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334B1 -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 - Google Patents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334B1
KR101822334B1 KR1020170060487A KR20170060487A KR101822334B1 KR 101822334 B1 KR101822334 B1 KR 101822334B1 KR 1020170060487 A KR1020170060487 A KR 1020170060487A KR 20170060487 A KR20170060487 A KR 20170060487A KR 101822334 B1 KR101822334 B1 KR 10182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r
fermentation
vanes
pans
microorg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환
오재원
주재명
남현구
오정석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70060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334B1/ko
Priority to EP18802811.2A priority patent/EP3626810A4/en
Priority to CN201880024196.4A priority patent/CN110536959B/zh
Priority to BR112019020389-3A priority patent/BR112019020389B1/pt
Priority to PCT/KR2018/005263 priority patent/WO2018212495A1/ko
Priority to US16/614,195 priority patent/US11578299B2/en
Priority to JP2020507975A priority patent/JP720382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0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 B01D19/005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in rotating vessels, vessels containing movable parts or in which centrifugal movement is ca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발효조용 파포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용 파포기는 중앙부에 제1 중공(110)을 가지며 디스크(disk) 형상인 몸체(100), 상기 제1 중공(110)과 연통하는 제2 중공(210)을 가지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120)과 하면(130)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지지대(200) 및 상기 몸체(100)의 하면(130)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1 베인(vane)(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DEFOAMER FOR FERMENTER, AND MICROORGANISM FERMENTER USING DEFOAMER}
본 출원은 발효조에 이용되는 파포기와 파포기를 이용한 발효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발효조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파포기와 발효조에 관한 것이다.
발효 목적물의 수득을 위하여 미생물의 생화학적 반응 및 발효과정을 이용하는 경우 투입 산소, 미생물 발효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으로 발효 배지 안에서 거품(foam)이 형성된다.
발효과정중 거품과다 발생시 발효과정의 악영향과 생산성 저하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효조 내의 거품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소포제를 투여할 수 있으나, 소포제를 과다 투입할 경우, 제품 품질에 문제를 일으킬수 있다.
소포제 과다 투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효조 내부에 기계식 파포기를 설치하여 신속히 거품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파포기 중 디스크 파포기는 발효조 내부 교반장치(agitator)의 축에 설치하여, 축의 회전을 통해 발생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주변 거품을 제거하는 형태로, 파포기의 형태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하다.
미국 등록특허문헌 제6673599호의 경우, 발효조에 이용가능한 디스크 파포기를 개시하나, 유효파포 면적이 작아 파포 효율이 떨어지며, Broth의 거품이 파포기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파포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중량이 무겁고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오염발생 및 파손우려로 대형 발효조에서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다.
본 출원의 하나의 목적은 중앙부에 제1 중공(110)을 가지며 디스크(disk) 형상인 몸체(100); 상기 제1 중공(110)과 연통하는 제2 중공(210)을 가지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120)과 하면(130)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지지대(200); 및 상기 몸체(100)의 하면(130)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1 베인(vane)(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을 포함하는, 발효조용 파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효조용 파포기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조로서, 발효 대상 물질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회전 축 및 상기 회전 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교반 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효조용 파포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교반 날개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 축에 장착되는, 미생물 발효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 발효조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 배양방법을 통해 발효 목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양태는, 중앙부에 제1 중공(110)을 가지며 디스크(disk) 형상인 몸체(100), 상기 제1 중공(110)과 연통하는 제2 중공(210)을 가지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120)과 하면(130)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지지대(200) 및 상기 몸체(100)의 하면(130)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1 베인(vane)(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을 포함하는, 발효조용 파포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상기 지지대(2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통해 거품의 급격한 증가 시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브로스(Broth, 배양액, b)의 유동을 안정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 중 어느 하나의 제1 베인은, 인접한 다른 제1 베인과 등간격 이격되어 상기 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통해 거품을 제거하는 파포 흐름을 일정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8개일 수 있다. 