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929B1 -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929B1
KR101822929B1 KR1020160059441A KR20160059441A KR101822929B1 KR 101822929 B1 KR101822929 B1 KR 101822929B1 KR 1020160059441 A KR1020160059441 A KR 1020160059441A KR 20160059441 A KR20160059441 A KR 20160059441A KR 101822929 B1 KR101822929 B1 KR 10182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izing base
deodorant
perfume
deodoriz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861A (ko
Inventor
윤혜진
Original Assignee
윤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혜진 filed Critical 윤혜진
Priority to KR1020160059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92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05Compositions containing perfumes; Compositions containing deodorant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농도의 향료에 의한 발향 기능을 발휘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탈취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DEODORANT FOR CLOTHES AND FABR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농도의 향료에 의한 발향 기능을 발휘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탈취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나 섬유제품뿐만 아니라, 가정 내 공기중의 불쾌한 냄새제거, 땀냄새와 같은 체취제거, 화장실 의 불쾌한 냄새제거, 주방에서의 음식물 냄새제거, 현관 등 주거공간의 불쾌한 냄새제거 등을 위해 강한 휘발성향을 포함한 방향제 제품을 사용하여 마스킹하는 제품이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일상 생활주변에는 공기 중의 불쾌한 냄새, 땀냄새 등의 체취, 화장실 냄새, 주방의 음식물 찌꺼기 냄새, 담배냄새, 신발장 또는 창고 등의 곰팡이 냄새 등의 다양한 냄새가 존재한다.
이러한 냄새는 다시 집안 곳곳에 노출된 커튼, 소파, 카페트, 이불이나 배게 와 같은 침구류, 옷장, 의류 등에 냄새가 베어, 불쾌감을 유발하는데, 이를 방치할 경우, 냄새가 심해지거나,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자랄 수도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주 세탁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자주 세탁을 하는 것은 번거롭고 또한 세탁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어 세탁을 통한 냄새제거 방법은 한계가 있다.
의류나 섬유제품에 냄새를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1) 화학적 탈취 방법
냄새 원인 물질의 중화,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의 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방법으로, 악취성분과 결합하여 다른 물질로 바꾸도록 유도하는 특정 성분 등을 적용하여, 냄새 원인 물질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2) 물리적 탈취 방법
다공성 흡착제나 담지체, 예를 들어, 활성탄, 다공성 실리카, 사이클로덱스트린와 같이 흡착 능력 또는 포집 능력이 있는 성분들을 이용하여, 냄새 원인 물질의 흡착 또는 포집을 통해 냄새 원인 물질의 냄새를 차단하는 방법이다.
3) 생물학적 탈취 방법
냄새 원인균의 대사 과정 중에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냄새 원인균을 직접 살균함으로써 냄새생성의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4) 마스킹에 의한 탈취 방법
근본적으로 탈취의 개념이라기 보다는 감각적으로 악취가 느껴지는 냄새의 강도보다 좋은 느낌을 받는 향을 높은 강도로 부여하여 악취를 상대적으로 느끼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다.
의류나 섬유제품의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악취 원인 물질은 보통 4대 악취원이라 하여, 암모니아(ammonia),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메틸메르캅탄(methylmercaptane)을 들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상 생활중의 담배냄새, 음식물 찌꺼기 냄새, 땀냄새, 세균이나 곰팡이등의 대사에 의한 냄새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세탁에 의한 냄새 원인 제거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일상 생활에서 불편함을 유발하고, 제품에 따라 세탁이 불가능한 제품도 있으며, 세탁이 전문적인 탈취 방법이라 할 수 없어 세탁 후에도 냄새 원인이 근본적으로 제거되지 않거나, 건조 중의 과정에서의 오염으로 인해냄새가 지속될 가능성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포집성능이 좋다고 알려진, 환상다당류의 일종인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이용한 탈취 기술(미국특허 제 6,146,621호, 제5,942,217호, 제5,939,060호, 제5,783,544호, 제5,714,137호, 제5,668,097호, 제5,593,670호, 제5,534,165호)이 소개된 바 있으며, 나노실버를 함유한 탈취 기술(한국특허 공개번호10-2005-012295호), 금속산화물에 의한 탈취기술(일본특허 출원번호 2004-371717호) 등이 소개된 바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은 악취 제거에 어느 정도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포집된 악취물질이 의류나 섬유 제품에 그대로 남아 있어 불쾌감이 나타날 수 있고, 또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글루코오스 단량체들이 의류나 섬유 표면에 남아 미생물 번식 및 끈적임을 유발하여 섬유의 안전성을 해치거나 불쾌감이 유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농도의 향료에 의한 발향 기능을 발휘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탈취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로서, 섬유 탈취를 위한 탈취베이스; 1 이상의 천연향료, 1 이상의 합성향료, 및 1 이상의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조합한 조합향료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향료; 및 가용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제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상기 향료는 5 내지 10%인, 탈취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이고, 