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데, 전극 멈춤부(146)은 램프 전극(155)이 램프 전극 고정 영역(142)의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 돌기(143)는 램프 전극(155)이 램프 전극 고정 영역(142)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서 램프 전극(155)이 놓이는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램프 전극(155)의 가이드하기 위해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단차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차부만으로는 램프 전극(155)의 이탈을 방지하는 힘을 충분히 램프 전극(155)에 공급해주기 어렵다. 특히 단차부는 램프 전극(155)의 상부와 접촉 가능한 면적이 제한되므로, 램프 전극(155)이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막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램프 전극(155)이 램프 전극 고정 영역(142)의 상부영역 밖으로 이탈하게 되면 램프 바디(151)가 사이드 프레임(도 2의 180 참조)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램프 바디(151)의 열이 사이드 프레임(180)으로 직접 전달되므로, 사이트 프레임(180)이 녹을 수 있다. 또한 램프 바디(151)에서 사이드 프레임(180)에 접촉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열 분포 특성이 현저히 떨어져 발광 특성 불량 또는 중앙부와 상기 접촉영역과의 온도차에 의한 램프 바디(151) 파손불량 등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소켓(120)의 고정 돌기(143)은 램프 전극(155)의 상부면에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램프 전극(155)을 램프 전극 고정 영역(142)의 상부방향으로 이탈하도록 하는 힘이 가해질 경우 고정 돌기(143)는 제 1 및 제 2연결 단자(141,145)에서 램프 전극(155)의 상부에 접촉하는 영역을 보다 많이 제공함으로써 상기 상부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저항하는 힘을 램프 전극(155)에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고정 돌기(143)는 램프 전극(155)이 램프 전극 고정 영역(142)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소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소켓의 단자부 및 이에 지지되는 램프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자부의 연결 단자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따르면, 고정 돌기들(143a, 143b)은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141, 145)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 1연결 단자(141)에 형성된 고정 돌기(143a)는 제 1연결 단자의 외면(141a)을 눌러찍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고정 돌기(143a)는 외면(141a)를 눌러찍어 형성하였기 때문에, 내면쪽으로는 고정 돌기(143a)가 형성되는 반면, 외면(141a)쪽으로는 오목한 홈(143c)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 돌기(143a)는 반구형상, 프리즘 형상 또는 피라미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돌기(143a)는 램프 전극(155)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저항하는 힘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램프 전극(155)의 상부면에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143a)가 반구형상을 가질 경우 고정돌기(143a)는 상부와 하부의 곡률이 서로 다르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램프 전극(155)의 상면에 접하는 고정돌기(143a)의 하부의 곡률이 높을수록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힘을 램프 전극(155)에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돌기(143a) 하부의 곡률이 고정 돌기(143a) 상부의 곡률보다 높은 것이 좋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상부의 면적이 하부의 면적보다 더 커지며 상부의 넓은 면적이 램프 전극(155)과 접촉하는 고정 돌기(143a)의 하부가 받는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고정 돌기(143a)가 하부를 향하는 제 1경사면과 상부를 향하는 제 2경사면을 가지는 프리즘형상일 경우, 램프 전극(155)의 상면에 접하는 제 1경사면의 경사가 가파를수록 효과적으로 램프 전극(155)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 2경사면은 제 1경사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낮은 경사를 갖도록 하여 제 1경사면이 받는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소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소켓의 단자부 및 이에 지지되는 램프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자부의 연결 단자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따르면, 고정 돌기(143)는 제 1연결 단자(141)의 내면으로부터 제 2연결 단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43e)와 절곡부(143e)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부(143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돌기(143)는 제 1연결 단자(141)에서 돌기부(143d)에 대응되는 영역을 절단한 후, 돌기부(143d)가 비스듬하게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부(143e)를 비스듬하게 접어 형성할 수 있다. 절곡부(143e)가 하부 방향으로부터 90도로 경사질 경우 하부에서 상부로 힘이 가해질 경우 상부방향으로 쉽게 접힐 수 있으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질 경우 램프 전극(155)이 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쉽게 이동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램프 전극(155)을 고정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고정 돌기(143)는 돌기부(143d)에 대응되는 영역을 절단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외면쪽으로는 개구부(143f)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I-I' 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램프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자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자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램프 소켓에 램프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램프 전극을 고정하고 있는 도 6의 램프 소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소켓의 단자부 및 이에 고정되는 램프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자부의연결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소켓의 단자부 및 이에 고정되는 램프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자부의 연결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0 : 표시 장치 수납 용기 1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110 : 수납 용기 120 : 램프 소켓
130 : 램프 소켓 하우징 140 : 단자부
141 : 제 1연결 단자 145 : 제 2연결 단자
146 : 전극 멈춤부 148 : 인버터 연결 단자
150 : 램프 151 : 램프 바디
155 : 램프 전극 160 : 램프 소켓 가이드
170 : 인버터 기판 180 : 사이드 프레임
210 : 광 가이드 유닛 230 : 미들 프레임
250 : 표시 패널

Claims (25)

