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983B1 -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983B1
KR101767983B1 KR1020150096182A KR20150096182A KR101767983B1 KR 101767983 B1 KR101767983 B1 KR 101767983B1 KR 1020150096182 A KR1020150096182 A KR 1020150096182A KR 20150096182 A KR20150096182 A KR 20150096182A KR 101767983 B1 KR101767983 B1 KR 101767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fixed
bevel gea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730A (ko
Inventor
이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물산
Priority to KR102015009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9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하여 농수산물 등과 같은 피건조물을 고효율적으로 제습 건조할 때 건조풍인 열풍을 동력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건조되게 하여 최적의 건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이 수납체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뒤집어지게 하여 상,하 모두를 균일하게 건조시킴으로써 건조효율 향상, 건조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Drying unit which is controlled by the humidity}
본 발명은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싸이클을 이용하여 농수산물 등과 같은 피건조물을 고효율적으로 제습 건조할 때 건조풍인 열풍을 동력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건조되게 하여 최적의 건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고추 등의 농산물이나 어촌에서 어획된 생선 등의 수산물은 많은 수분함량을 갖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는 건조가 필수적이다.
즉, 각종 농수산물은 미생물의 증식이 용이하고 쉽게 부패되므로, 이러한 농수산물의 보존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농수산물을 일정 온도, 일정 시간으로 건조 가공해야 한다.
특히, 어획된 수산물의 경우에는 농산물보다 부패의 진행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어획된 수산물은 그 즉시 냉동시켜 보관한 상태로 이송하고, 가공 시 해동 및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보통 소량의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는 대부분 일정구역에 망체로 형성된 건조대를 설치한 후, 이렇게 설치된 건조대에 각종 농수산물을 진열하여 햇빛과 바람으로 자연 건조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자연 건조방법은 많은 점유면적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건조속도가 매우 느리고, 특히 눈이나 비가 내릴 경우에 농수산물을 신속하게 거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결국, 자연 건조방법은 기후적인 여건에 따라 많은 제약을 받아 농수산물의건조속도, 건조량, 건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등 생산성 저하 및 상품성 저하의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농촌에서 수확한 농산물, 고추, 벼 등과 어촌에서 어획되어 냉동된 생선 등을 건조하여 오랜 기간 보관과 이송 또는 건조식품으로 이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많은 양을 일률적으로 빠르게 건조할 수 있는 농수산물 건조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 제0419355호, 등록특허 제1317086호, 등록특허 제1302249호 등을 포함한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의 예시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들에서는 피건조물들이 다수 적층된 트레이(10) 상에 안착된 구조로 건조되었기 때문에 공조부(20)에서 생성된 열기가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못하여 건조효과가 떨어지고, 편 건조됨으로 인해 품질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부패되기도 하는 단점이 파생되었다.
특히, 고추 등의 농산물은 적정의 건조도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편 건조시 상대적으로 덜 건조된 하측은 물러지면서 썩기 쉽고, 건조된다고 하더라도 품질 편차가 발생하므로 제값을 받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농산물의 함수율에 따라 건조시간이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건조시간을 일률적으로 타이머를 이용하여 조작하게 되므로, 농산물을 최적 상태로 건조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피건조물을 수납한 트레이가 전체적으로 회전하면서 수납된 피건조물을 상하좌우 모두 균일하게 최적 상태의 함수율을 갖도록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 품질이 우수하고, 건조효율도 높이며, 무엇보다도 열풍을 동력으로 하여 자동회전되면서 자연스럽게 건조되게 함으로써 자연건조에 가까운 고품질의 건조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조실과, 공급된 열풍으로 피건조체를 건조하는 건조실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이 맞닿은 면의 상측과 하측에는 서로 연통되게 구멍이 뚫려 각각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성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건조실에는 바닥면에 안착되고 앞, 뒤, 상부가 건조실 내벽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전방공기유로, 후방공기유로 및 상부공기유로를 구성하는 건조챔버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챔버의 전면과 후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다수의 전방통기공과 후방통기공이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고; 상기 전방공기유로에는 열풍을 건조챔버 내부로 안내하는 열풍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건조챔버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회전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고정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센터기어박스가 볼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센터기어박스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파이스형 고정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각 단부에는 사이드기어박스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센터기어박스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샤프트에 키 고정된 제1베벨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에는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제2베벨기어가 각각 치결합되며; 상기 제2베벨기어에는 베벨기어축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베벨기어축은 