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138B1 - 이상육 억제용 수의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상육 억제용 수의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138B1
KR101825138B1 KR1020160131404A KR20160131404A KR101825138B1 KR 101825138 B1 KR101825138 B1 KR 101825138B1 KR 1020160131404 A KR1020160131404 A KR 1020160131404A KR 20160131404 A KR20160131404 A KR 20160131404A KR 101825138 B1 KR101825138 B1 KR 10182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cine
incidence
group
abnormal
p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호
민필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애니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애니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애니팜
Priority to KR102016013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138B1/ko
Priority to PCT/KR2017/011182 priority patent/WO201807077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61K31/41521,2-Diazol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antipyrine, phenylbutazone, sulfinpyra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host/recipient, e.g. newborn with maternal antibodies
    • A61K2039/552Veterinary vac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피린, 바람직하게는 설피린 및 다른 유효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을 백신과 혼합하여 접종함으로써 가축의 이상육, 바람직하게는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육을 획기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축산 농가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이상육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상육 억제용 수의학적 조성물{Veterinary composition for inhibiting abnormal meat}
본 발명은 설피린, 바람직하게는 설피린 및 다른 유효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돼지에 사용하기 위한 수의학적 조성물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돼지의 백신 접종 이후 이상육(異狀肉) 발생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연간 피해 추정액도 1,324 억원(2014년)에 달하는 등 양돈 농가의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돼지의 백신 접종 이후 발생하는 이상육은 흔히 도축중 발생하는 원인 미상의 PSE(Pale, Soft, Exudative) 육(소위 물퇘지육), DFD(Dark, Firm, Dry) 육(소위 암적색육), 황돈 등과는 달리 백신 접종 이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육질의 변색, 백신 접종 부위에 백신의 잔류, 육아종, 피하지방 괴사, 화농 등이 이에 포함된다(구제역 백신 접종에 따른 항체가 수준과 접종 부위 및 주사침 종류에 따른 병리 조직학적 병변, 강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14, 고은영 등).
이에 일부 농가에서는 필수적으로 접종을 해야하는 구제역 등 백신의 접종을 기피하기도 하여 문제가 되고 있으며, 백신 접종을 실시한 농가에서는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육의 발생 빈도가 줄어들지 않아 이로 인한 농가의 소득이 크게 감소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가축에게 백신이 접종된 후에도 이에 따라 발생하는 이상육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350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축에 발생하는 이상육, 바람직하게는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육을 억제하는 방법 및 이러한 작용을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피린, 바람직하게는 설피린 및 다른 성분(항히스타민제 및/또는 카페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육, 바람직하게는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육 억제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수의학적 조성물은 백신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가축에 백신 접종 시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상육이 획기적으로 억제된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축은 소, 말, 돼지, 닭, 개, 오리, 양, 염소, 고양이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우제류 동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돼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백신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제역 백신, 돼지 열병 백신, 돼지 열병-돈단독 혼합 백신, 돼지 전염성 위장염(TGE)-돼지 유행성 설사(PED) 불활화 백신, 돼지 위축성 비염(atrophic rhinitis, AR) 백신, 돼지 마이코플라즈마 백신, 돼지 글래써 백신, 돼지 흉막 폐렴 백신,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백신, 돼지 유행성 설사(PED) 예방 백신, 돼지 전염성 위장염(TGE) 예방 백신, 돈단독 예방 백신, 돼지 로타 백신, 돼지 파보 백신 및 돼지 써코 바이러스 백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백신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 백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신 중에서 구제역 백신, 돼지 열병 백신, 돼지 열병-돈단독 혼합 백신, TGE-PED 불활화 백신, 돼지 위축성 비염(AR) 백신, 돼지 써코 바이러스 백신, 돼지 흉막 폐렴 백신 및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백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백신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 백신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백신은 구제역 백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상육"은 가축을 도축한 후 일반적인 육색, 육질 등을 나타내지 못하고 품질이 떨어지는 비정상적인 고기를 광범위하게 이르는 용어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은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육을 억제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육"은 백신 접종 후에 발생하는, 백신 접종 이후 도축한 가축의 백신 접종 부위 근처에서 발견되는 이상육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육질의 변색, 백신 접종 부위에 백신의 잔류, 육아종(미세결절), 피하지방 괴사 및 화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돼지에 접종하게 되는 구제역 백신에서 상기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육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제역 백신 이외에도 돼지 흉막 폐렴 백신,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백신의 접종 부위에서도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육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E Straw et al., 1985).