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103B1 -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103B1
KR101823103B1 KR1020160064765A KR20160064765A KR101823103B1 KR 101823103 B1 KR101823103 B1 KR 101823103B1 KR 1020160064765 A KR1020160064765 A KR 1020160064765A KR 20160064765 A KR20160064765 A KR 20160064765A KR 101823103 B1 KR101823103 B1 KR 101823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nozzle
foaming agent
filament
chemical f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682A (ko
Inventor
신보성
유찬주
박찬
홍성무
이태구
이동훈
강명창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103B1/ko
Priority to PCT/KR2016/015244 priority patent/WO2017204433A1/ko
Publication of KR2017013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22Foaming unrestricted by cavity walls, e.g. without using moulds or using only internal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14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10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70/10Composites of different types of material, e.g. mixtures of ceramics and polymers or mixtures of metals and bio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잡하고 다양한 3차원 형태를 갖는 다공체를 제조하거나, 소량의 다공체를 3차원 프린팅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상측에 스테이지에 대해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지에 화학발포제 또는 가스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가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노즐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스테이지를 향해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분출하는 프린팅노즐과; 상기 프린팅노즐의 노즐홀의 외측에 설치되어 노즐홀을 통과하는 하이브리드 필라멘트의 화학발포제를 발포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상기 프린팅노즐로 공급하는 필라멘트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Apparatus for Printing 3D Porous Polymer Structure And Method for Printing 3D Porous Polymer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입체 형상을 갖는 다공체를 3차원 프린팅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포 성형은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 공정 중에 기포를 생성시키고 이를 고분자 수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발포 성형물은 부피의 많은 부분을 기포가 차지하므로, 재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포로 인한 단열성이나 탄성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포 성형에는 물리적 발포제나 화학적 발포제가 사용된다. 화학적 발포제로는 임계온도에서 분해되고,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를 방출하는 저분자량의 유기화합물이 사용된다. 물리적 발포제로는 이산화탄소, 질소와 같은 기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발포 사출성형은 수지와 발포제, 기타 첨가제를 미리 배합하여 사출하거나, 수지를 용융하는 배럴(BARREL)의 적당한 위치에 발포제를 주입하고 고압 하에서 고분자 수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사출한다.
이렇게 사출되는 고분자 수지와 발포제의 혼합물은 금형 내의 성형 공간인 캐비티로 주입된 후 생성된 가스가 팽창하면서 발포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발포 사출 또는 발포 압출 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다공체를 제조하는 방식은 단순한 형태의 다공체를 대량으로 제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만, 복잡하고 다양한 3차원 형태를 갖는 다공체를 제조하거나, 소량의 다공체를 제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61141호(2012.06.13. 공개) 미국 등록특허 제5,121,329호(1992.06.0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하고 다양한 3차원 형태를 갖는 다공체를 제조하거나, 소량의 다공체를 3차원 프린팅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상측에 스테이지에 대해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지에 화학발포제 또는 가스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가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노즐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스테이지를 향해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분출하는 프린팅노즐과; 상기 프린팅노즐의 노즐홀의 외측에 설치되어 노즐홀을 통과하는 하이브리드 필라멘트의 화학발포제를 발포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상기 프린팅노즐로 공급하는 필라멘트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으로서,
(a)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제조하여 프린팅노즐에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공급하는 단계;
(b) 프린팅노즐을 하이브리드 필라멘트의 화학발포제가 발포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c) 프린팅노즐과 스테이지를 수평 및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면서 프린팅노즐을 통해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토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발포제가 함유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프린팅노즐을 통해 가열하면서 토출하여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체를 3차원 프린팅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3차원 입체 형태의 다공체를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으며, 형태가 복잡한 다공체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의 프린팅노즐을 통해 하이브리드 필라멘트가 토출되어 다공체가 만들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의 필라멘트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다공체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다공체의 일례로서 신발 밑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의 프린팅노즐의 다양한 실시예 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는, 스테이지(10)와, 상기 스테이지(10)의 상측에 스테이지(10)에 대해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테이지(10)를 향해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를 분출하는 프린팅노즐(20)과, 상기 프린팅노즐(20)에 설치되어 프린팅노즐(20)을 가열하는 히터(30)와, 화학발포제 및/또는 가스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를 상기 프린팅노즐로 공급하는 필라멘트공급부(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지(10)는 편평한 평판 형태로 되어 프린팅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되거나, 공지의 선형운동장치에 의해 X-Y 방향으로 수평 이동 및/또는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노즐(20)은 상기 스테이지(10)의 상측에 공지의 선형운동장치에 의해 X-Y 방향으로 수평 이동 및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컨트롤러(미도시)의 설계프로그램에 입력된 다공체의 입체 형태에 따라 스테이지(10)에 대해 X-Y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를 토출하여 원하는 입체 형태로 다공체를 적층한다. 상기 프린팅노즐(20)을 수평 이동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선형운동장치는 리니어모터 시스템, 볼스크류-서보모터 시스템, 풀리-벨트-서보모터 시스템 등을 이용한 선형운동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프린팅노즐(20)의 중앙부에는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가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노즐홀(2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히터(30)는 상기 노즐홀(21)의 바로 외측에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히터(30)는 프린팅노즐을 150~300℃ 로 가열하여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를 이루는 수지를 용융시킴과 동시에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 내의 화학발포제(C)를 발포시킨다.
