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528B1 -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528B1
KR101824528B1 KR1020160165523A KR20160165523A KR101824528B1 KR 101824528 B1 KR101824528 B1 KR 101824528B1 KR 1020160165523 A KR1020160165523 A KR 1020160165523A KR 20160165523 A KR20160165523 A KR 20160165523A KR 101824528 B1 KR101824528 B1 KR 10182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wedge
wax
press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열
Original Assignee
인지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5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0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23/02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 G05D23/02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non-metallic solid, e.g. elastomer, paste
    • G05D23/023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non-metallic solid, e.g. elastomer, paste the sensing element being placed outside a regulating flui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왁스케이스를 다수의 방향에서 균일하게 눌러주어 엘리먼트내의 왁스팽창량 및 피스톤 돌출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왁스케이스 외경부에 총 6방향에 걸쳐 펀치를 전후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배치하여 총 6개의 펀치가 전진 이송하면서 왁스케이스의 외경면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눌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왁스케이스의 왁스충진공간(내부공간)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줄어들어 왁스케이스의 과잉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왁스케이스의 왁스충진공간에 충진된 왁스 팽창량 및 왁스 팽창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의 외부 돌출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rmostat element}
본 발명은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왁스케이스를 다수의 방향에서 균일하게 눌러주어 엘리먼트내의 왁스팽창량 및 피스톤 외부 돌출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용 써모스탯은 엔진과 라디에이터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면서 엔진으로 흐르는 냉각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수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최근에는 자동차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자식 써모스탯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써모스탯은 써모스탯의 외부 하우징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그 내부에 왁스가 충진되는 왁스케이스와, 왁스케이스의 내부에 일정량으로 충진되는 왁스와, 왁스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발열시 왁스를 팽창시키는 히팅유닛과, 왁스의 팽창력에 의하여 직선 운동하는 동시에 왁스케이스의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밀려나면서 밸브체를 작동시키는 피스톤와, 피스톤의 하단에 장착되어 냉각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히팅유닛이 전원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는 단계와, 히팅유닛의 열에 의하여 왁스케이스에 충진된 왁스가 팽창하는 단계와, 왁스의 팽창에 의하여 피스톤이 하강 직선 운동하는 단계 등을 통하여 라디에이터를 향하는 냉각수 유로가 열리는 상태가 된다.
반면, 상기 왁스의 수축시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피스톤의 하단에 장착된 밸브체가 냉각수 유로를 차단하는 단계를 통하여, 냉각수 유로에 대한 차단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구성 및 작동을 하는 써모스탯의 구성들 중, 왁스는 피스톤 및 밸브체의 승강 및 하강 거리를 규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그 이유는 왁스의 충진량이 조금이라도 달라지면 피스톤 및 밸브체의 승하강 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써모스탯의 왁스케이스내에 왁스를 충진함과 함께 왁스케이스내의 피스톤을 외부로 일정높이가 되게 돌출시키는 종래의 방법으로서, 왁스케이스내에 왁스를 적정량으로 충진하는 단계와, 왁스케이스의 외경부를 펀치 등으로 눌러서 왁스케이스의 내부체적을 줄여주는 단계와, 왁스케이스의 내부체적이 줄어든 만큼 왁스의 양정이 증가하여 왁스케이스내의 피스톤이 목표하는 일정 높이까지 돌출되는 단계로 진행되고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종래에는 왁스케이스의 외경부로부터 이격된 3방향 위치에 펀치를 배치한 후, 소정의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펀치를 전진시켜 왁스케이스의 외경부를 눌러줌으로써, 왁스케이스의 외경부에 펀칭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펀칭홈이 형성되는 만큼 왁스케이스의 내부체적이 줄어들고, 이에 왁스케이스의 내부체적이 줄어든 만큼 왁스의 양정이 증가하여 왁스케이스의 내부에 왁스가 만충진됨과 함께 왁스케이스내의 피스톤이 외부로 밀려나면서 그 외부 돌출량이 일정 수준으로 조정되도록 한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왁스케이스의 