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976B1 - 거푸집 조립체 - Google Patents

거푸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976B1
KR101823976B1 KR1020170039099A KR20170039099A KR101823976B1 KR 101823976 B1 KR101823976 B1 KR 101823976B1 KR 1020170039099 A KR1020170039099 A KR 1020170039099A KR 20170039099 A KR20170039099 A KR 20170039099A KR 101823976 B1 KR101823976 B1 KR 101823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nit
formwork
die block
uni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식
Original Assignee
유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식 filed Critical 유대식
Priority to KR102017003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976B1/ko
Priority to PCT/KR2017/011016 priority patent/WO201814353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제1 거푸집 블록유닛, 제2 거푸집 블록유닛, 거푸집 연결유닛, 그리고 보강 프레임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거푸집 연결유닛은 복수의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복수의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블록유닛을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가 1 거푸집 블록유닛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 사이에 타설되어 양생되어 굳어지면,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상호 연결 구조를 쉽게 해제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 연결유닛을 콘크리트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다.

Description

거푸집 조립체{FORM BLOCK ASSEMBLY}
본 발명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을 짓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에 사용되는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기둥, 바닥, 벽 등 콘크리트를 부어 만들 모양의 틀을 짠 후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굳은 뒤 이 틀을 떼어내는데, 콘크리트가 부어진 틀을 거푸집이라고 한다. 거푸집으로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을 사용하며, 공사에 따라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을 쓰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벽체를 시공 할 때에는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를 이격 배치하고, 이러한 이격 상태로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구 어셈블리로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내부와 외벽 거푸집체는 시공되는 벽체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통폼과 같은 다수개의 판넬체들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 및 결합된 것으로서, 벽체의 내부 외벽면을 한정할 수 있는 거푸집체를 형성한다.
통폼의 판넬체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 내측에 철판이 부착되며, 프레임 측에는 연결구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규격화된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진다.
연결구 어셈블리는 내, 외벽 거푸집체의 이격된 구간을 연결하는 타이와, 타이의 양단부 측을 내, 외벽 거푸집 측에 고정하는 체결핀들로 이루어진다. 타이는 내, 외벽 거푸집체 측에서 판넬체들의 가이드홈 내부에 양단부가 각각 끼워지고, 가이드홈 내부에 타이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홈 측에 체결핀들이 체결되면서 타이에 의해 내, 외벽거푸집체들이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기존의 내, 외벽 거푸집체를 시공하는 구조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상기콘크리트의 양생 후,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의 고정 시 사용된 타이 및 체결핀을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됨으로써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내, 외벽 거푸집체를 제거한 다음, 타이 및 체결핀을 제거해야 함으로써 작업이 번거롭고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절단 또는 마감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의 증가와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보다 양생된 콘크리트 외벽에서 타이 및 체결핀의 제거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면서, 거푸집 블록들을 상호 체결하는 연결구조의 분해가 간단하며, 거푸집 블록의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한쪽 외벽을 형성하도록 일렬로 조립되어 배치 가능한 복수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에 대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다른 한쪽 외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렬로 조립되어 배치 가능한 복수의 제2 거푸집 블록유닛; 상기 복수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복수의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각각의 외벽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 및 복수의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복수의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2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거푸집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외벽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른 복수의 보강리브가 마련되며, 상기 거푸집 연결유닛은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을 통과하여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분리 가능한 둥근 막대 형상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에 위치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거푸집 연결유닛은,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파이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연결유닛은, 상기 복수의 보강리브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받침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한 쌍의 받침 브라켓에 체결하도록 마련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파이프의 중심 연장선을 