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605B1 -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605B1
KR101510605B1 KR20140183205A KR20140183205A KR101510605B1 KR 101510605 B1 KR101510605 B1 KR 101510605B1 KR 20140183205 A KR20140183205 A KR 20140183205A KR 20140183205 A KR20140183205 A KR 20140183205A KR 101510605 B1 KR101510605 B1 KR 101510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oor
air
drying chamber
dischar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83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승
Original Assignee
(주)다주농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주농수산 filed Critical (주)다주농수산
Priority to KR20140183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채생성단계, 살균단계, 얼음물 침지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 및 진공포장단계로 이루어진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수 후 특수방법에 의한 특정 함수량을 갖도록 건조함으로써 장기간 보관하여도 신선도 및 촉촉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LICED RADISH PASTEURIZED OF DRY}
본 발명은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쉽게 상하지 않으면서 일정 수분을 함유하여 촉촉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갱은 무채의 일종으로서, 가정집에서는 각종 김치를 담그는데 보조재료로 사용되지만, 횟집 등에서는 생선회를 만들어 접시에 담을 때 접시 바닥에는 먼저 깔아 생선회를 올릴 수 있는 용도로 활용된다.
이는 생선회에 함유된 생선지방(EPA, DHA 등)은 산소와 궁합이 잘 맞아 육류지방에 비해 산화가 무척 빠르고 일단 산화하면 EPA와 DHA의 기능이 상실될 뿐 아니라 도리어 몸에 해로울 수 있는데, 무갱을 깔아 두면 생선회가 급속히 산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특히, 무갱에는 비타민C가 듬뿍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생선지방 등의 영양소가 산화하는 것을 막고, 염분을 흡수하여 항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무우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디아스타제 같은 전분 소화효소를 비롯해서 단백질 분해효소도 가지고 있어서 우리 몸 속에서 소화작용을 돕는 좋은 식품이므로 고기나 생선회를 먹을 때 무우와 같이 먹거나 무즙을 내서 여기에 찍어 먹으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더구나, 무우에는 메틸메르캅탄(Methyl mercaptan)과 머스타드 오일(Mustard oil)이 들어 있어 생선에서 나는 어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무우를 채썰기하여 무갱 형태로 깔아두면 매우 좋다.
이러한 무갱은 횟집이나 김치공장 또는 음식점 등에서 대량으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작업시 능률이 떨어지고 불균일하여 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기 때문에 등록실용 제0190005호, 등록실용 제0413928호 등에 개시된 자동 절단기구를 활용하여 대량생산한 후 포장 판매하고 있으며, 횟집 등에서는 진공포장된 무갱을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판매되는 무갱은 신선도를 유지하여야 하며, 쉽게 상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종래 무갱 제조는 단순히 무채를 탈수한 후 진공포장하여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수분이 많을 경우 쉽게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등 상하게 되므로 신선도가 떨어져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므로 이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무갱 제조시 탈수후 충분히 건조하되, 최소한 일정량의 수분함유량을 유지시켜 신선도는 유지하되 쉽게 부패되거나 변질되지 않게 하여 장시간 보관하여도 촉촉한 상태를 그대로 제공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을 높인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갱 제조방법은 무우를 채썰기하여 무채를 만드는 무채생성단계; 생성된 무채를 멸균처리된 빙수에 20-30분 정도 담궈 냉각과 동시에 신선도를 유지하는 얼음물 침지단계; 얼음물에 담근 무채를 원심탈수기로 대량 탈수하여 수분함량을 15-20% 정도로 유지하는 탈수단계; 탈수된 무채를 건조기에 넣고 10-14℃의 서늘한 바람으로 10분간 서서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0.5%의 범위가 되도록 말리는 건조단계; 건조된 무채를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살균단계; 살균 완료된 무채를 진공포장하여 무갱으로 제품화하는 진공포장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단계에서 사용되는 건조기는, 받침체와 건조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체의 하단 네모서리에는 높이조절대가 체결되고; 상기 받침체의 일측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체의 내부에는 무채가 건조된 후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와 간격을 두고 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의 끝단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로에는 무채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살균기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램프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건조하우징은 무채를 회전시키면서 뒤집어 건조시키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로 10-14℃의 서늘한 바람을 만들어 공급하는 공조실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이 밀착되는 면에는 각각 상측과 하측에 건조실과 공조실을 연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성하며; 상기 건조실 내부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각각 한 쌍씩의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각 한 쌍씩의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에는 체인이 권취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일측에는 구동원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제어되며; 상기 체인은 체인핀에 의해 체결되는데, 상기 체인도 상기 한 쌍씩의 구동스프라켓 및 종동스프라켓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체인핀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ㄷ' 형상을 가지며, 상하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트레이가 고정되며; 상기 트레이에 삽입되면서 무채를 수납하는 수납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수납대는 사각틀 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수납대프레임과, 상기 수납대프레임을 둘러 싸서 수납될 무채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중 수납대의 상면은 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연결된 자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와 마주보는 상기 건조실의 