  1. 상단이 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연결 단자;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마주보며, 상단이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된 제 2 연결 단자;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바라보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돌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버터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램프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바라보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2 연결 단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램프 소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하부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램프 소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향하며, 상기 내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연결 단자의 타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고정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 도록 오목하게 파인 램프 소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하부를 향하며 제 1 곡률을 가지는 제 1 곡면과, 상부를 향하며 제 2 곡률을 가지는 제 2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곡률은 상기 제 1 곡률보다 작은 램프 소켓.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하부를 향하는 제 1 경사면과 상부를 향하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에 대한 상기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의 경사도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의 경사도는 상기 제 2 경사면의 경사도보다 가파른 램프 소켓.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와 일체로 형성된 램프 소켓.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극 멈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 멈춤부는 상기 제 1 단자의 내면과 수직한 평면을 포함하는 램프 소켓.
  9.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홀 및 상기 연결 홀 과 연결된 인버터 수납 홀을 포함하는 소켓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는 상기 연결 홀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는 상기 인버터 수납 홀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램프 소켓.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멈춤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의 반대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소켓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램프 소켓.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전극 멈춤부 및 상기 고정판은 각각 상부 방향으로 개구된 홈을 포함하는 램프 소켓.
  12.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바닥 판과 상기 바닥 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램프 바디와 상기 램프 바디의 일단에 형성된 전극 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
    상단이 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연결 단자,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마주보며 상단이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된 제 2 연결 단자,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바라보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돌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버터 연결 단자를 포함 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판의 복수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램프 소켓; 및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와 결합되며 램프 구동 전류를 상기 단자부에 공급하는 인버터 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바라보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연결 단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항하며, 상기 내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연결 단자의 타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고정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파인 백라이트 어셈블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와 일체로 형성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극 멈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 멈춤부는 상기 제 1 단자의 내면과 수직한 평면을 포함하는 백라 이트 어셈블리.
  17. 제 12 항에 있어서, 연결 홀 및 상기 연결 홀과 연결돤 인버터 수납 홀을 포함하는 램프 소켓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는 상기 연결 홀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는 상기 인버터 수납 홀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에 결합되며 상기 램프 복수의 램프 소켓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램프 소켓 고정홈을 포함하는 램프 소켓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기판은 상기 인버터 수납 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0.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바닥 판과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 용기;
    램프 바디와 상기 램프 바디의 일단에 형성된 전극 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
    상단이 일 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연결 단자,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마주보며 상단이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절곡된 제 2 연결 단자, 상기 제 2 연결 단자를 바라보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돌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인버터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판의 복수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램프 소켓;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와 결합되며 램프 구동 전류를 상기 단자부에 공급하는 인버터 기판;
    상기 복수의 램프 소켓의 상부를 커버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에 놓이는 복수의 광 가이드 유닛;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 유닛의 상부에 놓이는 미들 프레임; 및
    상기 미들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을 고정하고 상기 광원에 전류를 공급하는 소켓의 제조방법으로서,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 및 인버터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의 펼친 그림에 대응하는 금속 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결 단자에 고정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인버터 연결 단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단자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금속 판을 접어 단자부의 형상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램프 소켓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램프 소켓의 제조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에서 상기 고정 돌기의 돌기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돌기부가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상기 절곡부를 비스듬하게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램프 소켓의 제조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일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연결 단자의 타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고정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파인 램프 소켓의 제조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타면에서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제 1 연결 단자의 일면 방향으로 눌러찍어서 형성하는 램프 소켓의 제조방법.