따른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외벽부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체결수단이 통과하여 배치되는 외부 파이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 브라켓은, 상기 보강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외부 파이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외벽부에 접촉 지지되어 배치되는 수평 지지부재; 및 상기 수평 지지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수평 지지부재에 교차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수평 지지부재 상으로 위치 제한시키는 수직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상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수평 지지부재 상으로 안내하는 경사 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판;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 핀을 위한 체결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한쪽 측벽부에는,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경사 돌기가 상하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반대 측벽부에는 상기 경사 돌기가 삽입 가능한 경사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은, 상기 보강리브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외벽패널; 상기 외벽패널의 한쪽 단부에 상기 보강리브에 대응하여 상하 배치되며, 조립 홀들과 상기 경사 홈부가 마련되는 제1 조립패널; 상기 외벽패널의 다른 한쪽 단부에 상기 보강리브에 대응하여 상하 배치되며, 조립 홀들과 상기 경사 돌기가 마련되는 제2 조립패널; 및 상기 외벽패널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보강리브에 의해 지지되며, 조립 홀들이 마련된 블록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외벽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을 경사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로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로드 유닛은,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이 일렬로 조립 배치된 구조에서, 상기 제1 조립패널과 상기 제2 조립패널에 결합되는 로드 브라켓; 상기 로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터드 볼트모듈; 및 상기 로드 브라켓의 반대 측에서 상기 스터드 볼트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보다 양생된 콘크리트 외벽에서 타이 및 체결핀의 제거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면서, 거푸집 블록들을 상호 체결하는 연결구조의 분해가 간단하며, 거푸집 블록의 분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푸집 블록유닛들에 타설 콘크리트가 양생된 횡 방향 하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거푸집 연결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거푸집 블록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거푸집 블록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거푸집 블록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블록 커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한쪽 거푸집 블록유닛의 조립도이다.
도 11은 도 8의 거푸집 조립체의 연결부재와 체결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콘크리트 양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면의 방향과 위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상하좌우는 XY좌표 평면계와 일치하며, 전후좌우는 YZ 좌표의 평면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실시예들의 도면에서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에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으로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된 용어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한자, 국어 혹은 영어의 사전적인 의미 혹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부합하는 속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구비한다"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가질 수 있음을, "고정 및 구속된다"는 이동과 움직임이 제한됨을, "회전 및 힌지"는 대상 객체의 일부 혹은 전부가 회전하여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 거푸집 연결유닛(120), 그리고 보강 프레임(140, 141)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의 양쪽 주요 외벽으로 기립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만들 수 있는 양쪽 각각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일렬로 조립되어 배치 가능한 벽체 요소들이다.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은 하나씩 혹은 여러 개씩 조립 가능한 외벽체로서, 일렬의 벽체 조립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토록 한다.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들은 세워져 일렬로 조립되며, 그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만들 수 있다.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사이의 양쪽 개구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마감 처리된다.
거푸집 연결유닛(120)은 복수의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복수의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간단한 해체를 가능케 하며,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한 것이다.
거푸집 연결유닛(120)은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을 상호 체결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간격을 유지하며, 콘크리트 타설 시에 내부 압력에 의한 인장력을 받는 것이므로, 타설된 콘크리트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거푸집 연결유닛(120)은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즉 복수의 거푸집 연결유닛(120)이 복수개가 조립되어 배치된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에 하나씩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복수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을 상호 체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유닛(120)은, 둥근 막대 형상의 연결부재(104)와 체결수단(12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04)는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에 체결수단(125)에 위해 위치 고정될 수 잇다.
