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390B1 -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390B1
KR101825390B1 KR1020160180443A KR20160180443A KR101825390B1 KR 101825390 B1 KR101825390 B1 KR 101825390B1 KR 1020160180443 A KR1020160180443 A KR 1020160180443A KR 20160180443 A KR20160180443 A KR 20160180443A KR 101825390 B1 KR101825390 B1 KR 101825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unit
swing
lock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정길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주) filed Critical 평화정공(주)
Priority to KR102016018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05B81/36Geared sectors, e.g. fan-shaped gea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드게이트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스윙레버부와, 스윙레버부와 함께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드게이트 잠금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오픈레버부와, 오픈레버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치 변화에 따라 스윙레버부와 오픈레버부를 연결하여 스윙레버부와 함께 오픈레버부가 회전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전달링크부와, 일측은 전달링크부와 힌지 연결되며 몸체는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을 전달받아 설치위치가 가변되어 전달링크부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키는 락레버부 및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며 락레버부의 설치위치를 가변시켜 전달링크부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CONTROL DEVICE FOR LOCKING OF ENDGATE}
본 발명은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드게이트 잠금장치의 락과 언락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렁크에 설치되는 래치장치는 운전석에 설치된 구동스위치의 조작으로 동작된다. 구동스위치는 구동모터를 동작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며, 구동모터는 파울을 회전시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를 회전시킨다.
종래에는 파울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에 연결된 기어 등 파울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비교적 많은 부품이 사용되므로 생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7969호(2007.10.10 등록, 발명의 명칭: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에 설치되는 래치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엔드게이트 잠금장치의 락과 언락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드게이트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스윙레버부와, 스윙레버부와 함께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드게이트 잠금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오픈레버부와, 오픈레버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치 변화에 따라 스윙레버부와 오픈레버부를 연결하여 스윙레버부와 함께 오픈레버부가 회전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전달링크부와, 일측은 전달링크부와 힌지 연결되며 몸체는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을 전달받아 설치위치가 가변되어 전달링크부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키는 락레버부 및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며 락레버부의 설치위치를 가변시켜 전달링크부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픈레버부와 스윙레버부를 관통하여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지지축을 더 포함하며, 오픈레버부와 스윙레버부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윙레버부는, 지지축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윙레버몸체와, 스윙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전달링크부와 마주하는 스윙연장부 및 스윙연장부의 내측에 전달링크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홀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홀부는, 지지축에서 멀어지는 직선 방향으로 장공의 홀을 형성하는 제1안내홀부 및 제1안내홀부와 연통되며 지지축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홀을 형성하는 제2안내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픈레버부는, 스윙레버몸체와 함께 지지축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픈레버몸체와, 오픈레버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오픈연장돌기부와, 오픈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제1안내홀부와 마주하는 레버돌기부 및 레버돌기부의 내측에 장공의 홀을 형성하며 제1안내홀부와 연통되는 이동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달링크부는, 가이드홀부와 이동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연결링크와, 락레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 및 제1연결링크와 제2연결링크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링크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락레버부는,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레버몸체와, 락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전달링크부와 힌지 연결되는 락레버돌기 및 락레버돌기에서 돌출되어 구동부에 걸리며 구동부의 동작으로 이동되어 락레버돌기를 회전시키는 돌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몸체부 및 구동몸체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돌출돌기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는, 구동부의 동작으로 락레버부의 위치가 가변되어 오픈레버부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므로 엔드게이트 잠금장치의 락과 언락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에서 구동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레버가 락레버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레버부가 지지축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가 언락모드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가 락모드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레버가 돌출돌기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레버가 돌출돌기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점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에서 구동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레버가 락레버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레버부가 지지축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가 언락모드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가 락모드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레버가 돌출돌기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레버가 돌출돌기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점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1)는,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드게이트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스윙레버부(20)와, 스윙레버부(20)와 함께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드게이트 잠금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연결부재(90)와 연결되는 오픈레버부(30)와, 오픈레버부(3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치 변화에 따라 스윙레버부(20)와 오픈레버부(30)를 연결하여 스윙레버부(20)와 함께 오픈레버부(30)가 회전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전달링크부(40)와, 일측은 전달링크부(40)와 힌지 연결되며 몸체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을 전달받아 설치위치가 가변되어 전달링크부(40)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키는 락레버부(50)와,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며 락레버부(50)의 설치위치를 가변시켜 전달링크부(4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구동부(60)와 오픈레버부(30)와 전달링크부(40)의 회전중심이 되는 지지축(80) 및 락레버를 관통하여 베이스부(10)에 고정되는 회전중심축(85)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트럭과 같은 차량의 엔드게이트에 고정된다. 베이스부(1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차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레버부(20)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드게이트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엔드게이트 핸들은 짐칸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핸들이며, 이러한 엔드게이트 핸들의 조작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기술사상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레버부(20)는, 입력레버(21)와 스윙레버몸체(22)와 스윙연장부(24)와 가이드홀부(26)를 포함한다.
