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169B1 -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169B1
KR101825169B1 KR1020170090936A KR20170090936A KR101825169B1 KR 101825169 B1 KR101825169 B1 KR 101825169B1 KR 1020170090936 A KR1020170090936 A KR 1020170090936A KR 20170090936 A KR20170090936 A KR 20170090936A KR 101825169 B1 KR101825169 B1 KR 10182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upper deck
lower deck
spaced apart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디센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디센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시각장애인의 보행안내를 위한 점자블럭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된 이후에는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뒤틀리거나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은, 지면에 종,횡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배치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저면에는 양생물이 충진되는 다수개의 충진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데크, 상기 상부데크의 저면에 각각 접촉되고, 다수개의 구획벽을 통해 구획되며 양생물이 충진되는 충진홀이 상기 충진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하부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표면에는 슬립방지돌기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상부데크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광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데크의 각 가장자리에는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고정벽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벽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데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데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벽체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데크의 삽입홈에 상기 하부데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쐐기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RAISED LETTERS BLOCK FOR BLIND PERSON}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의 보행안내를 위한 점자블럭의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된 이후에는 뒤틀리거나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인도를 통행할 때 안전한 통행을 유도하기 위하여 인도의 노면에 일반적인 보도블럭과 함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이 설치된다.
이러한 점자블럭은 그 크기나 두께 등은 일반적인 보도 블럭과 동일하지만 상면에는 원형(점형) 또는 길이가 긴 막대형(선형)의 돌출표시부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돌출표시부를 시각장애인들이 지팡이로 인식하면서 안전한 보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점자블럭은 단순히 돌출표시부가 땅바닥으로 노출되도록 지중에 매설되기 때문에 보행자, 차량이나 자전거의 바퀴 등 각종 하중에 의해 쉽게 유동되거나 뒤틀리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70857호(2010.07.1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각장애인의 보행안내를 위한 점자블럭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된 이후에는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뒤틀리거나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은, 지면에 종,횡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배치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저면에는 양생물이 충진되는 다수개의 충진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데크, 상기 상부데크의 저면에 각각 접촉되고, 다수개의 구획벽을 통해 구획되며 양생물이 충진되는 충진홀이 상기 충진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하부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표면에는 슬립방지돌기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상부데크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광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데크의 각 가장자리에는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고정벽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벽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데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데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벽체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데크의 삽입홈에 상기 하부데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쐐기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데크의 저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정착날개부로 구성되는 앙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부의 내부에는 양생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정착부의 저장공간에 양생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투입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테크의 저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로 구성되는 부가 앙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데크 및 하부데크는 수평부의 끝단이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평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끼움홀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수평부 및 이와 접촉되는 다른 수평부의 끼움홀에 끼움되어 2개의 부가 앙카부를 일체화 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에는 상기 양생물이 충진되고, 상기 충진된 양생물이 상기 상부데크의 저면에 고착될 수 있도록 브릿지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데크와 하부데크는 친환경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은, 보행로의 일부 영역을 일정한 면적과 깊이로 터파기 하여 홈을 형성하고, 터파기 홈에 콘크리트나 몰탈 등의 양생물을 충진한 다음 점자블럭에 일정힘을 가하여 양생물에 밀어 넣게 되면, 양생물의 일정량은 충진홀에 충진되고, 다른 일정량은 충진홀 통과하여 충진홈에 충진되며, 이와 같이 충진홈과 충진홀에 충진된 양생물은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양생되어 상부데크와 하부데크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게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우수하며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데크와 하부데크는 충진홈과 충진홀에 충진되어 양생되는 양생물에 의해 강결하게 연결 및 일체화 되면서 터파기 홈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보행자의 하중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뒤틀리거나 변형되지 않으며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데크와 하부데크가 끼움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품의 조립작업이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에 적용된 부가 앙카부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3은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에 적용된 부가 앙카부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은 시각장애인의 보행 안전을 위해 다수개를 이루어 보행로에 종,횡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보행로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지면에 설치된 이후에는 각종 충격 요인에 의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 등에 의해 형성되는 양생물에 매설되는 상부데크(10), 하부데크(20), 앙카부(30), 정착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데크(10)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이 지면에 노출되도록 양생물에 매설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데크(10)의 상면에는 시각장애인의 보행안내를 위한 다수개의 돌기(11)가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다.