외경부를 3방향 또는 5방향에서 펀치로 눌러줌에 따라, 왁스케이스의 외경부를 정확하고도 균일하게 눌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왁스케이스에 형성되는 펀칭홈의 깊이가 과도하게 깊어져서, 결국 왁스케이스가 과잉 변형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왁스케이스 외경부에 총 6방향에 걸쳐 펀치를 전후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배치하되,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쐐기와 면접촉 가능하게 배치하여, 쐐기의 승강시 펀치가 전진 이송하면서 왁스케이스의 외경면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눌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왁스케이스의 왁스충진공간(내부공간)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줄어들어 왁스케이스의 과잉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는 왁스케이스의 왁스충진공간이 고르게 줄어드는 동시에 왁스케이스의 왁스충진공간에 충진된 왁스 팽창량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왁스케이스내에 존재하면서 왁스 팽창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의 외부 돌출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하강 구동수단과 연결되는 승하강 블럭; 상기 승하강 블럭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의 펀치 도피홀을 형성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펀치 가압블럭; 상기 각 펀치 가압블럭의 내경면에 형성된 쐐기 장착홈에 고정 장착되어, 펀치 가압블럭의 승하강시 함께 승하강하는 쐐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펀치 도피홀과 마주보는 펀치가이드홈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 및 상기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내에 삽입 배치된 써모스탯의 왁스케이스 외경면을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쐐기와 면접촉에 의하여 전후 이송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펀치 도피홀 및 펀치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펀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펀치 가압블럭의 상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이 체결홈에는 쐐기의 상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쐐기이탈방지용 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 장착홈은 각 펀치 가압블럭의 내경면 일측에 직각 단면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일측부가 펀치 도피홀과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쐐기의 내면은 펀치와 사선 접촉하도록 쐐기가압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외면은 쐐기 장착홈의 수직 벽면과 면접촉하도록 가압수직면으로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는 쐐기이탈방지용 볼트의 머리부와 접촉하는 쐐기이탈방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펀치의 중간부분 한쪽면에 형성된 오목한 공간에서 그 앞쪽 벽면은 쐐기의 쐐기가압경사면과 면접촉하는 펀치가압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뒤쪽 벽면은 펀치 가압블럭의 외경면에 형성된 후진지지용 경사면과 면접촉하는 펀치후진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쐐기의 쐐기가압경사면은 위에서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펀치의 펀치가압경사면은 쐐기가압경사면과 면접촉하도록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펀치의 펀치후진경사면은 펀치가압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면서 위에서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펀치 가압블럭의 후진지지용 경사면은 펀치후진경사면과 면접촉하도록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펀치의 전면에는 써모스탯의 왁스케이스 외경면을 눌러주는 가압단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펀치는 총 6개가 엘리먼트의 왁스케이스 외경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왁스케이스의 외경면 전체를 고르게 눌러줌으로써, 왁스케이스의 왁스충진공간에 충진된 왁스 팽창량 및 왁스 팽창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의 외부 돌출길이가 일정하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의 외경면과 상기 복수의 펀치 가압블럭 중 어느 하나의 내경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키홈이 형성되고, 각 키홈내에 키가 삽입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왁스케이스 외경부에 총 6방향에 걸쳐 펀치를 전후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배치하여, 총 6개의 펀치가 균일한 간격을 이루면서 왁스케이스의 외경면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눌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왁스케이스의 왁스충진공간(내부공간)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줄어들어 왁스케이스의 과잉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엘리먼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써모스탯 작동시, 엘리먼트의 왁스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피스톤의 돌길이가 일정하게 조정될 수 있다.