스윙레버몸체(22)는 지지축(80)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윙레버몸체(22)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입력레버(21)는 엔드게이트 핸들의 조작력을 전달 받는다. 엔드게이트 핸들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입력레버(21)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입력레버(21)의 이동으로 스윙레버몸체(22)는 지지축(8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스윙연장부(24)는 스윙레버몸체(22)에서 연장되어 전달링크부(4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스윙레버몸체(22)의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 스윙연장부(24)는 판 형상이며, 전달링크부(40)의 제1연결링크(42)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다.
가이드홀부(26)는 스윙연장부(24)의 내측에 전달링크부(40)의 이동을 안내하는 홀을 형성하므로, 전달링크부(40)가 언락모드 또는 락모드로 이동됨을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홀부(26)는, 지지축(80)에서 멀어지는 직선 방향으로 장공의 홀을 형성하는 제1안내홀부(27) 및 제1안내홀부(27)와 연통되며 지지축(80)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홀을 형성하는 제2안내홀부(28)를 포함한다.
제1안내홀부(27)는 스윙연장부(24)의 내측에 직선 방향으로 홀을 형성한다. 제1안내홀부(27)의 일측은 지지축(80)을 향하고 있으며, 제1안내홀부(27)의 타측은 지지축(8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안내홀부(28)는 원호 형상의 홀을 스윙연장부(24)의 내측에 형성한다. 제1안내홀부(27)의 상단과 연통된 제2안내홀부(28)는 지지축(80)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장공을 형성한다. 따라서 오픈레버부(30)가 회전되지 않는 락모드일 때 전달링크부(40)는 제2안내홀부(28)를 따라 이동된다.
오픈레버부(30)는 스윙레버부(20)와 함께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드게이트 잠금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연결부재(90)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레버부(30)는, 오픈레버몸체(32)와 오픈연장돌기부(34)와 레버돌기부(35)와 이동홀부(37)를 포함한다.
오픈레버몸체(32)는 스윙레버몸체(22)와 함께 지지축(80)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지지축(8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오픈레버몸체(32)와 베이스부(10)의 사이에 스윙레버몸체(22)가 위치한다. 지지축(80)은 오픈레버몸체(32)와 스윙레버몸체(22)를 관통하여 베이스부(10)에 설치된다.
오픈연장돌기부(34)는 오픈레버몸체(32)의 상하 양측으로 연장되며, 연결부재(90)와 연결된다. 연결부재(90)는 엔드게이트 잠금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 엔드게이트 잠금장치와 연결된 로드 또는 와이어이다. 차량의 엔드게이트의 잠금장치 및 이러한 잠금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연결부재(90)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오픈레버몸체(32)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오픈연장돌기부(34)가 연장되며, 각각의 오픈연장돌기부(34)에 연결부재(90)가 연결된다. 따라서 오픈연장돌기부(34)의 회전으로 연결부재(90)가 이동되어 엔드게이트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다.