즉, 다수개의 돌기(11)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스틱이나 발바닥으로 느껴 보행의 안내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서 상기 돌기(11)가 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시각장애인의 보행안내를 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원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돌기(11)의 표면에는 시각장애인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점 형태의 슬립방지돌기(111)가 더 돌출형성된다.
상기 슬립방지돌기(111)는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돌기(11)의 표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됨에 따라, 시각장애인 및 일반 보행자의 신발 바닥면 부분과 마찰을 효과적으로 일으켜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슬립방지돌기(111)를 통해 시각장애인 및 일반 보행자의 보행안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데크(10)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11)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광층(13)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층(13)은 상기 상부데크(10)의 상면에 공지의 발광제나 야광제 도료를 도포하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층(13)은 날씨가 흐리거나 야간에 시각장애인에게 광을 통한 인지 효과를 높이도록 하고 일반 보행자나 차량의 운전자들로 하여금 쉽게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상부데크(10)의 저면에는 양생물이 충진되는 다수개의 충진홈(12)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충진홈(12)에는 양생물이 충진되고, 상기 양생물은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양생되어 충진홈(12)에 고착된다. 이로 인해, 상부테크와 양생물이 일체화 되어 상기 상부데크(10)가 유동되지 않고 지면에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상부데크(10)의 각 가장자리에는 후술되는 하부데크(20)가 고정되는 삽입홈(141)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고정벽체부(1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벽체부(14)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데크(10)의 각 가장자리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벽체부(14)의 사이에는 하부데크(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141)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상부데크(10)는 인체에 무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대량생산이 용이한 친환경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형성됨 될 수 있음을 밝힌다.
한편, 상기 하부데크(20)는 상기 삽입홈(141)에 삽입되어 그 상면이 상기 상부데크(10)의 저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데크(20)는 상기 상부데크(10)와 동일하게 친환경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부데크(2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데크(10)와의 결합 안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다수개의 쐐기부(23)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쐐기부(23)는 대략 직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측 일부분이 상기 하부데크(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하부데크(20)를 상기 삽입홈(141)에 삽입하면 상기 쐐기부(23)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고정벽체부(14)의 내측면에 가압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쐐기부(23)와 고정벽체부(14)가 맞물리는 형태가 되어 상기 하부데크(20)가 상기 상부데크(10)의 삽입홈(141)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데크(20)가 삽입홈(141)에 삽입됨으로 인해 상기 상부데크(10)의 단면이 두꺼워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은 보행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부데크(20)는 상,하가 개방된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구획벽(21)이 수직, 수평방향으로 교차형성됨에 따라 보행자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구획벽(21)들에 고루게 분산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은 일정한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데크(20)의 내부에는 상기 구획벽(21)을 통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충진홀(22)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충진홀(22)에는 양생물이 충진되며, 상기 하부데크(20)가 삽입홈(141)에 결합됨으로 인해 충진홀(22)의 일부 영역은 상기 충진홈(12)의 일부 영역과 연결된다.
따라서, 보행로의 일부 영역을 일정한 면적과 깊이로 터파기 하여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양생물을 충진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에 일정힘을 가하여 양생물을 밀어 넣게 되면, 양생물의 일정량은 상기 충진홀(22)에 충진되고, 다른 일정량은 상기 충진홀(22)을 통과하여 충진홈(12)에 충진되며, 이와 같이 충진홈(12)과 충진홀(22)에 충진된 양생물은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양생되어 상기 상부데크(10)와 하부데크(20)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은 상기 상부데크(10)와 하부데크(20)는 충진홈(12)과 충진홀(22)에 충진되어 양생되는 양생물에 의해 강결하게 연결 및 일체화 되면서 터파기 홈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보행자의 하중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뒤틀리거나 변형되지 않으며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구획벽(2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브릿지홀(211)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을 양생물에 매설하게 되면 양생물의 일정량이 상기 브릿지홀(211)에 충진된 상태에서 상부데크(10)의 저면에 고착되어 상부데크(10)와 하부데크(20)의 결합 안정성을 보다 확고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릿지홀(211)에서 양생된 양생물은 충진홀(22)과 충진홈(12)의 내부 및 그들의 외부에서 양생된 양생물간의 브릿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앙카부(30)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이 통행로에 시공되었을 경우, 상,하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정착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31), 정착날개부(3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1)는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막대 형태이며, 상기 하부데크의 저면 각 모서리 부분에 수직 연결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본체(31)는 접착제 등을 통해 상기 하부데크의 저면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본체(31)를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측 외주연에 나선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데크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본체(31)의 나선이 체결되는 나선홀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본체(31)를 상기 하부데크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정착날개부(32)는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막대 형태이며, 상기 본체(31)와 별도로 제작된 후 접착제나 용접을 통해 결합되거나, 본체(31)의 제작과정 중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착날개부(32) 다수개가 상기 본체(31)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을 양생물에 매설시 상기 본체(31)와 함께 양생물에 매설된다.
