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823B1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823B1
KR101522823B1 KR1020140177182A KR20140177182A KR101522823B1 KR 101522823 B1 KR101522823 B1 KR 101522823B1 KR 1020140177182 A KR1020140177182 A KR 1020140177182A KR 20140177182 A KR20140177182 A KR 20140177182A KR 101522823 B1 KR101522823 B1 KR 101522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drying
discharge
drying cha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물산
Priority to KR102014017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하여 농수산물 등과 같은 피건조물을 고효율적으로 제습 건조할 수 있으며, UV자외선램프 및 음이온발생기를 이용하여 건조된 농산물을 살균시킬 수 있으며,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이 수납체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뒤집어지게 하여 상,하 모두를 균일하게 건조시킴으로써 건조효율 향상, 건조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장치{DRYER}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하여 농수산물 등과 같은 피건조물을 고효율적으로 제습 건조할 수 있으며, UV자외선램프 및 음이온발생기를 이용하여 건조된 농산물을 살균시킬 수 있으며,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고추 등의 농산물이나 어촌에서 어획된 생선 등의 수산물은 많은 수분함량을 갖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는 건조가 필수적이다.
즉, 각종 농수산물은 미생물의 증식이 용이하고 쉽게 부패되므로, 이러한 농수산물의 보존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농수산물을 일정 온도, 일정 시간으로 건조 가공해야 한다.
특히, 어획된 수산물의 경우에는 농산물보다 부패의 진행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어획된 수산물은 그 즉시 냉동시켜 보관한 상태로 이송하고, 가공 시 해동 및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보통 소량의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는 대부분 일정구역에 망체로 형성된 건조대를 설치한 후, 이렇게 설치된 건조대에 각종 농수산물을 진열하여 햇빛과 바람으로 자연 건조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자연 건조방법은 많은 점유면적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건조속도가 매우 느리고, 특히 눈이나 비가 내릴 경우에 농수산물을 신속하게 거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결국, 자연 건조방법은 기후적인 여건에 따라 많은 제약을 받아 농수산물의건조속도, 건조량, 건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등 생산성 저하 및 상품성 저하의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농촌에서 수확한 농산물, 고추, 벼 등과 어촌에서 어획되어 냉동된 생선 등을 건조하여 오랜 기간 보관과 이송 또는 건조식품으로 이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많은 양을 일률적으로 빠르게 건조할 수 있는 농수산물 건조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 제0419355호, 등록특허 제1317086호, 등록특허 제1302249호 등을 포함한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의 예시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들에서는 피건조물들이 다수 적층된 트레이(10) 상에 안착된 구조로 건조되었기 때문에 공조부(20)에서 생성된 열기가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못하여 건조효과가 떨어지고, 편 건조됨으로 인해 품질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부패되기도 하는 단점이 파생되었다.