상기 향료는 지용성의 향료이고, 상기 가용화제는 상기 지용성의 향료가 상기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에 용해가 되도록 하는 비이온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취제는 꽃잎을 더 포함하고, 상기 꽃잎은 건조된 상태에서 상기 탈취베이스에서 숙성된 후에, 상기 향료 및 상기 가용화제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알코올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제1 탈취베이스, 및 상기 제1 탈취베이스와 조성이 상이한 제2 탈취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1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30 내지 60%, 에탄올 30 내지 60%, 1, 2, 헥산디올 2 내지 3%, 감잎추출물 2 내지 3%, 고령토추출물 2 내지 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80 내지 90%, 이미다졸륨 화합물 0.5 내지 1.5%, 에탄올 5 내지 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에톡시레이티드 리니어 알코올, 에톡시레이티드 알킬 페놀, 지방산 에스테르, 아민 유도체, 아마이드 유도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산화에틸렌 혼성중합체, 산화프로필렌 혼성중합체, 폴리알콜, 에톡시레이티드 폴리알콜, 티올 유도체, 메르캅탄 유도체, 폴리알킬에테르, 폴리알킬페닐에테르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의 제조방법으로서, 건조된 꽃잎을 준비하는 건조꽃잎준비단계; 섬유 탈취를 위한 탈취베이스에 상기 건조된 꽃잎을 혼합하여 제1 준비용액을 제조하는, 제1 준비용액제조단계; 1 이상의 천연향료, 1 이상의 합성향료, 및 1 이상의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조합한 조합향료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향료와 가용화제를 혼합하여 제2 준비용액을 제조하는 제2 준비용액제조단계; 및 상기 제1 준비용액과 제2 준비용액을 혼합하여 탈취제를 제조하는 탈취제제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제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상기 향료는 5 내지 10%인, 탈취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이고, 상기 향료는 지용성의 향료이고, 상기 가용화제는 상기 지용성의 향료가 상기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에 용해가 되도록 하는 비이온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준비용액제조단계는 상기 건조된 꽃잎을 상기 탈취베이스에서 12 시간 이상 숙성시킴으로써 상기 제1 준비용액을 제조하는, 상기 향료 및 상기 가용화제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알코올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제1 탈취베이스, 및 상기 제1 탈취베이스와 상이한 조성을 갖는 제2 탈취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1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30 내지 60%, 에탄올 30 내지 60%, 1, 2, 헥산디올 2 내지 3%, 감잎추출물 2 내지 3%, 고령토추출물 2 내지 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80 내지 90%, 이미다졸륨 화합물 0.5 내지 1.5%, 에탄올 5 내지 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에톡시레이티드 리니어 알코올, 에톡시레이티드 알킬 페놀, 지방산 에스테르, 아민 유도체, 아마이드 유도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산화에틸렌 혼성중합체, 산화프로필렌 혼성중합체, 폴리알콜, 에톡시레이티드 폴리알콜, 티올 유도체, 메르캅탄 유도체, 폴리알킬에테르, 폴리알킬페닐에테르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고농도의 향료에 의한 발향 기능을 발휘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탈취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고농도의 향료를 함유하면서 동시에 향료가 탈취제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으로써 탈취와 함께 발향의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꽃잎이 상하지 않고 탈취제 내부에 지속적으로 보관 및 유지됨으로써 향료의 탈취제로의 섞임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새로운 감각적인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C은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는 섬유 탈취를 위한 탈취베이스; 1 이상의 천연향료, 1 이상의 합성향료, 및 1 이상의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조합한 조합향료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향료; 및 가용화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제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상기 탈취베이스는 60 내지 90%, 가용화제는 5 내지 20%, 향료는 5 내지 10%이다. 여기서, 탈취제 전체질량은 후술하는 꽃잎의 질량을 제외한 질량에 해당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제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상기 탈취베이스는 75 내지 85%, 가용화제는 10 내지 16%, 향료는 6 내지 8%이다. 여기서, 탈취제 전체질량은 후술하는 꽃잎의 질량을 제외한 질량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제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상기 탈취베이스는 약 80%, 가용화제는 약 13%, 향료는 약 7%이다. 여기서, 탈취제 전체질량은 후술하는 꽃잎의 질량을 제외한 질량에 해당한다. 또한, “약”은 오차범위 +/- 10%를 의미한다.
향료는 크게 식물이나 과일 등에서 추출한 천연향료와 화학반응으로 합성시킨 합성향료, 및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조합한 조합향료로 나뉘어질 수 있고, 현재 향료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은 약 500여 종이 된다.
이와 같은 향료는 원재료를 압착하여 정유를 뽑아내는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고, 향료의 종류에 따라 향료 성분을 추출해내는 방식은 상이하다.
한편, 천연향료는 크게 동물성 향료와 식물성 향료가 있는데, 전자에는 사향, 시벳, 앰버그리스, 카스토르의 4종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향은 사향노루의 냄새주머니를 건조시킨 것으로 향료성분은 무스콘(muscon)이다. 시벳은 사향고양이의 분비물을 모은 것으로 성분은 시베톤으로 이루어지며 사향 비슷한 향기가 난다. 용연향은 향유고래의 배설물이며, 주성분은 앰브레인(ambrein)이다. 카스토르는 비버의 분비물로 향의 주성분은 분명치 않다. 이들 향료는 생산량이 적으며, 향료 중 가장 비싸다.