상기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는 수지에 화학발포제 분말 및/또는 가스가 혼합되어 만들어지는데, 상기 수지로는 ABS, 우레탄, 실리콘, PP, PLA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발포제로는 발열발포제인 Azodicarbonamide(ADC)(C2H4O2N4), ADC activated, OBSH(oxy enzene sulphonyl hydrazide), 5-PT, TSS, TSH(Toluene sulfonyl hydrazide) 등을 이용하거나, 흡열발포제인 NaHCO3, citric acid derivates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발열발포제와 흡열발포제를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화학발포제와 함께, 또는 화학발포제 없이 수지에 N2, H2, O2, CO, CO2, NH3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스를 주입하여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를 만들 수도 있다.
상기 화학발포제 중 Azodicarbonamide(ADC)는 분자식이 NH2CONNCONH2 인 분말로서, 200~210℃의 온도에서 열 분해되고, 아래의 반응식과 같이 열 분해 시 초기 단계는 N2, CO, CO2 가스가 발생하며, 온도 상승에 따라 NH3 가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Figure 112016050746036-pat00001
상기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는 상기 필라멘트공급부(40)에서 0.1 ~ 10.0㎜의 균일한 직경을 갖는 와이어 형태로 만들어져 프린팅노즐(20)로 공급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필라멘트공급부(40)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펠릿 형태로 된 수지(R)와 분말 형태로 된 화학발포제(C)가 투입되는 호퍼 구조의 투입구(42)와 상기 투입구(42)를 통해 유입된 수지(R)와 화학발포제(C)의 혼합물이 와이어 형태의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로 성형되면서 배출되는 배출구(43)를 구비한 압출실린더(41)와, 상기 압출실린더(41)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지와 화학발포제의 혼합물을 투입구(42) 쪽에서 배출구(43) 쪽으로 점진적으로 이송하면서 교반하는 스크류(44)와, 상기 압출실린더(41)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화학발포제(C)의 발포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압출실린더(41)를 가열하는 실린더히터(45)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히터(45)는 상기 수지(R)의 융점 온도보다는 높고 화학발포제(C)의 융점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로 압출실린더(41)를 가열하여 수지(R)가 용융되면서 화학발포제(C)와 혼합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다공체를 프린팅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필라멘트공급부(40)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를 제조하고, 제조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를 상기 프린팅노즐(20)에 공급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 공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압출실린더(41) 내로 수지(R)와 화학발포제(C)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스크류(44)를 회전시키면 상기 수지(R)와 화학발포제(C)가 스크류(44)에 의해 혼합되면서 배출구(43) 쪽으로 점진적으로 이송된다. 이 때 실린더히터(45)에 의해 압출실린더(41)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므로 압출실린더(41) 내에서 수지가 용융되면서 화학발포제(C)와 교반되어 혼합된다. 상기 실린더히터(45)의 발열 온도는 화학발포제(C)의 발포 온도보다 낮은 온도이므로 화학발포제(C)는 발포되지 않고 수지(R)만 용융된다. 상기 스크류(44)에 의해 혼합되면서 이송된 수지(R)와 화학발포제(C)의 혼합물은 압출실린더(41)의 배출구(4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면서 와이어 형태의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가 된다.
상기 압출실린더(41)의 배출구(43)에서 배출된 와이어 형태의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는 스풀(46)에 권선된 후 프린팅노즐(20)의 상단 입구를 통해 프린팅노즐(20)로 공급된다.
상기 프린팅노즐(20)은 컨트롤러(미도시)의 설계프로그램에 미리 입력된 다공체의 입체 형태에 따라 선형운동장치에 의해 스테이지(10)에 대해 X-Y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를 스테이지(10) 상에 토출하여 원하는 입체 형태로 다공체를 적층한다.