하지만, 8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개수를 가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상기 몸체(100)의 지름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지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의 하단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통해 몸체(100)에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을 몸체(100)에 용접 부착 시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의 내측까지 용접이 가능하므로 전둘레 전(全)용접이 가능하여 강도향상 및 기밀구조형성으로 브로스(b) 침적, 잔존에 따른 발생오염 여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곡면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의 형상으로 인해 브로스(b)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거품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하단부에 곡면이 형성되어 균일량의 브로스 거품만을 분할 흡입함에 따라 회전안정성 및 균일 파포가 가능하다. 이로써 거품(f) 제거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하단부의 길이는 상기 몸체(100)의 지름 방향으로 갈수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상기 몸체(100)의 제1 베인 길이의 내측 끝단과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α)만큼 굽어지게 형성시켜 상기 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인의 굽어지는 방향은 파포기의 회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소정 각도(α)는 10 내지 45도, 구체적으로 13 내지 2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베인을 소정 각도(α) 굽어져서 상기 몸체(100)에 취부함으로써, 거품의 파포시 발생되는 접촉부에서의 유체저항력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유도되도록 소정 각도(α)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동흐름 안정화 및 거품 파포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해 파포기 미가동시 브로스(b) 정체에 따른 브로스(b) 침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의 상면(120)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2 베인(410, 420, 430, 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베인은 상기 복수의 제1 베인에 비하여 같거나 적은 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인(410, 420, 430, 440)은 4개일 수 있다. 하지만, 4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개수를 가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제2 베인(410, 420, 430, 440)은 몸체(100)의 상면(120)에 장착되기 때문에 거품(f)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제2 베인(410, 420, 430, 440)의 회전으로 거품(f)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파포기(1000)의 상면(120)과 하면(130) 모두에 베인이 취부되므로 회전함으로써 거품(f)를 직접 파포(1차 파포)하는 면적을 향상시켰다.
또한, 종래의 파포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중량 또한 경량화 시켰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2 베인을 제1 베인에 비해 같거나 적은 수로 형성하는 것은 파포기 상부 거품의 밀도는 상대적으로 하부보다 저밀도이므로, 상부 거품의 처리부하가 하부에 비해 적음을 고려한 설계로, 이를 통해 소량 및 경량화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베인은 상기 복수의 제1 베인의 어느 하나와 동일한 위치로 형성할 수 있고, 동일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파포기 무게 중심을 일정하게 하여 안정적 회전을 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상면(120)에까지 상기 복수의 제2 베인(410, 420, 430, 440)이 장착되기 때문에 파포기가 브로스(b)에 잠겼을 때도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베인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베인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2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몸체(100)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베인 중 어느 하나의 제2 베인은, 인접한 다른 제2 베인과 등간격 이격되어 상기 몸체(1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0)의 지름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의 지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하단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베인 길이의 내측 끝단과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α) 만큼 굽어지게 형성시켜 상기 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인의 굽어지는 방향은 파포기의 회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소정 각도(α)는 10 내지 45도, 구체적으로 13 내지 2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베인을 소정 각도(α) 굽어져서 상기 몸체(100)에 취부함으로써, 거품 파포시 발생되는 접촉부에서의 유체저항력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유도되도록 소정 각도(α)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동흐름 안정화 및 거품 파포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해 파포기 미가동시 브로스(b) 정체에 따른 브로스(b) 침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는 상기 발효조용 파포기를 분리 결합가능하도록 하는 분리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지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양태는 상기 발효조용 파포기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조로서, 발효 대상 물질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회전 축(Shaft) 및 상기 회전 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교반 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효조용 파포기는 상기 발효조용 파포기의 몸체를 초기 브로스의 높이보다 동일하거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 축에 장착되는, 미생물 발효조에 제공된다. 용기는 발효 대상 물질을 수용하는 부분이며, 발효 대상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다.
