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416B1 -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 Google Patents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416B1
KR101826416B1 KR1020160042254A KR20160042254A KR101826416B1 KR 101826416 B1 KR101826416 B1 KR 101826416B1 KR 1020160042254 A KR1020160042254 A KR 1020160042254A KR 20160042254 A KR20160042254 A KR 20160042254A KR 101826416 B1 KR101826416 B1 KR 101826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od
drying
ai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756A (ko
Inventor
전창덕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2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41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5/00Fruit or potato storage cabinets, racks or tray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켜 식품을 저온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식품을 제습 및 건조할 수 있는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및 그 운용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건조실에 수용되어 공기의 속도를 높여 식품을 제습 및 건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케이지로서, 상기 건조실에 수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이 부분적으로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이 이동되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식품이 배치되도록 복층으로 형성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타측에는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Removable cage for food drying and Drying of the operat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가 구비된 건조실의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 환경에서 식품을 제습 및 건조할 수 있는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가 구비된 건조실의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건조기는 음식재료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건조하는 것으로 과일 스낵, 과일 젤리, 야채시리얼, 선식, 천연 조미료 뿐만 아니라, 애완견을 위한 닭고기, 육포 등을 건조하는 기기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례로, 식품건조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의 식품건조기는 식품(건조대상물)의 냉각 및 가열이 모두 가능하도록 냉동시스템 및 히터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단독 운전이 가능하고, 캐비넷 벽을 통한 열의 유출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벽에 단열재를 삽입하며, 외부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견고하게 제작한다.
하지만, 냉각능력과 가열능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급기 및 배기량, 즉 공기 속도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온도차를 이용한 식품건조기는 효과적이나 제품 가격이 고가이며, 제품을 담아 건조 시킬 수 있는 용적이 작아 한꺼번에 많은 양을 건조할 수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 도 1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단점인 생산성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식품이 적재된 대차를 건조실에 다량으로 넣고 건조가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공조 공기를 제어함으로서 생산성을 높인다.
그러나 고온 건조의 경우에는 효과적이나 저온 조건의 경우에는 건조실 습공기의 포화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건조가 효과적이지 않다.
한편, 도 2의 식품건조기는 저온 조건에서와 같이, 공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효과적인 제습방법은 공기의 속도를 높여 대류열전달계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다른 예의 식품건조기는 넓은 공간에서 식품(건조대상물)과 접촉하는 공기의 속도를 높이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온 조건의 건조실 공간에서 식품(건조대상물)과 접촉하는 공기의 속도를 집중적으로 높여 대류열전달계수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킴으로서 저온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식품을 제습, 건조할 수 있는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가 구비된 건조실의 운용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는,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건조실에 수용되어 공기의 속도를 높여 식품을 제습 및 건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케이지로서, 상기 건조실에 수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이 부분적으로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이 이동되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식품이 배치되도록 복층으로 형성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타측에는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는,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건조실에 수용되어 공기의 속도를 높여 식품을 제습 및 건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케이지로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이 부분적으로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이 이동되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식품이 배치되도록 복층으로 형성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양측에는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는,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건조실에 수용되어 공기의 속도를 높여 식품을 제습 및 건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케이지로서,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이 부분적으로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이 이동되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식품이 배치되도록 복층으로 형성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하측 둘레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 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커버는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다수개의 제1 프레임과 연결 할때,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과 다른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이 결합되어 하나의 제1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다수개의 제1 프레임과 연결 할때, 자성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성은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아크릴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 및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커버는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가 구비된 건조실의 운용시스템은,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및 유속을 제어하는 운용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온도, 습도 및 유속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처리하고 온도, 습도 및 유속의 설정 값이 지정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상기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와 연결되어 외부 또는 내부로 정보를 전달받도록 형성된 네트워크; 및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온도, 습도 및 유속을 수치로 확인 가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값을 기입하여 상기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에 전송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는 상기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항온항습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는 상기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에서 발생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 습도 및 유속을 확인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온도, 습도 및 유속을 설정 값을 기입하는 입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에 의하면, 저온의 환경에서 식품을 건조시키기 때문에 중량 및 영양소 손실을 최소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에 송풍기가 결합되어 공기의 유속을 조절하여 저온의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가 이동되는 방향을 조절하도록 제1 프레임에 커버가 힌지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실에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가 수용되어 저온의 환경에서 신속하고 집중적으로 공기가 이동되어 식품을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간 결합이 가능하여 다양한 유닛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많은 양의 식품을 한번에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사용하여 공기의 온도나 습도 또는 유속에 대한 설정 값을 입력하고, 입력된 설정된 값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가 구비된 건조실에 전달하여, 그 설정 값에 맞게 건조실을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례로 식품 건조기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 식품 건조실의 구성 및 운전 방법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3에 따른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인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가 구비된 건조실의 운용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의 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는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부(110)는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111)과, 상기 제1 프레임(111)이 부분적으로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커버(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1)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프레임(111)을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형성됨은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우수하고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표준화되어 경하중의 선반은 물론 중하중의 기계장치 프레임에 이르기까지 활용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프레임(111)에 사용되기 적합하다.