즉, 왁스케이스의 왁스충진공간이 총 6개의 펀치에 의하여 고르게 줄어드는 동시에 왁스케이스의 왁스충진공간에 충진된 왁스 팽창량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왁스케이스내에 존재하면서 왁스 팽창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의 외부 돌출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로서, 승하강블럭의 하강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로서, 승하강블럭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의 구성 중, 펀치 및 쐐기를 비롯하여, 쐐기의 상방 이탈을 제한하는 쐐기이탈방지용 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로서, 승하강블럭의 하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로서, 승하강블럭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승하강블럭의 하강상태 및 승강상태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면부호 10은 승하강블럭을 지시한다.
상기 승하강블럭(10)은 원통형 블럭으로서, 그 하단부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승하강 구동수단(도 1에 도면부호 50으로 지시)과 체결되고, 그 상면에는 복수의 펀치 가압블럭(12)이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펀치 가압블럭(12)은 총 6개가 균일한 간격을 이루면서 승하강블럭(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총 6개의 펀치 가압블럭(12)이 승하강 블럭(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펀치 가압블럭(12)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외부로 관통된 펀치 도피홀(11)이 형성되며, 각 펀치 도피홀(11)도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각 펀치 가압블럭(12)의 내경면에서 그 일측부에는 쐐기 장착홈(13)이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쐐기 장착홈(13)은 각 펀치 가압블럭(12)의 내경면 일측부에 반경방향을 따라 직각 단면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한쪽이 펀치 도피홀(11)과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쐐기(20)는 내면에 펀치(40)와 사선 접촉하도록 쐐기가압경사면(21)으로 형성되고, 외면은 쐐기 장착홈(13)의 수직 벽면과 면접촉하도록 가압수직면(22)으로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는 쐐기이탈방지용 볼트(17)의 머리부와 접촉하는 쐐기이탈방지면(23)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이렇게 구비된 쐐기(20)는 쐐기 장착홈(13)에 밀착된 상태에서 쐐기이탈방지용 볼트(17)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펀치 가압블럭(12)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16)에 쐐기이탈방지용 볼트(17)를 체결하는 동시에 도 6에서 보듯이 쐐기이탈방지용 볼트(17)의 머리부가 쐐기(20)의 쐐기이탈방지면(23)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쐐기이탈방지용 볼트(17)에 의하여 쐐기(20)의 상방향 이탈이 방지되면서 쐐기 장착홈(13)에 대한 쐐기(20)의 조립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쐐기(20)는 승하강 블럭(10)과 펀치 가압블럭(12)의 승하강시 함께 승하강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 블럭(10)과 펀치 가압블럭(12)의 내경면에 걸쳐 중공의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이 삽입 배치되는 바, 이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은 그 상단부가 도 1에서 보듯이 고정프레임(60)에 취부되어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각 펀치 가압블럭(12)의 펀치 도피홀(11)과 마주보는 펀치가이드홈(31)이 관통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의 펀치가이드홈(31)과 상기 각 펀치 가압블럭(12)의 펀치 도피홀(11)이 서로 일치되는 상태가 보장되도록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과 펀치 가압블럭(12)이 키(18)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의 외경면과 상기 복수의 펀치 가압블럭(12) 중 어느 하나의 내경면에 각각 제1 및 제2 키홈(35,15)을 형성하고, 각 키홈(35,15)내에 키(18)가 공유되며 삽입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의 펀치가이드홈(31)과 상기 각 펀치 가압블럭(12)의 펀치 도피홀(11) 간의 서로 일치되는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의 펀치가이드홈(31)과 상기 각 펀치 가압블럭(12)의 펀치 도피홀(11)에 걸쳐 상기 쐐기(20)와의 면접촉에 의하여 전후 이송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 펀치(40)가 전후 이송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에, 상기 펀치(40)는 펀치 도피홀(11) 및 펀치가이드홈(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하강하는 쐐기(20)와 면접촉하면서 전진시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내에 삽입 배치된 엘리먼트(100)의 왁스케이스(102) 외경면을 눌러주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펀치(40)는 길다란 띠편 블럭 형상으로서, 중간부분의 한쪽면에 형성된 오목한 공간의 앞쪽 벽면은 쐐기(20)의 쐐기가압경사면(21)과 면접촉하는 펀치가압경사면(42)으로 형성되고, 뒤쪽 벽면은 펀치 가압블럭(12)의 외경면에 형성된 후진지지용 경사면(14)과 