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962B1 - 된장 유래 쓴맛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의 이용 - Google Patents
된장 유래 쓴맛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의 이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5962B1 KR101825962B1 KR1020160152721A KR20160152721A KR101825962B1 KR 101825962 B1 KR101825962 B1 KR 101825962B1 KR 1020160152721 A KR1020160152721 A KR 1020160152721A KR 20160152721 A KR20160152721 A KR 20160152721A KR 101825962 B1 KR101825962 B1 KR 1018259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da
- doenjang
- extract
- purified
- bitter tas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23L11/32—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 A23L11/20—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된장을 물 또는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 후 분리된 펩타이드 정제물의 쓴맛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8: 8번 된장 물 추출물(음성 대조군);
8-30: 8번 된장 물 추출물(양성 대조군으로 8% 저염 된장);
6-1: 6번 된장 물 추출물;
70-1: 70번 된장 물 추출물;
12-1: 12번 된장 물 추출물;
12-2: 12번 된장 물 추출물(반복수);
12-1-NH: 12-1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정제된 10-100 kDa 크기 시료;
12-2-NH: 12-2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정제된 10-100 kDa 크기 시료; 및
12-1-3OK: 12-1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30-100 kDa 크기로 분리/정제한 시료.
도 3은, 된장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펩타이드 크기별 분획한 정제물의 맛의 강도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12-1-NH: 12-1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정제된 10-100 kDa 크기 시료;
12-2-NH: 12-2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정제된 10-100 kDa 크기 시료; 및
12-1-3OK: 12-1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30-100 kDa 크기로 분리/정제한 시료.
도 4a는 쓴맛된장의 추출물로부터 크기 30 내지 100 kDa 크기의 정제시료의 구성 아미노산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6-30kDa: 6번 된장 추출물의 30-100 kDa 크기로 분리한 시료;
12-30kDa: 12번 된장 추출물의 30-100 kDa 크기로 분리한 시료; 및
70-30kDa: 70번 된장 추출물의 30-100 kDa 크기로 분리한 시료.
도 4b는, 된장 추출물로부터 에탄올 용매로 추출한 후 이온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된 펩타이드 크기 10-100 kDa의 분획 시료의 구성 아미노산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6-NH: '6번 된장' 시료로부터 10 kDa 이상 크기로 분리된 정제물을 에탄올 용매로 추출 후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정제된 10-100 kDa 크기 시료;
12-NH: '12번 된장' 시료로부터 10 kDa 이상 크기로 분리된 정제물을 에탄올 용매로 추출 후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정제된 10-100 kDa 크기 시료; 및
70-NH: '70 된장' 시료로부터 10 kDa 이상 크기로 분리된 정제물을 에탄올 용매로 추출 후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정제된 10-100 kDa 크기 시료.
도 4c는, 된장 추출물로부터 에탄올 용매로 추출 후 10-100 kDa 크기 정제 시료에서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세척하여 나온 잔류물의 구성 아미노산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6-WNH: '6번 된장' 시료로부터 에탄올 용매로 추출 후 10-100 kDa 크기 정제시료에서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세척하여 나온 잔류물;
12-WNH: '12번 된장' 시료로부터 에탄올 용매로 추출 후 10-100 kDa 크기 정제시료에서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세척하여 나온 잔류물; 및
70-WNH: '70번 된장' 시료로부터 에탄올 용매로 추출 후 10-100 kDa 크기 정제시료에서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세척하여 나온 잔류물.