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억제"는 이상육 발생의 예방 및 완화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며, 바람직하게는 이상육 발생의 완화를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설피린, 바람직하게는 설피린 및 항히스타민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상기 이상육을 현저하게 억제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상기 항히스타민제는 동물에게 투여 가능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클로르페니라민, 디펜히드라민, 트리페레나민, 프로메타진 및 이들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은 카페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자들은 설피린의 이상육 억제 효과뿐만 아니라, 설피린에 항히스타민제를 혼합하는 경우 설피린을 단독적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에 카페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추가적인 상승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결건조 백신, 농축된 백신 등을 희석하여 접종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액상 제형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말 제형, 과립 제형, 정제 제형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이 액상 제형이 아닐 경우에는 생리식염수, 멸균 증류수 또는 주사용 증류수 등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은 또한 통상적인 주사용 희석액에 포함되는 정제수, 에탄올, 가용화제, 전해질, pH 조정제, 등장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의학적 조성물을 백신과 혼합하여 인간 이외의 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육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 설피린은 동물 1 두당 10 내지 1,000 mg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돼지 1 두당 20 내지 500 mg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투여량은 항히스타민제의 구체적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일 경우 투여량은 돼지 1 두당 0.2 내지 20 mg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돼지 1 두당 0.4 내지 10 mg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페인의 경우 투여량은 돼지 1 두당 0.2 내지 20 mg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돼지 1 두당 0.4 내지 10 mg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을 백신과 혼합하여 접종함으로써 가축의 이상육, 바람직하게는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육을 획기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축산 농가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이상육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의 이상육 억제 용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제역 백신에 1) 설피린 단독, 2) 항히스타민제 단독, 3) 카페인 단독, 4) 설피린 및 항히스타민제 혼합, 5) 설피린 및 카페인 혼합, 6) 설피린, 항히스타민제 및 카페인 혼합된 조성물을 첨가하여 이상육 억제 효과 확인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구제역 백신만을 접종한 돼지를 설정하여 이상육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본 발명에서 항히스타민제로는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를 사용하였다.
하기 실험들에서, 구제역 백신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혼합 비율은 10 : 1로 혼합하여(즉, 백신 10 ml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 ml을 혼합하여) 해당 가축에 접종한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하기 실험에서는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육으로 알려진 증상 중 하나 이상이 백신 접종 부위 근처에서 발견되는 경우 이상육으로 판정하였다.
실험예 1: 설피린, 항히스타민제 및 카페인 각각의 접종이 돼지의 이상육 발생에 미치는 영향
제조예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항히스타민제로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즉, 설피린 500 mg,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 10 mg 및 카페인 10 mg에 주사용 증류수를 각각 혼합하여 총 부피가 1 ml가 되도록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 구제역 백신만을 접종한 돼지를 설정하였다.
실시예(구제역 백신에 각각의 성분 혼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대조군(비교예)
(구제역 백신만을 접종함)
설피린 500 mg - - -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 - 10 mg - -
카페인 - - 10 mg -
증류수 To 1 ml To 1 ml To 1 ml -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을 혼합한 백신을 접종받은 군을 실시예, 통상적인 백신을 접종받은 군을 비교예로 설정하였다. 각각 생후 약 90일령 전후의 육성돈을 이용하여 도축시 이상육 발생 두수와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g)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백신 접종은 이근부(귀 뒤쪽 부위)에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파주에 소재한 두 양돈장에서 시험하였으며, 각각의 농장에 대한 실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제1농장에서의 결과