그리고, 상기 정착날개부(32)는 양생된 상태의 양생물에 저항하게 됨으로, 시공이 완료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이 상,하,좌,우 방향 등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정착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앙카부(30)에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이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착부(40)가 더 결합된다.
상기 정착부(40)는 원형 블록 또는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상기 본체(31)의 저면에 용접 결합된다.
상기 정착부(40)의 내부에는 양생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41)이 형성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정착부(40)의 저장공간(41)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투입홀(42)이 서로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정착부(40)는 양생물에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을 매설시 상기 앙카부(30)와 함께 양생물에 매설된다.
그리고, 상기 정착부(40)가 매설될 경우 상기 양생물이 상기 투입홀(42)들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41)으로 스며들어가 양생되고, 특히, 상기 투입홀(42)에서 양생된 양생물은 정착부(40)의 내부 및 외부에서 양생된 양생물 간의 브릿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데크에는 상기 앙카부(30) 및 정착부(40)와 함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의 고정력을 향상 시키기 위한 부가 앙카부(50)(30)가 더 결합된다.
상기 부가 앙카부(50)(30)는 수직부(51), 상기 수직부(5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부(52)로 구성되어, 일측에서 바라 봤을때'ㄴ'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수직부(51)는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막대 형태이며, 상기 하부데크의 각 가장자리 저면에 수직 연결되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앙카부(3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수직부(51)는 접착제 등을 통해 상기 하부데크의 저면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수직부(51)를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상측 외주연에 나선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데크의 가장자리 저면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수직부(51)의 나선이 체결되는 나선홀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수직부(51)를 상기 하부데크에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52)는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막대 형태이며, 상기 수직부(51)와 별도로 제작된 후 접착제나 용접을 통해 결합되거나, 수직부(51)의 제작과정 중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52)는 상기 수직부(5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을 양생물에 매설시 상기 수직부(51)와 함께 양생물에 매설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52)는 양생된 상태 양생물에 저항하게 됨으로, 시공이 완료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정착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은 통행로에 시공되었을 경우 상부데크(10) 들의 측면이 접촉되는 형태가 되며, 수평부(52)의 끝단은 마주하는 다른 하부데크에 형성된 수평부(52)의 끝단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수평부(52)에는 연결부(60)가 끼움되는 끼움홀(52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 된다.