레버돌기부(35)는 오픈레버몸체(32)에서 연장되어 제1안내홀부(27)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돌기부(35)는 오픈레버몸체(32)에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동홀부(37)는 레버돌기부(35)의 내측에 장공의 홀을 형성하며, 제1안내홀부(27)와 연통되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달링크부(40)는 오픈레버부(3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치 변화에 따라 스윙레버부(20)와 오픈레버부(30)를 연결하여 스윙레버부(20)와 함께 오픈레버부(30)가 회전되는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링크부(40)는, 가이드홀부(26)와 이동홀부(37)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연결링크(42)와, 락레버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44) 및 제1연결링크(42)와 제2연결링크(44)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링크몸체(46)를 포함한다.
링크몸체(46)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연결링크(42)는 제1안내홀부(27)와 이동홀부(37)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링크몸체(46)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42)가 제1안내홀부(27)와 이동홀부(37)를 걸쳐서 설치된 경우, 스윙레버부(20)와 함께 오픈레버부(30)가 회전되는 언락모드이다.
또한 제1연결링크(42)가 제2안내홀부(28)에 위치하는 경우, 스윙레버부(2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이동홀부(37)를 관통한 제1연결링크(42)는 제2안내홀부(28)를 통해 이동되므로, 오픈레버부(30)의 이동이 방지하는 락모드로 동작된다.
링크몸체(46)는 바 형상이며, 링크몸체(46)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연결링크(44)는 락레버부(50)의 락레버돌기(5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락레버부(50)의 일측은 전달링크부(40)와 힌지 연결되며, 락레버부(50)의 몸체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을 전달받아 설치위치가 가변되어 전달링크부(40)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락레버부(50)는, 락레버몸체(52)와 락레버돌기(54)와 돌출돌기부(56)와 입력돌기부(58)를 포함한다.
락레버몸체(52)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중심축(85)은 락레버몸체(52)를 관통하여 베이스부(10)에 설치된다. 따라서 락레버몸체(52)는 회전중심축(8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락레버돌기(54)는 락레버몸체(52)에서 연장되어 전달링크부(40)와 힌지 연결된다. 락레버몸체(52)의 하측으로 연장된 락레버돌기(54)는 전당링크부의 제2연결링크(44)와 연결된다. 따라서 락레버돌기(54)의 이동에 의해 전달링크부(40)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1)가 언락모드 또는 락모드로 동작된다.
돌출돌기부(56)는 락레버돌기(54)에서 돌출되어 구동부(60)에 걸리며, 구동부(60)의 동작으로 이동되어 락레버돌기(54)를 회전시키는 돌기 형상이다. 락레버돌기(54)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돌출돌기부(56)는 구동부(60)의 구동레버에 구비된 내측홈부(68)에 위치한다.
락레버몸체(52)의 하측으로 락레버돌기(54)가 돌출되며, 락레버몸체(52)의 상측으로 입력돌기부(58)가 연장된다. 입력돌기부(58)는 키셋 레버에 연결되며, 키셋 레버의 이동에 따라 입력돌기부(58)가 이동된다. 트럭 뒤에 짐을 싣고 내리기 위한 엔드게이트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키를 꼽고 돌리면, 키를 돌리는 방향에 의해 키셋 레버의 회전 방향이 가변된다.
예를 들어 꼽은 키를 돌리는 방향이 시계방향이면 락모드로 동작되며, 입력돌기부(58)와 연결된 키셋 레버위치의 이동으로 락레버부(5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꼽은 키를 돌리는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면 언락모드로 동작되며, 입력돌기부(58)와 연결된 키셋 레버위치의 이동으로 락레버부(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60)는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며, 락레버부(50)의 설치위치를 가변시켜 전달링크부(4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60)는, 구동몸체부(61)와 구동레버부(67)를 포함한다.
구동몸체부(61)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몸체부(61)는, 구동케이스부(62)와 구동모터(70)와 출력기어(72)와 회전기어부(74)와 탄성부재(76)를 포함한다.
구동케이스부(62)는 구동부(60)의 외형을 형성하며 하우징(63)과 커버부(64)를 포함한다. 하우징(63)의 내측에 구동모터(70)와 출력기어(72)와 회전기어부(74)와 탄성부재(76)가 설치되며, 하우징(63)에 커버부(64)가 결합되어 구동케이스부(62)를 형성한다.