상기 센터기어박스와 베어링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샤프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센터기어박스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 속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기어박스를 관통하여 베어링 고정된 상태로 사이드기어박스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기어박스 내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제3베벨기어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3베벨기어는 상기 사이드기어박스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4베벨기어와 치결합되며; 상기 제4베벨기어의 기어축에는 트레이의 일측면에 고정된 트레이축이 키 고정되고; 고정되고; 상기 트레이는 사각틀 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트레이프레임과, 상기 트레이프레임을 둘러 싸서 수납될 피건조물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중 트레이의 상면은 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연결된 지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건조챔버의 내부 천정면에는 트레이의 상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살균기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공기유로 상에는 흡기팬이 더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열풍이 흡입되어 공조실로 회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공기유로 상에는 흡기팬에 의해 회귀되는 열풍 중에 잔류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공기유로는 공기흡입구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열풍가이드는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열풍가이드는 상기 연통구로부터 상기 전방통기공을 향해 내부 유로가 확경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이 수납체에 수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자연스럽게 뒤집어지게 하여 상,하,좌,우 모두를 균일하게 건조시킴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습도 조건에 맞춰 자동 구동되고 정지되게 하여 별도의 회전동력 없이도 원활하게 회전구동되면서 최적상태로 건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균일 건조가 가능하고, 건조 품질이 향상됨으로 인해 건조 전,후 부패를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장치의 개념을 보인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건조장치의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건조장치의 구동구조를 보인 부분적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트레이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건조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건조하우징(100)은 피건조물을 회전시키면서 뒤집어 건조시키는 건조실(200)과, 열풍을 만들어 상기 건조실(200)로 공급하는 공조실(300)이 각각 별개의 하우징 형태로 제작된 후 상기 건조실(200)과 공조실(300)이 면접 밀착된 상태로 일측면이 마주보게 배치되며, 밀착된 면의 상측과 하측은 서로 연통되게 구멍이 뚫려 각각 공기흡입구(IN)와 공기배출구(OUT)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공기흡입구(IN)는 건조실(200) 내부에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공기가 공조실(300)로 흡입되는 통로이며, 상기 공기배출구(OUT)는 상기 공조실(300)에서 생성된 열풍이 건조실(200)로 배출 공급되는 통로이다.
또한, 상기 건조실(200)에는 건조챔버(210)가 구비되는데, 상기 건조챔버(210)는 별도의 하우징 형태로서 상기 건조실(200)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앞,뒤,상부가 건조실(200) 내벽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때문에, 상기 건조챔버(210)의 앞쪽과 뒤쪽 및 상부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전방공기유로(220a), 후방공기유로(220b) 및 상부공기유로(220c)를 구성하게 된다.
이 중에서, 특히 상기 전방공기유로(220a)에는 열풍가이드(230)가 내장되는데, 상기 열풍가이드(230)는 전방공기유로(220a)인 상기 공조실(300)을 바라보는 쪽 건조실(200) 내벽과 건조챔버(210) 외벽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건조챔버(210)의 전면과 후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다수의 전방통기공(212a)과 후방통기공(212b)이 서로 마주보고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열풍가이드(230)는 상기 공기배출구(OUT)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구(232)를 가지며, 상기 열풍가이드(230)는 상기 연통구(232)로부터 상기 전방통기공(212a)을 향해 내부 유로가 확경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열풍가이드(230)의 내부 유로를 연통구(232)를 기점으로 확경되게 하는 이유는 연통구(232) 주변은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갖게 하고, 연통구(232)로부터 거리가 먼 쪽은 비교적 좁은 공간을 갖도록 하여 연통구(232)를 통해 배출된 열풍이 먼거리까지 빨리 퍼지게 하여 다수의 전방통기공(212a)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건조챔버(210)는 도 2의 도시상 종단면도이므로 표시되지 않았지만 전방통기공(212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마련되어야 함은 당연하며, 건조실(200)에도 별도의 도어를 둘 수 있고, 혹은 건조실(200) 도어와 건조챔버(210) 도어를 공용하여 하나의 도어로 개폐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건조챔버(210)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도 2 및 도 3과 같이 회전샤프트(240)가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고정되는데, 상기 회전샤프트(240)는 앞서 설명한 도어와 간섭되지 않게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샤프트(240)는 소형모터에 의해 회전을 하게 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무동력 방식으로 설치된다. 즉, 구동원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오직 열풍의 흐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샤프트(240)의 길이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센터기어박스(242)가 볼베어링(24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센터기어박스(242)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바람직하게는 90°간격을 두고 4개의 고정프레임(246)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46)의 각 단부에는 사이드기어박스(248)가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246)은 내부가 비어 있는 각재 혹은 원통상의 파이프재이면 좋다.