발효조용 파포기(1000)는 상기 발효조용 파포기의 몸체를 초기 브로스의 높이보다 동일하거나 상측에 위치하도록 회전 축에 장착된다. 거품(f)은 액상 브로스(b)의 상부에 부유하기 때문에 교반 날개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용 파포기(1000)는 발효 과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거품(f)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양태는 상기 미생물 발효조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조용 파포기(1000)가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거품(f)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발효 브로스(b) 내의 미생물은 브로스(b)내의 성분을 온전히 이용할 수 있고, 브로스(b) 상부에 거품이 없는 부분(Air Zone)의 증대를 통한 공기 중의 산소도 공급될 수 있으므로 미생물의 배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양태는 상기 미생물 배양방법을 통해 발효 목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 배양방법에 따르면 미생물의 배양 효율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미생물의 활동 또한 활발해지기 때문에 미생물의 발효를 이용한 주류(예로서 맥주, 청주, 포도주, 소주, 위스키 등), 식품(발효유제품 등) 등의 발효 목적물도 우수한 품질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파포기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베인이 장착되므로, 파포면적 증가 및 경량화 실현, 베인 경사각 부여를 통한 동력부하 저하, 지지대와의 이격설치 구조설계를 통한 유동안정성, 2차 파포력강하 및 베인 폭방향 곡면설계 채택으로 균일 파포 및 오염방지 구조 실현 가능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발효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미생물 발효조에 장착되는 발효조용 파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발효조용 파포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은 평면도, 도 4는 저면도, 도 5는 측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종래의 DFB 파포기의 실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용 파포기의 실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파포기를 이용하여 거품 제거 효율을 측정한 실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1. 발효조용 파포기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용 파포기(10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용 파포기(1000)는 몸체(100), 지지대(200),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 및 복수의 제2 베인(410, 420, 430, 440)을 포함한다.
몸체(100)는 디스크(disk) 형상으로 구비되며, 몸체(100)의 중앙부에는 제1 중공(110)이 형성된다. 제1 중공(110)은 발효조용 파포기(1000)가 후술하는 발효조(2000)의 회전 축에 장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지지대(200)는 몸체(100)의 상면(120)과 하면(130)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부분이다. 지지대(200)의 중앙부에는 제1 중공(110)과 연통하는 제2 중공(210)이 형성된다.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발효조용 파포기(1000) 회전 시 함께 회전하여 발효 과정에 의해 생성된 거품(f)을 제거하는 부분이다. 발효조용 파포기(1000)가 설치되는 발효조(2000) 내부에는 브로스(b)가 수용되는데, 미생물의 발효에 의해 거품(f)이 형성된다. 발효조용 파포기(1000)가 회전하면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일정량의 거품(f)을 베인의 회전 체적만큼 걷어내고(1차 파포), 걷어낸 반액상 브로스(b)를 회전 원심력에 의해 파포기 외부로 투척하면 발효조(2000) 내부와 파포기(1000) 직경 사이에서 부상되는 주변의 거품(f)을 2차적으로 균일 파포하게 된다.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몸체(100)의 하면(130)에 장착된다. 이 때,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 중 어느 하나의 제1 베인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1 베인과 등간격 이격되어 몸체(100)에 장착된다. 이로써, 거품(f)을 일정량 분할 흡입 제거하는 파포의 흐름을 균일하게 발생시키고, 거품(f)을 제거하는 브로스 거품을 일정량만 흡입하여 반액상으로 외부 배출하게 된다. 이 때, 원심력에 의해 주변에 부상되는 거품(f)를 2차 파포하게 된다.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지지대(2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몸체(100)에 장착된다. 즉,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과 지지대(200)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몸체(100)의 지름 방향으로 형성되되, 몸체(100)의 지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하단부는 곡면을 포함한다.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몸체(100)의 중심부로부터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의 내측면 말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대해 15도 이격되도록 몸체(100)에 장착된다.
제2 베인(410, 420, 430, 440)은 제1 베인과 마찬가지로 발효조용 파포기(1000) 회전 시 함께 회전하여 발효 과정에 의해 생성된 거품(f)을 제거하는 부분이다. 제2 베인(410, 420, 430, 440)은 몸체(100)의 상면(120)에 장착된다.
제2 베인(410, 420, 430, 440)의 구조는 제1 베인과 동일하다. 제1 베인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 발효조용 파포기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조
도 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발효조(20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미생물 발효조(2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발효조(2000)는 용기, 회전 축, 하나 이상의 교반 날개,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1000)를 포함한다.
회전 축(Shaft)은 용기 중심부에 위치한다. 후술하는 교반 날개와 발효조용 파포기(1000)가 장착되는 위치를 제공하게 된다.