한편, 식물성 향료는 방향성 식물의 꽃, 꽃망울, 과실, 잎, 가지, 줄기, 뿌리 및 천연수지 등에서 얻으며, 그 대부분은 휘발성인 유상물질로 물보다 가볍고, 정유에 해당한다. 이소프렌 2∼3개의 분자가 중합한 모노 및 세스퀴테르펜탄화수소 및 그 유도체인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에스테르 등 많은 테르펜화합물이 성분이다. 테르펜화합물의 합성은 복잡하므로 주로 천연정유에서 채취한다. 이와 같은 정유의 채취법은 통상적으로 수증기증류를 이용하고, 원료를 가열하면서 수증기를 보내면 향료성분이 증발하므로 이것을 수증기와 함께 뽑아내어 냉각시키면 정유는 물과 분리하여 회수된다. 이 방법에서 성분이 열화하여 냄새가 나빠질 때는 n-헥산 등의 석유계 용제로 성분을 용출시키는 추출법과, 정제한 돼지·말의 기름 등에 원료를 넣어 향료성분을 일단 유지로 옮긴 다음, 알코올에 의해서 성분을 용출시키는 냉침법으로 채취할 수 있다.
한편, 레몬유, 오렌지유 등 감귤류에서 얻는 정유는 껍질을 압착하여 성분을 짜내어 향기의 열화를 방지한다. 유향식물은 1,500종 정도 있으나, 향료로 가치가 있는 것은 그 중 100∼150종으로, 그 대부분은 수증기증류에 의하여 정유를 채취한다. 따라서 정유의 종류는 매우 많으나 이들 중 그대로 사용되는 것은 적고, 대부분은 다른 향료의 제조원료로 이용된다.
한편, 합성향료는 정유, 석유, 콜타르, 유지 제품 등을 출발원료로 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한 향료이다. 천연향료로부터 단리하여 얻은 향료성분과 같은 화합물과 향료성분과는 다르지만 향기가 비슷한 화합물로 분류된다. 또한 합성향료는 출발원료나 합성법 등에 따라 벤젠계, 인조사향계, 테르펜계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한편, 천연향료는 향료성분으로서 보통 십수 종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합성향료로는 천연향료의 향기를 만들어낼 수 없다. 그리하여 실제로 십수 종 정도 이상의 합성향료에, 때로는 천연향료를 배합하여 제품을 만든다. 이와 같은 향료를 조합향료라고 한다. 게라니올과 시트로넬롤은 모두 장미 냄새가 나는데, 이 두 가지를 조합하면 냄새가 좋은 장미유가 된다. 실제로 조합향료 제조에는 많은 경험과 기술이 필요하며, 그 방법은 공개하지는 않는다. 또 조합향료는 주체향료 외에 단일향료의 무미건조한 향기에 깊이를 부여하는 조제, 혼합한 각종 향료성분의 휘발성을 균일화하고 동일한 향기를 지속시키는 구실을 하는 보류제가 가해져 있다.
한편, 상기 탈취베이스는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이고, 상기 향료는 지용성의 향료다.
종래의 탈취제에는 향료가 첨가되지 않았다.
또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향료를 탈취제에 첨가하는 경우에 향료가 탈취제에 잘 섞이지 않고, 응집되게 때문에 탈취제에서 향료에 의한 방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탈취제에 지용성의 향료를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에 섞이게 하기 위하여, 혹은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용화제 및 꽃잎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에서는 향수 수준의 고농도의 향료를 탈취제에 혼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향수 수준의 발향(5% 이상, 바람직하게는 7% 이상)을 가능하게 한다.
우선, 상기 가용화제는 상기 지용성의 향료가 상기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에 용해가 되도록 하는 비이온계면활성제이다.
또한,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에톡시레이티드 리니어 알코올, 에톡시레이티드 알킬 페놀, 지방산 에스테르, 아민 유도체, 아마이드 유도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산화에틸렌 혼성중합체, 산화프로필렌 혼성중합체, 폴리알콜, 에톡시레이티드 폴리알콜, 티올 유도체, 메르캅탄 유도체, 폴리알킬에테르, 폴리알킬페닐에테르 중 1 이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탈취 혹은 방향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탈취베이스와 향료의 섞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이온계면활성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탈취제의 탈휘 혹은 방향의 효과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비이온계면활성제의 양을 최소화를 하면서, 향료가 탈취베이스에 잘 녹이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탈취제는 꽃잎을 이용하여, 가용화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지용성의 향료가 수용서의 탈취베이스에 더욱 잘 용해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꽃잎은 상기 탈취베이스에서 숙성된 후에, 상기 향료 및 상기 가용화제와 혼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꽃잎은 건조된 상태에서 상기 탈취베이스에서 숙성된 후에, 상기 향료 및 상기 가용화제와 혼합된다.
