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942B1 - 식품 건조기 - Google Patents

식품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942B1
KR100873942B1 KR1020070055536A KR20070055536A KR100873942B1 KR 100873942 B1 KR100873942 B1 KR 100873942B1 KR 1020070055536 A KR1020070055536 A KR 1020070055536A KR 20070055536 A KR20070055536 A KR 20070055536A KR 100873942 B1 KR100873942 B1 KR 100873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using
bucket
mot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592A (ko
Inventor
여라미
서이기
주성원
Original Assignee
여라미
서이기
주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라미, 서이기, 주성원 filed Critical 여라미
Priority to KR102007005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94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05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여름철의 다습한 작업환경하에서 제습을 실시한 건조 열풍을 공급하는 구조를 실현하므로서 영양소가 최소로 파괴되는 60도에서 고품질의 건조물(6) 생산과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를 개방하고 저부에는 드레인파이프(46)를 결합하는 본체(4); 상기 본체(4) 상부에 힌지(16)로 결합 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가스스프링(18)을 장착한 탑도어(14); 상기 본체(4)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를 개방 형성하면서 열풍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홀(10)을 형성한 버킷(8); 상기 버킷(8)의 타측 벽면에 설치되면서 본체(4)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는 진동자(12); 및 상기 본체(4)에 설치되어 버킷(8)측으로 열을 제공하는 열공급수단(20);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기, 냉동사이클, 열전소자, 히터, 증발기, 응축기

Description

식품 건조기{food dry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품건조기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다른 실시 예인 열풍 건조기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열공급수단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건조기 4:본체
6:건조물 8:버킷
10:홀 12:진동자
14:탑도어 16:힌지
18:가스스프링 20,50,80:열공급수단
22,52:브래킷 24,54,84:하우징
26,56,86:안내공 28,58,88:닥트
30:압축기 32:모세관
33:냉동사이클 34:증발기
36:응축기 38:컨트롤부
40,76,96:모터 42,78,98:팬
44:히터 46:드레인파이프
48:조작부 60:제1열전소자
62:제2열전소자 64,72,94:냉각부
66,70,96:가열부 68,74:방열핀
90:열전소자 92:지지판
본 발명은 식품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름철의 다습한 작업환경하에서 제습을 실시한 건조 열풍을 공급하는 구조를 실현하여 영양소가 최소로 파괴되는 60도에서 고품질의 건조물 생산과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한 식품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식품은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보관하기 쉽고, 또한 쉽게 부패하지 않으므로 유통기간이 길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관계로 많은 종류의 식품들이 건조처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건조되는 식품으로는 주로 과일이나 채소류(고추, 마늘, 무우, 당근, 버섯 등), 육류, 생선류 그리고 곡물류 등이 있고, 또한 그 이외에 한약재 등이 건조되어 유통되고 있다.
특히 건조식품을 만들때 주변의 작업환경은 건조율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는데,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건조율이 현격히 떨어지면서 건조시간이 많이 지체되어 건조식품의 불량률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계절적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건조기의 개량화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 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실용신안등록번호 제417227호 "원통형 식품건조기"를 도 1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싱(70)은 저부에 흡기구(71)를 형성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70) 내부에는 모터받침대(73)가 모터(74)를 장착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모터(74)의 외측에는 열선(77)을 장착한 열선지지대(7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선지지대(78) 외측에는 모터(74)에 결합된 팬(75)이 위치한다.
상기 케이싱(70) 상부에는 망판(84)을 저면에 구비하면서 중앙에 관통된 중앙통공(81b)을 형성한 건조대(83) 여러개가 분리 가능하게 중첩되어 설치된다.
상기 건조대(83) 상부에는 윗덮개(90)가 망형배기구(93b)를 형성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 도시된 제어부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열선(77)이 가열되면서 열을 제공하게 되고, 동시에 모터(74)가 작동하면서 팬(75)이 회전하며 열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열은 중첩된 건조대(83)의 망판(84)을 통과하면서 상부로 이동하여 건조물을 건조하게 된다.