이 때, 상기 프린팅노즐(20)에 구성된 히터(30)는 상기 프린팅노즐(20)을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의 화학발포제가 발포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한다. 따라서, 상기 프린팅노즐(20)의 노즐홀(21)의 하단부를 통해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가 토출될 때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 내의 화학발포제(C)가 발포하여 N2, CO, CO2 등의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테이지(10) 상에 소정의 형태로 적층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에 1㎛~10㎜ 크기의 다수의 미세 기공(pore)이 형성되어 원하는 입체 형태로 다공체가 만들어지게 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프린팅노즐(20)을 통해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를 토출하여 3차원 다공체를 제조할 때, 상기 히터(30)의 작동을 제어하여 기공이 불필요한 영역에서는 기공을 형성하지 않고 기공이 요구되는 영역만 부분적으로 기공을 형성하거나, 기공의 양을 영역 별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신발 밑창의 경우, 기공이 없어야 하는 영역에서는 히터(30)의 작동을 중단시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의 화학발포제(C)가 발포되지 않도록 하고, 기공이 필요한 영역에서만 히터(30)를 작동시켜 다공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공이 다량으로 요구되는 영역에서는 히터(30)의 발열 온도를 증대시켜 다량의 기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기공이 소량만 요구되는 영역에서 발열 온도를 낮추어 화학발포제(C)의 발포량을 적게 하여 소량의 가스만 발생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발포제가 함유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를 프린팅노즐(20)을 통해 가열하면서 토출하여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체를 3차원 프린팅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3차원 입체 형태의 다공체를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으며, 형태가 복잡한 다공체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화학발포제가 함유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를 히터(30)가 구비된 프린팅노즐(20)을 이용하여 3차원 다공체를 제작할 때, 상기 프린팅노즐(20)의 말단부에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 내의 화학발포제의 발포 압력에 의해 유량이 증가하여 정밀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프린팅노즐(20)의 노즐홀(21)의 상부 외측에만 히터(30)를 설치하고, 노즐홀(21)의 하부에는 히터(30)를 설치하지 않아 프린팅노즐(20)의 노즐홀(21)의 하단부를 통해 토출되는 하이브리드 필라멘트(F)의 유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정밀도로 다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홀(21)의 상부와 하부는 프린팅노즐(20)의 전체 상하방향 길이의 1/2 지점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구분할 수 있으나, 이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프린팅노즐(20)의 직경이 일정한 상부를 프린팅노즐(20)의 상부로 정의하고, 프린팅노즐(20)의 직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된 하부를 프린팅노즐(20)의 하부로 정의할 수도 있다.
상기 히터(30)가 설치되지 않은 노즐홀(21)의 하부는 도 6의 (Ⅰ)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경이 일정한 플랫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Ⅱ)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히터(30)가 설치되지 않은 노즐홀(21)의 하부의 내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커지는 확장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반대로 (Ⅲ)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히터(30)가 설치되지 않은 노즐홀(21)의 하부의 내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수축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6의 (Ⅳ) 및 (Ⅴ)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히터(30)가 설치되지 않은 노즐홀(21)의 하부 내주면에 둥근 돌기(21a) 또는 뾰족한 돌기(21b)를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Ⅵ) 및 (Ⅶ)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히터(30)가 설치되지 않은 노즐홀(21)의 하부 내주면에 둥근 홈(21c) 또는 뾰족한 홈(21d)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Ⅷ)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히터(30)가 설치되지 않은 노즐홀(21)의 하부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홈(21e)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테이지 20 : 노즐
21 : 노즐홀 30 : 히터
40 : 필라멘트공급부 41 : 압출실린더
42 : 투입구 43 : 배출구
44 : 스크류 45 : 실린더히터
C : 화학발포제 F : 하이브리드 필라멘트
R : 수지

Claims (14)

  1.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상측에 스테이지에 대해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지에 화학발포제 또는 가스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가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노즐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스테이지를 향해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분출하는 프린팅노즐과;
    상기 프린팅노즐의 내부에서 노즐홀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코일로 되어, 상기 노즐홀을 통과하는 하이브리드 필라멘트의 화학발포제를 발포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상기 프린팅노즐로 공급하는 필라멘트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팅노즐의 상부는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프린팅노즐의 하부는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히터는 상기 직경이 일정한 프린팅노즐의 상부에서 노즐홀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가 설치되지 않은 프린팅노즐의 하부의 노즐홀의 내주면에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는 수지에 화학발포제로서 Azodicarbonamide(ADC)(C2H4O2N4), ADC activated, OBSH, 5-PT, TSS, TSH, NaHCO3, citric acid derivate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분말을 혼합하거나, N2, H2, O2, CO, CO2, NH3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스를 주입하여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프린팅노즐을 150~300℃ 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공급부는, 수지와 화학발포제의 혼합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수지와 화학발포제의 혼합물이 와이어 형태의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로 성형되면서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압출실린더와, 상기 압출실린더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지와 화학발포제의 혼합물을 투입구 쪽에서 배출구 쪽으로 점진적으로 이송하면서 교반하는 스크류와, 상기 압출실린더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화학발포제의 발포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압출실린더를 가열하는 실린더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설치되지 않은 프린팅노즐의 노즐홀의 하부는 내경이 일정한 플랫형과, 내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커지는 확장형과, 내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수축형 중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노즐홀의 하부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는 직경이 0.1 ~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13. 제1항 및 제2항 및 제4항 및 제6항 및 제8항 및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으로서,