이와 같은 꽃잎은 탈취제가 유리 용기에 담아지는 경우 미관상 사용자에게 새로운 감각을 제공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꽃잎이 탈취제 속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임으로써 탈취베이스와 향료가 더욱 잘 섞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알코올류의 물질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에탄올을 포함한다.
이 경우, 탈취베이스에 우선적으로 건조된 상태의 꽃잎이 먼저 투입이 되고, 이후 꽃잎이 알코올류의 물질 내부에서 12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6시간 이상 숙성이 된다. 건조되지 않은 꽃잎을 투입하는 경우도 가능하지만, 건조한 꽃잎을 투입하는 경우 부패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꽃잎의 알코올류의 물질 내부에서의 예비적 숙성을 통하여 이후 탈취제 내부에서의 꽃잎 자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꽃잎의 탈취베이스와 향료의 섞임유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꽃잎은 장미목, 진달래목, 및 미나리아재비목 중 1 이상의 꽃잎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제1 탈취베이스, 및 상기 제1 탈취베이스와 조성이 상이한 제2 탈취베이스를 포함한다. 탈취베이스는 1 종류의 탈취베이스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2 종류의 탈취베이스가 혼합된 형태의 탈취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다양한 냄새에 대한 탈취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꽃잎의 보존성에 있어서도 더욱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탈취베이스와 제2 탈취베이스의 질량비율은 1:2 내지 2:1 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1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30 내지 60%, 에탄올 30 내지 60%, 1, 2, 헥산디올 2 내지 3%, 감잎추출물 2 내지 3%, 고령토추출물 2 내지 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80 내지 90%, 이미다졸륨 화합물 0.5 내지 1.5%, 에탄올 5 내지 10%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5%의 무정형의(amorphous)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탈취베이스 및 제2 탈취베이스는 모두 알코올류의 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이와 같은 제1 탈취베이스 및 제2 탈취베이스를 포함하는 탈취베이스 혼합액에 건조된 꽃잎을 먼저 숙성시킴으로써 꽃잎의 부패를 방지하고, 꽃잎의 형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다.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의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의 제조방법은 건조된 꽃잎을 준비하는 건조꽃잎준비단계(S10); 섬유 탈취를 위한 탈취베이스에 상기 건조된 꽃잎을 혼합하여 제1 준비용액을 제조하는, 제1 준비용액제조단계(S20); 1 이상의 천연향료, 1 이상의 합성향료, 및 1 이상의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조합한 조합향료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향료와 가용화제를 혼합하여 제2 준비용액을 제조하는 제2 준비용액제조단계(S30); 및 상기 제1 준비용액과 제2 준비용액을 혼합하여 탈취제를 제조하는 탈취제제조단계(S4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준비용액제조단계(S10)에서는 건조된 꽃잎을 상기 탈취베이스에 혼합하여 12시간 이상 숙성을 시키고, 상기 탈취제제조단계(S40)에서는 제1 준비용액과 제2 준비용액을 혼합하여 72 시간 이상 혼합상태를 유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준비용액제조단계(S10)에서는 건조된 꽃잎을 상기 탈취베이스에 혼합하여 24시간 이상 숙성을 시키고, 상기 탈취제제조단계(S40)에서는 제1 준비용액과 제2 준비용액을 혼합하여 168 시간 이상 혼합상태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제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상기 탈취베이스는 60 내지 90%, 가용화제는 5 내지 20%, 향료는 5 내지 10%이다. 여기서, 탈취제 전체질량은 후술하는 꽃잎의 질량을 제외한 질량에 해당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제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상기 탈취베이스는 75 내지 85%, 가용화제는 10 내지 16%, 향료는 6 내지 8%이다. 여기서, 탈취제 전체질량은 후술하는 꽃잎의 질량을 제외한 질량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제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상기 탈취베이스는 약 80%, 가용화제는 약 13%, 향료는 약 7%이다. 여기서, 탈취제 전체질량은 후술하는 꽃잎의 질량을 제외한 질량에 해당한다. 또한, “약”은 오차범위 +/- 10%를 의미한다.
향료는 크게 식물이나 과일 등에서 추출한 천연향료와 화학반응으로 합성시킨 합성향료, 및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조합한 조합향료로 나뉘어질 수 있고, 현재 향료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은 약 500여 종이 된다.
이와 같은 향료는 원재료를 압착하여 정유를 뽑아내는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고, 향료의 종류에 따라 향료 성분을 추출해내는 방식은 상이하다.
한편, 천연향료는 크게 동물성 향료와 식물성 향료가 있는데, 전자에는 사향, 시벳, 앰버그리스, 카스토르의 4종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향은 사향노루의 냄새주머니를 건조시킨 것으로 향료성분은 무스콘(muscon)이다. 시벳은 사향고양이의 분비물을 모은 것으로 성분은 시베톤으로 이루어지며 사향 비슷한 향기가 난다. 용연향은 향유고래의 배설물이며, 주성분은 앰브레인(ambrein)이다. 카스토르는 비버의 분비물로 향의 주성분은 분명치 않다. 이들 향료는 생산량이 적으며, 향료 중 가장 비싸다.