백신 접종 후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및 발생률 비교
구분 도축
두수
총이상육량
(폐기 무게, g)
평균 폐기무게
(g/두)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실시예 1 118 28,868 244.64 32(27.12)
실시예 2 82 21,248 259.12 24(29.27)
실시예 3 136 37,321 274.42 42(30.88)
대조군(비교예) 162 46,625 287.81 53(32.72)
상기 표 2에서 대조군의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을 비교하면 하기 표 3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평균 폐기무게
(g/두)
대조군 대비 실험군 발생률(%)
실시예 1 118 244.64 85.00
실시예 2 82 259.12 90.03
실시예 3 136 274.42 95.35
대조군(비교예) 162 287.81 100.00
1)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비교
본 발명자들은 돼지 구제역백신 단독 접종군(대조군)과 구제역 백신에 각각의 성분을 혼합하여 접종한 실시예의 이상육 폐기량을 조사하였다. 항히스타민제를 혼합 접종한 돈군은 총이상육량이 21,248g으로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259.12g이였다. 설피린군은 총이상육량이 28,868g이였고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244.64g이였다. 카페인군은 총이상육량이 37,321g이였고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274.42g이였다. 반면 대조군은 이상육 총량이 46,625g에 두당 평균무게는 287.81g으로 3개 실험군보다 이상육량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또한, 대조군의 두당 평균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3개 실시예들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항히스타민제군이 90.03%, 설피린군은 85.00%, 카페인군은 95.35%로 대조군에 비해 폐기량이 4.65∼15.00%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2)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
상기 표 2에 나타낸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을 비교하여 대조군의 발생률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은 다음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
대조군 대비 실험군 발생률(%)
실시예 1 118 32(27.12) 82.89
실시예 2 82 24(29.27) 89.46
실시예 3 136 42(30.88) 94.38
대조군(비교예) 162 53(32.72) 100.00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 구제역 백신 접종시 구제역 백신을 단독 접종한 대조군과 각각의 성분을 혼합접종한 실시예의 돼지 이상육 발생 두수와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항히스타민제군이 82두에서 24두로 발생률이 29.27%, 설피린군이 118두에서 32두로 발생률이 27.12%, 카페인군이 136두에서 42로 발생률이 30.88%이었다. 반면 구제역 백신만 단독접종한 실험군의 이상육 발생 두수는 162두에서 53두로 발생률이 32.72%로 가장 이상육 발생률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이상육의 육안적 소견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중에서도 설피린군(실시예 1)이 가장 이상육 발생 범위가 적고 발생 빈도도 적게 나타났다.
제2농장에서의 결과
백신 접종 후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및 발생률 비교
구분 도축
두수
총이상육량
(폐기 무게, g)
평균 폐기무게
(g/두)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실시예 1 39 13,225 339.10 12(30.77)
실시예 2 43 15,444 359.16 14(32.56)
실시예 3 55 20,749 377.25 19(34.55)
대조군(비교예) 51 19,617 384.65 18(35.29)
상기 표 5에서 대조군의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을 비교하면 하기 표 6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평균 폐기무게
(g/두)
대조군 대비 실험군 발생률(%)
실시예 1 39 339.10 88.16
실시예 2 43 359.16 93.37
실시예 3 55 377.25 98.08
대조군(비교예) 51 384.65 100.00
1)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비교
본 발명자들은 돼지 구제역백신 단독 접종군(대조군)과 구제역 백신에 각각의 성분을 혼합하여 접종한 실시예의 이상육 폐기량을 조사하였다. 항히스타민제를 혼합 접종한 돈군은 총이상육량이 15,444g으로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359.16g이였다. 설피린군은 총이상육량이 13,225g이였고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339.10g이였다. 카페인군은 총이상육량이 20,749g이였고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377.25g이였다. 반면 대조군은 이상육 총량이 19,617g에 두당 평균무게는 384.65g으로 3개 실험군보다 이상육량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5).
또한, 대조군의 두당 평균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3개 실시예들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항히스타민제군이 93.37%%, 설피린군은 88.16%, 카페인군은 98.08%로 대조군에 비해 폐기량이 1.92∼11.84%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6).
2)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
상기 표 2에 나타낸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을 비교하여 대조군의 발생률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은 다음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
대조군 대비 실험군 발생률(%)
실시예 1 39 12(30.77) 87.19
실시예 2 43 14(32.56) 92.26
실시예 3 55 19(34.55) 97.90
대조군(비교예) 51 18(35.29) 100.00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 구제역 백신 접종시 구제역 백신을 단독 접종한 대조군과 각각의 성분을 혼합접종한 실시예의 돼지 이상육 발생 두수와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항히스타민제군이 43두에서 14두로 발생률이 32.56%, 설피린군이 39두에서 12두로 발생률이 30.77%, 카페인군이 55두에서 19로 발생률이 34.55%이었다. 반면 구제역 백신만 단독접종한 실험군의 이상육 발생 두수는 51두에서 18두로 발생률이 35.29%로 가장 이상육 발생률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이상육의 육안적 소견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중에서도 설피린군(실시예 1)이 가장 이상육 발생 범위가 적고 발생 빈도도 적게 나타났다.