그리고, 상기 센터기어박스(242)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샤프트(240)에 키 고정된 제1베벨기어(2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250)에는 그 둘레방향으로 다수, 바람직하게는 4개의 제2베벨기어(252)가 각각 치결합된다.
다만, 도 3에서는 측단면이라는 특성상 상,하 두 개만 나타나 있을 뿐이다.
아울러, 상기 제2베벨기어(252)에는 베벨기어축(254)이 일체로 고정되며, 또한 베벨기어축(254)은 상기 센터기어박스(242)와 베어링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샤프트(24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센터기어박스(242)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246) 속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기어박스(248)를 관통하여 베어링 고정된 상태로 사이드기어박스(248)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기어박스(248) 내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제3베벨기어(256)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제3베벨기어(256)는 상기 사이드기어박스(248)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4베벨기어(258)와 치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4베벨기어(258)의 기어축(260)에는 도 4에 도시된 트레이축(410)이 끼워져 키 고정됨으로써 일체를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베벨기어(250)와 상기 제2베벨기어(252), 상기 제3베벨기어(256)와 상기 제4베벨기어(258)의 기어잇수비를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제1베벨기어(250)가 1회전할 때 상기 제4베벨기어(258)도 1회전하게 구성하여 후술되는 트레이(400)가 원활하게 뒤집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를 테면 상기 제1베벨기어(250)와 상기 제2베벨기어(252)의 기어잇수비는 2:1이 되게 하고, 상기 제3베벨기어(256)와 상기 제4베벨기어(258)의 기어잇수비는 1:2가 되게 하여 상기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기어잇수비를 조절하면 상기 제1베벨기어(250)가 1회전할 때 상기 트레이(400)가 고정되는 제4베벨기어(258)가 2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트레이(400)는 상기 제1베벨기어(250)가 180°돌았을 때 1회전하여 뒤집어지고, 360°돌았을 때 다시 1회전, 즉 총 2회전하여 다시 뒤집어지므로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아울러, 상기 트레이축(410)은 도 4와 같이, 트레이(400)의 일측면에 다수의 지지대(412)를 통해 트레이(400)와 일체를 이룬다.
이때, 상기 트레이(400)는 사각틀 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트레이프레임(420)과, 상기 트레이프레임(420)을 둘러 싸서 수납될 피건조물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430)과, 상기 그물망(430) 중 트레이(400)의 상면은 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연결된 지퍼(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퍼(440)를 열고 트레이(400) 내부에 피건조물을 담은 상태에서 지퍼(440)를 닫게 되면 피건조물은 트레이(400) 상에 안전하게 수납된다.
특히, 그물망(430)이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통기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이탈되지는 않는 구조이며, 주로 피건조물을 한 층으로 넓게 펼쳐 담을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건조챔버(210)의 내부 천정면에는 자외선살균기(500)가 설치된다.
상기 자외선살균기(500)는 피건조물을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피건조물은 트레이(400)에 장입된 상태에서 360°회전하되, 특히 상기 자외선살균기(500)를 통과할 때는 자외선살균기(500)와 평행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피건조물 전체를 고르고 균일하게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살균기(500)는 상기 트레이(400)를 감지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지만, 상기 트레이(400)가 열풍을 받아 회전샤프트(240)가 무동력방식으로 회전될 때 이를 검출하여 회전샤프트(240)가 돌 때만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상기 건조실(200)의 외표면 일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기어박스(248)이 상면에는 습도검출센서(S)를 더 설치하여 컨트롤러와 교신함으로써 설정된 일정 습도 이상에서만 공조실(300)의 공조부품들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공기유로(220c) 상에는 컨트롤러와 연결된 흡기팬(600)이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열풍이 흡입되어 공조실(300)로 회귀되도록 동작하게 되며, 또한 상기 상부공기유로(220c) 상에는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동작되면서 상기 흡기팬(600)에 의해 공조실(300)로 회귀되는 공기 중에 잔류된 습기를 제거하도록 제습기(610)가 설치되어 습도를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들은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모두 동기화되어 함께 구동되고, 함께 정지하도록 설계됨이 타당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공기유로(220c)는 앞서 설명한 공기흡입구(IN)와 연통된다.