일측면에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투입개폐문이 설치되고, 상기 투입개폐문은 투입실린더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입개폐문의 안쪽에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투입에어커튼팬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는 상기 건조실의 바닥면에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배출개폐문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개폐문은 배출실린더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개폐문의 안쪽에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배출에어커튼팬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개폐문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하여 배출되는 수납대가 배출개폐문에 닿기 전에 미리 검출하여 배출개폐문을 열도록 컨트롤러와 연결된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갱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공조실은 격벽에 의해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어 상측 공기가 하측 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하측 공간으로는 오로지 송풍기의 배출단을 통해서 공급되는 서늘한 바람만 공급되도록 분리 구성된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수 후 특수방법에 의한 특정 함수량을 갖도록 건조함으로써 장기간 보관하여도 신선도 및 촉촉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중 건조단계에서 사용되는 건조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건조기에 사용되는 수납대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은 무채생성단계(S100), 얼음물 침지단계(S110), 탈수단계(S120), 건조단계(S130), 살균단계(S140) 및 진공포장단계(S1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무채생성단계(S100)는 종래 기술에서도 언급했던 것과 같은 자동 절단기구를 이용하여 무를 채 썰기함으로써 무채, 즉 무갱을 만드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갱은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 채썰기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무채가 균일하고 품질이 좋다.
그리고, 상기 얼음물 침지단계(S110)는 생성된 무채를 멸균처리된 빙수에 20-30분 정도 담궈두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얼음물 침지단계(S110)는 무채가 받은 열을 식히면서 무채에 함유된 전분 분해효소인 아밀라제를 활성화시켜 탱탱하게 함으로써 신선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또한, 상기 탈수단계(S120)는 원심탈수기를 이용하여 대량 탈수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빙수에 침지된 상태에서 머금은 수분을 떨어내어 수분함량이 15-20% 정도가 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때, 만약 수분함량이 15% 미만으로 강제 급속 탈수되게 되면 무채가 급속히 쪼그라들면서 강제 탈수에 의해 터짐현상이 생겨 제품 불량이 발생하므로 반드시 15% 이상 유지되어야 하며, 20%를 초과하게 되면 수분함량이 너무 많아 무게가 증가됨은 물론 부패, 변질 등 상하기 쉬우므로 상기 범위로 유지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여, 탈수가 완료되면 건조단계(S130)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건조단계(S130)는 후술되는 도 2와 같은 건조기를 이용하여 약 10분간에 걸쳐 10-14℃의 온도로 서서히 건조되게 하여 마치 자연건조에 가깝게 함으로써 수분함량이 10±0.5%의 범위가 되도록 말리는 단계이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탈수와 같이 급격히 가열건조하게 되면 무채가 상하게 되므로 반드시 서서히 건조해야 하며, 건조온도도 약간 서늘한 상태, 즉 10-14℃를 유지해야만 가장 신선한 상태, 촉촉함이 살아 있는 상태로 건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살균단계(S140)는 자외선 살균 등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무우 자체 혹은 채썰기 중 함유될 수 있는 대장균을 비롯한 각종 병원균을 멸균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 상태는 부패나 변질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서 이후 진공포장단계(S150)를 거치면 장기간 보관하여도 신선도와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때문에, 횟집 등에서는 진공포장지를 뜯은 후 그 상태로 바로 사용하여도 무방할 만큼 우수한 신선도와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쉽게 변질되지 않기 때문에 상품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상품가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건조기는 도 2의 예시와 같다. 또한, 건조기에는 건조 후 살균을 위한 자외선살균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기는 받침체(100)와 건조하우징(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체(100)는 설치면 상에 재치되어 안정적인 수평면을 제공하기 위한 사각통체로서, 필요한 경우 높이조절대(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대(102)는 볼트식으로 체결되어 풀고 조이는 방식에 의해 높이조절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체(100)의 일측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104)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체(100)의 내부에는 건조된 무채(수분함량 10% 내외), 즉 무갱이 배출되는 배출유로(106)가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104)의 인접측 받침체(100)의 일측면 상에는 램프(L)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로(106)의 끝단에는 감지센서(108), 바람직하게는 근접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의 내부에는 건조된 무갱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살균기(109)가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108)는 도시생략한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무갱이 완전히 건조 및 살균된 후 상기 배출유로(106)를 통해 배출되면 상기 감지센서(108)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컨트롤러는 램프(L)를 점등시켜 무갱이 배출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도어(104)를 자동개폐가능하게 구동원을 연결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108)의 감지신호에 따라 도어(104)가 개방되므로 작업자는 건조된 무갱을 쉽고 빠르게 꺼낼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하우징(110)은 다수의 무갱을 회전시키면서 뒤집어 건조시키는 건조실(200)과, 상기 건조실(200)로 10-14℃의 서늘한 바람을 만들어 공급하는 공조실(300)로 구획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실(200)과, 공조실(300)은 면접 밀착된 상태로 일측면이 마주보게 배치되며, 밀착된 면의 상측과 하측은 서로 연통되게 구멍이 뚫려 각각 공기흡입구(IN)와 공기배출구(OUT)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구(IN)는 건조실(200)의 열교환에 따라 온도상승된 공기가 공조실(300)로 흡입되는 통로이며, 상기 공기배출구(OUT)는 상기 공조실(300)에서 생성된 서늘한 바람이 건조실(200)로 배출 공급되는 통로이다.