상기 제1 프레임(111)의 형상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프레임(111)의 내측에는 후술할 상기 제2 바디부(120)가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는 상기 제1 프레임(111)간 결합을 위해 자석(Magnetic 이하'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M)은 자성을 지닌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일면에 결합되어 또 다른 상기 제1 프레임(111)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111)의 하측면에는 이동수단(113)이 구비되어 상기 제1 프레임(111)이 이동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이동수단(113)은 상기 제1 프레임(111)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대(미도시)와, 상기 지지대에 축고정되어 회전하는 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미도시)는 상기 롤러(미도시)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111)에 피봇결합된다.
상기 롤러(미도시)에는 상기 롤러(미도시)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2)는 상기 프레임(111)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 커버(112a)와, 상기 프레임(111)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커버(112b), 및 상기 프레임(111)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11)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S1)를 통해 공기(F)가 유입되어 상기 프레임(111)의 타측으로 상기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S2)가 형성된 제3 커버(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12)는 상기 프레임(111)에 힌지(Hinge)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2)가 상기 프레임(111)에 힌지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바디부(110)가 일부 또는 전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공기(F)가 이동되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상기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를 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커버(112a)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되, 합성수지 중 아크릴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112b)는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금속재질 중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커버(112a)와 같이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2 커버(112b)는 상기 제1 프레임(111)의 하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2 커버(112b)는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상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 바디부(120)가 상기 제1 프레임(1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커버(112b)에 지지될 때, 하중에 의해 상기 합성주지 재질의 상기 제2 커버(112b)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 커버(112c)는 상기 제1 프레임(111)의 타측에 결합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커버(112c)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2 커버(112b)와 동일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S2)는 상기 유입구(S1)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킨다.
상기 제2 바디부(12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개로 형성된 제2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1)에 결합되어 식품(1)이 배치되는 트레이(122)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프레임(121)은 상기 제1 프레임(111)과 동일한 재질로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121)의 내부로 상기 트레이(122)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121)의 하측면에는 상기 제2 프레임(121)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11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113)은 상기 제1 프레임(111)에 결합된 상기 이동수단(113)에 전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트레이(122)는 상기 식품(1)을 담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F)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플레이트(Plate)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호간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상기 공기(F)가 유입되도록 유입구(S1)가 형성되고, 상기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의 타측에는 상기 공기(F)가 배출되도록 배출구(S2)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F)가 상기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11)에는 상기 자석(M)이 결합되어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1 프레임(111)간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S2)는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공기(F')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유입구(S1) 보다 좁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는 상기 제1 바디부(110) 및 상기 제2 바디부(1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111) 및 상기 제2 프레임(121)의 하측면에 각각 상기 이동수단(113)이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200)는 제1 바디부(210)와, 제2 바디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210)에 결합되는 송풍기(230)를 더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와 비교하여, 배출구(S2)의 형상이 상이하고, 상기 제1 바디부(210)에 결합되는 송풍기(230)의 기능을 더 부가하였다.
상기 제1 바디부(210)는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211)과, 상기 제1 프레임(211)이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커버(2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211)의 형상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프레임(211)의 내측에는 상기 제2 바디부(220)가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212)는 상기 제1 프레임(211)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211)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S1)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F)가 배출되는 배출구(S2)가 형성된 제1 커버(212a)와, 상기 제1 프레임(211)의 상기 제1 프레임(211)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커버(212b)와, 상기 제1 프레임(211)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 커버(212c)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S2)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212a)의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212a)에는 상기 공기(F)가 상기 배출구(S2)로 배출되는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송풍기(230)가 결합되고, 상기 송풍기(230)는 상기 배출구(S2)가 형성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S1)를 통해 상기 공기(F)가 유입되고, 상기 공기(F)는 상기 배출구(S2)로 이동되며, 상기 배출구(S2)에 배치된 상기 송풍기(230)를 통해 신속하게 상기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200)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 6 내지 도 7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200)는 기술구성, 형상 및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를 토대로 전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300)는 제1 바디부(310)와, 제2 바디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310)에 결합되는 송풍기(330)를 더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9에 따른 제3 실시예에 따른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300)는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와, 도 6 내지 도 7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200)와 비교하여, 유입구(S1)와 배출구(S2) 및 송풍기(330)의 형상만 상이하다.
상기 제1 바디부(310)는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311)과, 상기 제1 프레임(311)이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커버(3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311)의 형상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프레임(311)의 내측에는 상기 제2 바디부(320)가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312)는 상기 제1 프레임(311)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 커버(312a)와, 상기 제1 프레임(311)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커버(312b)와, 상기 제1 프레임(311)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는 제3 커버(312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3 커버(312a,312c)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F)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S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312b)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F)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S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311)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제2 커버(312b)에는 상기 공기(F)가 상기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300)에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송풍기(330)가 결합된다.