상기 연결부(60)는 접촉된 상태의 수평부(52) 상면에 수평되게 접촉되는 접촉부(61), 상기 접촉부(61)의 양측에서 각각 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되어, 어느 하나의 수평부(52) 및 마주하는 다른 하부테크에 형성된 수평부(52)의 끼움홀(521)에 끼움되어 2개의 부가 앙카부를 일체화 시키는 끼움돌기(6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60)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수평부(52)에 체결되어 두 개 이상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을 강결하게 일체화 시킴에 따라, 지진, 보행자의 하중 등 다양한 외력에 의해 상기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 간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등,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1)이 언제나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 :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10 : 상부데크
11 : 돌기 111 : 슬립방지돌기
12 : 충진홈 13 : 발광층
14 : 고정벽체부 141 : 삽입홈
20 : 하부데크 21 : 구획벽
211 : 브릿지홀 22 : 충진홀
23 : 쐐기부 30 : 앙카부
31 : 본체 32 : 정착날개부
40 : 정착부 41 : 저장공간
42 : 투입홀 50 : 부가 앙카부
51 : 수직부 52 : 수평부
521 : 끼움홀 60 : 연결부
61 : 접촉부 62 : 끼움돌기

Claims (7)

  1. 지면에 종,횡 방향으로 연쇄적으로 배치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저면에는 양생물이 충진되는 다수개의 충진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부데크,
    상기 상부데크의 저면에 각각 접촉되고, 다수개의 구획벽을 통해 구획되며 양생물이 충진되는 충진홀이 상기 충진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하부데크,
    상기 하부데크의 저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정착날개부로 구성되는 앙카부,
    상기 본체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표면에는 슬립방지돌기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상부데크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광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데크의 각 가장자리에는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고정벽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벽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데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데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벽체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데크의 삽입홈에 상기 하부데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쐐기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정착부의 내부에는 양생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정착부의 저장공간에 양생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투입홀이 형성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데크의 저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로 구성되는 부가 앙카부를 더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데크 및 하부데크는 수평부의 끝단이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평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끼움홀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수평부 및 이와 접촉되는 다른 수평부의 끼움홀에 끼움되어 2개의 부가 앙카부를 일체화 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에는 상기 양생물이 충진되고, 상기 충진된 양생물이 상기 상부데크의 저면에 고착될 수 있도록 브릿지홀이 형성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7. 제1항, 제4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데크와 하부데크는 친환경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KR1020170090936A 2016-08-19 2017-07-18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KR101825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436 2016-08-19
KR20160105436 2016-08-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169B1 true KR101825169B1 (ko) 2018-03-14

Family

ID=6166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936A KR101825169B1 (ko) 2016-08-19 2017-07-18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1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3568A (zh) * 2020-11-10 2021-02-05 骆先华 一种具有提示警报作用的安全盲道
CN112323569A (zh) * 2020-11-10 2021-02-05 骆先华 一种便于盲人夜间行走的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30091595A (ko) 2021-12-16 2023-06-23 (주)에스티라이팅 조명 및 점자 일체형 블럭
KR20230091719A (ko) 2021-12-16 2023-06-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끌림 방지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905Y1 (ko) * 2009-10-05 2010-03-03 김희성 자전거 도로 표시용 차량 규제 블럭
KR101139857B1 (ko) * 2011-05-23 2012-05-02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905Y1 (ko) * 2009-10-05 2010-03-03 김희성 자전거 도로 표시용 차량 규제 블럭
KR101139857B1 (ko) * 2011-05-23 2012-05-02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3568A (zh) * 2020-11-10 2021-02-05 骆先华 一种具有提示警报作用的安全盲道
CN112323569A (zh) * 2020-11-10 2021-02-05 骆先华 一种便于盲人夜间行走的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30091595A (ko) 2021-12-16 2023-06-23 (주)에스티라이팅 조명 및 점자 일체형 블럭
KR20230091719A (ko) 2021-12-16 2023-06-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끌림 방지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169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CA2320595C (en) Paving tile for guidance of blind persons
CA2752934A1 (en) Connector for boardwalk system
KR101702348B1 (ko)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KR102380497B1 (ko) 보행의 편리성을 개선한 데크 및 계단 데크
KR101034841B1 (ko) 인도용 석교
KR102044164B1 (ko) 데크의 조립구조
KR200439459Y1 (ko) 방위 표시형 점자 블록
KR101083314B1 (ko) 데크의 논슬립
KR101499130B1 (ko) 착탈이 용이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보도
JP2008069627A (ja) 点字ブロック
KR101134494B1 (ko) 경사면의 계단블럭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의 계단 시공방법
ES2345822T3 (es) Miembro de plataforma de suelo para andamiaje.
KR101091878B1 (ko)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100814729B1 (ko) 차선 규제블럭
KR20090015529A (ko)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KR20110063605A (ko) 교량용 방호울타리
KR102085155B1 (ko) 데크로드용 지주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1744295B1 (ko) 블록 조립체
KR20090109517A (ko) 계단용 조립식 자전거 블록
KR20190046258A (ko) 데크 조립용 클립을 이용한 데크 결합구조물
KR200447747Y1 (ko) 블록 구조
KR200364194Y1 (ko) 차선 규제블럭
KR102019668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자전거 도로용 블록
KR101418213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