이후로 열의 일부는 상부에서 다시 중앙통공(81b)을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한 후 재차 상부로 올라가면서 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되고, 또한 건조대(83)의 상부에 도달한 일부 열은 망형배기구(93b)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습한 공기가 제습되지 않고 열선(77)을 통과하면서 열풍형태로 건조대(83)에 공급되는데, 이로 인해 여름철의 경우 다습한 환경에서 건조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제습되지 않은 열풍의 공급으로 인해 건조율이 저하되면서 건조작업시간이 지체되는 결점을 지닌다.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달리 일반적 냉장고 구조를 가지는 본체에 설치되는 채반에 건조물을 넣고 열풍으로 건조작업을 실시할 경우, 공급되는 열풍 중 일부는 비워진 일부 채반으로 공급되면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인해 열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결점을 지닌다.
더욱이 건조물의 영양소 파괴를 줄이기 위해 낮은 온도인 60도에서 건조하고자 할 경우, 여름철의 다습한 환경하에서는 건조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어 건조시간이 상당히 지체되면서 건조물의 품질 또한 저하되는 결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는 여름철의 다습한 작업환경하에서 제습을 실시한 건조 열풍을 공급하는 구조를 실현하므로서 영양소가 최소로 파괴되는 60도에서 고품질의 건조물 생산과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상부를 개방하고 저부에는 드레인파이프를 결합하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힌지로 결합 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가스스프링을 장착한 탑도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를 개방 형성하면서 열풍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홀을 형성한 버킷; 상기 버킷의 타측 벽면에 설치되면서 본체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는 진동자;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버킷측으로 열을 제공하는 열공급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에서 살펴 보면, 먼저 건조기(2)를 구성하는 본체(4)가 상부를 개방하면서 구성되고, 본체(4)의 내부에는 건조물(6)이 담겨지는 버킷(8)이 상부를 개방 형성하면서 위치하며, 이러한 버킷(8)에는 담겨지는 건조물(6) 측으로 공급되는 열풍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 다수개의 홀(10)이 관통 형성된다.
전술한 버킷(8)의 타측 벽면에는 건조물(6)에 대하여 진동을 제공하므로서 열풍이 신속히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공극이 만들어지게 하는 진동자(12)가 설치되고, 이러한 진동자(12)는 본체(4)의 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된다.
전술한 본체(4)의 상부에는 개,폐역할을 하는 탑도어(14)가 위치하고, 탑도어(14)의 타측에는 회동중심을 이루는 힌지(16)가 결합 되면서 본체(4)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또한 탑도어(14)의 배면 타측에는 스무스(smooth)하게 작동될 수 있게 한 가스스프링(18)이 장착되고, 가스스프링(18)은 본체(4)의 내측 벽면상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본체(4)의 외부에는 버킷(8)측으로 열을 제공하는 열공급수단(20)이 설 치되는데, 열공급수단(20)에는 본체(4) 외부에 브래킷(22)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24)이 구성되고, 하우징(24)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안내공(26)이 관통 형성되며, 하우징(24) 하부에는 건조열의 공급통로인 닥트(28)가 연결되면서 본체(4)의 하부 타측에 관통 결합 된다.
전술한 하우징(24) 내부에는 건조열을 제공하는 열공급수단(20)으로서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냉동사이클(33)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냉동사이클(33)은 액체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30), 높은 온도 높은 압력의 기체 냉매가 통과하면서 열 교환하는 응축기(36), 높은 온도 높은 압력의 액체 냉매가 통과하면서 낮은 온도로 변환하는 모세관(32), 낮은 온도 낮은 압력의 액체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열 교환하는 증발기(34)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냉동사이클(33)을 구성하는 증발기(34)와 응축기(36)를 하우징(24) 내부에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또한 하우징(24)의 내부 일측에는 모터(40)가 팬(42)을 구비하면서 장착되는데, 이때 팬(42)은 응축기(36) 앞에 위치한다.