구동모터(70)는 하우징(63)의 내측에 설치되며, 구동모터(70)의 출력축인 출력기어(72)의 외측에는 나선형으로 기어가 형성된다.
출력기어(72)에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부(74)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63)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기어부(74)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는 축은 구동케이스부(62)의 외측에 위치하는 구동레버부(67)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기어부(74)와 함께 구동레버부(67)가 회전된다.
회전기어부(74)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는 출력기어(72)에 맞물리며 이동된다. 회전기어부(74)의 측면에 원호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이러한 홈에 스프링을 사용하는 탄성부재(76)가 설치된다.
탄성부재(76)는 회전기어부(74)와 함께 회전되며, 탄성부재(76)의 이동경로에 복귀안내돌기(65)가 위치한다. 복귀안내돌기(65)는 커버부(64)에 연결되며, 탄성부재(76)의 이동경로 양측에 복귀안내돌기(65)가 위치한다. 따라서 구동레버부(67)와 함께 이동하는 회전기어부(74)로 전달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된 탄성부재(76)가 원상태로 이동하면서 회전기어부(74)는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
구동레버부(67)는 구동몸체부(61)의 동력을 전달받아 돌출돌기부(56)를 회전시킨다. 구동케이스부(62)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레버부(67)는 회전기어부(74)와 함께 회전한다.
지지축(80)은 오픈레버부(30)와 스윙레버부(20)를 관통하여 베이스부(10)에 고정되므로, 오픈레버부(30)와 스윙레버부(20)는 지지축(8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와 락레버부(50)는 사점스프링(90)으로 연결된다. 사점스프링(90)은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며, 사점스프링(90)의 일측은 베이스부(10)에 고정되며 사점스프링(90)의 타측은 락레버부(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점스프링(90)의 스프링력에 의해 락레버(50)의 락과 언락 위치를 유지시켜준다. 그리고 사점스프링(90)의 스프링력을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만 락레버(50)의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락레버(5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1)가 수동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엔드게이트에 키를 꼽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키셋 레버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락레버부(5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락레버부(50)에 연결된 전달링크부(40)도 제1안내홀부(27)의 하단으로 이동된다. 전달링크부(40)의 제1연결링크(42)가 제1안내홀부(27)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엔드게이트 핸들이 동작되어 스윙레버부(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연결링크(42)가 제1안내홀부(27)와 이동홀부(37)의 하측에 위치하므로 오픈레버부(30)도 함께 회전된다.
오픈레버부(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결부재(90)도 같이 이동되어 엔드게이트 잠금장치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게이트에 키를 꼽고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키셋 레버가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락레버부(5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락레버부(50)에 연결된 전달링크부(40)는 제1안내홀부(27)의 상단으로 이동된어 제2안내홀부(28)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전달링크부(40)의 제1연결링크(42)가 제1안내홀부(27)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엔드게이트 핸들이 동작되어 스윙레버부(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연결링크(42)는 제2안내홀부(28)를 따라 이동되므로 오픈레버부(30)는 회전되지 않고 스윙레버부(20)만 회전된다. 따라서 연결부재(90)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엔드게이트 잠금장치가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1)가 자동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구동모터(70)가 동작되어 출력기어(72)가 회전하면, 출력기어(72)에 맞물려서 회전기어부(74)가 회전된다. 회전기어부(74)와 함께 구동레버부(67)가 회전되면, 구동레버부(67)의 내측홈부(68)에 위치한 돌출돌기부(56)가 구동레버부(67)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락레버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락레버부(50)에 연결된 전달링크부(40)도 제1안내홀부(27)의 하단으로 이동된다. 전달링크부(40)의 제1연결링크(42)가 제1안내홀부(27)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엔드게이트 핸들이 동작되어 스윙레버부(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연결링크(42)가 제1안내홀부(27)와 이동홀부(37)의 하측에 위치하므로 오픈레버부(30)도 함께 회전된다. 오픈레버부(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연결부재(90)도 같이 이동되어 엔드게이트 잠금장치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60)의 동작으로 락레버부(50)의 위치가 가변되어 오픈레버부(3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므로 엔드게이트 잠금장치의 락과 언락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10: 베이스부
20: 스윙레버부 21: 입력레버 22: 스윙레버몸체 24: 스윙연장부 26: 가이드홀부 27: 제1안내홀부 28: 제2안내홀부
30: 오픈레버부 32: 오픈레버몸체 34: 오픈연장돌기부 35: 레버돌기부 37: 이동홀부
40: 전달링크부 42: 제1연결링크 44: 제2연결링크 46: 링크몸체
50: 락레버부 52: 락레버몸체 54: 락레버돌기 56: 돌출돌기부 58: 입력돌기부
60: 구동부 61: 구동몸체부 62: 구동케이스부 63: 하우징 64: 커버부 65: 복귀안내돌기 67: 구동레버부 68: 내측홈부 70: 구동모터 72: 출력기어 74: 회전기어부 76: 탄성부재
80: 지지축 85: 회전중심축 90: 연결부재 90: 사점스프링

Claims (8)

  1.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드게이트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스윙레버부;