한편, 식물성 향료는 방향성 식물의 꽃, 꽃망울, 과실, 잎, 가지, 줄기, 뿌리 및 천연수지 등에서 얻으며, 그 대부분은 휘발성인 유상물질로 물보다 가볍고, 정유에 해당한다. 이소프렌 2∼3개의 분자가 중합한 모노 및 세스퀴테르펜탄화수소 및 그 유도체인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에스테르 등 많은 테르펜화합물이 성분이다. 테르펜화합물의 합성은 복잡하므로 주로 천연정유에서 채취한다. 이와 같은 정유의 채취법은 통상적으로 수증기증류를 이용하고, 원료를 가열하면서 수증기를 보내면 향료성분이 증발하므로 이것을 수증기와 함께 뽑아내어 냉각시키면 정유는 물과 분리하여 회수된다. 이 방법에서 성분이 열화하여 냄새가 나빠질 때는 n-헥산 등의 석유계 용제로 성분을 용출시키는 추출법과, 정제한 돼지·말의 기름 등에 원료를 넣어 향료성분을 일단 유지로 옮긴 다음, 알코올에 의해서 성분을 용출시키는 냉침법으로 채취할 수 있다.
한편, 레몬유, 오렌지유 등 감귤류에서 얻는 정유는 껍질을 압착하여 성분을 짜내어 향기의 열화를 방지한다. 유향식물은 1,500종 정도 있으나, 향료로 가치가 있는 것은 그 중 100∼150종으로, 그 대부분은 수증기증류에 의하여 정유를 채취한다. 따라서 정유의 종류는 매우 많으나 이들 중 그대로 사용되는 것은 적고, 대부분은 다른 향료의 제조원료로 이용된다.
한편, 합성향료는 정유, 석유, 콜타르, 유지 제품 등을 출발원료로 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한 향료이다. 천연향료로부터 단리하여 얻은 향료성분과 같은 화합물과 향료성분과는 다르지만 향기가 비슷한 화합물로 분류된다. 또한 합성향료는 출발원료나 합성법 등에 따라 벤젠계, 인조사향계, 테르펜계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한편, 천연향료는 향료성분으로서 보통 십수 종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합성향료로는 천연향료의 향기를 만들어낼 수 없다. 그리하여 실제로 십수 종 정도 이상의 합성향료에, 때로는 천연향료를 배합하여 제품을 만든다. 이와 같은 향료를 조합향료라고 한다. 게라니올과 시트로넬롤은 모두 장미 냄새가 나는데, 이 두 가지를 조합하면 냄새가 좋은 장미유가 된다. 실제로 조합향료 제조에는 많은 경험과 기술이 필요하며, 그 방법은 공개하지는 않는다. 또 조합향료는 주체향료 외에 단일향료의 무미건조한 향기에 깊이를 부여하는 조제, 혼합한 각종 향료성분의 휘발성을 균일화하고 동일한 향기를 지속시키는 구실을 하는 보류제가 가해져 있다.
한편, 상기 탈취베이스는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이고, 상기 향료는 지용성의 향료다.
종래의 탈취제에는 향료가 첨가되지 않았다.
또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향료를 탈취제에 첨가하는 경우에 향료가 탈취제에 잘 섞이지 않고, 응집되게 때문에 탈취제에서 향료에 의한 방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향수 수준의 고농도의 향료를 탈취제에 혼합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탈취제의 제조방법에서는 탈취제에 지용성의 향료를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에 섞이게 하기 위하여, 혹은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용화제 및 꽃잎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의 제조방법에서는 향수 수준의 고농도의 향료를 탈취제에 혼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향수 수준의 발향(5% 이상, 바람직하게는 7% 이상)을 가능하게 한다.
우선, 상기 가용화제는 상기 지용성의 향료가 상기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에 용해가 되도록 하는 비이온계면활성제이다.
또한,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에톡시레이티드 리니어 알코올, 에톡시레이티드 알킬 페놀, 지방산 에스테르, 아민 유도체, 아마이드 유도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산화에틸렌 혼성중합체, 산화프로필렌 혼성중합체, 폴리알콜, 에톡시레이티드 폴리알콜, 티올 유도체, 메르캅탄 유도체, 폴리알킬에테르, 폴리알킬페닐에테르 중 1 이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탈취 혹은 방향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탈취베이스와 향료의 섞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이온계면활성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탈취제의 탈취 혹은 방향의 효과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비이온계면활성제의 양을 최소화를 하면서, 향료가 탈취베이스에 잘 녹이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탈취제는 꽃잎을 이용하여, 가용화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지용성의 향료가 수용서의 탈취베이스에 더욱 잘 용해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준비용액제조단계는 상기 건조된 꽃잎을 상기 탈취베이스에서 12 시간 이상 숙성시킴으로써 상기 제1 준비용액을 제조하는, 상기 향료 및 상기 가용화제와 혼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꽃잎은 상기 탈취베이스에서 숙성된 후에, 상기 향료 및 상기 가용화제와 혼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꽃잎은 건조된 상태에서 상기 탈취베이스에서 숙성된 후에, 상기 향료 및 상기 가용화제와 혼합된다.