또한, 상기 건조실(200) 내부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체인스프라켓이 설치되되, 하측의 체인스프라켓은 구동스프라켓(210)이 되고, 상측의 체인스프라켓은 종동스프라켓(220)이 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210)은 간격을 두고 한 쌍이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220)도 간격을 두고 한 쌍이 평행하게 배열된다.
아울러, 상기 각 한 쌍씩의 구동스프라켓(210)과 종동스프라켓(220)에는 체인(230)이 권취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스프라켓(210)의 일측에는 구동원인 모터(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210)을 회전구동시키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구동원인 모터는 상술한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230)은 체인핀(232)에 의해 체결결합되는데, 특히 상기 체인(230)도 상기 한 쌍씩의 구동스프라켓(210) 및 종동스프라켓(220) 때문에 이들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이 구비되므로 상기 체인핀(232)도 상기 간격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체인핀(232)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대략 'ㄷ' 형상의 트레이(240)가 고정된다.
상기 트레이(240)는 도시와 같이 체인핀(232)에 수직하게 견고히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기 때문에 체인(230)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게 되면 상기 트레이(240)도 자연스럽게 이를 따라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만약 상기 트레이(240)에 무갱을 수납해 둔 상태라면 상기 무갱은 체인(230)의 상사점을 기준으로 반전, 즉 뒤집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트레이(240)는 상세히 확대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면 및 하면에 다수의 구멍이 뚫려 있어 건조실(200) 내부의 서늘한 바람이 원활하게 상승하면서 대류하여 무갱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트레이(240)에 무갱(무채)을 직접 개별단위로 넣게 되면 쏟아지는 등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도 3의 예시와 같은 수납대(250)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수납대(250)는 사각틀 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수납대프레임(252)과, 상기 수납대프레임(252)을 둘러 싸서 수납될 무갱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254)과, 상기 그물망(254) 중 수납대(250)의 상면은 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연결된 자크(2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크(256)를 열고 수납대(250) 내부에 무갱을 담은 상태에서 자크(256)를 닫게 되면 다수의 무갱은 수납대(250) 상에 안전하게 수납된다.
특히, 그물망(254)이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통기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이탈되지는 않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수납대(250)는 상기 트레이(240)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서로 대응되게 가공된다.
아울러, 상기 건조실(200)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레이(240)와 마주보는 면 일부에는 투입구(260)가 마련되고, 상기 투입구(260)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투입개폐문(262)이 설치되며, 상기 투입개폐문(262)은 투입실린더(264)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투입개폐문(262)의 안쪽, 즉 건조실(200) 측에는 투입에어커튼팬(26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실린더(264) 및 상기 투입에어커튼팬(266)은 모두 상술한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투입개폐문(262)과 인접한 건조실(200)의 일측면 상에는 투입버튼(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투입버튼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투입버튼을 누르면 이를 신호로 받은 컨트롤러가 상기 투입에어커튼팬(266)을 가동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실린더(264)를 동작시켜 투입개폐문(262)을 열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에어커튼에 의해 건조실(200) 내부의 서늘한 바람, 즉 냉기가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열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무냉이 수납된 수납대(250)를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고 있는 다수의 트레이(250) 중 어느 하나에 장입시킬 수 있게 된다.