상기 도 8 내지 도 9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300)는 기술구성, 형상 및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와, 도 6 내지 도 7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200)를 토대로 전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가 구비된 건조실의 운용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의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D)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및 유속을 제어하는 운용시스템으로서, 건조실(D)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와, 네트워크와,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는 상기 건조실(D)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건조실(D)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온도, 습도 및 유속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처리하고 온도, 습도 및 유속의 설정 값이 지정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는 상기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항온항습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항온항습기는 설정된 온도 및 습도에 맞게 구동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건조실(D)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에 결합되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및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 및 유속센서는 상기 공기의 상태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급기구(A) 및 배기구(N)에 인접한 상기 건조실(D)의 일면과, 상기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의 유입구(S1) 및 배출구(S2)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 및 유속센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공기의 와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단말장치에서 전달된 설정 값을 처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처리부는 상기 단말장치에서 전달된 설정 값에 맞게 상기 복합항온항습기가 구동되어 상기 건조실(D) 및 상기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건조실(D)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와 연결되어 외부 또는 내부로 정보를 전달받도록 형성된다.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건조실(D) 및 상기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와 상기 단말장치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설정된 주파수나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서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실(D)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의 온도, 습도 및 유속을 수치로 확인 가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값을 기입하여 상기 건조실(D)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에는 상기 건조실(D)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에서 발생되는 상기 공기의 온도, 습도 및 유속을 확인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건조실(D) 및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100)의 온도, 습도 및 유속을 설정 값을 기입하는 입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급기구 N:배기구
D:건조실 S1:유입구
S2:배출구 F:공기
1:식품 M:자석
100,200,300: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110,210,310:제1 바디부 111,211,311:제1 프레임
112,212,312:커버 113,213,313:이동수단
120,220,320:제1 바디부
121,221,321:제2 프레임 122,222,322:트레이
230,330:송풍기

Claims (14)

  1.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된 건조실에 수용되어 공기의 속도를 높여 식품을 제습 및 건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케이지로서,
    상기 건조실에 수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이 부분적으로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이 이동되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수개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어 식품이 배치되도록 복층으로 형성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4측면과 하면 중 어느 일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바디부의 또 다른 일면에는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1프레임은 다수개의 제1프레임과 연결 할때,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과 다른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이 결합되어 하나의 제1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아크릴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 및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커버는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커버는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다수개의 제1 프레임과 연결 할때, 자성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성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42254A 2016-04-06 2016-04-06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KR101826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54A KR101826416B1 (ko) 2016-04-06 2016-04-06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54A KR101826416B1 (ko) 2016-04-06 2016-04-06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756A KR20170114756A (ko) 2017-10-16
KR101826416B1 true KR101826416B1 (ko) 2018-02-07

Family

ID=6029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254A KR101826416B1 (ko) 2016-04-06 2016-04-06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4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736B1 (ko) * 2018-01-08 2019-06-14 임성혁 예냉 제습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1398A1 (en) 2002-08-13 2004-02-19 Jiang Qi Fen Food drying machine
KR100838479B1 (ko) * 2007-11-27 2008-06-16 송종명 이동식 예건장치
KR101506845B1 (ko) * 2014-09-15 2015-03-30 이민우 농수산물 진공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1398A1 (en) 2002-08-13 2004-02-19 Jiang Qi Fen Food drying machine
KR100838479B1 (ko) * 2007-11-27 2008-06-16 송종명 이동식 예건장치
KR101506845B1 (ko) * 2014-09-15 2015-03-30 이민우 농수산물 진공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756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403882U (zh) 振动托盘、测试控制器、振动腔室、测试系统及多室测试系统
JP7486524B2 (ja) 高密度屋内農業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210088279A1 (en) Vibratory Fluidized Bed Dryer
US86160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control of a multiple chamber test system
KR101826416B1 (ko) 식품 건조용 이동식 케이지
JP2006101752A (ja) 干し柿の製造装置
US84850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control of a multiple chamber test system
KR20170140905A (ko) 멀티존 온도균일제어형 농산물 건조장치
KR101293808B1 (ko) 녹차와 발효차 스테인레스 건조기
JP6681677B2 (ja) 熱風乾燥炉
US7565066B2 (en) Food transport containers
JP2017174533A (ja) 環境性能評価装置
JP7286562B2 (ja) 着脱式保温装置
JP3385878B2 (ja) ラック式乾燥機における送風量制御装置
JPH04184079A (ja) 乾燥装置
US9986753B2 (en) Quad apparatus, method and system
KR101772383B1 (ko) 4면 열풍 전기건조기
KR100873942B1 (ko) 식품 건조기
CN210921996U (zh) 一种便携式除湿电热恒温干燥箱
JP2823404B2 (ja) 穀物貯蔵装置
FI106981B (fi) Temperointi-, kohmetus- ja pakastushuonejärjestely
KR101771791B1 (ko) 다목적 혼합 건조기
US10356953B2 (en) Booth apparatus for supplying cooling air
KR101989736B1 (ko) 예냉 제습장치
JP2018087661A (ja) エア循環式乾燥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