교반 날개는 회전 축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각 교반 날개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날개를 가지며, 회전에 의해 용기 내에 수용된 발효 대상 물질을 휘젓게 된다.
3. 검증 실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용 파포기(1000)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제품인 DFB(Disc Foam Breaker) 파포기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용 파포기(1000)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존 제품인 DFB(Disc Foam Breaker) 파포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는 베인이 형성되지 않고 하면에만 4개의 베인이 형성되어 있는 제품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용 파포기(10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DFB 파포기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용 파포기(1000)를 30L 용량의 발효조 각각의 동일 위치에 설치하고, 라이신 생산 균주의 Broth 15L를 투입하였으며,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지 0.5L를 추가하면서 거품 제거 효과를 관찰하였다. 초기의 Broth에는 동량의 소포제가 첨가되었으며, 추가되는 Broth는 소포제의 첨가 없이 미생물 생장을 위한 당류를 첨가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DFB 파포기는 총 1.5L의 배지를 추가로 투여한 20분째부터 파포기가 잠기기 시작하여 25분째부터는 발효조보다 거품이 넘치는 overflow 현상으로 공정을 더 이상 진행할 수 없었다.
반면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용 파포기(1000)는 총 4.0L의 배지를 추가로 투여한 35분째부터 잠기기 시작하였으나, 발효조보다 넘칠 정도의 overflow 현상은 총 4.0L의 배지를 추가로 투여하여도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용 파포기(1000)의 검증 실험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DFB 파포기에 비해 overflow 시간 지연 효과가 2배 이상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Broth의 수용량(capacity)도 15% 이상 상승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소포제 또한 20% 절감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몸체
110: 제1 중공
120: 상면
130: 하면
200: 지지대
210: 제2 중공
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 제1 베인
410, 420, 430, 440: 제2 베인
1000: 발효조용 파포기
2000: 미생물 발효조

Claims (12)

  1. 중앙부에 제1 중공(110)을 가지며 디스크(disk) 형상인 몸체(100);
    상기 제1 중공(110)과 연통하는 제2 중공(210)을 가지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120)과 하면(130)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지지대(200); 및
    상기 몸체(100)의 하면(130)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1 베인(vane)(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상기 몸체(100)와 수직하는 곡률인 제1 곡률을 가지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곡률과 상이한 제2 곡률을 가지며 연장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발효조용 파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상기 지지대(2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몸체(100)에 장착되는,
    발효조용 파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 중 어느 하나의 제1 베인은, 인접한 다른 제1 베인과 등간격 이격되어 상기 몸체(100)에 장착되는,
    발효조용 파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상기 몸체(100)의 지름 방향으로 형성되는,
    발효조용 파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상기 몸체(100)의 중심부를 회전 중심으로 한 방사상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α)만큼 편심되어 상기 몸체(100)에 장착되는,
    발효조용 파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α)는 10 내지 45도인,
    발효조용 파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상면(120)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2 베인(410, 420, 430, 440)을 더 포함하는,
    발효조용 파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발효조용 파포기를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발효조용 파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베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의 하단부의 길이는 상기 몸체(100)의 지름 방향으로 갈수록 긴,
    발효조용 파포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발효조용 파포기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조로서,
    발효 대상 물질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회전 축; 및
    상기 회전 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교반 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효조용 파포기의 몸체는, 상기 용기 내에 위치하는 초기 브로스의 높이 이상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 축에 장착되는,
    미생물 발효조.
  11. 제10항의 미생물 발효조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방법.