면접촉하는 펀치후진경사면(43)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쐐기(20)의 쐐기가압경사면(21)은 위에서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펀치(40)의 펀치가압경사면(42)은 쐐기가압경사면(21)과 면접촉하도록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펀치(40)의 펀치후진경사면(43)은 펀치가압경사면(42)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면서 위에서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펀치 가압블럭(12)의 외경면에 형성된 후진지지용 경사면(14)은 펀치후진경사면(43)과 면접촉하도록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펀치(40)의 전면에는 엘리먼트(100)의 왁스케이스(102) 외경면을 실질적으로 눌러주어, 왁스케이스(102)의 외경면에 오목한 펀치홈(펀치자국)을 형성하는 가압단(4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써모스탯 엘리먼트 양정 조정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로서, 승하강블럭의 하강 및 승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승하강블럭의 하강 및 승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50)의 하강 동작에 의하여 승하강 구동수단(50)과 연결된 승하강블럭(10)과 펀치 가압블럭(12)이 하강된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상기 쐐기(20)도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프레임(60)에 고정된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내에 엘리먼트(100)을 삽입함으로써, 엘리먼트(100)의 왁스케이스(102)의 외경면이 펀치(40)의 가압단(44)과 일정거리 유지되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엘리먼트(100)의 머리부를 로봇 형태의 클램핑수단(미도시됨)이 거치한 상태에서 엘리먼트(100)를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내에 삽입함으로써, 엘리먼트(100)의 왁스케이스(102)의 외경면이 펀치(40)의 가압단(44)과 일정거리 유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50)을 승강 작동시키면, 승하강 구동수단(50)과 연결된 승하강블럭(10)과 펀치 가압블럭(12)이 승강하는 동시에 쐐기(20)도 승강을 하게 된다.
이에, 도 8에서 보듯이 승강하는 쐐기(20)의 쐐기가압경사면(21, 위에서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진 면)과, 상기 펀치(40)의 펀치가압경사면(42,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향 경사진 면)이 면접촉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쐐기(20)가 펀치(40)를 안쪽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게 되어, 펀치(40)가 전진 슬라이드 운동을 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펀치(40)가 전진 운동하는 동시에 펀치(40)의 가압단(44)이 엘리먼트(100)의 왁스케이스(102) 외경면을 눌러서 가압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된 6개의 펀치(40)가 엘리먼트(100)의 왁스케이스(102) 외경면을 동시에 눌러서 가압하게 됨으로써, 왁스케이스(102)의 외경면에는 오목한 펀치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총 6개의 펀치가 균일한 간격을 이루면서 왁스케이스(102)의 외경면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눌러줌으로써, 왁스케이스(102)의 왁스충진공간(내부공간)이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줄어들면서 왁스케이스(102)의 과잉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엘리먼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왁스케이스(102)에 펀치(40)에 의한 오목한 펀치홈이 형성되면, 왁스케이스(102)의 내부체적이 줄어드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왁스케이스(102)내에 미리 충진된 왁스(미도시됨)의 양정이 왁스케이스(102)의 내부체적이 줄어든 만큼 증가하여 왁스케이스(102)의 내부에 왁스가 만충진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왁스케이스(102)의 내부에 충진된 왁스의 양정이 증가하여 만충진되는 상태가 되면, 왁스가 마치 증가된 양정만큼 팽창하는 동작을 하면서 왁스케이스(102)내의 피스톤(104)를 밖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왁스케이스(102)의 왁스충진공간이 총 6개의 펀치에 의하여 고르게 줄어드는 동시에 왁스케이스(102)의 왁스충진공간에 충진된 왁스 팽창량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왁스케이스(102)내에 존재하면서 왁스 팽창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104)의 외부 돌출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반에서 승하강 구동수단(50)을 다시 하강 작동하는 제어를 함으로써, 승하강 구동수단(50)과 연결된 승하강블럭(10)과 펀치 가압블럭(12)이 하강하는 동시에 쐐기(20)도 하강된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펀치(40)의 펀치후진경사면(43, 위에서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진 면)과, 하강하는 펀치 가압블럭(12)의 후진지지용 경사면(14,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향 경사진 면)과 면접촉하게 되며, 이때 상기 펀치 가압블럭(12)이 펀치(40)를 바깥쪽 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게 되어, 펀치(40)가 후진 운동을 하게 된다.