연결부재(104)는 둥근 막대 형상이므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굳어진 후에, 체결수단(125)을 해체하여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상호 체결을 풀어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을 분리한 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연결부재(104)는 굳은 콘크리트를 관통하여 접촉 배치된 상태에서, 망치를 이용한 타력에 의해 콘크리트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연결부재(104)는 콘크리트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매끈한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이 연결부재(104)와 체결수단(125) 만으로 체결된다고 상정하는 경우로서, 상기의 연결부재(104)는 후술되는 도 11에 도시된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유닛(120)은, 연결부재(104)가 좀더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104)를 감싸기 위한 중간 파이프(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파이프(121)는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 사이에 위치하며, 체결수단(125)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04)가 콘크리트와 관계없이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연결부재(104)는 중간 파이프(121)를 통과하여 배치됨으로써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체결수단(125)은 길게 형성된 연결부재(104)의 단부에 마련되는 나사 형상의 볼트(126)와 볼트(126)에 결합되는 너트(127)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04)의 다른 한쪽 단부는 볼트(126)와 볼트(126)에 결합되는 너트(127)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 프레임(140)에 접촉 가능한 볼트 머리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104)는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어느 한쪽 외벽부에서 중간 파이프(121)를 통과하여 다른 한쪽 외벽부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너트(127)가 외벽부에서 볼트(126)에 체결됨으로써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은 체결수단(125)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콘크리트가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 사이에 타설되고 양생되어 굳어지면, 볼트(126)에서 너트(127)를 풀고 볼트(126)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재(104)를 중간 파이프(121)를 통해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부재(104)는 중간 파이프(121)의 내부 통로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굳어진 콘크리트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상호 연결 구조가 해제되며,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은 굳어진 콘크리트의 벽부로터 쉽게 분리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기존에 있었던 양생된 콘크리트 외벽에서 타이 및 체결핀의 제거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면서, 거푸집 블록들을 상호 체결하는 연결구조에 해당되는 연결부재(104)와 체결수단(125)의 분해가 간단하며, 굳어진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 블록유닛들(101, 102)의 분리가 용이하다.
한편,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외벽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른 복수의 보강리브(105)가 마련된다. 이러한 복수의 보강리브(105)는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에 작용하는 내부 압력을 지지함으로써 굽힘과 좌굴 변형을 방지한다.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에는, 각각의 외벽부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 프레임(140, 141)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보강 프레임(140, 141)은 사각 단면의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으며, 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됨으로서 복수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이 일렬로 배치된 구조를 유지한다. 즉 보강 프레임(140, 141)은 복수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에 대해 횡 방향에 따른 굽힘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프레임(140, 141)은, 동일한 형상과 구조이며,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은 양쪽에 기립되어 설치되어 있을 뿐 거의 차이가 없는 구조로 만들어진 것이다.
하기에서는, 거푸집 연결유닛(120)의 다른 요소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거푸집 연결유닛(120)은,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각각의 외벽부를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140)에 연결부재(104)와 체결수단(125)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푸집 연결유닛(120)은, 중간 파이프(121)의 중심 연장선을 따른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외벽부에 각각 위치하는 외부 파이프(128), 그리고 외부 파이프(128) 상에 위치 고정되며 복수의 보강리브(105)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 브라켓(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브라켓(130)은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각각의 외벽부를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140)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받침 브라켓(130) 상에 보강 프레임(140)이 지지되어 배치될 수 있다.
외부 파이프(128)는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외벽부를 따라 보강 프레임(14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강 프레임(140)이 안치되어 위치 제한되는 받침 브라켓(130)이 지지된 양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받침 브라켓(130)은 보강 프레임(140)이 안치되어 위치 제한될 수 있도록 꺽쇠 형상으로 구성된다. 받침 브라켓(130)은 복수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외벽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위치 고정되며, 보강 프레임(140)의 횡 방향 설치를 가능케 하는 요소이다.
체결수단(125)은 외부 파이프(128)와 중간 파이프(121)를 통과하여 배치되며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을 체결하도록 구성된 연결부재(104)를 받침 브라켓(130)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수단(125)은 상기와 같이 볼트(126)와 너트(127)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으며 받침 브라켓(130)에 접촉 가능한 볼트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04)가 한쪽 외부 파이프(128)와 중간 파이프(121) 그리고 다른 한쪽 외부 파이프(128)에 배치되고 볼트(126)가 너트(127)에 의해 외부 파이프(128)의 외측에서 받침 브라켓(130)이 위치 고정됨으로써 보강 프레임(140)의 설치구조가 만들어지며,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이 연결된다.