이것은 자연대류의 법칙에 의해 고온의 열기는 상승하고, 찬 냉기는 바닥으로 이동하려는 성질 때문에 공급된 열기는 트레이(10)를 두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서서히 상승하게 되는데, 트레이(10)가 뒤집어질 수 없는 구조이므로 열기는 예시와 같이 상승하다가 일부가 측방으로 이동되면서 트레이(10)의 상측을 건존시키는 형태로 밖에 건조 작업이 진행되지 못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트레이(10)의 바닥면을 천공하여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기도 해 보지만 그 위에 안착된 피건조물을 완전히 관통하여 건조시킬 수는 없으므로 한계에 봉착해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트레이의 구조를 바꿔 피건조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하 혹은 앞,뒤가 반전되게 하여 피건조물 전체가 고르고 균일하게 건조되게 함으로써 건조효율도 향상시키고, 건조 품질도 증대시켜 고품질의 건조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UV자외선램프 및 음이온발생기를 이용하여 건조된 농산물을 살균시킬 수 있으며,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받침체와, 건조하우징을 포함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받침체의 하단 네모서리에는 높이조절대가 체결되고; 상기 받침체의 일측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체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이 건조된 후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와 간격을 두고 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의 끝단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램프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건조하우징은 피건조물을 회전시키면서 뒤집어 건조시키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로 열풍을 만들어 공급하는 공조실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이 밀착되는 면에는 각각 상측과 하측에 건조실과 공조실을 연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성하며; 상기 건조실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한 쌍의 제1,2체인컨베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1,2체인컨베어는 상,하에 각각 체인스프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스프라켓에는 체인이 감겨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체인스프라켓의 상단측의 각 축상에는 풀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임벨트가 풀리에 감겨 제1,2체인컨베어가 항상 동기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인스프라켓중 어느 하나에는 구동원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제어되며; 상기 체인은 체인핀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체인핀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ㄴ' 형상을 가지며, 상하측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1,2버켓이 고정되고; 상기 제1,2버켓에 재치되면서 피건조물을 수납하는 수납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수납대는 사각틀 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수납대프레임과, 상기 수납대프레임을 둘러 싸서 수납될 피건조물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중 수납대의 상면은 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연결된 자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버켓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는 상기 건조실의 일측면에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투입개폐문이 설치되고, 상기 투입개폐문은 투입실린더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입개폐문의 안쪽에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투입에어커튼팬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는 상기 건조실의 바닥면에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배출개폐문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개폐문은 배출실린더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개폐문의 안쪽에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배출에어커튼팬이 설치되어 배출개폐문을 열고 닫도록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제2체인컨베어의 하방에는 낙하되는 수납대를 받아 상기 배출유로로 안내하는 배출컨베어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로에는 피건조물의 살균을 위한 UV자외선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UV자외선램프 후단에 위치되며 관통된 다수의 음이온방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에 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발생기가 설치되되, 상기 음이온발생기에는 토르말린을 함유한 세라믹소재로 이루어지는 음이온발생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트레이는 상기 체인핀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체인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서 체인의 상사점에서 반전되며, 상기 제1,2체인컨베어의 상단 사이에는 반전에 의해 제1버켓으로부터 분리이탈된 수납대를 제2버켓으로 안내이송하는 반송판이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컨베어의 후단에는 수납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댐이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유로에 UV자외선램프를 설치하여 건조된 농산물을 깨끗하게 살균시킬 수 있으며, 음이온발생기를 이용하여 건조된 상태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건조물이 수납체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뒤집어지게 하여 상,하 모두를 균일하게 건조시킴으로써 건조효율 향상, 건조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균일 건조가 가능하고, 건조 품질이 향상됨으로 인해 건조 후 부패를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종래 구조에서는 건조실을 연 후 트레이에 피건조물을 전부 채운 다음에 건조실을 닫고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해야 하므로 열손실이 커 그 만큼 에너지 낭비가 심할 뿐만 아니라, 건조시간도 길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건조실은 건조실의 개폐시에도 열손실이 거의없고 순차 공급된 상태에서 서서히 회전하면서 건조되기 때문에 피건조물이 1회전하면 완전 건조될 수 있도록 회전속도의 세팅이 가능하여 에너지 절감은 물론 건조효율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즉, 종래 구조에서는 연속운전이 어려워 단속적인 운전만 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연속운전이 가능하여 매우 효율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장치의 개념을 보인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트레이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받침체(100)와 건조하우징(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체(100)는 설치면 상에 재치되어 안정적인 수평면을 제공하기 위한 사각통체로서, 필요한 경우 높이조절대(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대(102)는 볼트식으로 체결되어 풀고 조이는 방식에 의해 높이조절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체(100)의 일측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104)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체(10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이 건조된 후 배출되는 배출유로(106)가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104)의 인접측 받침체(100)의 일측면 상에는 램프(L)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로(106)의 끝단에는 감지센서(108), 바람직하게는 근접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108)는 도시생략한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피건조물이 완전 건조된 후 상기 배출유로(106)를 통해 배출되면 상기 감지센서(108)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컨트롤러는 램프(L)를 점등시켜 피건조물이 배출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도어(104)를 자동개폐가능하게 구동원을 연결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108)의 감지신호에 따라 도어(104)가 개방되므로 작업자는 피건조물을 쉽고 빠르게 꺼낼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하우징(110)은 피건조물을 회전시키면서 뒤집어 건조시키는 건조실(200)과, 상기 건조실(200)로 열풍을 만들어 공급하는 공조실(300)로 구획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실(200)과, 공조실(300)은 면접 밀착된 상태로 일측면이 마주보게 배치되며, 밀착된 면의 상측과 하측은 서로 연통되게 구멍이 뚫려 각각 공기흡입구(IN)와 공기배출구(OUT)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구(IN)는 건조실(200)의 열교환에 따라 온도강하된 공기가 공조실(300)로 흡입되는 통로이며, 상기 공기배출구(OUT)는 상기 공조실(300)에서 생성된 열풍이 건조실(200)로 배출 공급되는 통로이다.