  12. 제11항의 미생물 배양방법을 통해 발효 목적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70060487A 2017-05-16 2017-05-16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 KR10182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487A KR101822334B1 (ko) 2017-05-16 2017-05-16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
EP18802811.2A EP3626810A4 (en) 2017-05-16 2018-05-08 FOAM BREAKER FOR FERMENTATION TANK AND MICRO-ORGANIS FERMENTATION TANK WITH FOAM BREAKER FOR FERMENTATION TANK
CN201880024196.4A CN110536959B (zh) 2017-05-16 2018-05-08 发酵罐的消泡器和使用发酵罐的消泡器的微生物发酵罐
BR112019020389-3A BR112019020389B1 (pt) 2017-05-16 2018-05-08 Antiespumante para um fermentador, fermentador de microrganismo, e, métodos de cultivo de microrganismo e para fabricar um objeto-alvo de fermentação
PCT/KR2018/005263 WO2018212495A1 (ko) 2017-05-16 2018-05-08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
US16/614,195 US11578299B2 (en) 2017-05-16 2018-05-08 Defoamer for fermenter, and microorganism fermenter using defoamer for fermenter
JP2020507975A JP7203821B2 (ja) 2017-05-16 2018-05-08 発酵槽用破泡器、そして発酵槽用破泡器を用いた微生物発酵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487A KR101822334B1 (ko) 2017-05-16 2017-05-16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334B1 true KR101822334B1 (ko) 2018-01-26

Family

ID=6102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487A KR101822334B1 (ko) 2017-05-16 2017-05-16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78299B2 (ko)
EP (1) EP3626810A4 (ko)
JP (1) JP7203821B2 (ko)
KR (1) KR101822334B1 (ko)
CN (1) CN110536959B (ko)
BR (1) BR112019020389B1 (ko)
WO (1) WO201821249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95A1 (ko) * 2017-05-16 2018-11-22 씨제이제일제당 (주)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
KR102278097B1 (ko) * 2021-01-21 2021-07-15 (주)창세종합환경 오폐수 미생물 배양기
KR20220106012A (ko) * 2021-01-21 2022-07-28 (주)창세종합환경 미생물 배양기
KR20220106017A (ko) * 2021-06-29 2022-07-28 (주)창세종합환경 거품제거부가 구비된 미생물 배양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0200B (zh) * 2020-10-16 2021-08-10 广州市丰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材料生产用发酵过程气泡去除装置
CN113274766A (zh) * 2021-04-22 2021-08-20 陈程 一种电磁感应式双介质等离子气液净化装置
CN116694434B (zh) * 2023-07-31 2024-02-20 山东博精化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生物法丙烯酰胺搅拌发酵罐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0328A (en) * 1952-03-20 1956-06-12 Nat Dairy Res Lab Inc Aerating method and apparatus
JP3116103B2 (ja) * 1991-11-22 2000-12-11 味の素株式会社 好気性培養による発酵生産における培養装置及び消泡制御方法
JP3337357B2 (ja) * 1995-11-09 2002-10-2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反応槽の回転円盤型消泡装置
JP2000288593A (ja) 1999-04-08 2000-10-17 Shinto Eco Techno:Kk 糞尿発酵処理装置の気泡処理機構
JP3654789B2 (ja) * 1999-04-08 2005-06-02 鹿島建設株式会社 汚泥処理方法及び装置
DE10149132B4 (de) 2001-10-05 2006-05-04 Sartorius Ag Vorrichtung zur Entschaumung eines Bioreaktors
JP2007216113A (ja) * 2006-02-15 2007-08-30 Sanshu Densen Kk 消泡装置
CN101003780B (zh) * 2007-01-24 2011-12-14 王培生 安装有消沫器由罐顶中心排气的微生物发酵装置
US8785180B2 (en) * 2007-06-18 2014-07-22 Shanghai Guoqiang Bioengineering Equipment Co., Ltd. Biochemical reactor
CN101948747B (zh) * 2010-08-13 2014-09-03 李明忠 智能清洁型生物发酵增产装备
CN101948738A (zh) * 2010-09-04 2011-01-19 颜金钰 环喷射流型发酵罐及其应用的发酵搅拌系统
CN202297584U (zh) * 2011-10-18 2012-07-04 江苏浩特隆搅拌设备有限公司 大型发酵罐用搅拌器组合