받침 브라켓(130)은, 보강 프레임(140)을 지지하도록 중간 파이프(121) 상에 결합되며,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외벽부에 접촉 지지되어 배치되는 수평 지지부재(131)와, 수평 지지부재(131)의 단부에 결합된 수직 지지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지지부재(132)는 중간 파이프(121)에 연결되며 체결수단(125)이 통과하는 개구(135)가 마련되며 수평 지지부재(131)에 교차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다른 보강 프레임(140)을 수평 지지부재(131) 상으로 위치 제한시킬 수 있다.
이처럼 받침 브라켓(130)은 보강 프레임(140)이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외벽부에 접촉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보강 프레임(140)은 보강 리브(105)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수직 지지부재(132)의 상단부에는,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상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보강 프레임(140)을 수평 지지부재(131) 상으로 안내하는 경사 안내부(137)가 마련될 수 있다. 경사 안내부(137)는 받침 브라켓(130)의 상부에 보강 프레임(140)이 삽입되는 입구를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다른 중요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은, 외벽패널(110)의 양쪽에 제1 조립패널(111)과 제2 조립패널(112)이 마련되며, 상부와 하부에 블록커버(118)가 있는 것이다.
외벽패널(110)은 복수의 보강리브(105)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실질적 외벽체이다. 제1 조립패널(111)은 외벽패널(110)의 한쪽 단부에 보강리브(105)에 대응하여 상하 배치되며 조립 홀(113)들이 마련된 것이다. 제2 조립패널(112)은 외벽패널(110)의 다른 한쪽 단부에 보강리브(105)에 대응하여 상하로 배치되며 조립 홀(113)들이 마련된 것이다.
블록커버(118)는 외벽패널(1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접촉되어 위치하며 보강리브(105)에 의해 지지되며 조립 홀들이 마련된 것이다. 블록커버(118) 상에는 평면 벽체인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패널이 조립될 수 있다.
제1 조립패널(111)과 제2 조립패널(112) 중 어느 하나에는,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경사 돌기(115)가 상하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경사 돌기(115)가 삽입 가능한 경사 홈부(116)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립패널(111)에 경사 돌기(115)가 마련되며, 제2 조립패널(112)에 경사 홈부(116)가 마련된다.
복수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은 각각 제1 조립패널(111)의 경사 돌기(115)가 제2 조립패널(112)의 경사 홈부(116)에 삽입됨으로써 일렬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립패널(111)과 제2 조립패널(112)은 조립 홀(113)이 대응하여 배치된 후 체결요소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이 후에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은 상기와 같이 거푸집 연결유닛(120)에 의해 견고하게 상호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외벽부에는 지지로드 유닛(150)이 연결된다. 지지로드 유닛(150)은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을 경사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로드 유닛(150)은,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이 일렬로 조립 배치된 구조에서, 제1 거푸집 블록유닛(1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102)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로드 유닛(150)은, 제1 조립패널(111)과 제2 조립패널(112)에 결합되는 로드 브라켓(151), 로드 브라켓(1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터드 볼트모듈(153), 그리고 로드 브라켓(151)의 반대 측에서 스터드 볼트모듈(15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 받침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로드 유닛(150)은 로드 브라켓(151)과 로드 받침부(155) 사이의 스터드 볼트모듈(153)의 길이가 스터드 볼트(126) 구조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로드 브라켓(151)을 최종적으로 지지하는 로드 받침부(155)가 그 지지되는 영역에 충분히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하기에서 거푸집 블록유닛은 상기의 거푸집 블록유닛과 같은 기능과 구조를 갖는 것이며, 체결수단은 거푸집 연결유닛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한쪽 거푸집 블록유닛의 조립도이며, 도 11은 도 8의 거푸집 조립체의 연결부재와 체결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도 9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콘크리트 양생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제1 거푸집 블록유닛(201)과 제2 거푸집 연결유닛(202)에 대한 거푸집 연결유닛(220)의 구성에서 상기의 실시예와 다르며, 상기 다른 요소들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유닛(220)은, 연결부재(204), 지지판(226) 그리고 결합 핀(227)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연결부재(204)는 보강 프레임(240, 241)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양쪽의 체결수단으로 지지판(226)과 결합 핀(227)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과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판(226)은 