이와 같은 꽃잎은 탈취제가 유리 용기에 담아지는 경우 미관상 사용자에게 새로운 감각을 제공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꽃잎이 탈취제 속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임으로써 탈취베이스와 향료가 더욱 잘 섞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알코올류의 물질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에탄올을 포함한다.
이 경우, 탈취베이스에 우선적으로 건조된 상태의 꽃잎이 먼저 투입이 되고, 이후 꽃잎이 알코올류의 물질 내부에서 12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6시간 이상 숙성이 된다. 건조되지 않은 꽃잎을 투입하는 경우도 가능하지만, 건조한 꽃잎을 투입하는 경우 부패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꽃잎의 알코올류의 물질 내부에서의 예비적 숙성을 통하여 이후 탈취제 내부에서의 꽃잎 자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꽃잎의 탈취베이스와 향료의 섞임 유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꽃잎은 장미목, 진달래목, 및 미나리아재비목 중 1 이상의 꽃잎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베이스는 제1 탈취베이스, 및 상기 제1 탈취베이스와 조성이 상이한 제2 탈취베이스를 포함한다. 탈취베이스는 1 종류의 탈취베이스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2 종류의 탈취베이스가 혼합된 형태의 탈취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다양한 냄새에 대한 탈취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꽃잎의 보존성에 있어서도 더욱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탈취베이스와 제2 탈취베이스의 질량비율은 1:2 내지 2:1 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1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30 내지 60%, 에탄올 30 내지 60%, 1, 2, 헥산디올 2 내지 3%, 감잎추출물 2 내지 3%, 고령토추출물 2 내지 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80 내지 90%, 이미다졸륨 화합물 0.5 내지 1.5%, 에탄올 5 내지 10%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5%의 무정형의(amorphous)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탈취베이스 및 제2 탈취베이스는 모두 알코올류의 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이와 같은 제1 탈취베이스 및 제2 탈취베이스를 포함하는 탈취베이스 혼합액에 건조된 꽃잎을 먼저 숙성시킴으로써 꽃잎의 부패를 방지하고, 꽃잎의 형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다.
실험예
1. 비교예와 실험예의 준비, %는 질량%에 해당
비교예 1: 정제수 60%, 에탄올 36%, 1, 2, 헥산디올 2%, 감잎추출물 2%를 포함하는 탈취제
비교예 2: 정제수 90%, 이미다졸륨 화합물 1%, 에탄올 9%를 포함하는 탈취제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1의 조성을 갖는 탈취제에 전체 질량%로 7%의 향료를 혼합한 탈취제
비교예 4: 상기 비교예 2의 조성을 갖는 탈취제에 전체 질량%로 7%의 향료를 혼합한 탈취제
비교예 5: 상기 비교예 1의 조성을 갖는 탈취제에 전체 질량%로 7%의 향료를 혼합한 후에, 비건조 장미목의 꽃잎을 넣은 탈취제.
비교예 6: 상기 비교예 2의 조성을 갖는 탈취제에 전체 질량%로 7%의 향료를 혼합한 후에, 비건조 장미목의 꽃잎을 넣은 탈취제.
실시예 1: 정제수 60%, 에탄올 36%, 1, 2, 헥산디올 2%, 감잎추출물 2%의 조성을 갖는 탈취베이스에, 가용화제로서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향료를 혼합하고, 탈취제 전체 질량%에 대하여 탈취베이스는 80%, 지방산 에스테르는 13%, 및 향료는 7%를 함유함.
실시예 2: 정제수 90%, 이미다졸륨 화합물 1%, 에탄올 9%의 조성을 갖는 탈취베이스에, 가용화제로서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향료를 혼합하고, 탈취제 전체 질량%에 대하여 탈취베이스는 80%, 지방산 에스테르는 13%, 및 향료는 7%를 함유함.
실시예 3: 정제수 60%, 에탄올 36%, 1, 2, 헥산디올 2%, 감잎추출물 2%의 조성을 갖는 탈취베이스에, 장미목의 건조된 꽃잎 3g을 투입하고 1일 동안 숙성 후, 가용화제로서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향료를 혼합하고, 탈취제 전체 질량%에 대하여 탈취베이스는 80%, 지방산 에스테르는 13%, 및 향료는 7%를 함유함.
실시예 4: 정제수 90%, 이미다졸륨 화합물 1%, 에탄올 9%의 조성을 갖는 탈취베이스에, 장미목의 건조된 꽃잎 3g을 투입하고 1일 동안 숙성 후, 가용화제로서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향료를 혼합하고, 탈취제 전체 질량%에 대하여 탈취베이스는 80%, 지방산 에스테르는 13%, 및 향료는 7%를 함유함.