전술한 탑도어(14) 상에는 작동명령을 전달하는 컨트롤부(38)가 설치되면서 조작부(48)를 열결하고, 컨트롤부(38)는 모터(40)와 압축기(30)를 연결하며, 또한 컨트롤부(38)에는 건조물(6)에 대해 열을 보조적으로 제공하는 히터(44)가 연결되면서 탑도어(14)의 배면에 설치되는데, 이때 히터(44)는 버킷(8)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4)의 바닥에는 증발기(34)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파이프(46)가 설치되고, 본체(4)의 상부 측벽에는 건조물(6)로부터 증발한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 공기배출구(47)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탑도어(14)를 오프하면 가스스프링(18)에 의해 스무스하게 작용하면서 힌지(16)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본체(4)와 버킷(8)의 상부는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이후로 버킷(8)에 건조물(6)을 투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건조물(6)로는 주로 과일이나 채소류(고추, 마늘, 무우, 당근, 버섯 등), 육류, 생선류 그리고 곡물류 등이 투입되고, 또한 그 이외에 한약재 등이 투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물(6) 투입이 완료되면 탑도어(14)를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본체(4)의 상부를 닫고, 이후로 조작부(48)를 조작하면 컨트롤부(38)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모터(40)와 압축기(30)가 작동하면서 냉동사이클(33)을 구성하는 냉매가 순환하게 되며, 동시에 진동자(12)와 히터(44)가 작동하면서 버킷(8) 상부측으로 열을 제공하게 된다.
전술한 진동자(12)가 작동하면 버킷(8)내에 담겨진 건조물(6)은 아래에서 위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텀블링(tumbling) 하면서 버무려지는 형태로 섞이게 되는데, 이로 인해 건조물(6)의 공극률은 크게 되어 건조상태가 고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동사이클(33)이 작동하면 냉매는 압축기(30), 응축기(36), 모세관(32), 증발기(34) 순으로 이동하면서 순환하게 되는데, 이때 모터(40)에 의해 회전하는 팬(42)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안내공(26)을 통 해 하우징(24) 내부로 유입되면서 증발기(34), 응축기(36) 순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공기가 증발기(34)를 통과할 때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제습되면서 건조한 상태로 이동하여 응축기(36)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따라서 제습되어 건조한 상태로 변한 공기는 응축기(36)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열풍 형태로 닥트(28)를 따라 이동하여 본체(4) 내부로 공급되고, 동시에 제습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닥트(28)를 따라 본체(4)의 바닥으로 이동한 후 드레인파이프(4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로 공급되는 열풍은 버킷(8)의 하부에 도달하여 다수개의 홀(1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면서 건조물(6)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건조물(6)에 포함된 수분은 열풍에 의해 증발되어 수증기형태로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열풍은 건조물(6)을 통과할 때 열손실로 인해 온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면서 상부로 이동하여 탑도어(14)의 틈 사이로 일부가 빠져나가거나 공기배출구(47)로 빠져나가며, 또한 드레인파이프(46)를 통해 본체(4) 외부로 빠져나가기도 한다.
따라서 건조물(6)은 제습된 열풍에 의해 건조한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풍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버킷(8) 상부에 위치한 건조물(6)의 경우에는 낮은 온도의 열풍이 통과하는 관계로 건조상태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때 히터(44)로부터 제공되는 열이 버킷(8) 상부측으로 제공되므로 건조물(6)은 완전하게 건조된다.
더욱이 진동자(12)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에 의해 버킷(8)내에 담겨진 건조물(6)은 전체적으로 골고루 교반이 이루어지면서 간헐적으로 포함되는 수분이 분리 되는 관계로, 전술한 냉동사이클(33)로부터 제공되는 열풍과 히터(44)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해 건조가 신속히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건조물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로 하기 위한 온도인 60도에서 건조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특히 여름철의 다습한 상황에서 건조작업이 이루어질 때, 전술한 증발기(34)를 통한 제습된 열풍이 건조물(6)로 공급될 때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동시에 건조물(6)에 포함된 수분이 신속히 증발되므로 고품질의 건조물이 만들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른 방식으로서 본체(4)에 형성된 공기배출구(47)와 하우징(24)에 형성된 안내공(26) 사이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미 도시한 순환닥트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버킷(8)에 담겨진 건조물(6)을 통과하면서 습하여진 공기는 공기배출구(47)를 통하여 순환닥트를 통해 하우징(24)에 형성된 안내공(26)으로 유입되고, 이후로 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과정으로 이동하면서 순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 3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4) 외부에 설치되어 버킷(8)측으로 열을 제공하는 열공급수단(50)이 설치되는데, 열공급수단(50)에는 본체(4) 외부에 브래킷(52)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54)이 구성되고, 하우징(54)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안내공(56)이 형성되며, 하우징(54) 하부에는 건조열의 공급 통로인 닥트(58)가 연결되면서 본체(4)의 하부 타측에 관통 결합 된다.