제1 거푸집 블록유닛(201) 측의 보강 프레임(240, 241)에 배치되며, 결합 핀(227)은 제2 거푸집 블록유닛(202)의 보강 프레임(240, 241)에서 연결부재(204)의 체결 공(203)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양쪽 보강 프레임(240, 241)들을 연결부재(204)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제1 거푸집 블록유닛(2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20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재(204)는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 굳어진 콘크리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둥근 형상이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204)는 지지판(226)이 한쪽 보강 프레임에 지지되고, 결합 핀(227)이 다른 한쪽 보강 프레임에 지지됨으로써 보강 프레임들을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204)의 체결수단으로는 지지판(226)과 결합 핀(227)으로 한정되진 않으며, 상기의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굳어진 후, 연결부재(204)에서 체결수단을 제거하여 제1 거푸집 블록유닛(201)과 제2 거푸집 연결유닛(202)를 해체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204)를 굳어진 콘크리트벽체(200)로부터 망치(205)를 사용한 타력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를 사용하면, 콘크리트 양쪽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201)과 제2 거푸집 블록유닛(202)의 분리가 용이하며, 굳어진 콘크리트로부터 연결부재(204)의 제거가 용이하므로, 콘크리트 벽체에서 타이 및 체결핀의 제거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1, 201: 제1 거푸집 블록유닛 102, 202: 제2 거푸집 블록유닛
104, 204: 연결부재
105: 보강리브 110: 외벽패널
111: 제1 조립패널 112: 제2 조립패널
115: 경사 돌기 116: 경사 홈부
118: 블록커버 120, 220: 거푸집 연결유닛
121: 중간 파이프 125: 체결수단
126: 볼트 127: 너트
128: 외부 파이프 130: 받침 브라켓
131: 수평 지지부재 132: 수직 지지부재
135: 개구 137: 경사 안내부
140, 141, 240, 241: 보강 프레임 150: 지지로드 유닛
151: 로드 브라켓 153: 스터드 볼트모듈
155: 로드 받침부 200: 벽체
203: 체결 공 205: 망치
226 : 지지판 227: 결합 핀

Claims (10)

  1.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한쪽 외벽을 형성하도록 일렬로 조립되어 배치 가능한 복수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에 대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다른 한쪽 외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렬로 조립되어 배치 가능한 복수의 제2 거푸집 블록유닛;
    상기 복수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복수의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각각의 외벽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 및
    복수의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복수의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제1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2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거푸집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외벽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제1,2 거푸집 블록유닛의 변형을 방지하는 복수의 보강리브가 마련되며,
    상기 거푸집 연결유닛은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을 통과하여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매끈한 외면을 가지는 둥근 막대 형상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에 위치 고정시키는 체결수단;
    상기 체결수단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재가 콘크리트와 관계없이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파이프;
    상기 복수의 보강리브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에 위치하는 보강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받침 브라켓을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한 쌍의 받침 브라켓에 체결하도록 마련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파이프의 중심 연장선을 따른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외벽부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체결수단이 통과하여 배치되는 외부 파이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 브라켓은,
    상기 보강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외부 파이프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외벽부에 접촉 지지되어 배치되는 수평 지지부재; 및
    상기 수평 지지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수평 지지부재에 교차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수평 지지부재 상으로 위치 제한시키는 수직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상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수평 지지부재 상으로 안내하는 경사 안내부가 마련되는 거푸집 조립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판;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 핀을 위한 체결공이 마련되는 거푸집 조립체.