이후, 상기 펀치(40)에 의하여 왁스케이스(102)에 펀치홈이 형성된 엘리먼트(100)을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엘리먼트(100)의 왁스케이스(102)에 대한 펀칭 및 피스톤 양정 높이 조정 공정이 완료된다.
10 : 승하강 블럭 11 : 펀치 도피홀
12 : 펀치 가압블럭 13 : 쐐기 장착홈
14 : 후진지지용 경사면 15 : 제2키홈
16 : 체결홈 17 : 쐐기이탈방지용 볼트
18 : 키 20 : 쐐기
21 : 쐐기가압경사면 22 : 가압수직면
23 : 쐐기이탈방지면 30 :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
31 : 펀치가이드홈 35 : 제1키홈
40 : 펀치 42 : 펀치가압경사면
43 : 펀치후진경사면 44 : 가압단
50 : 승하강 구동수단 60 : 고정프레임
100 : 엘리먼트 102 : 왁스케이스
104 : 피스톤

Claims (10)

  1. 승하강 구동수단(50)과 연결되는 승하강 블럭(10)과;
    상기 승하강 블럭(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의 펀치 도피홀(11)을 형성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펀치 가압블럭(12);
    상기 각 펀치 가압블럭(12)의 내경면에 형성된 쐐기 장착홈(13)에 고정 장착되어, 펀치 가압블럭(12)의 승하강시 함께 승하강하는 쐐기(20);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펀치 도피홀(11)과 마주보는 펀치가이드홈(31)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고정프레임(60)에 고정되는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 및
    상기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내에 삽입 배치된 엘리먼트(100)의 왁스케이스(102) 외경면을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쐐기(20)와 면접촉에 의하여 전후 이송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펀치 도피홀(11) 및 펀치가이드홈(31)에 삽입되는 펀치(4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펀치 가압블럭(12)의 상면에는 체결홈(16)이 형성되고, 이 체결홈(16)에는 쐐기(20)의 상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쐐기이탈방지용 볼트(17)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 장착홈(13)은 각 펀치 가압블럭(12)의 내경면 일측에 직각 단면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일측부가 펀치 도피홀(11)과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20)의 내면은 펀치(40)와 사선 접촉하도록 쐐기가압경사면(21)으로 형성되고, 외면은 쐐기 장착홈(13)의 수직 벽면과 면접촉하도록 가압수직면(22)으로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는 쐐기이탈방지용 볼트(17)의 머리부와 접촉하는 쐐기이탈방지면(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펀치(40)의 중간부분의 한쪽면에 형성된 오목한 공간에서 그 앞쪽 벽면은 쐐기(20)의 쐐기가압경사면(21)과 면접촉하는 펀치가압경사면(42)으로 형성되고, 뒤쪽 벽면은 펀치 가압블럭(12)의 외경면에 형성된 후진지지용 경사면(14)과 면접촉하는 펀치후진경사면(43)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쐐기(20)의 쐐기가압경사면(21)은 위에서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펀치(40)의 펀치가압경사면(42)은 쐐기가압경사면(21)과 면접촉하도록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펀치(40)의 펀치후진경사면(43)은 펀치가압경사면(42)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면서 위에서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펀치 가압블럭(12)의 후진지지용 경사면(14)은 펀치후진경사면(43)과 면접촉하도록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상향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펀치(40)의 전면에는 엘리먼트(100)의 왁스케이스(102) 외경면을 눌러주는 가압단(44)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펀치(40)는 총 6개가 엘리먼트(100)의 왁스케이스(102) 외경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왁스케이스(102)의 외경면 전체를 고르게 눌러줌으로써, 왁스케이스(102)의 왁스충진공간에 충진된 왁스 팽창량 및 왁스 팽창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104)의 외부 돌출길이가 일정하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 삽입고정블럭(30)의 외경면과 상기 복수의 펀치 가압블럭(12) 중 어느 하나의 내경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키홈(35,15)이 형성되고, 각 키홈(35,15)내에 키(18)가 삽입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KR1020160165523A 2016-12-07 2016-12-07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KR10182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523A KR101824528B1 (ko) 2016-12-07 2016-12-07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523A KR101824528B1 (ko) 2016-12-07 2016-12-07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528B1 true KR101824528B1 (ko) 2018-02-02