실시예 5: 정제수 60%, 에탄올 36%, 1, 2, 헥산디올 2%, 감잎추출물 2%의 조성을 갖는 제1 탈취베이스와 정제수 90%, 이미다졸륨 화합물 1%, 에탄올 9%를 포함하는 제2 탈취베이스에, 장미목의 건조된 꽃잎 3g을 투입하고 1일 동안 숙성 후, 가용화제로서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향료를 혼합하고, 탈취제 전체 질량%에 대하여 탈취베이스는 80%(제1 탈취베이스가 40%, 제2 탈취베이스가 40%), 지방산 에스테르는 13%, 및 향료는 7%를 함유함.
실시예 6: 정제수 60%, 에탄올 36%, 1, 2, 헥산디올 2%, 감잎추출물 2%의 조성을 갖는 탈취베이스에, 장미목의 꽃잎 생화 5g을 투입하고 1일 동안 숙성 후, 가용화제로서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향료를 혼합하고, 탈취제 전체 질량%에 대하여 탈취베이스는 80%, 지방산 에스테르는 13%, 및 향료는 7%를 함유함.
실시예 7: 정제수 90%, 이미다졸륨 화합물 1%, 에탄올 9%의 조성을 갖는 탈취베이스에, 장미목의 꽃잎 생화 5g을 투입하고 1일 동안 숙성 후, 가용화제로서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향료를 혼합하고, 탈취제 전체 질량%에 대하여 탈취베이스는 80%, 지방산 에스테르는 13%, 및 향료는 7%를 함유함.
2. 비교예와 실험예의 평가
-평가는 상기 비교예 및 실험예의 제조 후 1주일 후에 수행함.
-상기 비교예 및 실험예에서의 탈취제 조성물을 분사노즐을 갖는 투명 용기에 담아 실험자 3인에 의하여 평가함.
탈취 효과의 측정 발향 효과의 측정 꽃잎의 부패 향료의 응집
비교예 1 양호 없음 - -
비교예 2 양호 없음 - -
비교예 3 양호 낮음 - 응집이 관찰됨
비교예 4 양호 낮음 - 응집이 관찰됨
비교예 5 양호 낮음 부패함 응집이 관찰됨
비교예 6 양호 낮음 부패함 응집이 관찰됨
실험예 1 양호 양호 - 응집이 약간 관찰됨
실험예 2 양호 양호 - 응집이 약간 관찰됨
실험예 3 양호 우수 부패되지 안음 응집이 관찰되지 않음
실험예 4 양호 우수 부패되지 않음 응집이 관찰되지 않음
실험예 5 매우 양호 매우 우수 부패되지 않음 응집이 관찰되지 않음
실험예 6 양호 우수 부패되지 않으나 약간의 변색 발생 응집이 관찰되지 않음
실험예 7 양호 우수 부패되지 않으나 약간의 변색 발생 응집이 관찰되지 않음
상기의 실험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 및 탈취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고농도의 향수를 탈취제에 고르게 용해시킴으로써 탈취제에서 탈취 효과뿐만 아니라 방향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 및 탈취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오랜 기간 동안 꽃잎의 부패를 방지하고, 꽃잎의 형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고농도의 향료에 의한 발향 기능을 발휘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탈취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고농도의 향료를 함유하면서 동시에 향료가 탈취제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으로써 탈취와 함께 발향의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꽃잎이 상하지 않고 탈취제 내부에 지속적으로 보관 및 유지됨으로써 향료의 탈취제로의 섞임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새로운 감각적인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로서,
    섬유 탈취를 위한 탈취베이스;
    1 이상의 천연향료, 1 이상의 합성향료, 및 1 이상의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조합한 조합향료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향료; 및
    가용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제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상기 향료는 5 내지 10%이고,
    상기 탈취베이스는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이고,
    상기 향료는 지용성의 향료이고,
    상기 가용화제는 상기 지용성의 향료가 상기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에 용해가 되는 것을 촉진하고,
    상기 탈취제는 꽃잎을 더 포함하고,
    상기 꽃잎은 상기 탈취베이스에서 숙성된 후에, 상기 향료 및 상기 가용화제와 혼합되고,
    상기 탈취베이스는 알코올류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탈취베이스는 제1 탈취베이스, 및 상기 제1 탈취베이스와 조성이 상이한 제2 탈취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1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30 내지 60%, 에탄올 30 내지 60%, 1, 2, 헥산디올 2 내지 3%, 감잎추출물 2 내지 3%, 고령토추출물 2 내지 3%를 포함하는, 탈취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80 내지 90%, 이미다졸륨 화합물 0.5 내지 1.5%, 에탄올 5 내지 10%를 포함하는, 탈취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는 비이온계면활성제이고,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에톡시레이티드 리니어 알코올, 에톡시레이티드 알킬 페놀, 지방산 에스테르, 아민 유도체, 아마이드 유도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산화에틸렌 혼성중합체, 산화프로필렌 혼성중합체, 폴리알콜, 에톡시레이티드 폴리알콜, 티올 유도체, 메르캅탄 유도체, 폴리알킬에테르, 폴리알킬페닐에테르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탈취제.