KR1020090009340A 2009-02-05 2009-02-05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 KR101503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40A KR101503695B1 (ko) 2009-02-05 2009-02-05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
US12/652,696 US8596851B2 (en) 2009-02-05 2010-01-05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40A KR101503695B1 (ko) 2009-02-05 2009-02-05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66A true KR20100090066A (ko) 2010-08-13
KR101503695B1 KR101503695B1 (ko) 2015-03-19

Family

ID=4239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340A KR101503695B1 (ko) 2009-02-05 2009-02-05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96851B2 (ko)
KR (1) KR101503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7374A (zh) * 2021-03-01 2021-06-25 中国农业大学 一种高危环境下的进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023B1 (ko) * 2007-08-17 2013-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
KR20110111029A (ko) * 2010-04-02 2011-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101803477B1 (ko) * 2011-02-11 2017-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인가 모듈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
WO2013047463A1 (ja) * 2011-09-30 2013-04-04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GB2495355B (en) * 2012-07-02 2013-08-28 Gew Ec Ltd Ink curing apparatus
FR3022610B1 (fr) * 2014-06-18 2016-07-15 Sidel Participations Dispositif de chauffage comportant une lampe montee de maniere amovible sur un reflecteur associe
KR102581708B1 (ko) * 2016-01-08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1706838A (zh) * 2020-05-28 2020-09-25 赛尔富电子有限公司 一种插接结构以及采用该插接结构的灯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6494B (en) * 2003-12-03 2005-01-11 Quanta Display Inc Back-light module
KR101193686B1 (ko) * 2005-08-29 2012-10-22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255545B1 (ko) 2006-01-24 2013-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지지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액정 표시 장치
KR100692962B1 (ko) 2006-03-03 2007-03-1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엘시디 램프 장착용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소켓
JP2007323924A (ja) * 2006-05-31 2007-12-13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及び蛍光管の取付方法
JP4152425B2 (ja) * 2006-06-27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208726B1 (ko) * 2006-09-28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와램프 모듈의 조립방법
KR101235290B1 (ko) 2006-10-31 2013-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80063981A (ko) * 2007-01-03 2008-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표시 장치
EP2012176A1 (en) * 2007-07-02 2009-01-07 Hee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nection apparatus of direct type backlight unit
KR100975910B1 (ko) * 2007-07-02 2010-08-13 희성전자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장치의 전원접속장치
KR101334023B1 (ko) * 2007-08-17 2013-1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7374A (zh) * 2021-03-01 2021-06-25 中国农业大学 一种高危环境下的进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96851B2 (en) 2013-12-03
US20100195312A1 (en) 2010-08-05
KR101503695B1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0066A (ko)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
KR101318251B1 (ko) 일체형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KR100818510B1 (ko) Blu용 pcb커넥터 및 이를 사용하는 샤시
KR101294012B1 (ko) 램프홀더, 전원공급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JP5190584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CN101488633B (zh) 灯插座以及具有该灯插座的背光组件和显示装置
JP5412664B2 (ja) ランプソケットと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の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を有する表示装置、並びにランプ接続端子の製造方法
EP1906493B1 (en) Display device having a lamp socket
US20060279957A1 (en) Lamp, lamp holder, power supply modul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power supply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power supply module
US20100008065A1 (en) Backlight assembly and connector used therefor
JP5089350B2 (ja) パック電池
KR101419459B1 (ko)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듈 및 모듈에 포함되는 커넥터
JP2012033456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US8337042B2 (en) Liquid crystal module
EP2149814B1 (en) Light supplying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081261A (ko) 램프홀더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719304B1 (ko) 조명 엘리먼트
KR101389564B1 (ko) 소켓용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전구
KR101007047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0950674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1239640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CN202813261U (zh) Led组件的连接器
TWI426660B (zh) 連接器、背光模組及其組裝方法及顯示裝置及其組裝方法
KR20110111029A (ko)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180019986A (ko) 백라이트용 엘이디모듈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