  7.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거푸집 조립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한쪽 측벽부에는,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경사 돌기가 상하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반대 측벽부에는 상기 경사 돌기가 삽입 가능한 경사 홈부가 마련되는 거푸집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은,
    상기 보강리브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외벽패널;
    상기 외벽패널의 한쪽 단부에 상기 보강리브에 대응하여 상하 배치되며, 조립 홀들과 상기 경사 홈부가 마련되는 제1 조립패널;
    상기 외벽패널의 다른 한쪽 단부에 상기 보강리브에 대응하여 상하 배치되며, 조립 홀들과 상기 경사 돌기가 마련되는 제2 조립패널; 및
    상기 외벽패널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보강리브에 의해 지지되며, 조립 홀들이 마련된 블록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의 외벽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을 경사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로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 유닛은,
    상기 제1 거푸집 블록유닛과 상기 제2 거푸집 블록유닛이 일렬로 조립 배치된 구조에서,
    상기 제1 조립패널과 상기 제2 조립패널에 결합되는 로드 브라켓;
    상기 로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터드 볼트모듈; 및
    상기 로드 브라켓의 반대 측에서 상기 스터드 볼트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 받침부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립체.
KR1020170039099A 2017-01-31 2017-03-28 거푸집 조립체 KR101823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099A KR101823976B1 (ko) 2017-03-28 2017-03-28 거푸집 조립체
PCT/KR2017/011016 WO2018143534A1 (ko) 2017-01-31 2017-09-29 거푸집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099A KR101823976B1 (ko) 2017-03-28 2017-03-28 거푸집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976B1 true KR101823976B1 (ko) 2018-01-31

Family

ID=6108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099A KR101823976B1 (ko) 2017-01-31 2017-03-28 거푸집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9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072B1 (ko) * 2020-09-07 2021-07-05 다스코 주식회사 시공성이 향상된 벽체 거푸집 시공방법 및 그 거푸집 구조체
KR102405888B1 (ko) * 2021-11-12 2022-06-08 미래테크(주) 형틀 분리가 용이하고 형틀재고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만든 콘크리트 벽체용 알루미늄제 조립형 형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622B2 (ja) * 1994-02-23 2000-03-27 太陽誘電株式会社 追記型光ディスクのパワーキャリブレーションエリアの使用方法及びパワー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KR101616867B1 (ko) * 2015-06-18 2016-04-29 유대식 벽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622B2 (ja) * 1994-02-23 2000-03-27 太陽誘電株式会社 追記型光ディスクのパワーキャリブレーションエリアの使用方法及びパワー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KR101616867B1 (ko) * 2015-06-18 2016-04-29 유대식 벽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072B1 (ko) * 2020-09-07 2021-07-05 다스코 주식회사 시공성이 향상된 벽체 거푸집 시공방법 및 그 거푸집 구조체
KR102405888B1 (ko) * 2021-11-12 2022-06-08 미래테크(주) 형틀 분리가 용이하고 형틀재고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만든 콘크리트 벽체용 알루미늄제 조립형 형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78597B (zh) 楼板后浇带模板以及支模方法
WO2018143534A1 (ko) 거푸집 조립체
KR101823976B1 (ko) 거푸집 조립체
KR101302520B1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구조
KR101237330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WO2009064157A2 (en) Improvements to formwork panel and accessory
KR200445310Y1 (ko)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CN108868130B (zh) 一种双层连梁洞口模板系统及其应用于双层连梁的工法
KR100655243B1 (ko) 천장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구조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KR20180089091A (ko) 거푸집 조립체
CN211850845U (zh) 一种楼梯模板支设结构
KR20180089808A (ko) 벽 단부 형성용 거푸집 패널
KR19990035156U (ko) 건축용거푸집고정장치
KR200405405Y1 (ko) 건축용 상승식 달비계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101825818B1 (ko) 각도조절용 타이가 일체화된 클립
JP4348250B2 (ja) 基礎コンクリートの型枠用枠板ホルダー
CN220150024U (zh) 混凝土道面端头钢模板
KR101426650B1 (ko) 건축물 골조 형성 구조
CN216130574U (zh) 一种楼梯浇筑模具
KR102554569B1 (ko) 거푸집 설치용 기둥 고정 밴드
JP3356853B2 (ja) 型枠装置
KR102198600B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CN210659253U (zh) 一种现浇楼梯支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