실험예 2: 설피린, 설피린과 항히스타민제의 혼합, 설피린과 카페인의 혼합 및 설피린, 항히스타민제와 카페인의 혼합 접종이 돼지의 이상육 발생에 미치는 영향
제조예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험예 1을 바탕으로 성분의 조합에 따른 상승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8과 같은 조성으로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항히스타민제로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즉, 유효성분으로서 설피린 500 mg,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 10 mg 및 카페인 10 mg의 조합에 주사용 증류수를 각각 혼합하여 총 부피가 1 ml가 되도록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 구제역 백신만을 접종한 돼지를 설정하였다.
실시예(구제역 백신에 각각의 성분 혼합)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대조군(비교예)
(구제역 백신만을 접종함)
설피린 500 mg 500 mg 500 mg 500 mg -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 - 10 mg - 10 mg -
카페인 - - 10 mg 10 mg -
증류수 To 1 ml To 1 ml To 1 ml To 1 ml -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을 혼합한 백신을 접종받은 군을 실시예, 통상적인 백신을 접종받은 군을 비교예로 설정하였다. 각각 생후 약 90일령 전후의 육성돈을 이용하여 도축시 이상육 발생 두수와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g)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백신 접종은 이근부(귀 뒤쪽 부위)에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두 양돈장(파주에 소재한 양돈장 및 포천에 소재한 양돈장)에서 시험하였으며, 각각의 농장에 대한 실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제1농장에서의 결과
백신 접종 후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및 발생률 비교
구분 도축
두수
총이상육량
(폐기 무게, g)
평균 폐기무게
(g/두)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실시예 4 114 29,295 256.97 39(34.21)
실시예 5 97 22,634 233.34 31(31.96)
실시예 6 134 33,220 247.91 45(33.58)
실시예 7 120 26,622 221.85 35(29.17)
대조군(비교예) 108 31,653 293.08 44(40.74)
상기 표 9에서 대조군의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을 비교하면 하기 표 10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평균 폐기무게
(g/두)
대조군 대비 실험군 발생률(%)
실시예 4 114 256.97 87.68
실시예 5 97 233.34 79.62
실시예 6 134 247.91 84.59
실시예 7 120 221.85 75.70
대조군(비교예) 108 293.08 100.00
1)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비교
본 발명자들은 돼지 구제역백신 단독 접종군(대조군)과 구제역 백신에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접종한 실시예의 이상육 폐기량을 조사하였다. 설피린을 혼합접종한 돈군은 총이상육량이 29,295g으로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256.97g이였다. 설피린+항히스타민제군은 총이상육량이 22,634g이였고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233.34g이였다. 설피린+카페인군은 총이상육량이 33,220g이였고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247.91g이였다. 설피린+항히스타민제+카페인과 구제역백신을 혼합접종한 돈군의 총이상육량은 26,622g이였고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221.85g이였다. 반면에 대조군은 총량이 31,653g에 두당 평균무게는 293.08g으로 4개 실시예보다 이상육량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9).
또한, 대조군의 두당 평균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4개 실시예들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설피린군이 87.68%, 설피린+항히스타민제군은 79.62%, 설피린+카페인군은 84.59%, 설피린+항히스타민제+카페인군은 75.70%로 대조군에 비해 폐기량이 12.32∼24.30%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0).
2)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
상기 표 9에 나타낸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을 비교하여 대조군의 발생률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은 다음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
대조군 대비 실험군 발생률(%)
실시예 4 114 39(34.21) 83.97
실시예 5 97 31(31.96) 78.44
실시예 6 134 45(33.58) 82.43
실시예 7 120 35(29.17) 71.59
대조군(비교예) 108 44(40.74) 100.00
상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 구제역 백신 접종시 구제역 백신을 단독 접종한 대조군과 각 성분을 혼합접종한 실시예의 돼지 이상육 발생 두수와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설피린군이 114두에서 39두로 발생률이 34.21%, 설피린+항히스타민제군이 97두에서 31두로 발생률이 31.96%, 설피린+카페인군이 134두에서 45로 발생률이 33.58%, 설피린+항히스타민제+카페인군이 120주에서 35두로 발생률이 29.17%인 반면 구제역 백신만 단독접종한 대조군의 이상육 발생 두수는 108두에서 44두로 발생률이 40.74%로 가장 이상육 발생률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이상육의 육안적 소견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예 1에서와 같이 설피린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설피린과 항히스타민제의 조합, 설피린과 카페인의 조합군인 실시예 5, 6에서 현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 중에서는 설피린과 항히스타민제의 조합이 효과가 뛰어났으며, 가장 우수한 상승 효과를 나타낸 실시예는 실시예 7로서 설피린, 항히스타민제 및 카페인 3 성분이 조합되어 가장 우수하게 이상육 발생 범위가 적고 발생 빈도도 적게 나타났다.