다른 한편, 상기 공조실(300)은 격벽(310)에 의해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어 상측 공기가 하측 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하측 공간으로는 오로지 송풍기(350)의 배출단을 통해서 공급되는 열풍만 공급되도록 완전히 분리 구성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조실(300)에는 열풍을 만들기 위해 이미 공지된 냉동싸이클을 그대로 이용하는데, 이를 테면 압축기(320) - 응축기(330) - 팽창밸브(미도시) - 증발기(340) - 압축기(320)의 순서로 순환하면서 건조실(200)에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340)와 접촉하면서 제습되고, 응축기(330)에서 발생된 고온은 송풍기(350)로 흡입되어 열풍으로 만들어져 건조실(200)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열풍 온도가 일정온도, 예컨대 건조 적정온도인 27 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강제 히팅하기 위해 히터(36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히터(360)의 위치는 공기배출구(OUT)에 가까운 위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회전시키면서 완전히 한 번 뒤집어 주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고, 건조시간도 단축시키며, 건조효율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특히, 습도의 분포를 검출하고, 설정치 이상이 되면 공조실(300)의 공조기가 가동되면서 열풍을 건조챔버(210)로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최적상태로 건조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더구나, 피건조물이 수납된 트레이(400)와 함께 360°뒤집어지면서 균일하고 고르게 전체가 건조되기 때문에 일부 눌림에 의한 물러짐, 터짐 등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 건조로 인해 건조품의 품위도 향상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무동력으로 구동되는데, 예컨대 습도검출센서(S)의 검출값에 따라 습도가 높을 경우 공조실(300)의 공조기가 구동된다.
즉, 압축기(320), 송풍기(350)가 구동되며, 동시에 자외선살균기(500), 흡기팬(600), 제습기(610)도 함께 구동된다.
물론, 이 과정은 작업자가 이미 피건조물을 트레이(400)에 담아 둔 상태임을 전제로 한다.
그러면, 공조실(300)에서 발생된 열풍은 전방통기공(212a)을 통해 건조챔버(210) 내부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건조챔버(210) 내부에는 기류의 변화가 생기고 이는 트레이(400)와 간섭되면서 트레이(400)를 밀게 되므로 회전되기 쉬운 트레이(400)는 자연스럽게 기류의 유동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것은 기어축(260)을 회전시키게 되고, 기어축(260)에는 제4베벨기어(258)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제4베벨기어(258)가 회전되면서 이에 치결합된 제3베벨기어(256), 베벨기어축(254), 제2베벨기어(252), 제1베벨기어(250) 및 회전샤프트(240)가 회전 구동되게 된다.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기어비율 내에서 회전샤프트(240)가 회전하고, 트레이(400)는 자회전하면서 피건조물이 열풍에 골고루 노출되게 하여 준다.
특히, 도시된 예는 회전샤프트(240)가 1회전할 때 트레이(400)는 1/2회전되게 구성한 예를 보인 것이므로 결국 회전샤프트(240)가 2회전할 때 트레이(400)는 1회전하면서 수납한 피건조물을 완전히 한 번 뒤집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없이 오로지 열풍에 의해 회전되는 트레이(400)를 구비하고, 이 트레이(400)에 피건조물을 장입함으로써 앞,뒤 및 전체를 골고루 균일하게 최적 상태로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품의 품질이 현저히 향상된다.