    상기 스윙레버부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엔드게이트 잠금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오픈레버부;
    상기 오픈레버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스윙레버부와 상기 오픈레버부를 연결하여 상기 스윙레버부와 함께 상기 오픈레버부가 회전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전달링크부;
    일측은 상기 전달링크부와 힌지 연결되며 몸체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력을 전달받아 설치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전달링크부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키는 락레버부; 및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락레버부의 설치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전달링크부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레버부와 상기 스윙레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지지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픈레버부와 상기 스윙레버부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레버부는, 상기 지지축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윙레버몸체;
    상기 스윙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달링크부와 마주하는 스윙연장부; 및
    상기 스윙연장부의 내측에 상기 전달링크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홀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부는, 상기 지지축에서 멀어지는 직선 방향으로 장공의 홀을 형성하는 제1안내홀부; 및
    상기 제1안내홀부와 연통되며,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홀을 형성하는 제2안내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레버부는, 상기 스윙레버몸체와 함께 상기 지지축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픈레버몸체;
    상기 오픈레버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오픈연장돌기부;
    상기 오픈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안내홀부와 마주하는 레버돌기부; 및
    상기 레버돌기부의 내측에 장공의 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1안내홀부와 연통되는 이동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링크부는, 상기 가이드홀부와 상기 이동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1연결링크;
    상기 락레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 및
    상기 제1연결링크와 상기 제2연결링크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링크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락레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레버몸체;
    상기 락레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달링크부와 힌지 연결되는 락레버돌기; 및
    상기 락레버돌기에서 돌출되어 상기 구동부에 걸리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으로 이동되어 상기 락레버돌기를 회전시키는 돌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몸체부; 및
    상기 구동몸체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돌출돌기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KR1020160180443A 2016-12-27 2016-12-27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KR101825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43A KR101825390B1 (ko) 2016-12-27 2016-12-27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43A KR101825390B1 (ko) 2016-12-27 2016-12-27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390B1 true KR101825390B1 (ko) 2018-02-08

Family

ID=6123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443A KR101825390B1 (ko) 2016-12-27 2016-12-27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39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371B1 (ko) 자동차 잠금 조립체
EP2028334B1 (en)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US10214945B2 (en) Door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6357813B1 (en) Power operated tailgate
JP6352779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6099048A (en) Automotive door latching system
KR101918367B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JPH08177285A (ja) 自動車ドアロック
GB2424244A (en) Latch apparatus allowing retraction under restriction of latch movement
US10745948B2 (en) Vehicular closure latch assembly having double pawl latch mechanism
KR101212591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1825390B1 (ko) 엔드게이트용 잠금 제어장치
KR100974557B1 (ko) 차량용 스트라이커 기구
KR101732914B1 (ko) 차량용 도어래치
KR101212590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JP2014224425A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653055B1 (ko) 자동차용 래치장치
KR101615823B1 (ko) 측면 충돌시 도어열림 방지형 래치장치
KR101837660B1 (ko)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장치
US11767688B2 (en) Door latch device
JP4793876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818169B1 (ko) 차량용 도어래치
KR101524133B1 (ko)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JP422164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160053468A (ko) 차량용 래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