JP2015502846A (ja) * 2011-11-24 2015-01-29 ワン、リーWANG, Li チャンネル状羽根を有する撹拌インペラ
CN202379983U (zh) * 2011-11-30 2012-08-15 山东福洋生物科技有限公司 发酵罐消泡装置
KR101348858B1 (ko) * 2012-03-16 2014-01-07 임정식 미생물 배양기 교반기
KR20140099967A (ko) * 2013-02-04 2014-08-14 주식회사 와이엘환경 연속식 수처리용 교반장치
KR101392425B1 (ko) * 2013-05-28 2014-05-07 김호신 양돈분뇨 속성 분해발효용 소포 장치
WO2015098290A1 (ja) * 2013-12-26 2015-07-02 住友重機械プロセス機器株式会社 撹拌翼及び撹拌装置
KR101718479B1 (ko) * 2014-11-11 2017-03-21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거품제거부를 구비한 미생물 배양기
CN205088244U (zh) * 2015-10-23 2016-03-16 宁波中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卧式液态发酵罐消泡装置
CN205590683U (zh) * 2016-04-19 2016-09-21 山东欧迈机械股份有限公司 消泡桨搅拌器
CN205590638U (zh) 2016-05-12 2016-09-21 中海海洋(荣成)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鱼油脱臭装置
CN205857352U (zh) * 2016-07-29 2017-01-04 宏岳塑胶集团股份有限公司 带有自清理功能的洗衣机用地漏
KR101822334B1 (ko) * 2017-05-16 2018-01-26 씨제이제일제당 (주)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95A1 (ko) * 2017-05-16 2018-11-22 씨제이제일제당 (주)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
US11578299B2 (en) 2017-05-16 2023-02-14 Cj Cheiljedang Corporation Defoamer for fermenter, and microorganism fermenter using defoamer for fermenter
KR102278097B1 (ko) * 2021-01-21 2021-07-15 (주)창세종합환경 오폐수 미생물 배양기
KR20220106012A (ko) * 2021-01-21 2022-07-28 (주)창세종합환경 미생물 배양기
KR102431869B1 (ko) 2021-01-21 2022-08-11 (주)창세종합환경 미생물 배양기
KR20220106017A (ko) * 2021-06-29 2022-07-28 (주)창세종합환경 거품제거부가 구비된 미생물 배양기
KR102431868B1 (ko) 2021-06-29 2022-08-11 (주)창세종합환경 거품제거부가 구비된 미생물 배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6810A4 (en) 2021-01-27
JP2020517305A (ja) 2020-06-18
WO2018212495A1 (ko) 2018-11-22
CN110536959B (zh) 2023-04-11
BR112019020389A2 (pt) 2020-04-28
EP3626810A1 (en) 2020-03-25
BR112019020389B1 (pt) 2023-03-14
JP7203821B2 (ja) 2023-01-13
US20200071653A1 (en) 2020-03-05
US11578299B2 (en) 2023-02-14
CN110536959A (zh)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334B1 (ko) 발효조용 파포기, 그리고 발효조용 파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조
CA2235045C (en) Impeller assembly with asymmetric concave blades
GB2168904A (en) Method of circulation of liquid phase through a solid phase particularly for biocatalytical reactions and a device for realization thereof
KR101857869B1 (ko) 자기부상식 표면 교반기
WO2013025116A1 (ru) Вихревой биореактор
US20080261299A1 (en) Pneumatic Bioreactor
US200800539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erating Waste Water
JP3936842B2 (ja) 組織細胞および微生物を懸濁液中で培養する装置
ES2762481T3 (es) Recipiente para cultivo celular y su uso
RU2565557C1 (ru) Аппарат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US3642257A (en) Agitating apparatus
US4212949A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microorganisms
JPH09131502A (ja) 反応槽の回転円盤型消泡装置
NO151543B (no) Hult roereorgan for tilfoering av gass til vaesker
KR101147956B1 (ko)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JP4834813B2 (ja) 通気攪拌発酵槽
RU2299903C2 (ru) Биореактор
JPH0629997Y2 (ja) 発酵槽
WO2015087877A1 (ja) シート状細胞培養物保存容器
JP7422800B2 (ja) 散気攪拌槽
SU1650690A1 (ru) Аппарат дл выращивани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USRE32324E (en) Mixing device
SU1687604A1 (ru) Аппарат дл культивировани клеток
JPH1118757A (ja) 撹拌装置付培養槽
SU721478A1 (ru) Аппарат дл выращивани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