제2농장에서의 결과
백신 접종 후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및 발생률 비교
구분 도축
두수
총이상육량
(폐기 무게, g)
평균 폐기무게
(g/두)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실시예 4 48 8,792 183.17 15(31.25)
실시예 5 41 6,917 168.71 11(26.83)
실시예 6 39 6,961 178.49 11(28.21)
실시예 7 61 9,528 156.20 15(24.59)
대조군(비교예) 53 11,553 217.98 20(37.74)
상기 표 12에서 대조군의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을 비교하면 하기 표 13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평균 폐기무게
(g/두)
대조군 대비 실험군 발생률(%)
실시예 4 48 183.17 84.03
실시예 5 41 168.71 77.40
실시예 6 39 178.49 81.88
실시예 7 61 156.20 71.66
대조군(비교예) 53 217.98 100.00
1)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비교
본 발명자들은 돼지 구제역백신 단독 접종군(대조군)과 구제역 백신에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접종한 실시예의 이상육 폐기량을 조사하였다. 설피린을 혼합접종한 돈군은 총이상육량이 8,792g으로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183.17g이였다. 설피린+항히스타민제군은 총이상육량이 6,917g이였고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168.71g이였다. 설피린+카페인군은 총이상육량이 6,961g이였고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178.49g이였다. 설피린+항히스타민제+카페인과 구제역백신을 혼합접종한 돈군의 총이상육량은 9,528g이였고 두당 평균폐기무게는 156.20g이였다. 반면에 대조군은 총량이 11,553g에 두당 평균무게는 217.98g으로 4개 실시예보다 이상육량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2).
또한, 대조군의 두당 평균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4개 실시예들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설피린군이 84.03%, 설피린+항히스타민제군은 77.40%, 설피린+카페인군은 81.88%, 설피린+항히스타민제+카페인군은 71.66%로 대조군에 비해 폐기량이 15.97∼28.34%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3).
2)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
상기 표 12에 나타낸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을 비교하여 대조군의 발생률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은 다음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
대조군 대비 실험군 발생률(%)
실시예 4 48 15(31.25) 82.81
실시예 5 41 11(26.83) 71.10
실시예 6 39 11(28.21) 74.74
실시예 7 61 15(24.59) 65.16
대조군(비교예) 53 20(37.74) 100.00
상기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 구제역 백신 접종시 구제역 백신을 단독 접종한 대조군과 각 성분을 혼합접종한 실시예의 돼지 이상육 발생 두수와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설피린군이 48두에서 15두로 발생률이 31.25%, 설피린+항히스타민제군이 41두에서 11두로 발생률이 26.83%, 설피린+카페인군이 39두에서 11로 발생률이 28.21%, 설피린+항히스타민제+카페인군이 61두에서 15두로 발생률이 24.59%인 반면 구제역 백신만 단독접종한 대조군의 이상육 발생 두수는 53두에서 20두로 발생률이 37.74%로 가장 이상육 발생률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이상육의 육안적 소견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예 1에서와 같이 설피린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설피린과 항히스타민제의 조합, 설피린과 카페인의 조합군인 실시예 5, 6에서 현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 중에서는 설피린과 항히스타민제의 조합이 효과가 뛰어났으며, 가장 우수한 상승 효과를 나타낸 실시예는 실시예 7로서 설피린, 항히스타민제 및 카페인 3 성분이 조합되어 가장 우수하게 이상육 발생 범위가 적고 발생 빈도도 적게 나타났다.
실험예 3: 설피린, 항히스타민제 및 카페인의 혼합 접종이 돼지의 이상육 발생에 미치는 영향
제조예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험예 2를 바탕으로 3 성분의 조합에 따른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15와 같은 조성으로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항히스타민제로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즉, 유효성분으로서 설피린 500 mg,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 10 mg 및 카페인 10 mg의 조합에 주사용 증류수를 각각 혼합하여 총 부피가 1 ml가 되도록 본 발명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 구제역 백신만을 접종한 돼지를 설정하였다.