전술한 하우징(54) 내부에는 건조열을 제공하는 열공급수단(50)으로서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제1,2열전소자(일명 냉,온반도체)(60,62)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데, 먼저 제1열전소자(60)를 구성하는 냉각부(60)는 하우징(54) 내부측으로 향하여 배치되고, 가열부(66)는 하우징(54) 외부에 위치하면서 방열핀(68)을 결합한다.
전술한 제1열전소자(60)와는 거리를 두고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제2열전소자(62)를 구성하는 가열부(70)는 하우징(54) 내부측으로 향하여 배치되고, 냉각부(72)는 하우징(54) 외부측으로 향하여 배치되면서 방열핀(74)을 결합한다.
또한 하우징(54)의 안내공(56)측에는 모터(76)가 팬(78)을 결합하면서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2열전소자(60,62)와 모터(76)는 컨트롤부(38)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버킷(8)에 건조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조작부(48)를 조정하여 컨트롤부(38)를 통해 작동명령을 전달하면, 진동자(12)와 모터(76)와 제1,2열전소자(60,62)가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1열전소자(60)는 냉각부(64)를 통하여 냉기를 하우징(54) 상부측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가열부(66)를 통해서는 열을 발산하여 방열핀(68)에 전달하므로서 대기로 방출한다.
이와 함께 제2열전소자(62)는 가열부(70)를 통하여 열을 제공하는 동시에 냉 각부(72)를 통하여서는 냉기를 발산하면서 방열핀(74)에 전달하여 대기로 방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76)에 의한 팬(78)의 회전으로 인해 안내공(56)을 통해 다습한 공기가 하우징(54) 내부로 유입되면서 제1열전소자(60)와 제2열전소자(6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다습한 공기는 제1열전소자(60)의 냉각부(64)를 통하여 제공되는 냉기에 의해 제습되므로서 건조한 상태가 되고, 제2열전소자(62)의 가열부(70)를 통하여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는 더운 공기가 되면서 열풍 형태로 변환하게 된다.
이후로 열풍은 닥트(58)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4) 내부로 공급되어 버킷(8)에 담겨진 건조물(6)을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다습한 공기가 제1열전소자(60)를 통과하면 제습되면서 응축수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응축수는 닥트(58)를 따라 이동하여 본체(4)로 유입된 후 드레인파이프(4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별도로 마련하는 공기배출구(47)를 통해 빠져나간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4에서 살펴 보면, 먼저 본체(4) 외측에 열공급수단(80)이 설치되는데, 열공급수단(80)에는 본체(4) 외부에 브래킷(52)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84)이 구성되고, 하우징(84) 상부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안내공(86)이 형성되며, 하우징(84) 하부에는 건조열의 공급 통로인 닥트(88)가 연결되면서 본체(4)의 하부 타측에 관통 결합 된다.
전술한 하우징(84) 내부에는 건조열을 제공하는 열공급수단(80)으로서 통상 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열전소자(9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열전소자(90)는 하우징(84) 내부 중간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판(92)에 장착된다.
이때 열전소자(90)를 구성하는 냉각부(94)는 지지판(92) 상부에 위치하여 다습한 공기에 대해 제습 역할을 하고, 가열부(96)는 지지판(92) 하부에 위치하여 건조한 공기에 대해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96)가 작동하면서 팬(98)을 회전시키면 안내공(86)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면서 열전소자(90)를 구성하는 냉각부(94)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다습한 공기는 제습이 이루어져 건조한 공기가 되고, 이후로 건조한 공기는 지지판(92) 아래에 위치한 가열부(96)를 지나면서 가열되어 열풍 형태로 닥트(88)를 통해 본체(4) 내부로 공급된다.