    (a)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제조하여 프린팅노즐에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공급하는 단계;
    (b) 프린팅노즐을 하이브리드 필라멘트의 화학발포제가 발포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c) 프린팅노즐과 스테이지를 수평 및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면서 프린팅노즐을 통해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토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압출실린더 내로 수지와 화학발포제의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 압출실린더 내에서 수지와 화학발포제의 혼합물을 화학발포제의 발포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 및 교반하면서 이송하는 단계, 압출실린더의 배출구에서 수지와 화학발포제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가 와이어 형태로 토출되는 단계, 상기 압출실린더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하이브리드 필라멘트를 프린팅노즐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KR1020160064765A 2016-05-26 2016-05-26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KR101823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765A KR101823103B1 (ko) 2016-05-26 2016-05-26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PCT/KR2016/015244 WO2017204433A1 (ko) 2016-05-26 2016-12-23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765A KR101823103B1 (ko) 2016-05-26 2016-05-26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682A KR20170133682A (ko) 2017-12-06
KR101823103B1 true KR101823103B1 (ko) 2018-01-29

Family

ID=6041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765A KR101823103B1 (ko) 2016-05-26 2016-05-26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3103B1 (ko)
WO (1) WO2017204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91B1 (ko) * 2017-12-07 2020-10-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dm 3d 프린팅을 이용한 다공성 스캐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기공 조절 방법
KR102054580B1 (ko) 2018-03-26 2019-12-12 한국과학기술원 위상최적설계와 3d 프린팅을 이용한 다공성 구조 기반의 경량화 설계 방법 및 시스템
KR102287489B1 (ko) * 2019-12-20 2021-08-1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KR20240006327A (ko) * 2022-07-06 2024-01-15 한국기계연구원 불순물 제거 장치,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런터 및 이를 활용한 내부 기체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4021A1 (en) * 2013-10-08 2015-04-16 Stratasys, Inc. Consumable filaments having reversible reinforcement for extrusion-based additive manufacturing
KR101610218B1 (ko) * 2014-02-19 2016-04-08 (주)비앤케이 금속분말이 함유된 fdm 방식의 3d 프린터용 복합필라멘트 조성물
KR101451794B1 (ko) * 2014-03-24 2014-10-16 주식회사 쓰리디코리아 복합 3d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KR101769144B1 (ko) * 2014-05-22 2017-08-18 바이오메디칼쓰리디프린팅 주식회사 Fdm용 필라멘트 제조 장치,와이어가 담지된 fdm용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하는 3차원 프린터
KR101701498B1 (ko) * 2014-09-05 2017-02-03 (주)비앤케이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682A (ko) 2017-12-06
WO2017204433A1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103B1 (ko) 3차원 다공체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체 프린팅 방법
US11142625B2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expanded thermoplastic elastomer
US7858002B2 (en) Method for injection expansion molding of thermoplastic resin
JPH0615722A (ja) 外皮内に発泡性コアを有する高分子材料物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される装置
EP3789176A1 (en) Molding device and molding method
KR20080046182A (ko)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발포 성형방법
JPH0811190A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EP4140682A1 (en)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TWI834253B (zh) 複合物及其製備方法
KR102186831B1 (ko) 가열금형과 뮤셀 사출성형을 통한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및 제조 장비
CN218083830U (zh) 物件及其制备物件的成型装置
US20220143880A1 (en)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TW202308827A (zh) 複合物及其製備方法
US20220097266A1 (en) Molding method
US20230062429A1 (en)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4140687A1 (en)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851748B2 (ja) 微細発泡性材料の射出成形方法および微細発泡性材料製造用射出成形機
EP4321320A1 (en) Molding device and molding method
US20240181691A1 (en)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CN115891023A (zh) 物件及其制造方法
KR20230029535A (ko)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CN118144197A (zh) 注入成型系统及注入成型方法
KR200327454Y1 (ko) 압출기의 발포성형장치
KR20220115631A (ko) 에어링 터널을 구비한 발포시트 제조장치
JP2019107841A (ja) 発泡剤拡散ユニット、及びこの発泡剤拡散ユニットを使用した電線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