실시예(구제역 백신에 각각의 성분 혼합) 실시예 8 대조군 1
(구제역 백신만을 접종함)
대조군 2
(구제역 백신만을 접종함)
대조군 3
(구제역 백신만을 접종함)
설피린 500 mg - - -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이트 10 mg - - -
카페인 10 mg - - -
증류수 To 1 ml - - -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수의학적 조성물을 혼합한 백신을 접종받은 군을 실시예, 통상적인 백신을 접종받은 군을 대조군 1 내지 3으로 설정하였다. 각각 생후 약 90일령 전후의 육성돈을 이용하여 도축시 이상육 발생 두수와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g)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백신 접종은 이근부(귀 뒤쪽 부위)에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두 양돈장(양주에 소재한 양돈장 및 연천에 소재한 양돈장)에서 시험하였으며, 각각의 농장에 대한 실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제1농장에서의 결과
백신 접종 후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및 발생률 비교
구분 도축
두수
총이상육량
(폐기 무게, g)
평균 폐기무게
(g/두)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대조군 1 37 15,300 413.51 15(40.54)
대조군 2 63 39,400 625.40 27(42.86)
대조군 3 56 39,000 696.43 25(44.64)
대조군 계 156 93,700 600.64 67(42.95)
실시예 8 52 10,000 192.31 15(28.84)
상기 표 16에서 대조군의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을 비교하면 하기 표 17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평균 폐기무게
(g/두)
실시예 8 폐기무게
(g/두)
대조군 대비 실시예 8의 발생률(%)
대조군 1 37 413.51 192.31 46.51
대조군 2 63 625.40 192.31 30.75
대조군 3 56 696.43 192.31 27.61
156 600.64 192.31 32.02
1)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비교
본 발명자들은 돼지 구제역백신 단독 접종군(대조군 1 내지 3)과 구제역 백신에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접종한 실시예의 이상육 폐기량을 조사하였다. 대조군 1이 37두에서 15,300g으로 평균 413.51g, 대조군 2가 63두에서 39,400g으로 평균 625.40g, 대조군 3이 56두에서 39,000g으로 평균 696.43g이었다. 반면 구제역 백신에 설피린+항히스타민제+카페인을 혼합하여 접종한 실시예 8의 폐기량은 52두에서 10,000g으로 평균 192.31g으로 이상육량이 훨씬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6).
또한, 대조군 1의 두당 평균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8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46.51%, 대조군 2의 두당 평균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8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30.75%, 대조군 3의 두당 평균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8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27.61%로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8의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두당 폐기량은 27.61∼46.51%에 불과하여 두당폐기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7).
또한,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전체 대조군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156두에서 93,700g이 발생하여 두당 600.64g 이었으며 실시예 8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52두에서 10,000g이 발생하여 두당 192.31g이었다. 전체 대조군의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8은 32.02%로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구제역 백신에 설피린+항히스타민제+카페인을 혼합하여 접종하는 것이 구제역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7).
2)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
상기 표 16에 나타낸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을 비교하여 대조군의 발생률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은 다음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
실시예 8 발생두수
(발생률 %)
대조군 대비 실시예 8의 발생률(%)
대조군 1 37 15(40.54) 15/52(28.84) 63.74
대조군 2 63 27(42.86) 15/52(28.84) 67.29
대조군 3 56 25(44.64) 15/52(28.84) 64.61
156 67(42.95) 15/52(28.84) 67.15
상기 표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 구제역 백신 접종시 구제역 백신을 단독 접종한 대조군과 각 성분을 혼합접종한 실시예 8의 돼지 이상육 발생 두수와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 1이 37두에서 15두로 발생률이 40.54%, 대조군 2가 63두에서 27두로 발생률이 42.86%, 대조군 3이 56두에서 25로 발생률이 44.64%이었다. 반면 구제역 백신에 설피린, 항히스타민제 및 카페인을 혼합하여 접종한 실시예 8군의 이상육 발생 두수는 52두에서 15두로 발생률이 28.84%이었다.
각 대조군의 이상육 발생률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8의 이상육 발생률은 대조군 1에 비하여 63.74%, 대조군 2에 비하여 67.29%, 대조군 3에 비하여 64.61%로 최저 17.42%에서 최고 19.24% 감소하였으며 대조군 평균에 비하여는 81.81%의 발생률을 보여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의 이상육 발생률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8).