이후로 열풍은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름철의 다습한 작업환경하에서도 증발기(34) 또는 제1열전소자(60)의 냉각부(64)를 통해 제습을 실시한 후 열풍을 공급하는 구조이므로, 건조물(6)의 영양소가 최소로 파괴되는 60도에서도 건조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고품질의 건조물(6) 생산과 아울러 건조작업 시간의 단축을 실현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부를 개방하고 저부에는 드레인파이프를 결합하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힌지로 결합 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가스스프링을 장착한 탑도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를 개방 형성하면서 열풍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홀을 형성한 버킷;
    상기 버킷의 타측 벽면에 설치되면서 본체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는 진동자;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버킷측으로 열을 제공하는 열공급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식품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수단은
    본체 외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면서 본체의 측벽을 관통 결합하는 닥트;
    상기 하우징 내부벽에 고정 설치되면서 팬을 구비하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면서 모터 앞에 증발기와 응축기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압축기와 모세관을 구비하는 냉동사이클;
    상기 진동자, 압축기, 모터를 연결하면서 탑도어상에 설치되는 컨트롤부; 및
    상기 컨트롤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품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탑도어에 버킷 상부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는 컨트롤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품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수단은
    본체 외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면서 본체의 측벽을 관통 결합하는 닥트;
    상기 하우징 내부벽에 고정 설치되면서 팬을 구비하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면서 모터 앞에 설치되는 제1,2열전소자;
    상기 모터, 제1,2열전소자를 연결하면서 탑도어상에 설치되는 컨트롤부; 및
    상기 컨트롤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품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전소자는 냉각부가 하우징의 통로 측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열전소자는 가열부가 하우징의 통로 측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품 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수단은
    본체 외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면서 본체의 측벽을 관통 결합하는 닥트;
    상기 하우징 내부벽에 고정 설치되면서 팬을 구비하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부 중간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어 냉각부는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가열부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열전소자;
    상기 모터, 열전소자를 연결하는 컨트롤부; 및
    상기 컨트롤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품 건조기.
KR1020070055536A 2007-06-07 2007-06-07 식품 건조기 KR10087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536A KR100873942B1 (ko) 2007-06-07 2007-06-07 식품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536A KR100873942B1 (ko) 2007-06-07 2007-06-07 식품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592A KR20080107592A (ko) 2008-12-11
KR100873942B1 true KR100873942B1 (ko) 2008-12-15

Family

ID=4036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536A KR100873942B1 (ko) 2007-06-07 2007-06-07 식품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816B1 (ko) * 2019-06-20 2020-07-30 이명화 농산물 건조장치
KR102137811B1 (ko) * 2019-06-20 2020-07-24 이명화 농산물 건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139B1 (ko) 1999-11-26 2002-06-20 이종형 전열식 농산물 건조기
KR200360585Y1 (ko) 2004-06-16 2004-08-30 서노영 다목적 농산물 건조기의 제습장치
KR200362979Y1 (ko) 2004-03-18 2004-09-22 김한국 농수산물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139B1 (ko) 1999-11-26 2002-06-20 이종형 전열식 농산물 건조기
KR200362979Y1 (ko) 2004-03-18 2004-09-22 김한국 농수산물 건조기
KR200360585Y1 (ko) 2004-06-16 2004-08-30 서노영 다목적 농산물 건조기의 제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592A (ko)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897B1 (ko)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20100103499A (ko) 가열 및 탈습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89232A (ko) 건조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세탁 건조기
WO2006009774A3 (en) Low temperature clothes dryer
KR102368407B1 (ko) 농축수산물용 신선도유지를 위한 저장고 냉풍건조장치
KR100828142B1 (ko) 농수산물의 냉풍 건조장치
JP2006214612A (ja) 保存庫
KR20150040092A (ko)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KR20180064059A (ko) 냉동 및 온장고를 겸하는 냉풍건조장치
KR100873942B1 (ko) 식품 건조기
KR101638604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간접가열식 건조장치
KR20160065559A (ko) 건조장치
KR20180067069A (ko) 냉온풍 제습 건조기
JP2017501367A (ja) 食品乾燥機
US11713539B2 (en) Tumble dryer
KR101071808B1 (ko)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100741801B1 (ko) 에어컨 시스템의 응축열을 이용한 건조기 및 이를 구비한에어컨 시스템
KR101029596B1 (ko)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JP2008075987A (ja) 乾燥装置
KR101150837B1 (ko)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KR20120028415A (ko) 대형창고의 양방향 제습건조시스템
KR101310939B1 (ko) 저온건조 및 냉장 시스템
KR101795770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진공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KR20140104940A (ko) 축냉제습기
KR101581457B1 (ko) 균일한 건조가 가능한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