또한, 상기 건조실(200) 내부에는 서로 평행하게 경사 배열된 한 쌍의 제1,2체인컨베어(CV1,CV2)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1,2체인컨베어(CV1,CV2)중 어느 하나에는 구동원인 모터가 연결되어 회전구동시킬 수 있으며, 스프라켓을 통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1,2체인컨베어(CV1,CV2)는 피건조물이 수납된 수납대(250, 도 4 참조)가 뒤집어질 수 있어야 하므로 서로 동기 속도로 움직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체인컨베어(CV1,CV2)의 상측 스프라켓 축에는 각각 풀리(PL)가 고정되고, 상기 풀리(PL)에는 타임벨트(TB)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체인컨베어(CV1,CV2)는 항상 동기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체인컨베어(CV1,CV2)의 회전되는 상사점에서 수납대(250)가 뒤집어질 때 상기 제1체인컨베어(CV1)의 제1버켓(BK1)으로부터 상기 제2체인컨베어(CV2)의 제2버켓(BK2)으로 원활하게 뒤집어지면서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상기 상기 제1,2체인컨베어(CV1,CV2)의 상단 사이에는 반송판(TR)이 경사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반송판(TR)의 양단에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성복귀 가능한 절첩구조를 만들어 제1,2버켓(BK1,BK2)과 충돌하더라도 각 버켓은 통과시키고 자신은 탄성변형되었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더욱 더 안정적인 반송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체인컨베어(CV2)의 하방 위치에는 낙하 배출되는 수납대(250)를 배출유로(106) 측으로 안내하는 배출컨베어(DC)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컨베어(DC)의 후단에는 수납대(25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댐(DAM)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2체인컨베어(CV1,CV2)는 도 2,3의 도시와 같이, 각각 상하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체인스프라켓(210,220)이 설치되고, 상기 체인스프라켓(210,220)에는 체인(230)이 감겨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체인스프라켓(210,220)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인 모터는 상술한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230)은 체인핀(232)에 의해 체결되는데, 특히 상기 체인(230) 중 일부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대략 'ㄴ' 형상의 제1,2버켓(BK1,BK2)이 고정된다.
상기 제1,2버켓(BK1,BK2)은 도시와 같이 체인핀(232)에 수직하게 견고히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기 때문에 체인(230)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게 되면 상기 제1,2버켓(BK1,BK2)도 자연스럽게 이를 따라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만약 상기 제1,2버켓(BK1,BK2)에 피건조물을 수납해 둔 상태라면 상기 피건조물은 체인(230)의 상사점을 기준으로 반전, 즉 뒤집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뒤집어진 피건조물은 반송판(TR)을 따라 하향 경사 이동한 후 제2버켓(BK2) 중 어느 하나로 안착되어 하향 이동한 다음 배출컨베어(DC)로 배출된다.