3) 이상육의 육안적 소견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예 1 및 2에서와 같이 설피린, 항히스타민제 및 카페인을 조합한 조성물의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8의 이상육 발생 면적이 현저하게 축소되어 나타남이 도축 후 검사에서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제2농장에서의 결과
백신 접종 후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및 발생률 비교
구분 도축
두수
총이상육량
(폐기 무게, g)
평균 폐기무게
(g/두)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대조군 1 204 30,900 151.47 52(25.49)
대조군 2 83 14,300 172.28 20(24.09)
대조군 3 50 7,700 154.00 12(24.00)
대조군 계 337 52,900 156.97 84(24.92)
실시예 8 79 5,000 63.29 14(17.72)
상기 표 19에서 대조군의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을 비교하면 하기 표 20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평균 폐기무게
(g/두)
실시예 8 폐기무게
(g/두)
대조군 대비 실시예 8의 발생률(%)
대조군 1 204 151.47 63.29 41.78
대조군 2 83 172.28 63.29 36.73
대조군 3 50 154.00 63.29 41.09
337 156.97 63.29 40.31
1)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 비교
본 발명자들은 돼지 구제역백신 단독 접종군(대조군 1 내지 3)과 구제역 백신에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접종한 실시예의 이상육 폐기량을 조사하였다. 대조군 1이 204두에서 30,900g으로 평균 151.47g, 대조군 2가 83두에서 14,300g으로 평균 172.28g, 대조군 3이 50두에서 7,700g으로 평균 154.00g이었다. 반면 구제역 백신에 설피린+항히스타민제+카페인을 혼합하여 접종한 실시예 8의 폐기량은 79두에서 5,000g으로 평균 63.29g으로 이상육량이 훨씬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9).
또한, 대조군 1의 두당 평균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8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41.78%, 대조군 2의 두당 평균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8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36.73%, 대조군 3의 두당 평균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8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41.09%로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8의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두당 폐기량은 36.73∼41.78%에 불과하여 두당 폐기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0).
또한,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전체 대조군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337두에서 52,900g이 발생하여 두당 156.97g이었으며 실시예 8의 두당 평균 폐기량은 79두에서 5,000g이 발생하여 두당 63.29g이었다. 전체 대조군의 폐기량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8은 40.31%로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구제역 백신에 설피린+항히스타민제+카페인을 혼합하여 접종하는 것이 구제역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이상육 발생으로 인한 폐기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0).
2)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
상기 표 19에 나타낸 이상육 발생 두수 및 발생률을 비교하여 대조군의 발생률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의 발생률은 다음과 같다.
구 분 도축
두수
이상육 발생두수
(발생률 %)
실시예 8 발생두수
(발생률 %)
대조군 대비 실시예 8의 발생률(%)
대조군 1 204 52(25.49) 14/79(17.72) 69.51
대조군 2 83 20(24.09) 14/79(17.72) 73.55
대조군 3 50 12(24.00) 14/79(17.72) 73.83
337 84(24.92) 14/79(17.72) 71.10
상기 표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 구제역 백신 접종시 구제역 백신을 단독 접종한 대조군과 각 성분을 혼합접종한 실시예 8의 돼지 이상육 발생 두수와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 1이 204두에서 52두로 발생율이 25.49%, 대조군 2가 83두에서 20두로 발생율이 24.09%, 대조군 3이 50두에서 12두로 발생율이 24.00%이었다. 반면 구제역 백신에 설피린, 항히스타민제 및 카페인을 혼합하여 접종한 실시예 8군의 이상육 발생 두수는 79두에서 14두로 발생율이 17.72%이었다.
각 대조군의 이상육 발생률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8의 이상육 발생률은 대조군 1에 비하여 69.51%, 대조군 2에 비하여 73.55%, 대조군 3에 비하여 73.83%로 최저 26.17%에서 최고 30.49% 감소하였으며 대조군 평균에 비하여는 71.10%의 발생률을 보여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의 이상육 발생률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1).