장입이 완료되면, 투입버튼을 다시 눌러 투입실린더(264)를 복귀시킴으로써 투입개폐문(262)이 닫히고, 그 후에 투입에어커튼팬(266)의 동작이 멈춘다.
이때, 상기 투입에어커튼팬(266)은 횡류팬, 즉 크로스플로우팬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구조로, 상기 건조실(200)의 하단면에도 배출개폐문(272), 배출실린더(274), 배출에어커튼팬(276)이 설치되어 건조실(200)의 냉기(서늘한 바람) 손실을 극소화시키면서 건조 완료된 무냉이 수납대(250)와 함께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다만, 무냉을 담은 수납대(250)가 낙하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검출센서(278)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검출센서(278)도 근접센서가 바람직하며, 배출개폐문(272)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하여 배출되는 수납대(250)가 배출개폐문(272)에 닿기 전에 미리 검출하도록 하고, 배출개폐문(272)에 닿을 때 쯤에는 배출개폐문(272)이 이미 열려 있는 상태가 되도록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개폐 제어된다.
다른 한편, 상기 공조실(300)은 격벽(310)에 의해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어 상측 공기가 하측 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하측 공간으로는 오로지 블로어(Blower)(330)의 배출단을 통해서 공급되는 서늘한 바람만 공급되도록 완전히 분리 구성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조실(300)에는 냉난방기(320)가 설치되는데, 상기 냉난방기(320)는 앞서 설명한 서늘한 바람, 즉 10-14℃의 바람을 적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겨울철에는 약간 난방해야 하고, 여름철에는 냉방해야 하므로 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냉난방기(320)는 공지된 냉동싸이클을 이용하되, 냉매의 순환방향을 가변시키는 4방밸브(V)를 더 구비함으로서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공지된 냉동싸이클은 예컨대, 콤프레샤(322)-4방밸브(V)-콘덴서(324)-캐필라리튜브(326)-에바포레이터(328)-4방밸브(V)-콤프레샤(322)의 순서로 냉매가 순환토록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냉난방기(320)를 통해 발생된 냉기는 흡입되는 건조실(200)의 공기와 혼합되면서 본 발명이 원하는 10-14℃의 서늘한 바람이 만들어지는데, 이 경우 서늘한 바람의 온도를 정확히 조절하기 위해 온도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온도감지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냉난방기(3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온도 조절된 서늘한 바람은 블로어(330)로 흡입된 후 건조실(200)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격벽(310)으로 분리 구획된 하측 공간중 공기배출구(OUT)의 앞에는 별도로 제습기(340)가 더 구비되어 건조실(200) 내부에서의 습도를 조절함으로서, 무갱이 유지해야할 수분함량이 증가하지 않고 10% 내외로 유지되게 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건조기를 이용할 경우, 수납대(250)에 수납된 다수의 무갱이 10-14℃로 유지되는 건조실(200) 내부에서 무한궤도를 따라 약 10분간에 걸쳐 1회전하면서 최적 상태로 건조되고, 건조 완료 후에는 배출된 후 곧바로 진공포장되기 때문에 자동 건조에 따른 품질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무한궤도를 따라 1회전하는 동안 과다 수분 함유시 중력에 의한 자연탈수는 물론 자연 증발에 가까운 작용이 일어나므로 아주 자연스러운 상태로 최적의 수분함량을 갖는 신선한 재료로 가공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진공 포장시에는 균체가 살균완료된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안전하며, 균체 서식 또는 활성이 어려워 장기간 보관시에도 변질이나 부패 등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장을 뜯은 후에는 곧바로 사용해도 신선도와 촉촉함이 살아 있어 제품 품질이 매우 우수하다.