즉, 처음에는 제1체인컨베어(CV1)의 제1버켓(BR1)을 타고 수납대(250)가 상승하다가 제1체인컨베어(CV1)의 상사점에서 수납대(250)가 뒤집어지면서 좌측으로 떨어지는데, 그러면서 반송판(TR)을 타고 제2체인컨베어(CV2)의 제2버켓(BR2)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수납대(250)는 제1체인컨베어(CV1)를 타고 상승하다가, 그 정점에서 반전되어 제2체인컨베어(CV2)를 타고 하강하는 형태로 이송된다.
특히, 상기 제1,2버켓(BK1,BK2)은 상면 및 하면, 측면에 다수의 구멍(HA)이 뚫려 있어 건조실(200) 내부의 열기가 원활하게 상승하면서 대류하여 피건조물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2버켓(BK1,BK2)에 피건조물을 직접 개별단위로 넣게 되면 쏟아지는 등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도 4의 예시와 같은 수납대(250)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수납대(250)는 사각틀 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수납대프레임(252)과, 상기 수납대프레임(252)을 둘러 싸서 수납될 피건조물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254)과, 상기 그물망(254) 중 수납대(250)의 상면은 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연결된 자크(2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크(256)를 열고 수납대(250) 내부에 피건조물을 담은 상태에서 자크(256)를 닫게 되면 피건조물은 수납대(250) 상에 안전하게 수납된다.
특히, 그물망(254)이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통기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이탈되지는 않는 구조이다.
특히, 그물망(254)이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통기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이탈되지는 않는 구조이다. 또한, 수납대가 구멍이 있는 통기성 재료로 만들어서 피건조물이 구멍사이에 끼이게 되어 회전시 피건조물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수납대(250)는 다양한 높이로 제작될 수 있는데, 피건조물의 높이와 동일하게 만들 수 있으며, 피건조물의 높이보다 높게 만들 수 있다.
피건조물의 높이와 동일하게 만든 경우, 고추를 건조할 경우에는 고추를 수납대(250)에 눕혀 놓은 상태에서의 높이에 대응하게 수납대(25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납대(250)가 뒤집어져서 회전한 경우에도 수납대(250)에 포함된 피건조물들이 일측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건조물의 높이에 맞게 제작된 수납대에 피건조물이 눕힌 상태로 담겨도 피건조물들은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게 되고, 겹친 상태로 계속 건조가 되면 제대로 건조가 안된 부분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1체인컨베어(CV1)의 제1버켓(BR1)을 타고 수납대(250)가 상승하다가 제1체인컨베어(CV1)의 상사점에서 수납대(250)가 뒤집어지면서 수납대가 좌측으로 떨어지면서 반송판(TR)을 타고 제2체인컨베어(CV2)의 제2버켓(BR2)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 과정(수납대에 수납된 피건조물은 뒤집어지고 반송판(TR)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소 흔들리게 되면서 겹치는 부분이 바뀌게 되어서 전체적으로 피건조물이 균등하게 건조될 수 있다.
물론, 수납대가 구멍이 있는 통기성 재료로 만들어서 피건조물이 구멍사이에 끼이게 되어 회전시 피건조물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대(250)는 상기 제1,2버켓(BK1,BK2)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서로 대응되게 가공된다.
아울러, 상기 건조실(200)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버켓(BK1,BK2)과 마주보는 면 일부에는 투입구(260)가 마련되고, 상기 투입구(260)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투입개폐문(262)이 설치되며, 상기 투입개폐문(262)은 투입실린더(264)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투입개폐문(262)의 안쪽, 즉 건조실(200) 측에는 투입에어커튼팬(26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실린더(264) 및 상기 투입에어커튼팬(266)은 모두 상술한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투입개폐문(262)과 인접한 건조실(200)의 일측면 상에는 투입버튼(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투입버튼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투입버튼을 누르면 이를 신호로 받은 컨트롤러가 상기 투입에어커튼팬(266)을 가동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실린더(264)를 동작시켜 투입개폐문(262)을 열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에어커튼에 의해 건조실(200) 내부의 열기가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열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피건조물이 수납된 수납대(250)를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고 있는 다수의 제1,2버켓(BK1,BK2) 중 어느 하나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투입이 완료되면, 투입버튼을 다시 눌러 투입실린더(264)를 복귀시킴으로써 투입개폐문(262)이 닫히고, 그 후에 투입에어커튼팬(266)의 동작이 멈춘다.