3) 이상육의 육안적 소견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예 1 및 2에서와 같이 설피린, 항히스타민제 및 카페인을 조합한 조성물의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8의 이상육 발생 면적이 현저하게 축소되어 나타남이 도축 후 검사에서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정리하면, 설피린, 항히스타민제, 카페인의 우수한 이상육 억제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성분의 2 조합에서 더욱 우수한 상승 효과를 확인하였고, 각 성분의 3 조합에서는 가장 우수한 상승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설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육 억제용 수의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히스타민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항히스타민제는 클로르페니라민, 디펜히드라민, 트리페레나민, 프로메타진 및 이들의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카페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백신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구제역 백신, 돼지 열병 백신, 돼지 열병-돈단독 혼합 백신, 돼지 전염성 위장염(TGE)-돼지 유행성 설사(PED) 불활화 백신, 돼지 위축성 비염(atrophic rhinitis, AR) 백신, 돼지 마이코플라즈마 백신, 돼지 글래써 백신, 돼지 흉막 폐렴 백신,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백신, 돼지 유행성 설사(PED) 예방 백신, 돼지 전염성 위장염(TGE) 예방 백신, 돈단독 예방 백신, 돼지 로타 백신, 돼지 파보 백신 및 돼지 써코 바이러스 백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백신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 백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구제역 백신, 돼지 열병 백신, 돼지 열병-돈단독 혼합 백신, TGE-PED 불활화 백신, 돼지 위축성 비염(AR) 백신, 돼지 써코 바이러스 백신, 돼지 흉막 폐렴 백신 및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백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백신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 백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육은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육은 육질의 변색, 백신 접종 부위에 백신의 잔류, 육아종, 피하지방 괴사 및 화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10.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의학적 조성물을 백신과 혼합하여 인간 이외의 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육을 억제하는 방법.
KR1020160131404A 2016-10-11 2016-10-11 이상육 억제용 수의학적 조성물 KR10182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404A KR101825138B1 (ko) 2016-10-11 2016-10-11 이상육 억제용 수의학적 조성물
PCT/KR2017/011182 WO2018070775A1 (ko) 2016-10-11 2017-10-11 이상육 억제용 수의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404A KR101825138B1 (ko) 2016-10-11 2016-10-11 이상육 억제용 수의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138B1 true KR101825138B1 (ko) 2018-02-06

Family

ID=6122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404A KR101825138B1 (ko) 2016-10-11 2016-10-11 이상육 억제용 수의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5138B1 (ko)
WO (1) WO20180707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596B1 (ko) 2010-01-07 2012-12-11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설피린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0109B2 (ja) * 2003-12-26 2012-01-25 バイオリーダース・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リガンマグルタミン酸を含む免疫増強用組成物
CN101433517A (zh) * 2007-11-14 2009-05-20 天津生机集团有限公司 复方土霉素注射液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596B1 (ko) 2010-01-07 2012-12-11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설피린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농림축산식품부 연구보고서, 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0775A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erup The control of microbial diseases in animals: alternatives to the use of antibiotics
CN110882215A (zh) 安全广谱型聚维酮碘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A2468707C (en) The use of indigestible oligosaccharides to improve the health and productivity of ruminant animals
KR101825138B1 (ko) 이상육 억제용 수의학적 조성물
KR101544049B1 (ko) 넙치 양식 어류 스쿠치카병 방제용 및 치료용 조성물
Rahman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different treatment regimes for management of myiasis in cattle.
JP3636207B2 (ja) 免疫賦活・感染防御剤及びその製造方法
EP0523523A1 (en) Anticoccidial compositions
AU2003204441A1 (en) Animal Food Supple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A2626273C (en) Cefquinom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KR101850697B1 (ko) 어류의 스쿠티카충 감염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사료
JP4629964B2 (ja) ウシの消化器疾患治療剤
CN113423414A (zh) 具有抗微生物活性的挥发性有机化合物制剂
RU2812291C2 (ru) Ветеринарные композиции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контролирования дефицита железа у млекопитающих, не являющихся человеком
Potter Clinical conditions of pigs in outdoor breeding herds
DK2346349T3 (en) USE OF AZAPERON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RU2259821C2 (ru) Способ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й химиопрофилактики пироплазмидозов (пироплазмоз, бабезиоз и тейлериоз)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EP3793516B1 (en) Veterinary compositions and the uses thereof for controlling iron deficiencies in non-human mammals
Kielstein Systematic control of dermatophytosis profunda of cattle in the former GDR
ES2369769T3 (es) Composiciones veterinarias para tratar la mastitis.
Bartnik Kilka słów o chorobach i leczeniu trzody chlewnej w starożytnym Rzymie
Bartnik A Few Words about the Diseases and Treatment of Pigs in Ancient Rome
KR20210143874A (ko) 프레가발린 제형 및 이의 용도
KR20220041862A (ko) 크립토스포리듐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수의학적 조성물
RU1819612C (ru) Способ лечени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бартонеллеза тел 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