구분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1차 (된장 고형분 자체) |
6(4.0점) 12(3.7점) |
6(3.0점) 21(2.7점) 27(3.3점) |
31(4.3점) 34(3.3점) 35(3.7점) |
31(4.0점) 49(4.3점) 53(3.7점) |
31(4.0점) 49(4.3점) 56(3.3점) |
49(4.7점) 70(3.7점) 76(3.7점) |
2차 (15%, 시료액) |
6, 12, 21, 27, 31, 34, 35, 49, 53, 56, 70, 76 (※ 여주차를 대조구로 하여 더 쓰면 3 이상, 덜 쓰면 3 이하 점수 부여) |
|||||
최종 선정 | 6, 12, 70번 시료 |
된장 시료 번호 |
구입시기 | 시료정보 | 정제 시료명 | 정제 시료량(mg) |
6-1 | 2015 | 생산지: 안동 원료: 메주72%, 정제염28% |
6-1-NH | 137 |
6-2 | 2016 | 6-2-NH | 94 | |
12-1 | 2015 | 생산지: 경산 원료: 메주95%, 천일염5% |
12-1-NH | 154 |
12-2 | 2016 | 12-2-NH | 123 | |
70-1 | 2015 | 생산지: 대구 원료: 메주60%, 천일염20%, 정제수20% |
70-1-NH | 160 |
70-2 | 2016 | 70-2-NH | 157 |
시료명 | 시료 번호 | 크기 | 설명 |
8 | 8 | - | 된장 8번 물 추출물 (음성 대조군; 시판 된장) |
8-30 | 8 | - | 된장 8번 물 추출물 (양성 대조군; 8% 저염 된장) |
6-1 | 6 | - | 선발된 쓴맛 된장 6번 물 추출물 |
12-1 | 12 | - | 선발된 쓴맛 된장 12번 물 추출물 |
70-1 | 70 | - | 선발된 쓴맛 된장 70번 물 추출물 |
6-2 | 6 | - | 선발된 쓴맛 된장 6번 물 추출물 (반복수) |
12-2 | 12 | - | 선발된 쓴맛 된장 12번 물 추출물 (반복수) |
70-2 | 70 | - | 선발된 쓴맛 된장 70번 물 추출물 (반복수) |
12-1-NH | 12 | 10-100 kDa | 12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정제 시료 (염기성 펩타이드) |
12-2-NH | 12 | 10-100 kDa | 12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정제 시료 (염기성 펩타이드) |
12-1-30K | 12 | 30-100 kDa | 12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30-100 kDa 크기 정제 시료 |
시료명 | 시료번호 | 크기 | 설명 |
6-30kDa | 6 | 30-100 kDa | 6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 30 kDa 크기 이상으로 분리/정제한 시료 |
12-30kDa | 12 | 30-100 kDa | 12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 30 kDa 크기 이상으로 분리/정제한 시료 |
70-30kDa | 70 | 30-100 kDa | 70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 30 kDa 크기 이상으로 분리/정제한 시료 |
6-NH | 6 | 10-100 kDa | 6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정제 시료 |
12-NH | 12 | 10-100 kDa | 12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정제 시료 |
70-NH | 70 | 10-100 kDa | 70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정제 시료 |
6-WNH | 6 | 10-100 kDa | 6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의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세척하여 나온 잔류물 |
12-WNH | 12 | 10-100 kDa | 12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세척하여 나온 잔류물 |
70-WNH | 70 | 10-100 kDa | 70번 된장 에탄올 추출물의 이온크로마토그래피 후 세척하여 나온 잔류물 |
컬럼 | AccQ - Tag TM UltraColumn2 .1×100mm | ||
매개변수 | 값 | 매개변수 | 값 |
유동상 A | Eluent A | 컬럼온도 | 55℃ |
유동상 B | Eluent B | Weak 주사 세척 | 600 uL |
유속 | 0.7 mL/min | strong 주사 세척 | 200 uL |
주입량 | 1.0 uL | 검출 | UV 260nm |
샘플 루프 사이즈 | 2.0 uL | 샘플링 속도 | 20 pts/sec |
샘플온도 | 20℃ | 시간 상수 | 0.4 |
Claims (10)
2) 상기 단계 1)의 추출물을 정치시켜 침전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침전물을 제거한 후 100 kDa 초과 분자량을 가지는 분획물 및 10 kDa 미만 분자량을 가지는 분획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100 kDa 초과 및 10 kDa 미만 분자량을 가지는 분획물이 제거된 추출물을 정제한 후 암모니아수로 염기성 펩타이드를 용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된장에 포함된 쓴맛 펩타이드의 분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2721A KR101825962B1 (ko) | 2016-11-16 | 2016-11-16 | 된장 유래 쓴맛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의 이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2721A KR101825962B1 (ko) | 2016-11-16 | 2016-11-16 | 된장 유래 쓴맛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의 이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5962B1 true KR101825962B1 (ko) | 2018-02-08 |