이때, 상기 투입에어커튼팬(266)은 횡류팬, 즉 크로스플로우팬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구조로, 상기 건조실(200)의 하단면에도 배출개폐문(272), 배출실린더(274), 배출에어커튼팬(276)이 설치되어 건조실(200)의 열기 손실을 극소화시키면서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다른 한편, 상기 공조실(300)은 격벽(310)에 의해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어 상측 공기가 하측 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하측 공간으로는 오로지 송풍기(350)의 배출단을 통해서 공급되는 열풍만 공급되도록 완전히 분리 구성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출유로(106)에는 살균을 위한 UV자외선램프(UV)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건조된 피건조물의 표면에 곰팡이 등의 세균이 번식할 경우 세균의 세포를 파괴하여 살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UV자외선램프(UV)의 후단에는 음이온발생기(4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이온발생기(400)는 관통된 다수의 음이온방출구(420)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106)에 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발생기(400)에는 음이온발생소자(4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음이온발생소자(410)는 토르말린을 함유한 세라믹소재로 이루어지질 수 있으며, 여기서 발생한 음이온이 배출유로(106)에 위치하게 되어 건조된 상태 원형 그대로 보존할 수 있어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것은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조실(300)에는 열풍을 만들기 위해 이미 공지된 냉동싸이클을 그대로 이용하는데, 이를 테면 압축기(320) - 응축기(330) -팽창밸브(미도시) - 증발기(340) - 압축기(320)의 순서로 순환하면서 건조실(200)에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340)와 접촉하면서 제습되고, 응축기(330)에서 발생된 고온은 송풍기(350)로 흡입되어 열풍으로 만들어져 건조실(200)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열풍 온도가 일정온도, 예컨대 건조 적정온도인 27℃ 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강제 히팅하기 위해 히터(36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히터(360)의 위치는 공기배출구(OUT)에 가까운 위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회전시키면서 완전히 한 번 뒤집어 주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고, 건조시간도 단축시키며, 건조효율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무엇보다도, 종래 구조에서는 건조실을 연 후 트레이에 피건조물을 전부 채운 다음에 건조실을 닫고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해야 하므로 열손실이 커 그 만큼 에너지 낭비가 심할 뿐만 아니라, 건조시간도 길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건조실은 건조실의 개폐시에도 열손실이 거의없고 순차 공급된 상태에서 서서히 회전하면서 건조되기 때문에 피건조물이 1회전하면 완전 건조될 수 있도록 회전속도의 세팅이 가능하여 에너지 절감은 물론 건조효율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즉, 종래 구조에서는 연속운전이 어려워 단속적인 운전만 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연속운전이 가능하여 매우 효율적이다.