  8.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섬유 탈취를 위한 탈취베이스에 꽃잎을 혼합하여 제1 준비용액을 제조하는, 제1 준비용액제조단계;
    1 이상의 천연향료, 1 이상의 합성향료, 및 1 이상의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조합한 조합향료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향료와 가용화제를 혼합하여 제2 준비용액을 제조하는 제2 준비용액제조단계; 및
    상기 제1 준비용액과 제2 준비용액을 혼합하여 탈취제를 제조하는 탈취제제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제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상기 향료는 5 내지 10%이고,
    상기 탈취베이스는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이고,
    상기 향료는 지용성의 향료이고,
    상기 가용화제는 상기 지용성의 향료가 상기 수용성의 탈취베이스에 용해가 되는 것을 촉진하고,
    상기 제1 준비용액제조단계는 상기 꽃잎을 상기 탈취베이스에서 12 시간 이상 숙성시킴으로써 상기 제1 준비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탈취베이스는 알코올류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탈취베이스는 제1 탈취베이스, 및 상기 제1 탈취베이스와 상이한 조성을 갖는 제2 탈취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1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30 내지 60%, 에탄올 30 내지 60%, 1, 2, 헥산디올 2 내지 3%, 감잎추출물 2 내지 3%, 고령토추출물 2 내지 3%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탈취베이스는, 상기 제2 탈취베이스 전체질량에 대하여 질량%로, 정제수 80 내지 90%, 이미다졸륨 화합물 0.5 내지 1.5%, 에탄올 5 내지 10%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는 비이온계면활성제이고,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에톡시레이티드 리니어 알코올, 에톡시레이티드 알킬 페놀, 지방산 에스테르, 아민 유도체, 아마이드 유도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산화에틸렌 혼성중합체, 산화프로필렌 혼성중합체, 폴리알콜, 에톡시레이티드 폴리알콜, 티올 유도체, 메르캅탄 유도체, 폴리알킬에테르, 폴리알킬페닐에테르, 방향족 화합물, 혹은 방향족 화합물과 천연성분의 혼합물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20160059441A 2016-05-16 2016-05-16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2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441A KR101822929B1 (ko) 2016-05-16 2016-05-16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441A KR101822929B1 (ko) 2016-05-16 2016-05-16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61A KR20170128861A (ko) 2017-11-24
KR101822929B1 true KR101822929B1 (ko) 2018-01-29

Family

ID=6081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441A KR101822929B1 (ko) 2016-05-16 2016-05-16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9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855A (ja) 1999-07-26 2001-02-13 Kao Corp 液体消臭剤
JP4568018B2 (ja) 2004-04-30 2010-10-27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消臭剤及び樹脂組成物
JP5719951B2 (ja) 2007-09-20 2015-05-20 花王株式会社 揮発性尿臭成分の生成抑制方法
JP5752103B2 (ja) 2008-03-31 2015-07-22 小林製薬株式会社 界面活性剤の配合量が低減された透明な芳香液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855A (ja) 1999-07-26 2001-02-13 Kao Corp 液体消臭剤
JP4568018B2 (ja) 2004-04-30 2010-10-27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消臭剤及び樹脂組成物
JP5719951B2 (ja) 2007-09-20 2015-05-20 花王株式会社 揮発性尿臭成分の生成抑制方法
JP5752103B2 (ja) 2008-03-31 2015-07-22 小林製薬株式会社 界面活性剤の配合量が低減された透明な芳香液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61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5099B1 (en) Deodorant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KR20170122383A (ko) 식물정유물질을 이용한 VOCs 및 악취 탈취제
KR102123830B1 (ko) 제올라이트와 숯을 이용한 편백수 제조방법
JPH03109072A (ja) 消臭剤および消臭スプレー
KR101869269B1 (ko)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1822929B1 (ko) 의류 및 섬유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4643A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만들어진 섬유향수
KR101385257B1 (ko) 탈취용 조성물
KR101781657B1 (ko) 식물 유래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제 조성물
KR100593037B1 (ko)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100797974B1 (ko) 체취 감소용 소취제 조성물
KR20200062776A (ko) 항균성 방향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방향제
EP4355436A1 (en) 1,3-butylene glyc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08029822A1 (fr) Désodorisant comprenant une substance désodorisante provenant du distillat de canne à sucre en tant que substance active et procédé pour améliorer l'odeur provenant de la canne à sucre
KR101936426B1 (ko) 향료를 이용한 천연탈취제
CN113117500A (zh) 一种有去除异味功效的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20020043073A (ko) 생강 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JP4660088B2 (ja) 防臭剤、および該防臭剤を含む防臭用組成物、化粧料組成物、洗浄用組成物
JP7014527B2 (ja) 白蓮の花の香臭を再現した香料組成物
JP2003000691A (ja) 消臭組成物
KR20180067806A (ko) 천연 섬유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81579B1 (ko) 초피나무 잎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94550B1 (ko) 선택적 암모니아 소취용 향료 조성물
KR20190078332A (ko) 선택적 암모니아 소취용 향료 조성물
JP3170316U (ja) 消臭用物品又は動物の侵入避け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