Family
ID=6123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2721A Active KR101825962B1 (ko) | 2016-11-16 | 2016-11-16 | 된장 유래 쓴맛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의 이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596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85242A (zh) * | 2020-10-28 | 2021-01-29 |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 一种分离鉴定黄酒中苦味多肽的方法 |
CN113252814A (zh) * | 2021-05-25 | 2021-08-13 | 上海应用技术大学 | 一种大豆蛋白水解物苦味肽的鉴定方法 |
CN113390994A (zh) * | 2021-06-16 | 2021-09-14 | 上海应用技术大学 | 一种提取、分离、鉴定和验证黄酒中苦味肽的方法 |
-
2016
- 2016-11-16 KR KR1020160152721A patent/KR101825962B1/ko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85242A (zh) * | 2020-10-28 | 2021-01-29 |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 一种分离鉴定黄酒中苦味多肽的方法 |
CN112285242B (zh) * | 2020-10-28 | 2023-04-18 |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 一种分离鉴定黄酒中苦味多肽的方法 |
CN113252814A (zh) * | 2021-05-25 | 2021-08-13 | 上海应用技术大学 | 一种大豆蛋白水解物苦味肽的鉴定方法 |
CN113390994A (zh) * | 2021-06-16 | 2021-09-14 | 上海应用技术大学 | 一种提取、分离、鉴定和验证黄酒中苦味肽的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Yu et al. | Taste, umami-enhance effect and amino acid sequence of peptides separated from silkworm pupa hydrolysate | |
Salles et al. | Sensory and chemical analysis of fractions obtained by gel permeation of water-soluble Comte cheese extracts | |
KR101825962B1 (ko) | 된장 유래 쓴맛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의 이용 | |
JPWO2017115438A1 (ja) | ビールテイスト飲料 | |
JP2014093980A (ja) | 羅漢果抽出物を使用した飲食品の不快風味のマスキング方法 | |
JP7103980B2 (ja) | 糖質ゼロのビールテイスト発酵アルコール飲料 | |
WO2017168718A1 (ja) | 容器詰飲料 | |
JP2016193865A (ja) | ミクログリア貪食活性亢進のための組成物及びミクログリア貪食活性亢進作用の予測方法 | |
JPH11151072A (ja) | γ−アミノ酪酸を富化した大豆食品素材 | |
KR100761994B1 (ko) | 미나리 발효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 |
AU2016268710A1 (en) | Inflammation-suppressing composition including peptide | |
CN103501635B (zh) | 改善风味的肽 | |
Sénchez-Brambila et al. |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off-flavor in mantle muscle of jumbo squid (Dosidicus gigas) from the Gulf of California | |
CN103429096A (zh) | 甜叶菊制剂 | |
JP2560808B2 (ja) | アミノ酸及びペッパー抽出物含有酒類 | |
JP4767719B2 (ja) | 液体調味料の製造方法 | |
KR20110072772A (ko) | 김치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4587484B2 (ja) | ラッカセイ種皮抽出物含有リキ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Yokotsuka et al. | Grape seed nitrogenous components and possible contribution to wines | |
Gomis et al. | Fraction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luble proteins from cider | |
JP2009027987A (ja) | γ−アミノ酪酸を高濃度に含有するトマト果実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5190213B2 (ja) | 厚味付与機能を有する新規ペプチド、並びにこれらを使用する食品の厚味付与方法 | |
JP2025518505A (ja) | 新規な単離されたペプチド、当該単離されたペプチドを含むタンパク質加水分解物及びその使用 | |
JP6336552B2 (ja) | テアニンを含有する容器詰め飲料 | |
JP3927698B2 (ja) | 疑似移動層式クロマト分離装置による魚介類を用いた好呈味食品素材の製造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13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31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