Family

ID=6122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523A KR101824528B1 (ko) 2016-12-07 2016-12-07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542B1 (ko) 2020-08-27 2022-01-05 주식회사 세이포드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5487B2 (ja) 1997-02-14 2006-02-1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サーモスタット弁装置
KR101255963B1 (ko) 2012-01-19 2013-04-23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조립식 서모스탯
KR101316360B1 (ko) 2007-12-17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용 서모스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5487B2 (ja) 1997-02-14 2006-02-1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サーモスタット弁装置
KR101316360B1 (ko) 2007-12-17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용 서모스탯
KR101255963B1 (ko) 2012-01-19 2013-04-23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조립식 서모스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542B1 (ko) 2020-08-27 2022-01-05 주식회사 세이포드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8006B2 (en) Thermostatic mixing valve
KR101741762B1 (ko) 교량 인상용 안전 유압잭, 교량 인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교량 인상 및 인하 공법
EP3467352A1 (en) Temperature regulating valve
US20160224037A1 (en) Thermostatic valve
KR101824528B1 (ko) 써모스탯 엘리먼트의 양정 조정 장치
AU2007228293A1 (en) Thermostat apparatus
WO2000012895A2 (en) Valve seating control device with variable area orifice
RU2301369C1 (ru) Терморегулирую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клапанов отопительных или охладительных агрегатов
TW201200743A (en) Cap for use in fluid pressure device and fixing method therefor
EP1724034B1 (en) Apparatus for locking a sheet of metal suitable to be shaped in a press
JP3833947B2 (ja) 流体圧自動調整装置及び流体圧自動調整方法
DE19838511A1 (de) Ventilgruppe und Rücklauftemperaturbegrenzer, insbesondere für Fußbodenheizungen
US20090025494A1 (en) Vertically Movable Slide Unit for an Operating Machine, with an Integrate Anti-Fall Device
EP3760899A1 (en) Valve arrangement
SE463471B (sv) Hydraulisk ventillyftare
CN111587054A (zh) 一种流量调节装置及液冷机柜
JP2006029387A (ja) 流体圧開閉弁
KR100383825B1 (ko) 의자용 칼럼 유니트
CN216382034U (zh) 一种油路阀体及其总成
CN112943187B (zh) 一种基于注水用隔离装置的油井注水方法
US2024010952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brake system, and vehicle brake system
US20050016238A1 (en) Device for punching work pieces in an internal high-pressure forming tool
KR20100042551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냉각장치
RU2238444C2 (ru) Блок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х клапанов лифта с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приводом
JPH05154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