100: 건조하우징 200: 건조실
300: 공조실 400: 트레이

Claims (3)

  1. 열풍을 공급하는 공조실과, 공급된 열풍으로 피건조체를 건조하는 건조실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실과 공조실이 맞닿은 면의 상측과 하측에는 서로 연통되게 구멍이 뚫려 각각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성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건조실에는 바닥면에 안착되고 앞, 뒤, 상부가 건조실 내벽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전방공기유로, 후방공기유로 및 상부공기유로를 구성하는 건조챔버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챔버의 전면과 후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다수의 전방통기공과 후방통기공이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고; 상기 전방공기유로에는 열풍을 건조챔버 내부로 안내하는 열풍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건조챔버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회전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고정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센터기어박스가 볼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센터기어박스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파이스형 고정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각 단부에는 사이드기어박스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센터기어박스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샤프트에 키 고정된 제1베벨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에는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제2베벨기어가 각각 치결합되며; 상기 제2베벨기어에는 베벨기어축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베벨기어축은 상기 센터기어박스와 베어링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샤프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센터기어박스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 속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기어박스를 관통하여 베어링 고정된 상태로 사이드기어박스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기어박스 내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제3베벨기어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3베벨기어는 상기 사이드기어박스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4베벨기어와 치결합되며; 상기 제4베벨기어의 기어축에는 트레이의 일측면에 고정된 트레이축이 키 고정되고; 고정되고; 상기 트레이는 사각틀 형태의 골격을 이루는 트레이프레임과, 상기 트레이프레임을 둘러 싸서 수납될 피건조물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 중 트레이의 상면은 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연결된 지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건조챔버의 내부 천정면에는 트레이의 상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자외선살균기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공기유로 상에는 흡기팬이 더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열풍이 흡입되어 공조실로 회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공기유로 상에는 흡기팬에 의해 회귀되는 열풍 중에 잔류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공기유로는 공기흡입구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가이드는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열풍가이드는 상기 연통구로부터 상기 전방통기공을 향해 내부 유로가 확경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3. 삭제
KR1020150096182A 2015-07-06 2015-07-06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767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182A KR101767983B1 (ko) 2015-07-06 2015-07-06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182A KR101767983B1 (ko) 2015-07-06 2015-07-06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730A KR20170005730A (ko) 2017-01-16
KR101767983B1 true KR101767983B1 (ko) 2017-08-14

Family

ID=5799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182A KR101767983B1 (ko) 2015-07-06 2015-07-06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5969A (zh) * 2020-03-18 2020-07-03 李琴 一种用于农业种植的晾晒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4545B (zh) * 2020-01-13 2021-06-15 许望彪 一种用于农业种植的种子干燥箱
KR102437342B1 (ko) * 2022-02-28 2022-08-26 고용현 에너지절감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CN114812138B (zh) * 2022-06-02 2023-09-01 贵州正安娜塔莎乐器制造有限公司 一种全竹吉他的自动化循环烘干装置及烘干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086B1 (ko) 2011-11-09 2013-10-11 강영임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101522824B1 (ko) 2014-12-10 2015-05-27 주식회사 세화물산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086B1 (ko) 2011-11-09 2013-10-11 강영임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101522824B1 (ko) 2014-12-10 2015-05-27 주식회사 세화물산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5969A (zh) * 2020-03-18 2020-07-03 李琴 一种用于农业种植的晾晒装置
CN111365969B (zh) * 2020-03-18 2021-06-25 安化梅山人农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农业种植的晾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730A (ko)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563B1 (ko)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KR101767983B1 (ko) 습도에 의해 제어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0991931B1 (ko) 증감압, 냉온풍 건조 장치
CN104792103B (zh) 干燥装置、冰箱及干燥剂恢复方法
KR101314006B1 (ko) 감 건조기
KR20160065559A (ko) 건조장치
KR101452161B1 (ko) 농산물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
KR101715029B1 (ko) 건조기용 숙성용기
JP5635952B2 (ja) 乾燥装置
CN104880007B (zh) 储物装置和用于储物间室的杀菌方法
KR101007204B1 (ko) 다기능 건조기
CN210708781U (zh) 食用菌保鲜装置
CN2930315Y (zh) 一种物料脱水、冷却保鲜装置
JP2004305995A (ja) 乾燥貯蔵籾摺り装置
CN110873520B (zh) 烘干储存装置
KR100603183B1 (ko) 고추건조기 및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KR100782320B1 (ko) 농수산물의 살균장치
KR101510604B1 (ko) 살균 후 건조하는 무갱 제조방법
KR20040043543A (ko) 홍삼제조용 건조기
KR101650131B1 (ko) 건조장치
CN219244152U (zh) 一种生物制药行业用的热风循环风干装置
CN211211268U (zh) 一种白茶萎凋室
KR101522823B1 (ko) 건조장치
KR101510605B1 (ko) 건조 후 살균하는 무갱 제조방법
FR2633376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onservation, a renouvellement d'air controle, de produits fra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