100: 받침체 110: 건조하우징
200: 건조실 300: 공조실

Claims (3)

  1. 받침체와, 상기 받침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건조하우징을 포함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받침체의 하단 네모서리에는 높이조절대가 체결되고; 상기 받침체의 일측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체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이 건조된 후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와 간격을 두고 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의 끝단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램프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건조하우징은 피건조물을 회전시키면서 뒤집어 건조시키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로 열풍을 만들어 공급하는 공조실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이 밀착되는 면에는 각각 상측과 하측에 건조실과 공조실을 연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성하며; 상기 건조실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한 쌍의 제1,2체인컨베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1,2체인컨베어는 상,하에 각각 체인스프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스프라켓에는 체인이 감겨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체인스프라켓의 상단측의 각 축상에는 풀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임벨트가 풀리에 감겨 제1,2체인컨베어가 항상 동기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인스프라켓중 어느 하나에는 구동원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제어되며; 상기 체인은 체인핀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체인핀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ㄴ' 형상을 가지며, 상하측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1,2버켓이 고정되고; 상기 제1,2버켓에 재치되면서 피건조물을 수납하는 수납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수납대는 사각틀 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수납대프레임과, 상기 수납대프레임을 둘러 싸서 수납될 피건조물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중 수납대의 상면은 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연결된 자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버켓중 어느 하나와 마주보는 상기 건조실의 일측면에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투입개폐문이 설치되고, 상기 투입개폐문은 투입실린더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입개폐문의 안쪽에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투입에어커튼팬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는 상기 건조실의 바닥면에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배출개폐문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개폐문은 배출실린더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개폐문의 안쪽에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배출에어커튼팬이 설치되어 배출개폐문을 열고 닫도록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제2체인컨베어의 하방에는 낙하되는 수납대를 받아 상기 배출유로로 안내하는 배출컨베이어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에는 살균을 위한 UV자외선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UV자외선램프 후단에 위치되며 관통된 다수의 음이온방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에 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발생기가 설치되되, 상기 음이온발생기에는 토르말린을 함유한 세라믹소재로 이루어지는 음이온발생소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버켓은 상기 체인핀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체인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서 체인의 상사점에서 반전되며, 상기 제1,2체인컨베어의 상단 사이에는 반전에 의해 제1버켓으로부터 분리이탈된 수납대를 제2버켓으로 안내이송하는 반송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후단에는 수납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KR1020140177182A 2014-12-10 2014-12-10 건조장치 KR101522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182A KR101522823B1 (ko) 2014-12-10 2014-12-10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182A KR101522823B1 (ko) 2014-12-10 2014-12-10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823B1 true KR101522823B1 (ko) 2015-05-27

Family

ID=5339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182A KR101522823B1 (ko) 2014-12-10 2014-12-10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8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627Y1 (ko) * 2000-07-28 2000-12-01 한성공업주식회사 연속식 곡물 건조기
KR100573405B1 (ko) * 2003-10-20 2006-04-25 임경수 이동순환식 고추건조장치
KR101302249B1 (ko) * 2011-11-09 2013-09-02 강영임 저온 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627Y1 (ko) * 2000-07-28 2000-12-01 한성공업주식회사 연속식 곡물 건조기
KR100573405B1 (ko) * 2003-10-20 2006-04-25 임경수 이동순환식 고추건조장치
KR101302249B1 (ko) * 2011-11-09 2013-09-02 강영임 저온 저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950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CN206974092U (zh) 食用菌分段干燥装置
KR101585563B1 (ko)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KR20160065559A (ko) 건조장치
KR101524416B1 (ko) 건조장치
JP5082436B2 (ja) 種子の温湯消毒乾燥装置
KR101767983B1 (ko)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JP2008164198A5 (ko)
KR101498863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650131B1 (ko) 건조장치
CN208187006U (zh) 应用可升降式烘箱进行种子烘干的生产线
KR101522823B1 (ko) 건조장치
CN104213380B (zh) 被褥烘干装置中的循环风道
KR101541963B1 (ko) 에너지 절감형 고추 건조기
KR101522824B1 (ko) 건조장치
CN208059500U (zh) 一种微生物菌剂生产用低温干燥机
CN211503591U (zh) 一种具有自动进出物料功能的工业烤箱
KR101510604B1 (ko) 살균 후 건조하는 무갱 제조방법
CN209427390U (zh) 一种铁皮石斛鲜茎保鲜设备
JP5494738B2 (ja) 種子の温湯消毒装置
EP0270649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ulsating drying of granular materials with capillary pores, especially of grain crops of means of a pre-dried medium
KR101510605B1 (ko)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CN206604822U (zh) 一种粮食淘洗装置
JP2008260542A (ja) 穀粒の袋詰め装置
CN217429138U (zh) 一种水产品加工用的保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