100: 받침체 110: 건조하우징
200: 건조실 300: 공조실

Claims (2)

  1. 무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갱 제조방법은 무우를 채썰기하여 무채를 만드는 무채생성단계; 생성된 무채를 멸균처리된 빙수에 20-30분 정도 담궈 냉각과 동시에 신선도를 유지하는 얼음물 침지단계; 얼음물에 담근 무채를 원심탈수기로 대량 탈수하여 수분함량을 15-20% 정도로 유지하는 탈수단계; 탈수된 무채를 건조기에 넣고 10-14℃의 서늘한 바람으로 10분간 서서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0.5%의 범위가 되도록 말리는 건조단계; 건조된 무채를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살균단계; 살균 완료된 무채를 진공포장하여 무갱으로 제품화하는 진공포장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단계에서 사용되는 건조기는, 받침체와 건조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체의 하단 네모서리에는 높이조절대가 체결되고; 상기 받침체의 일측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체의 내부에는 무채가 건조된 후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와 간격을 두고 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의 끝단에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로에는 건조된 무채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살균기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램프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건조하우징은 무채를 회전시키면서 뒤집어 건조시키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로 10-14℃의 서늘한 바람을 만들어 공급하는 공조실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이 밀착되는 면에는 각각 상측과 하측에 건조실과 공조실을 연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성하며; 상기 건조실 내부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각각 한 쌍씩의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각 한 쌍씩의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에는 체인이 권취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일측에는 구동원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제어되며; 상기 체인은 체인핀에 의해 체결되는데, 상기 체인도 상기 한 쌍씩의 구동스프라켓 및 종동스프라켓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체인핀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ㄷ' 형상을 가지며, 상하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트레이가 고정되며; 상기 트레이에 삽입되면서 무채를 수납하는 수납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수납대는 사각틀 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수납대프레임과, 상기 수납대프레임을 둘러 싸서 수납될 무채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중 수납대의 상면은 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연결된 자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와 마주보는 상기 건조실의 일측면에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투입개폐문이 설치되고, 상기 투입개폐문은 투입실린더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입개폐문의 안쪽에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투입에어커튼팬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되는 상기 건조실의 바닥면에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슬라이딩 방식의 배출개폐문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개폐문은 배출실린더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개폐문의 안쪽에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배출에어커튼팬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개폐문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하여 배출되는 수납대가 배출개폐문에 닿기 전에 미리 검출하여 배출개폐문을 열도록 컨트롤러와 연결된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실은 격벽에 의해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어 상측 공기가 하측 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하측 공간으로는 오로지 송풍기의 배출단을 통해서 공급되는 서늘한 바람만 공급되도록 분리 구성된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KR20140183205A 2014-12-18 2014-12-18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KR101510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3205A KR101510605B1 (ko) 2014-12-18 2014-12-18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3205A KR101510605B1 (ko) 2014-12-18 2014-12-18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605B1 true KR101510605B1 (ko) 2015-04-08

Family

ID=5303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83205A KR101510605B1 (ko) 2014-12-18 2014-12-18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6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181A (ko) * 2003-06-23 2005-01-03 이원영 감압 냉풍건조법에 의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95889Y1 (ko) 2005-06-27 2005-09-14 이춘희 터널 수하식 농산물 건조장치
KR100645899B1 (ko) 2004-12-21 2006-11-14 이승철 건조미역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미역
KR101314006B1 (ko) 2011-08-22 2013-10-01 대명이엔지(주) 감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181A (ko) * 2003-06-23 2005-01-03 이원영 감압 냉풍건조법에 의한 곶감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645899B1 (ko) 2004-12-21 2006-11-14 이승철 건조미역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미역
KR200395889Y1 (ko) 2005-06-27 2005-09-14 이춘희 터널 수하식 농산물 건조장치
KR101314006B1 (ko) 2011-08-22 2013-10-01 대명이엔지(주) 감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6048C (zh) 一种食用菌的保鲜方法及装置
JP2009039000A (ja) 食品の乾燥方法および食品の乾燥手段を備えた貯蔵庫
KR101585563B1 (ko)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PL237467B1 (pl) Sposób odwadniania produktów biologicznych i urządzenie do odwadniania produktów biologicznych
CN104994742A (zh) 泡菜材料快速杀青方法和低盐泡菜快速制造方法及制造系统
US2560057A (en) Meat aging unit
KR20160065559A (ko) 건조장치
KR101767983B1 (ko)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510604B1 (ko) 살균 후 건조하는 무갱 제조방법
KR101510605B1 (ko)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KR101730971B1 (ko) 신속 저염김치 제조시스템
KR101082453B1 (ko) 건조, 온장, 냉장의 3기능 농수산물 건조기
CN102626135B (zh) 低能耗低爆腰率颗粒状食源性物料真空微波振动干燥方法
KR101524416B1 (ko) 건조장치
CN104880007B (zh) 储物装置和用于储物间室的杀菌方法
JP2008076019A (ja) 乾燥装置
KR101655880B1 (ko) 신속 낱잎 김치 제조시스템
CN210708781U (zh) 食用菌保鲜装置
CN113324383A (zh) 一种风干鱼智能风干方法与设备
KR101650131B1 (ko) 건조장치
JP4392046B1 (ja) 米飯の製造保存方法
JP2003116507A (ja) 水分含有食品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4368126B2 (ja) 乾燥モズクの製造方法と乾燥モズクの製造装置
KR101522823B1 (ko) 건조장치
JP2020026891A (ja) 除湿機を備えた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